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257A - 터미널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257A
KR20060064257A KR1020040103009A KR20040103009A KR20060064257A KR 20060064257 A KR20060064257 A KR 20060064257A KR 1020040103009 A KR1020040103009 A KR 1020040103009A KR 20040103009 A KR20040103009 A KR 20040103009A KR 20060064257 A KR20060064257 A KR 2006006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sleeve
male
primary
slee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432B1 (ko
Inventor
정상술
Original Assignee
정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술 filed Critical 정상술
Priority to KR102004010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4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인입전력선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관통공이 형성된 암수 결합부가 형성되는 1차 슬리브; 일단이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1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 및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암수 결합부 및 관통공이 형성되는 2차 슬리브; 및 상기 1차 슬리브 및 2차 슬리브가 수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으로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2차 슬리브의 결합부를 상호 긴밀하게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의 나사 체결부와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을 나사 체결하여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1,2차 슬리브를 교호하여 끼움결합하고, 나사체결에 의해 터미널 블록에 고정시킴에 따라 공격없는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인입전력선과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간단하게 연결됨에 따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상기 암수결합부는 부스바(Bus-Bar)의 역할을 함에 따라 다양한 분기가 가능해지고,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는 산업용으로 가능해진다.
터미널 블록, 계량기함.

Description

터미널 블록 조립체 { Terminal Block Assembly }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로서, 1,2차 슬리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ㄷ" 형 슬리브에 의한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1 : 인입전력선 2 : 인출전력선
3 : 분기선 10 : 1차 슬리브
11 : 암수 결합부 12 : 관통공
20: 2차 슬리브 21 : 암수 결합부
22 : 관통공 30 : 터미널 블록
31, 32 : 나사 체결부 33 : 슬리브 수납공간
40: 상부커버 41 : 나사 삽입공
50, 60: 나사
1.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입전력선이 연결 결합되는 1차 슬리브와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연결 결합되는 2차 슬리브를 교호하여 긴밀하게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에 형성된 나사 체결부와 상기 1,2차 슬리브에 형성된 관통공을 나사 체결하여 1,2차 슬리브는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2.발명의 배경
종래의 경우, 터미널 블록에 장착되어 인입되는 전입선과 인출되는 전력선 및 분기선을 연결 결합하기 위해 인입되는 전기선이 삽입된 슬리브의 일단을 인출 전력선 및 분기선이 삽입된 슬리브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위치시킨 후, 무거운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정위치된 상기 슬리브들을 압착하는 방식으로 고정 및 결합시켜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할 경우, 무거운 압착공구를 항상 구비해야 하며 작업효율 및 원가상승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결합하면 이를 교체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동성을 지니고 있지 못하여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어 려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입전력선이 연결 결합되는 1차 슬리브에 암수 결합부 및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암수 결합부 및 관통공을 전력선 및 분기선이 연결 결합되는 2차 슬리브에 형성시키고, 상기 1,2차 슬리브의 암수결합부를 상호 긴밀하게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의 나사 체결부와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을 나사 체결하여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를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1,2차 슬리브를 교호하여 끼움결함하고, 나사체결에 의해 터미널 블록에 고정시킴에 따라 공극없는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인입전력선과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간단하게 연결됨에 따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C형 슬리브 또는 "ㄷ" 형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세대용 접지분기가 간편하여 원가절감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C형 슬리브 또는 "ㄷ" 형 슬리브의 암수결합부는 부스바(Bus-Bar)의 역할을 함에 따라 다양한 분기가 가능해지고,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는 산업용으로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입전력선이 삽입 연결되는 1차 슬리브와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삽입 연결되는 2차 슬리브를 교호하여 끼움결합하고, 나사체결에 의해 터 미널 블록에 고정시킴에 따라 공극없는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인입전력선과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간단하게 연결됨에 따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 2차 슬리브로서, C형 슬리브 또는 "ㄷ" 형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세대용 접지분기가 간편하여 원가절감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C형 슬리브 또는 "ㄷ" 형 슬리브의 암수결합부는 부스바의 역할을 함에 따라 완벽한 결합 및 다양한 분기가 가능해지고,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되어 산업용으로 가능해지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인입전력선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관통공이 형성된 암수 결합부가 형성되는 1차 슬리브; 일단이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1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 및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암수 결합부 및 관통공이 형성되는 2차 슬리브; 및 상기 1차 슬리브와 2차 슬리브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으로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2차 슬리브의 결합부를 상호 긴밀하게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의 나사 체결부와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을 나사 체결하여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1,2차 슬리브를 교호하여 끼움결합하고, 나사체결에 의해 터미널 블록에 고정시킴에 따라 공극없는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인입전력선과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간단하게 연결됨에 따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는 1차 슬리브(10), 2차 슬리브(20) 및 터미널 블록(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슬리브(10)의 일단은 인입전력선(1)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관통공(12)이 형성된 암수 결합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슬리브(20)의 일단은 인출전력선(2) 및 분기선(3)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1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1)에 대응되는 암수 결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슬리브의 관통공(12)과 일치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30)은 상기 1차 슬리브(10) 및 2차 슬리브(20)가 수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33이 형 성되고, 바닥면으로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12, 22)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1,2차 슬리브(10, 20)의 암수 결합부(11,21)는 서로 대응하는 C형 슬리브로서, 상기 1차 슬리브(10)의 암수 결합부(11)에 상기 2차 슬리브(20)의 암수 결합부(21)을 삽입 결합할 경우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고, 상기 1,2차 슬리브(10,20)의 관통공(12, 22)은 일축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암수결합부(11, 21)는 부스바(Bus-Bar)의 역할을 함에 따라 완벽한 결합 및 다양한 분기가 가능해지고,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슬리브(10)의 암수 결합부(11)와 상기 2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2)를 상호 긴밀하게 교호하여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30)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30)의 나사 체결부(31)와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12, 22)을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1,2차 슬리브(10, 20)는 상기 터미널 블록(30)에 고정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가 완성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는 상기 터미널 블록(30)의 수납공간(33)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40)를 더 구비하여 구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커버(40)에 복수개의 나사 삽입공(41)을 형성시키고, 상기 나사 삽입공(41)에 대응되고, 일축으로 위치되는 나사 체결부(32)를 상기 터미널 블록(30)에 형성시키고, 나사(60)을 이용하여 나사체결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가 완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로서, 1,2차 슬리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1차 슬리브(10)의 암수결합부(11)은 상기 2차 슬리브(20)의 암수결합부(2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50)에 의해 체결될 경우, 계속적인 조임에 따른 상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암수결합부(11, 21)은 더욱 밀착되고, 공극없는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ㄷ" 형 슬리브에 의한 터미널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2차 슬리브(10,20)의 암수 결합부 단면은 "C" 형이 아닌 "ㄷ" 형으로 형성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슬리브(10)의(10)의 암수 결합부(11)는 "ㄷ"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슬리브(20)의 암수 결합부(21)는 상기 암수 결합부(11)에 대응되도록 "ㄷ"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1,2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1, 12)에는 결합시 일축으로 위치되는 관통공(12, 22)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슬리브(10)의 암수 결합부(11)와 상기 2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2)를 상호 긴밀하게 교호하여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30)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30)의 나사 체결부(31)와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12, 22)을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1,2차 슬리브(10, 20)는 상기 터미널 블록(30)에 고정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조립체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입전력선이 삽입 연결되는 1차 슬리브와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삽입 연결되는 2차 슬리브를 교호하여 끼움결합하고, 나사체결에 의해 터미널 블록에 고정시킴에 인입전력선과 인출전력선 및 분기선이 간단하게 연결됨에 따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상기 1, 2차 슬리브로서, C형 슬리브 또는 "ㄷ" 형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세대용 접지분기가 간편하여 원가절감과 시공 및 교체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C형 슬리브 또는 "ㄷ" 형 슬리브의 암수결합부는 부스바의 역할을 함에 따라 완벽한 결합 및 다양한 분기가 가능해지고,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되어 산업용으로 가능해지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일단은 인입전력선(1)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관통공(12)이 형성된 암수 결합부(11)가 형성되는 1차 슬리브(10);
    일단이 인출전력선(2) 및 분기선(3)과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1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1) 및 관통공(12)에 대응되도록 암수 결합부(21) 및 관통공(22)가 형성되는 2차 슬리브(20); 및
    상기 1차 슬리브(10) 및 2차 슬리브(20)가 수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33)이 형성되고, 바닥면으로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12, 22)에 대응하는 나사 체결부(31)가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2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1,12)를 상호 긴밀하게 끼움결합하고, 터미널 블록(30)의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30)의 나사 체결부(31)와 상기 1,2차 슬리브의 관통공(12, 22)을 나사 체결하여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록(30)의 수납공간(33)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슬리브의 암수 결합부(11,21) 단면은 "C"형 또는 "ㄷ"형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형성되고, 암수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교호하여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1020040103009A 2004-12-08 2004-12-08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10069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09A KR100691432B1 (ko) 2004-12-08 2004-12-08 터미널 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09A KR100691432B1 (ko) 2004-12-08 2004-12-08 터미널 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57A true KR20060064257A (ko) 2006-06-13
KR100691432B1 KR100691432B1 (ko) 2007-03-09

Family

ID=3715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009A KR100691432B1 (ko) 2004-12-08 2004-12-08 터미널 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19B1 (ko) * 2008-02-15 2008-07-17 (주)미가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1394615B1 (ko) * 2011-09-30 2014-05-14 희성금속 주식회사 압출을 이용한 분말야금계 전기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05B1 (ko) 2009-07-28 2011-10-11 (주) 하정인더스트리 조인트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530A (ja) * 1993-03-26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ブル終端部接続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H07245515A (ja) * 1994-03-02 1995-09-1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の入力線接続構造
JP3783148B2 (ja) 1997-07-23 2006-06-07 住電朝日精工株式会社 導体の接続構造
KR100603205B1 (ko) * 2000-03-31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류용 전자렌지의 전원 컨넥터
KR100473305B1 (ko) * 2002-09-11 2005-03-10 정상술 전선분기용 터미널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19B1 (ko) * 2008-02-15 2008-07-17 (주)미가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분기 슬리브
KR101394615B1 (ko) * 2011-09-30 2014-05-14 희성금속 주식회사 압출을 이용한 분말야금계 전기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432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23587A (en) Connector attached directly to equipment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US7473147B2 (en) Transformer stud connector with offset keeper holders and associated methods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200345771Y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도체
KR100869222B1 (ko) 배전반용 절연 부스바 다용도 단자
KR101543741B1 (ko)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KR100757776B1 (ko) 부스바 연결용 클램프
FI88447C (fi) Elektriska kopplingar foer en kombination av elektriska kanaldosor
KR20080025894A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090558B1 (ko) 분전반
JP2007135298A (ja) 配電盤
CN210380070U (zh) 一种抱箍式八变六线夹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KR20080090906A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KR200387831Y1 (ko) 콘센트
CN211405400U (zh) 一种直线拼接母线组合
CN216145839U (zh) 一种便于滑触线检修更换机构
JP5671709B2 (ja) プラグイン式分電盤用の端子台
KR200259395Y1 (ko)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KR101116369B1 (ko)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KR100916157B1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200449714Y1 (ko) 분전반용 핸디툴 및 이를 이용한 분전반
KR101202404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