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445A -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445A
KR20060064445A KR1020050020026A KR20050020026A KR20060064445A KR 20060064445 A KR20060064445 A KR 20060064445A KR 1020050020026 A KR1020050020026 A KR 1020050020026A KR 20050020026 A KR20050020026 A KR 20050020026A KR 20060064445 A KR20060064445 A KR 20060064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ne
luminance distribution
luminance
disp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809B1 (ko
Inventor
도시히로 하마무라
도시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화상에 있어서의 선상의 각 위치에 대한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 내에 선(수평선H, 수직선V)을 설정하고, 그 화상에서의 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표시하는 휘도분포 표시 수단을 가진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Camera and display method of luminance distribu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줌 렌즈 2....아이리스(조리개)
3...포커스 렌즈 4....촬상소자
5....줌 모터 6....아이리스 모터,
7....포커스 모터 8....타이밍 발생기
9....CDS 및 AGC회로 10....A/D컨버터
11....화상입력 콘트롤러 12....화상신호 처리회로
13....화상압축/신장회로 14....표시 드라이버
15....표시 수단 15a....화상 표시영역
15b....수평 휘도분포 표시영역
15bx....X축 15by....Y축
15c....수직 휘도분포 표시영역 15cx....X축
15cy....Y축 15d....전체휘도 표시영역
16, 17, 18....모터 드라이버 19....CPU
19a....표시화상작성 합성수단
19b....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데이터열 추출수단
19c....수평선 위치·수직선 위치 연산수단
21....조작 부재 21A....십자키
22....메모리 23....VRAM
24....미디어 콘트롤러 25....기록 미디어
H....수평선 HK....꺾임선
PK....교차점 V....수직선
VK....꺾임선
본 발명은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의 휘도분포를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은 액정(LCD: Liquid Crystal Display)등의 표시 수단으로 재현된다. 촬영자는 그 표시 화상을 봄으로써 화상의 휘도분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야외의 강한 태양광 아래에서 촬영하는 경우에는 강한 태양광이 표시 수단인 화면에 조사되어 그 반사광에 의해 피사체의 휘도 상태를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문제점에 대해서는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 전체 등 화면 전체의 휘도분포를 히스토그램(histogram)으로 화상과 함께 표시하게 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고려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4-2080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면 전체의 휘도분포 뿐만 아니라, 화면의 일부 영역을 지정하여 그 일부 영역의 휘도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디지털 카메라도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 2004-208028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 상기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휘도분포 정보가 화면 전체에 대한 휘도를 도수(度數) 표시하거나, 화면 전체에서 한 개의 일부 영역의 휘도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화면 전체에서의 복수 위치의 휘도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없 고, 화면의 복수 위치의 휘도를 각각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화상에서의 복수 위치에 대한 휘도분포를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에서의 선상의 각 위치에 대한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는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화상을 이루는 영역 내에 선을 설정하고, 해당 화상에서의 해당 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적어도 표시하는 휘도분포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영역에 설정된 선상의 복수 위치 각각에 대해 휘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의 단면에 따른 휘도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회 등 표시 수단인 표시 화면을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휘도에 대해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화상을 이루는 영역에서의 상기 선의 위치 또는 방향을 변경하는 선위치 변경 수단을 가진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화상의 밝은 부분을 가로지르듯이 선을 설정함으로써 그 밝은 부분이 포화(saturation)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어두운 부분을 가로지르듯이 선을 설정함으로써 그 어두운 부분이 거무스름해져 있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선의 설정은 예를 들어, 1개의 선만이라도 되고, 복수개의 선을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선위치 변경 수단은 선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선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선을 화상에 겹쳐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하는 선표시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모니터 화면)에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그 화상에 겹쳐서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 화상의 휘도 분포를 보고 싶은 위치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선위치 변경 수단으로 선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상기 화상과 함께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과 그 화상의 선상의 휘도분포(단면에 따른 휘도분포)를 동시에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휘도에 대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은 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수단이 상기 화상의 수평 방향 의 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과 상기 화상의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에 의해 화상에 있어서의 어떤 수평선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고,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에 의해 화상에 있어서의 어떤 수직선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화상에서의 다수의 개소 각각의 휘도에 대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은 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선위치 변경 수단이 수평선의 위치(XY평면에서의 Y축과의 교차점의 값)와 수직선의 위치(XY평면에서의 X축과의 교차점의 값)를 각각 변경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화상의 임의의 위치에 수평선 및 수직선을 설정할 수 있고, 그 수평선상 및 수직선상의 휘도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꺾임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농담 표시, 문자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에 대해 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 등 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이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표시 수단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상 등의 휘도에 대해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 분포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상기 꺾임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농담 표시 등의 표시 상태를 근거로 하여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판단하는 콘트라스트 판단 수단을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꺾임선 그래프로 선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경우, 그 그래프의 꺾임선의 급준도(急峻度) 또는 형상 패턴 등을 근거로 콘트라스트를 판단한다. 즉, 꺾임선의 급준도가 클 경우(톱니처럼 깔쭉거림이 심한 형상 패턴)는 콘트라스트가 높다고 판단한다. 한편, 꺾임선의 급준도가 작은 경우(매끄러운 곡선과 같은 형상 패턴)는 콘트라스트가 낮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결과를 콘트라스트 판단 수단이 표시 수단의 화면 등에 표시한다. 또한 촬영자가 휘도분포 표시 수단의 꺾임선 그래프의 급준도 또는 형상 패턴 등으로 보아 콘트라스트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상기 꺾임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농담 표시 등의 표시 상태를 근거로 화상의 초점(Focus)을 판단하는 초점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꺾임선 그래프로 선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경우, 그 그래프의 꺾임선의 급준도 또는 형상 패턴 등을 근거로 초점을 판단한다. 즉, 꺾임선의 급준도가 큰 부분은 초점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꺾임선의 급준도가 작은 부분은 핀트가 맞지 않는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이런 판단 결과를 초점판단 수단이 표시 수단의 화면 등에 표시한다. 또한 촬영자가 휘도분포 표시 수단의 꺾임선 그래프의 급준도 또는 형상 패턴 등으로 보아 초점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화상을 이루는 것으로 행렬모양으로 배치된 복수 화소의 상기 선 근처의 화소에 대해 소정 단위마다 휘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평균값을 근거로 상기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평균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복수열의 화소의 휘도분포에 대해 평균값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육안이 느끼는 휘도 분포에 가까운 휘도 분포를 표시 수단 등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화상의 상기 선상의 색분포 상태를 표시하는 색분포 표시 수단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색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선상의 제1 원색(R)의 강도 분포와, 상기 선상의 제2 원색(G)의 강도 분포와, 상기 선상의 제3 원색(B)의 강도 분포로 상기 색분포 상태를 표시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선위치 변환 수단으로 설정된 제1 선과 제2 선의 교차점에 대한 휘도를 상기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포인트 휘도 표시 수단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선(예를 들어, 수평선)과 제2 선(예를 들어, 수직선)의 교차점에 대한 휘도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위치 변경 수단에 의해 화상에서의 임의의 위치의 휘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화상 전체의 휘도 분포(도수 분포)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교차점에 대한 휘도를 상기 화상 전체의 휘도분포에 겹쳐서 표시하는 전체 휘도 표시 수단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화상에서의 각 위치의 휘도를 도수 표시한 히스토그램 등에 의해 그 화상 전체에 대한 휘도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전체의 휘도 분포에 겹쳐서 어느 포인트의 휘도를 표시할 수 있고, 나아가 선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 전체의 휘도 및 화상의 각 부분의 휘도에 대해 간단하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수평 휘도분포 표시수단이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수평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 그래프로서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그래프의 X축이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그래프의 Y축이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한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수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2 그래프로서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그래프의 X축이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그래프의 Y축이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한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그래프에 의해 수평선상의 휘도분포를 제2 그래프에 의해 수직선상의 휘도분포를 각각 간단하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이 상기 제1 그래프를 상기 화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표시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 의 일단이 상기 제1 그래프 안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며, 상기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제2 그래프를 상기 화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표시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의 일단이 상기 제2 그래프 안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표시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화상(화상 영역)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제1 그래프에 의해 수평 방향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화상(화상 영역)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제2 그래프에 의해 수직 방향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선의 일단이 제1 그래프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그 일단에 의해 수평선과 수직선의 교차점의 휘도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수평선의 일단이 제2 그래프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그 일단에 의해 수평선과 수직선의 교차점의 휘도를 지시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은 화상에 대한 수평선상 및 수직선상의 휘도 분포를 그 화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고, 임의의 포인트에 대한 휘도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분포 표시 방법은 상기 화상을 이루는 영역 내에 선을 설정하고, 상기 화상에서의 상기 선상의 복수의 점에 대한 휘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선상의 복수 점 각각의 위치와 해당 위치의 휘도 정보를 관련지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에 대한 선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 등 표시수단의 표시화면이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휘도에 대해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a), 도 2(a) 및 도 3(a)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표시 수단(15)의 표시화면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 도 2(b) 및 도 3(b)는 본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십자 키(21A)와 그 조작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수단(15)은 소위 모니터로서, 본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으로 표시 수단(15)을 구성한다.
표시 수단(15)은 화상 표시 영역(15a)과,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과, 수직 휘도분포 표시영역(15c)을 갖고 있다. 화상 표시 영역(15a)은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 등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또한 화상 표시 영역(15a)에는 화상에 겹쳐서 수평선(H)과 수직선(V)이 표시된다.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는 각각 십자 키(21A)가 조작됨으로써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십자 키(21A)에서의 상측 키(21a)가 눌리면, 수평선(H)이 위쪽으로 평행 이동한다. 십자 키(21A)에서의 하측 키(21b)가 눌리면, 수평선(H)이 아래쪽으로 평행 이동한다. 십자 키(21A)에서의 좌측 키(21c)가 눌리면, 수직선(V)이 왼쪽으로 평행 이동한다. 십자 키(21A)에서의 우측 키(21d)가 눌리면, 수직선(V)이 오 른쪽으로 평행 이동한다.
도 1(a)에서는, 본 디지털 카메라 기동(起動)시의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 즉, 디폴트(default) 위치가 되어 있다. 이 디폴트 위치에서는 수평선(H) 및 수직선(V)이 각각 화상 표시 영역(15a)의 중심을 가로지르듯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디폴트 위치는 도 1(a)에 나타내는 위치 이외일 수도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키(21b)가 눌리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H)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키(21d)가 눌리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선(V)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수평선(H) 및 수직선(V)은 십자 키(21A)의 조작에 의해 각각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키(21a)와 하측 키(21d)가 동시에 눌리면, 수평선(H)의 기울기가 변화(회전)하고, 하측 키(221b)와 좌측 키(21c)가 동시에 눌리면, 수직선(V)의 기울기가 변화(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를 변경하는 십자 키(21A)는 본 발명에 관한 선위치 변경 수단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화상 표시 영역(15a)에서 화상에 겹쳐서 수평선(H) 및 수직선(V)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15a)은 본 발명에 관한 선 표시 수단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은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의 수평선(H)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즉,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은 본 발명에 관한 휘도??포 표시 수단의 일부를 이룬다. 그리고,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 (15b)의 휘도분포 표시는 화상 표시 영역(15a)에서의 화상 표시와 함께 수행된다.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은 꺾임선 그래프로서 수평선(H) 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하고 있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X축(15bx)은 수평선(H) 상의 각 위치에 대응하고 있고, Y축(15by)은 수평선(H) 상의 각 위치에서의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꺾임선(HK)에서의 높은 부위는 휘도가 높고,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는 흰 부분으로 되어 있다. 반대로, 꺾임선(HK)에서의 낮은 부위는 휘도가 낮고,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는 검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평선(H) 상의 휘도분포에 대해 표시하는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은 본 발명에 관한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을 이루고 있다.
또한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은 화상 표시 영역(15a)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선(V)의 하단 근처가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 안까지 연장되어 있듯이,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다. 이 수직선(V)과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 안의 꺾임선(HK)과의 교차점(PK)은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의 수평선(H)과 수직선(V)의 교차점의 휘도를 핀 포인트(pin point)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은 본 발명에서의 포인트 휘도 표시 수단을 이루고 있다.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은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의 수직선(V)상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즉,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은 본 발명의 휘도 분포 표시 수단을 이룬다. 그리고,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휘도분포 표시는 화상 표시 영역(15a)에서의 화상 표시와 함께 수행된다.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은 꺾임선 그래프로서 수직선(V) 상의 휘도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그래프에서 X축(15cx)은 수직선(V)상의 각 위치에 대응하고 있고, Y축(15cy)은 수직선(V) 상의 각 위치에서의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X축(15cx) 및 Y축(15cy)은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X축(15bx) 및 Y축(15by)에 대해 각각 90ㅀ 회전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꺾임선(VK)에서의 높은 부위는 휘도가 높고,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는 흰 부분으로 되어 있다. 반대로 꺾임선(VK)에서의 낮은 부위는 휘도가 낮고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는 검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선(V) 상의 휘도분포에 대해 표시하는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은 본 발명의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을 이루고 있다.
또한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은 화상 표시 영역(15a)의 왼쪽에 배치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선(H)의 좌단 근처가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 안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으로 표시된다. 이 수평선(H)과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 안의 꺾임선(VK)의 교차점(PK)은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상에서의 수평선(H)과 수직선(V)의 교차점의 휘도를 핀 포인트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은 본 발명의 포인트 휘도 표시 수단을 이루고 있다. 또한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 안의 교차점(PK)과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 안의 교차점(PK)은 동일한 포인트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동일한 값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화상 표시 영역(15a)에 설정된 수평선(H) 상의 휘도분포를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꺾임선(HK)으로 표시할 수 있고, 수직선(V) 상의 휘도분포를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꺾임선(VK)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영역(15a)에 표시된 화상의 단면에 따른 휘도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디지털 카메라는 야외에서의 촬영시 등 화상 표시 영역(15a)의 화면이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휘도에 대해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꺾임선(HK), 또는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꺾임선(VK)을 관찰함으로써 화상에서의 가장 밝은 또는 어두운 부분이 포화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의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꺾임선(HK)에서는 오른쪽에 포화되어 있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부분이 흰색으로 포화되어 있다. 또한 도 3(a)의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꺾임선(VK)에서는 아래쪽에 포화되어 있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부분이 검게 포화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즉, 도 4에서의 표시 수단(15)이 도 1 내지 도 3의 표시 수단(15)에 해당한다.
본 디지털 카메라는 줌 렌즈(1), 아이리스(조리개)(2), 포커스 렌즈(3), 촬상 소자(CCD)(4), 줌 모터(5), 아이리스 모터(6), 포커스 모터(7), 타이밍 발생기 (8), 및 CDS 및 AGC 회로(9)를 갖고 있다. 여기서, 줌 렌즈(1), 아이리스(2), 포커스 렌즈(3) 및 촬상 소자(4)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이루고 있다.
아이리스 모터(6)는 아이리스(2)의 개도(開度)를 변경하는 조리개 가변부를 이루고 있다. 타이밍 발생기(8)는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를 변경하는 셔터 스피드 가변부를 이루고 있다. CDS(Corelated Double Sampling) 및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9)는 촬상 수단의 출력을 이루는 촬상 소자(4)의 출력에 대해 증폭도를 가변하는 게인 가변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아이리스 모터(6)와 타이밍 발생기(8)와, CDS 및 AGC회로(9)는 촬상 수단에서의 노출 상태를 변경하는 노출 변경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노출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본 촬상 수단으로 촬상되는 화상의 전체적인 휘도 및 휘도 분포의 상태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수단(15)으로 표시되는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꺾임선(HK) 또는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꺾임선(VK)가 나타내는 휘도 분포를 근거로 촬영자가 조리개, 셔터 스피드 또는 게인(gain)을 조정함으로써 촬상 화면의 휘도 조정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 셔터 스피드 또는 게인의 조정은 꺾임선(HK) 및 꺾임선(VK)의 형상을 기초로 CPU(19)가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줌 렌즈(1)의 위치는 줌 모터(5)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이리스(2)의 개도는 아이리스 모터(6)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커스 렌즈(3)의 위치는 포커스 모터(7)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줌 렌즈(1), 아이리스(2) 및 포커스 렌즈(3)를 사이에 둔 피사체 상광은 촬상 소자(4)의 수광면에 결상 된다.
촬상 소자(4)는 그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광을 광전변환한다. 촬상 소자(4)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 CMOS(Complementary MOS) 촬상 소자 등이 이용된다. 촬상 소자(4)의 전면에는 색필터가 베이어 배열되어 있다. 색 필터의 배열의 구성으로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원색계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Cy(시안), Mg(마젠타), Ye(노랑색) 의 보색계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촬상 소자(4)는 타이밍 발생기(8)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는 A/D 컨버터(10), 화상 입력 콘트롤러(11), 화상신호 처리 회로(12), 화상 압축/신장 회로(13), 표시 드라이버(14), 표시 수단(15), 모터 드라이버(16, 17, 18), CPU(19), 조작 부재(21), 메모리(22), VRAM(23), 미디어 콘트롤러(24) 및 기록 미디어(25)를 갖고 있다.
CPU(19)는 본 디지털 카메라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촬상 소자(4)의 출력신호는 CDS 및 AGC 회로(9)를 사이에 두고, A/D 컨버터(10)에 공급된다. A/D 컨버터(10)에서는 화상 신호가 디지털화된다. A/D 컨버터(10)의 출력 신호는 화상 입력 콘트롤러(11)를 사이에 두고 CPU(19)로 공급된다.
CPU(19)는 공급된 촬상 소자(4)의 출력 신호에 대해 표시 수단(15)의 화상 표시 영역(15a)에 표시하게 한다. 이것은 CPU(19)의 표시화상 작성 합성수단(19a)이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 화상 압축/신장 회로(13) 및 표시 드라이버(14)를 제어함으로써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신호 처리회로(12)에서 감마 보정, 가장자리(edge) 강조, 화이트 밸런스 등의 화상 처리가 수행된다. 이 화상 신호는 표시 드라이버(14)에 공급된다. 표시 드라이버(14)로 콤포넌트칼라 비디오신호가 형성되고, 이 칼라 비디오신호가 VRAM(Video RAM)(23)에 전개된다. 이 칼라 비디오신호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수단(15)에 공급되며, 표시 수단(15)의 화상 표시 영역(15a)에 촬상 중인 모니터 화상 등이 표출된다.
또한 CPU(19)의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 수단(19b)은 촬상 소자(4)의 출력 신호에서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의 꺾임선(HK), 및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의 꺾임선(VK)를 표시하게 하기 위한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 수단(19b)은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 및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과 함께 본 발명의 휘도분포 표시 수단을 이룬다.
또한 CPU(19)의 수평선 위치·수직선 위치 연산 수단(19c)은, 십자 키(21A)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근거로 표시 수단(15) 위에 표시하는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선 위치·수직선 위치 연산 수단(19c)은 십자 키(21A)와 함께 본 발명의 선위치 변경 수단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수평선 위치·수직선 위치 연산 수단(19c)은 화상 표시 영역(15c)과 함께 본 발명의 선표시 수단을 이루고 있다.
CPU(19)의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 수단(19b) 및 수평선 위치·수직선 위치 연산 수단(19c)에 의해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에서 꺾임선(HK)의 표시가 제어되고,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에서 꺾임선(VK)의 표시가 제어된다.
조작 부재(21)는 십자 키(21A), 셔터 스위치, 기록/재생 스위치, 줌 스위치, 스트로보 스위치,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CPU(19)에는 조작 부재(21)로부터 입력 신호가 주어진다. 또한 CPU(19)로부터는 줌 렌즈(1)를 이동시키기 위한 줌 구동신호, 포커스 렌즈(3)를 이동시키기 위한 포커스 구동신호, 아이리스(2)를 개폐시키기 위한 아이리스 구동신호, CDS 및 AGC 회로(9)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게인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메모리(22)는 촬상 소자(4)를 통하여 유입된 화상 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예를 들어, 셔터 스위치가 눌려지면, 타이밍 발생기(8)에 셔터 신호가 보내지고, 그 때의 화상이 촬상 소자(4)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때의 1화면치의 화상 신호가 메모리(22)에 축적된다.
메모리(22)에 유입된 1화면 분의 화상신호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에서 화상 처리가 시행된 후에 화상 압축/신장 회로(13)에 공급된다. 화상 압축/신장 회로(13)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한다.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가 이용된다. JPEG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화상 압축하기 위한 규격이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은 JPEG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압축 부호화된 화상 신호는 미디어 콘트롤러(24)를 통하여 기록 미디어(25)에 유입되고, 기록 미디어(25)에 기록된다. 기록 미디어(25)는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한 카드형으로서 탈착이 자유로운 메모리가 이용된다. 또한 기록 미디어(25)로는 디지털 카메라 내장의 불휘발성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디지털 카메라는 정지화상 기록 모드에서, 1/30초 간격으로 촬상 소자(4)로부터 피사체 화상을 실시간으로 담는다. 그리고, 그 담긴 화상과 촬상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 수단(15)으로 표시한다. 이런 화상을 담는 일과 표시를 반복한다. 여기서, 촬상 상태 등에 관한 정보란 화소수, 화질모드, 조림값, ISO 감도, 셔터 스피드 등을 포함하는 것과 함께,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수평선(H), 수직선(V) 및 휘도분포 정보(꺾임선(HK, VK)) 등도 포함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CPU(19)는 촬상 소자(CD)(4)에 노광한다(S1 단계).
촬상 소자(4)가 담은 화상 데이터는 CDS 및 AGC 회로(9)를 사이에 두고 A/D 컨버터(10)에 공급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S2 단계).
이어서, CPU(19)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RGB 보간 계산을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에 수행하게 한다(S3 단계).
RGB 보간 계산은 촬상 소자(4)의 RGB 화소가 베이어 배열되어 있으므로, 각 화소에 대해 RGB 데이터를 부여하기 위한 계산이다.
이어서, RGB 보간된 RGB 데이터에 대해 표시 장치(15)에서의 표시에 적절한 사이즈로 리사이즈하여 표시용 데이터로 변환한다(S4 단계).
이것은 예를 들어, CPU(19)가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 및 화상 압축/신장 회로(13) 등에 수행하게 한다.
이어서, RGB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한다(S5 단계).
이것은 예를 들어, CPU(19)가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를 제어하여 RGB 데이터를 YCbCr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YCbCr 데이터에서의 'Y'데이터가 휘도 데이터이다.
이어서, CPU(19)는 십자 키(21A)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담는다(S6 단계).
그리고 CPU(19)의 수평선 위치·수직선 위치 연산 수단(19c)은 십자 키(21A)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근거로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를 산출하고,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 데이터를 갱신한다(S7 단계).
이어서, CPU(19)는 YCbCr 데이터로부터 수평선(H) 상의 각 화소의 'Y' 데이터(휘도 데이터)를 추출한다(S8 단계).
이 휘도 데이터의 추출은 CPU(19)의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 수단(19b)이 수행한다.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 수단(19b)은 예를 들어,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서의 수평선(H)의 위치에 대응하는 1행의 화소 각각의 휘도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휘도 데이터가 수평선(H)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또한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서의 수평선(H)의 위치에 인접한 복수행의 화소에 대해 소정 단위마다 휘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것을 수평선(H)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로 해도 된다. 이런 경우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수단(19b)은 본 발명의 평균화 수단을 이룬다.
또한 CPU(19)는 YCbCr 데이터로부터 수직선(V) 상의 각 화소의 'Y' 데이터(휘도 데이터)를 추출한다(S9 단계).
이 휘도 데이터의 추출은 CPU(19)의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수단(19b)이 수행한다.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 수단(19b)은 예를 들어,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서의 수직선(V)의 위치에 대응하는 1열의 화소 각각의 휘도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휘도 데이터가 수직선(V)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또한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서의 수직선(V)의 위치에 인접한 복수열의 화소에 대해 소정 단위마다 휘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것을 수직선(V)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로 해도 된다. 이런 경우, 수평선상·수직선상 휘도 데이터열 추출수단(19b)은 본 발명의 평균화 수단을 이룬다.
이어서, CPU(19)는 S4 단계의 표시용 데이터에 의해 화상을 화상 표시 영역(15a)에 표시하게 하고, 동시에 S7 단계의 산출값에 의해 수평선(H) 및 수직선(V)을 화상 표시 영역(15a)에 표시하게 하고, 동시에, S8, S9 단계의 휘도 데이터에 의해 수평 휘도분포 표시 영역(15b)에 꺾임선(HK)을 표시하게 하는 것과 더불어, 수직 휘도분포 표시 영역(15c)에 꺾임선(VK)을 표시하게 한다(S10 단계).
이것은 CPU(19)의 표시화상작성 합성수단(19a)이 수행한다. 이들에 의해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내는 표시가 표시 수단(15)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표시 수단(15)은 촬상한 화상과 함께 그 화상의 단면에 따른 휘도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CPU(19)는 조작 부재(21)에서의 조작 상태를 담고, 그 조작 상태로부터 표시 수단(15)에서의 표시를 종료할지 판단한다(S11 단계).
S11 단계에서 'Yes'라고 판단했을 때는 표시 수단(15)에서의 표시를 종료한다. S11 단계에서 'NO'라고 판단했을 때는 상기 S1 단계 내지 S11 단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본 디지털 카메라는 수평선(H) 및 수직선(V)(선)에 대응하는 위치의 RGB 신호를 추출하고, 그 선상의 R(제1 원색) 신호, G(제2 원색) 신호 및 B(제3 원색) 신호의 강도 분포를 수평 휘도분포 표시영역(15b) 및 수직 휘도분포 표시영역(15c)에 꺾임선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는 색분포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색분포 표시 수단은 CPU(19) 및 표시 수단(15)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선(수평선(H) 및 수직선(V))상에서의 R(적색)신호의 강도 분포, 선상에서의 G(녹색)신호의 강도 분포, 선상에서의 B(청색)신호의 강도 분포를 각각 그래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에서의 각 색의 분포 상황뿐만 아니라, 화상에서 특정한 색이 포화되어 있는지 등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변형예)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6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 수단(15)의 표시 화면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 수단(15)은 화상 표시 영역(15a)에 있어서 전체 휘도 표시 영역(15d)을 가진 점이 도 1 등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 요소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체 휘도 표시 영역(15d)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15a)에 표시되는 화상 전체의 휘도 분포(도수 분포)를 히스토그램의 꺾임선(K)으로 표시한다. 또한 전체 휘도 표시 영역(15d)에서는 수평선(H)과 수직선(V)의 교차점에 대한 휘도를 화상 전체의 휘도 분포에 겹쳐서 표시한다. 이들 표시는 본 발명의 전체 휘도 표시 수단이 이루는 것이다. 즉, CPU(19) 및 표시 수단(15) 등이 전체 휘도 표시 수단을 이룬다.
전체 휘도 표시 영역(15d)에 표시된 히스토그램에 있어서, X축(15dx)은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X축(15dx)에 있어서, 왼쪽단은 휘도가 0(검은색)을 나타내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휘도가 서서히 커지며, 오른쪽단은 휘도가 최대(흰색)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히스토그램에 있어서, Y축(15dy)은 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화상 전체를 이루는 화소에 있어서의 소정의 휘도(X축(15dx)의 휘도)에 해당하는 화소의 수(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너무 밝은 화상의 경우는 꺾임선(k)의 산(山)이 히스토그램의 오른쪽으로부터 표시된다. 반대로, 너무 어두운 화상의 경우는 꺾임선(K)의 산이 히스토그램의 왼쪽으로부터 표시된다. 적절한 휘도의 화상의 경우는, 꺾임선(k)의 산이 히스토그램의 거의 중앙에 표시된다. 그리고, 전체 휘도 표시 영역(15d)에 있어서의 화살표(15dp)가 수평선(H)과 수직선(V)의 교차점에 대한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화상 전체의 휘도 및 화상의 각 부분의 휘도에 대해 간단하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꺾임선 그래프로 표시했지 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막대 그래프, 농담 표시, 색표시, 문자 등을 이용하여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선(H) 및 수직선(V)의 위치를 변경하는 선위치 변경 수단으로서 십자 키(21A)를 이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키(예를 들어, 이동키와 상하 좌우 교환키)를 이용하여 선위치 변경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영역에 설정된 선상의 복수 위치 각각에 대해 휘도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 및 야외를 불문하고, 표시 수단인 표시 화면을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휘도에 대해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모니터 화면)에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그 화상에 겹쳐서 선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화상과 그 화상의 선상의 휘도분포(단면에 따른 휘도분포)를 동시에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휘도에 대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은 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노출의 여부, 콘트라스트 및 초점이 원하는 상태가 되어 있는지 등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예를 들어 촬상 수단의 출력이 RGB신호인 경우에 선상의 R(적색)신호의 강도 분포, 선상의 G(녹색)신호의 강도 분포, 선상의 B(청색)신호의 강도 분포 를 각각 그래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의 각 색의 분포 상황뿐만 아니라, 화상에 있어서 특정색이 포화(saturation)되어 있는지 등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화상을 이루는 영역 내에 선을 설정하고, 해당 화상에서의 해당 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적어도 표시하는 휘도분포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화상을 이루는 영역에서의 상기 선의 위치 또는 방향을 변경하는 선위치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선위치 변경 수단으로 설정된 제1선과 제2선의 교차점에 대해 휘도를 상기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포인트 휘도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화상 전체의 휘도분포를 표시하고, 이와 함께 상기 화상 전체의 휘도분포에 겹쳐서 상기 교차점에 대한 휘도를 표시하는 전 체휘도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화상에서의 수평 방향의 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과, 상기 화상에서의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그래프의 X축이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그래프의 Y축이 상기 수평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체에 대한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며,
    상기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2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그래프의 X축이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그래프의 Y축이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상의 각 위치에 대한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그래프를 상기 화상의 상측 또는 하측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수직 방향의 직선의 일단이 상기 제1 그래프 안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표시하고,
    상기 수직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제2 그래프를 상기 화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수평 방향의 직선의 일단이 제2 그래프 안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화상에서의 상기 선상의 색분포 상태를 표시하는 색분포 표시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선상에서의 제1 원색의 강도 분포와, 상기 선상에서의 제2 원색의 강도 분포와, 상기 선상에서의 제3 원색의 강도 분포로 상기 색분포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선을 화상에 겹쳐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하는 선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화상과 함께 상기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해 꺾은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농담 표시, 문자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분포 표시 수단은, 상기 화상을 이루는 것으로 행렬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선 근처의 화소에 대해 소정 단위마다 휘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근거로 상기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평균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상기 화상을 이루는 영역 내에 선을 설정하고,
    상기 화상에서의 상기 선상의 복수의 점에 대한 휘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선상의 복수의 점 각각의 위치와 상기 위치의 휘도 정보를 관련지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분포 표시 방법.
KR1020050020026A 2004-12-08 2005-03-10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 KR10065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5826A JP4541859B2 (ja) 2004-12-08 2004-12-08 カメラ及び輝度分布表示方法
JPJP-P-2004-00355826 200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445A true KR20060064445A (ko) 2006-06-13
KR100651809B1 KR100651809B1 (ko) 2006-12-01

Family

ID=3666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026A KR100651809B1 (ko) 2004-12-08 2005-03-10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41859B2 (ko)
KR (1) KR100651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4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이오씨 직교합성 열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3047A (ja) * 2007-08-09 2009-02-26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48799B2 (ja) * 2009-12-25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614276B2 (ja) * 2010-12-21 2014-10-29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ウェーブフォーム表示機能を備えたカメラ
JP5614277B2 (ja) * 2010-12-21 2014-10-29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ウェーブフォームを記録可能なカメラ
JP6317577B2 (ja) * 2013-12-04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067435B2 (en) 2016-12-14 2021-07-20 Dan-Eric NILSSON Method for determining a spatial light distribution in an environment
CN113190892B (zh) * 2021-02-24 2022-06-10 中南大学 一种纵断面线路布设方法、系统、终端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9042B2 (ja) * 1990-04-27 1999-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パターン抽出方法
JPH0738801A (ja) * 1993-07-21 1995-02-07 Sony Corp 撮像装置
JPH09193360A (ja) * 1996-01-12 1997-07-29 Omron Corp 画像表示装置
JP3977947B2 (ja) * 1998-12-07 2007-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計測方法及び装置
JP3752951B2 (ja) 2000-03-01 2006-03-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輝度分布表示方法
JP2003008952A (ja) * 2001-06-26 2003-01-10 Hitachi Ltd 白線認識装置
JP4047598B2 (ja) * 2002-02-26 2008-02-13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2003310587A (ja) * 2002-04-26 2003-11-05 Fuji Photo Film Co Ltd 異常陰影の検出結果表示装置
JP3499865B1 (ja) * 2002-07-09 2004-02-23 株式会社リック デジタルズーム肌診断装置
JP4090851B2 (ja) * 2002-11-19 2008-05-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処理装置、ホワイトバランス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4208028A (ja) * 2002-12-25 2004-07-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KR100479679B1 (ko) * 2003-04-25 2005-03-31 주식회사 이스턴정보통신 영상데이터의 휘도레벨 히스토그램 등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4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이오씨 직교합성 열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809B1 (ko) 2006-12-01
JP2006166132A (ja) 2006-06-22
JP4541859B2 (ja)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809B1 (ko) 카메라 및 휘도분포 표시 방법
US787700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821289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CN106257912B (zh) 摄像装置、摄像方法
JP4245699B2 (ja) 撮像装置
JP5022105B2 (ja) カメラの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4730553B2 (ja) 撮影装置及び露出制御方法
US20070266312A1 (en) Method for displaying face detection frame,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and image-taking device
US849346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CN105100594A (zh) 摄像装置和摄像方法
JP516931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
JP200322476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843009B2 (ja) カメラのレンズ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メラ
EP2355491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WO2008056561A1 (fr) Dispositif d'imagerie
CN104243804A (zh) 摄像设备、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7311962A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934617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8178147A (ja) 撮像装置
JP531033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006833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081609B2 (ja) 撮像装置
JP512301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が備えるコンピュータに撮像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3333381A (ja) 画像評価機能付き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