KR20060065432A - 전압 증배기 회로 - Google Patents

전압 증배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432A
KR20060065432A KR1020050036159A KR20050036159A KR20060065432A KR 20060065432 A KR20060065432 A KR 20060065432A KR 1020050036159 A KR1020050036159 A KR 1020050036159A KR 20050036159 A KR20050036159 A KR 20050036159A KR 20060065432 A KR20060065432 A KR 20060065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ode
coupling capacitor
pumping
multipli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오 추안 우
툰 젠 첸
Original Assignee
아서우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서우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서우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6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증배기 회로를 제공하며, 이 전압-증배기 회로는 전압-펌핑 블록(voltage-pumping block) 및 기능 발생기(functional generator)를 포함한다. 전압-펌핑 블록은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로 이루어져, 입력 전압을 펌핑한다. 본 발명은 다중-스테이지 전압-펌핑 블록을 형성할 수 있고, 전압-펌핑 블록은 수리하기 위해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의 대체만을 필요로 하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어, 전압-펌핑의 레벨을 쉽게 조정하여 시간 및 비용 감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전압-증배기, 전압-펌핑, 다이오드, 캐패시터

Description

전압 증배기 회로{VOLTAGE-MULTIPLIER CIRCUIT}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펌핑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증배기를 도시한 도면.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증배기의 회로도.
도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거티브 전압-증배기를 도시한 도면.
도2d는 도2c의 네거티브 전압-증배기에 따른 회로도.
도3a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증배기의 회로도.
도3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거티브 전압-증배기의 회로도.
도3c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증배기를 동시에 적용한 회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VFD에 전압-증배기를 적용한 회로도.
본 발명은 전압 증배기 회로(voltage-multiplier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전압-펌핑(voltage-pumping)의 효과를 달성하는 전압 증배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압(step-up) DC/DC 컨트롤러 IC는 다이오드, MOSFET, 인덕터, 쇼트키(Schottky) 다이오드 및 필터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포지티브(positive) 또는 네거티브(negative) 전압의 전압-펌핑을 달성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지티브 전압 증배기 회로는 트랜지스터 또는 MOSFET(10), 인덕터(11), 쇼트키 다이오드(12), 캐패시터(13), 캐패시터(14), 캐패시터(15) 및 승압 DC/DC 컨트롤러 IC(16)를 포함한다.
전압-펌핑 회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즉, 고주파 발진(high frequency oscillating)의 결과로 생기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의 에너지가 높고, 이와 반대로, EMI가 낮은 IC를 이용하면 재료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상이한 회사에 의해 제조된 펌핑-전압 IC는 서로 호환성이 없고, 제품 공급에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된 IC의 생산을 중지한 경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의 설계 및 레이아웃이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증배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압-증배기 회로는 다중-스테이지(multi-stage) 전압-펌핑 블록을 생성하는데, 이 다중-스테이지 전압-펌핑 블록은 유지보수를 위해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의 대체만이 필요하고, 인쇄회로기판의 레이아웃 또는 회로의 설계를 변경함이 없이도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용 절감 및 수리 용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압-증배기 회로를 제공하며, 이 전압-증배기 회로는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 전압-펌핑 블록, 및 다양한 기능 파형 신호(function waveform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신호 발생기 회로를 포함하고, 이들 기능 파형 신호 중에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triangular wave),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irregular wave)가 있다. 이 회로에서, 제1 다이오드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1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기능 파형 발생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한쪽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다른 전압-증배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전압-증배기 회로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 회로,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복수개 의 전압-펌핑 블록, 및 기능 신호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도3c에서와 같이, 전압-펌핑 블록 각각은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제1 다이오드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제1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기능 파형 발생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한쪽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된다.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stage)는 전압-펌핑 블록의 입력 전압의 다음 스테이지로서 역할을 한다.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의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전압-펌핑 블록의 다음 스테이지의 제1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1. 저비용, 및 기능 신호(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 발생기 회로는 트랜지스터, OP 앰프(amp), 표준 로직(standard logic) IC 또는 수정 발진기가 될 수 있다.
2. 저주파수 발진이고, 이에 따라 EMI가 낮다.
3.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가 고정되어, 전자기 간섭의 방사를 억제하는데에 용이하다.
4. 회로의 유지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제품의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5. 재료는 크게 특정적인 요건이 없이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대체가 가능하 다.
6. 단일 전원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적 발생기 및 본 발명의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회로를 이용하여 값이 비싸고 복잡한 종래의 회로를 이용함이 없이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의 그리드(grid)를 공급하기 위해 포지티브 전압을 발생시킨다.
7. 요구되는 전압에 따라,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회로의 스테이지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요구되는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너 다이오드 또는 레귤레이터(regulator) IC와 같은) 전압 안정화용 디바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증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를 참조하면, 이 포지티브 전압-증배기 회로는 전압-펌핑 블록(20)을 포함한다. 전압-펌핑 블록(20)은 제1 다이오드(22), 제2 다이오드(24), 제1 커플링 캐패시터(26)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다이오드(22)의 한쪽은 포지티브 전압 Vin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1 다이오드(22)의 다른쪽은 제1 커플링 캐패시터(26) 및 제2 다이오드(24)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커플링 캐패시터(26)의 다른쪽은 기능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다이오드(24)의 다른쪽 은 제2 커플링 캐패시터(28)의 한쪽에 연결되어 노드 N1에서 전압을 출력한다. 제2 커플링 캐패시터(28)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된다.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증배기의 회로도이다. 도2b를 참조하면, 이 포지티브 전압-증배기 회로는 기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발생기 회로(30)를 포함하며, 이 기능 신호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가 될 수 있다. 노드 N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압 Vo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Vo = Vipeak + Vin
도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거티브 전압-증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c를 도2a와 비교해 보면, 이 실시예에서는, 다이오드가 반대로 연결되고, 포지티브 전압 대신에 네거티브 전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네거티브 전압-증배기 회로가 완성된다.
도2d는 도2c의 네거티브 전압-증배기 회로로부터 변형된 네거티브 전압-증배기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회로는 노드 N2에서 전압값 -Vo = Vipeak + (|-V-|)을 출력한다. 입력 전압이 V-인 경우, 다이오드의 한쪽은 네거티브 전압을 수신하거나 접지에 연결된다.
도3a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증배기의 회로도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이 전압-증배기 회로는 입력 전압 V+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회로(33),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모든 제1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34), 제2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과 같은 복수개의 전압-펌핑 블록, 출력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노드 N5, 및 기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신호 발생기(35)를 포함한다. 전압-펌핑 블록들 각각은 제1 다이오드(22), 제2 다이오드(24), 제1 커플링 캐패시터(26)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28)를 포함한다. 제1 다이오드(22)의 한쪽은 입력 전압 V+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1 다이오드(22)의 다른쪽은 제1 커플링 캐패시터(26) 및 제2 다이오드(24)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커플링 캐패시터(26)의 다른쪽은 기능 신호 발생기로부터 기능 신호를 수신한다. 제2 다이오드(24)의 다른쪽은 제2 커플링 캐패시터(28)의 한쪽에 연결되어 전압을 출력하고, 제2 커플링 캐패시터(28)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 각각은 전압-펌핑 블록의 입력 전압의 다음 스테이지로서 역할을 한다.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의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전압-펌핑 블록의 다음 스테이지의 제1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1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기능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한쪽에 연결되어 전압을 출력하고,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된다.
도3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거티브 전압-증배기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는 네거티브 전압을 펌핑하기 위해 3개의 네거티브 전압-펌핑 블 록을 제공하고, 전압값 -Vo = 3×Vipeak + (|V-|)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3개의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 또는 3개의 네거티브 전압-펌핑 블록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과 네거티브 전압-펌핑 블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부하 전압에 따라 전압-펌핑 블록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3c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증배기를 동시에 적용한 회로도이다. 도3c는 본 발명이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의 전압-펌핑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전압-증배기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회로(41),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네거티브 전압-펌핑 블록, 포지티브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노드 N8, 네거티브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노드 N10, 및 기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발생기(49)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전압-펌핑 블록들 각각은 제1 다이오드(51), 제2 다이오드(52), 제1 커플링 캐패시터(53)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54)를 포함한다. 제1 다이오드(51)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1 다이오드(51)의 다른쪽은 제1 커플링 캐패시터(53) 및 제2 다이오드(52)의 한쪽에 연결된다. 제1 커플링 캐패시터(53)의 다른쪽은 기능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다이오드(52)의 다른쪽은 제2 커플링 캐패시터(54)의 한쪽에 연결되어 전압을 출력하고, 반면에, 제2 커플링 캐패시터(54)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된다. 이 회로에서,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는 전압-펌핑 블록의 입력 전압의 다음 스테이지로서 이용되고,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의 제2 다이오드(52)의 다른쪽은 전압-펌핑 블록의 다음 스테이지의 제1 다이오드(55)의 한쪽에 연결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VFD에 전압-증배기를 적용한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VFD에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이 적용되어, 이 용이한 전압-증배기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고비용의 IC를 이용함이 없이도 입력 전압을 요구되는 전압 레벨로 펌핑하는 것이 용이하다. 단지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를 포함한 회로를 이용하여, 포지티브의 고전압을 발생시켜서 고비용의 종래의 회로를 이용하는 대신에 VFD의 그리드를 공급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안된 회로를 위한 재료는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유지보수되며, 대체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너 다이오드 또는 레귤레이터 IC와 같은) 전압 안정화용 디바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기로부터의 기능 신호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가 될 수 있고, 출력 전압은 VFD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및 첨부된 청구항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비용의 IC를 이용함이 없이도 입력 전압을 요구되는 전압 레벨로 펌핑하는 것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를 위해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의 대체만이 필요하며, 인쇄회로기판의 레이아웃 또는 회로의 설계를 변경함이 없이도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Claims (12)

  1.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를 갖는 전압-펌핑 블록; 및
    기능 신호(functional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발생기 회로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다이오드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상기 기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한쪽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되는
    전압-증배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인
    전압-증배기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신호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인
    전압-증배기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은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로 출력되는
    전압-증배기 회로.
  5.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테이지의 전압-펌핑 블록; 및
    기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발생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압-펌핑 블록 각각은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상기 기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한쪽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는 전압-펌핑 블록의 입력 전압의 다음 스테이지로서 역할을 하고, 상기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의 상기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전압-펌핑 블록의 다음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되는
    전압-증배기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인
    전압-증배기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신호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인
    전압-증배기 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은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전압-증배기 회로.
  9.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포지티브 전압-펌핑 블록;
    다른 전압을 펌핑하기 위한 복수개의 네거티브 전압-펌핑 블록; 및
    기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 발생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전압-펌핑 블록 각각은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제2 커플링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한쪽은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제1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상기 기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한쪽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의 다른쪽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는 전압-펌핑 블록의 입력 전압의 다음 스테이지로서 이용되고, 상기 전압-펌핑 블록의 이전 스테이지의 상기 제2 다이오드의 다른쪽은 상기 전압-펌핑 블록의 다음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다이오드의 한쪽에 연결되는
    전압-증배기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인
    전압-증배기 회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신호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형파, 펄스파 또는 불규칙파인
    전압-증배기 회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은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전압-증배기 회로.
KR1020050036159A 2004-12-10 2005-04-29 전압 증배기 회로 KR20060065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3138377A TW200620795A (en) 2004-12-10 2004-12-10 Voltage-doubling circuit
TW093138377 2004-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32A true KR20060065432A (ko) 2006-06-14

Family

ID=3469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159A KR20060065432A (ko) 2004-12-10 2005-04-29 전압 증배기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25552A1 (ko)
JP (1) JP2006174687A (ko)
KR (1) KR20060065432A (ko)
DE (1) DE102005022358A1 (ko)
FR (1) FR2879370A1 (ko)
GB (1) GB2421124A (ko)
NL (1) NL1028963C2 (ko)
TW (1) TW2006207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59B1 (ko) * 2007-04-27 2009-05-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하 펌프 방식의 전력 변환 인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3548A1 (en) * 2008-07-18 2010-01-21 Analog Devices, Inc. Power efficient charge pump with controlled peak currents
TWI401872B (zh) 2010-06-09 2013-07-11 Ili Technology Corp 不使用穩壓電容的倍壓電路
CN102291115B (zh) * 2011-05-31 2014-10-08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倍压电路、继电器驱动电路及智能控制器
KR101998078B1 (ko) * 2012-12-10 2019-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지 펌프 및 그 구동 방법, 파워 관리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3280967B (zh) * 2013-05-29 2016-11-16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一种电荷泵及其使其负输出电压跟随正输出电压的方法
TWI573381B (zh) * 2015-09-03 2017-03-01 財團法人國家實驗研究院 應用於無線功率傳輸系統之主僕式倍壓全波整流電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1627A (en) * 1971-07-26 1974-06-28 S Milovancevic D c voltage multipliers and polarity converters
JPS62131758A (ja) * 1985-11-30 1987-06-15 Fuji Heavy Ind Ltd 簡易型dc/dcコンバ−タ
US4807104A (en) * 1988-04-15 1989-02-21 Motorola, Inc. Voltage multiplying and inverting charge pump
US5036229A (en) * 1989-07-18 1991-07-30 Gazelle Microcircuits, Inc. Low ripple bias voltage generator
US5001399A (en) * 1990-02-16 1991-03-19 Best Power Technology, Inc. Power supply for vacuum fluorescent displays
US5907484A (en) * 1996-04-25 1999-05-25 Programmable Microelectronics Corp. Charge pump
DE69627142T2 (de) * 1996-08-02 2003-10-16 St Microelectronics Srl Bidirektionale Ladungspumpe
AU5165798A (en) * 1996-11-05 1998-05-29 Aplus Flash Technology, Inc. Positive/negative high voltage charge pump system
DE69619534T2 (de) * 1996-11-14 2002-10-31 St Microelectronics Srl BICMOS negative Leistungsladungspumpe
US5841703A (en) * 1996-12-31 1998-11-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VT drop in the output diode of charge pumps
JP3560438B2 (ja) * 1997-03-14 2004-09-02 富士通株式会社 昇圧回路及び降圧回路
JPH114575A (ja) * 1997-06-11 1999-01-06 Nec Corp 昇圧回路
US6359809B1 (en) * 1997-12-10 2002-03-19 Intel Corporation Oscillator for simultaneously generating multiple clock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JP2000188374A (ja) * 1998-12-22 2000-07-04 Pioneer Electronic Corp 昇圧電源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IT1320718B1 (it) * 2000-10-20 2003-12-10 St Microelectronics Srl Generatore di alta tensione di tipo capacitivo.
JP2002208290A (ja) * 2001-01-09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揮発性メモリの動作方法
JP2003033007A (ja) * 2001-07-09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59B1 (ko) * 2007-04-27 2009-05-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하 펌프 방식의 전력 변환 인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28963A1 (nl) 2006-06-13
GB2421124A (en) 2006-06-14
JP2006174687A (ja) 2006-06-29
GB0509295D0 (en) 2005-06-15
FR2879370A1 (fr) 2006-06-16
DE102005022358A1 (de) 2006-06-29
TW200620795A (en) 2006-06-16
NL1028963C2 (nl) 2009-05-20
US20060125552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5432A (ko) 전압 증배기 회로
CN104756391B (zh) 自激振荡谐振电力转换器
CN101500360B (zh) 直流电源装置、led驱动用电源装置及电源控制用半导体集成电路
JP2707465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00253648A (ja) Dc−dcコンバータ回路
CN102610195A (zh) 多信道pwm信号产生设备和方法及包括其的led系统
KR20060126951A (ko) 전력 컨버터
US9543899B2 (en) Class D power driver peripheral
JP5834596B2 (ja) 高電圧インバータ装置
TWI740203B (zh) 閘極驅動電路、具有該閘極驅動電路之電荷泵及晶片
US10362645B1 (en) Negative charge pump doubling output voltage range for step-up LED driver
US6707261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EP1276352A3 (en) EL driving circui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16264A1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voltage converting circuit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377631A (zh) 液晶显示装置
US6798676B2 (en) Inverter for changing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EP2434644B1 (en) High voltage floating gate driver topology for very high switching frequencies
WO2018047448A1 (ja) 信号生成回路
US20030193302A1 (en) Lighting system
US20100289470A1 (en) Power Supplying Method for LCD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US9882509B2 (en)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ing circuit for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KR100796650B1 (ko) 진공 형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회로
JP2002354822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4111588B2 (ja) El駆動装置及びel駆動方法
Bussink Characterization of a Gallium Nitride Half-Bridge module for use in a Multi-Freqeuncy Multilevel Modular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