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395Y1 -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395Y1
KR200259395Y1 KR2020010029643U KR20010029643U KR200259395Y1 KR 200259395 Y1 KR200259395 Y1 KR 200259395Y1 KR 2020010029643 U KR2020010029643 U KR 2020010029643U KR 20010029643 U KR20010029643 U KR 20010029643U KR 200259395 Y1 KR200259395 Y1 KR 200259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horizontal bus
coupling
switchboard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곤
Original Assignee
주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곤 filed Critical 주성곤
Priority to KR2020010029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395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의 내부에 애자와 같은 절연부재를 이용하여 수평모선을 고정시키는 경우, 수평모선의 절연체가 제거된 결합부위에 적당한 형상을 갖는 절연커버를 결합시키므로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전반 내에 설치되어 주회로로서 전력을 전달하는 수평모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모선의 절연체를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을 관통하는 나사를 절연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때에 상기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절연커버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 (40)는 상기 수평모선(10)의 하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몸체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42)의 각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는 그 상단부에 결합돌기(45)가 형성된 결합부재(44)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모선(10)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그 상면상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42) 상면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 수평모선(10)과 절연부재(20)를 결합시키는 나사(30)의 돌출 부위가 삽입되도록 요입 형성된 나사홈부(4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AN INSULATING-COVER FOR INSULATOR UNION PART OF SWITCHBOARD}
본 고안은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내부에 주회로로서 설치되는 수평모선 및 수평모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애자 등의 절연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에 적당한 형상을 갖는 절연커버를 결합시키므로서, 절연체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절연부재에 결합되는 수평모선을 효율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원거리의 발전소나 변전소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용가에 수ㆍ배전시에 전기계통을 감시 및 제어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구로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회로로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보통 구리와 같은 전도체로 이루어진 수평모선(10)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모선(10)은 애자와 같은 절연부재(20)에 의하여 상기 배전반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리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수평모선(10)은 대략 실리콘이나 가교 폴리에틸렌(XLPEN),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등과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체(12)에 둘러 싸여 있으며, 상기 수평모선(10)을 절연부재(20)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시에는 상기 수평모선(10)에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12) 하면의 일부분을 제거한 후, 그 저부로부터 상기 수평모선(10)을 관통하도록 나사(30)를 삽입하고 상기 나사(30)가 상기 절연부재(20)의 결합홀(22)에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수평모선(10)이 절연부재(2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배전반 내에 지지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전반 내에 애자 등의 절연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평모선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모선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의 일부분을 제거한 후 나사를 체결하여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수평모선의 절연체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비절연 상태가 되어 배전반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수평모선에서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테이핑 작업 등을 행하여 절연기능을 부여할 시에는 별도의 수작업을 행하여야만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인건비의 상승이 초래됨과 더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테이핑 된 부분의 절연상태가 저하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지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전반의 내부에 애자와 같은 절연부재를 이용하여 수평모선을 고정시키는 경우, 수평모선의 절연체가 제거된 결합부위에 적당한 형상을 갖는 절연커버를 결합시키므로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전반 내에 설치되어 주회로로서 전력을 전달하는 수평모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모선의 절연체를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을 관통하는 나사를 절연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때에 상기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절연커버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수평모선의 하면에 밀착결합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는 그 상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재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모선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그 상면상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 상면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 수평모선과 절연부재를 결합시키는 나사의 돌출 부위가 삽입되도록 요입 형성된 나사홈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부재의 몸체부 상면의 양단부에는 상기 수평모선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확장부가 각각 요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절연체의 일부분을 제거한 후, 나사를 체결하여 절연부재에 고정시키는 경우, 수평모선의 하면에 절연커버의 몸체부를 밀착시키고, 몸체부에 형성된 나사홈부 및 확장부에는 각각 나사 및 절연체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부재의 결합돌기가 수평모선의 상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수평모선의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간편하게 절연 기능을 부여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배전반의 수평모선이 절연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평모선, 12: 절연체,
20: 절연부재, 22: 결합홀,
30: 나사, 40: 절연커버,
42: 몸체부, 44: 결합부재,
45: 결합돌기, 46: 나사홈부,
48: 확장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라 수평모선(10)과 절연부재(20)의 결합 위치에 장착되는 절연커버(40)는 우수한 절연성을 갖음과 더불어, 상기 수평모선(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가교 폴리에틸렌(XLPEN), 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등과 같이 소정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수평모선(1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모선(10)의 폭과 유사한 폭으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부(42)가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4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상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재 (44)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결합부재(44)가 상기 수평모선(10)의 양측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45)를 통하여 상기 수평모선(10)의 상면에 단속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몸체부(42)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재(44)의 간격은 상기 수평모선(10)이 고정되는 절연부재(20)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절연부재(20)의 지름 이상의 거리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몸체부(42) 상면의 양단부에는 상기 수평모선(10)으로부터 절연체(12)가 제거된 부분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절연체(12)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체(12)의 두께와 유사한 깊이를 갖는 확장부(48)가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42)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수평모선(10)과 상기 절연부재(20)의 결합시에 상기 수평부재(10)를 관통하여 절연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22)에 체결되는 나사(30)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30)의 결합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나사홈부(46)가 요입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홈부(46)는 상기 수평부재(10) 및 절연부재(20)에 결합되는 나사(30)의 형상 및 결합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의 사용상태도로서,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를 상기 수평모선(10)과 절연부재(20)가 결합되는 부분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모선(10)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12)의 하면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체(12)가 제거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나사(30)를 삽입한 후, 상기 나사(30)의 단부가 상기 절연부재 (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 내에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절연부재(20)를 통하여 상기 수평모선(10)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모선(10)의 절연체(12)가 제거된 부분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절연체(12)의 일부가 상기 절연커버(40)의 양단부에 형성된 확장부(48)에 대응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수평모선(10)을 관통하여 상기 절연부재(20)에 체결되는 나사(30)의 머리부분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홈부(46)가 대응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모선(10)의 하면 일측에 절연체(12)가 제거된 부분에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40)의 몸체부(10) 상면을 밀착시킨 후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재(44)가 상기 수평모선(10)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5)가 상기 수평모선(10)의 상면에 각각 단속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커버(40)는 상기 결합부재(44) 및 그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5)에 의하여 상기 수평모선(10)의 하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모선(10)과 절연부재(20)가 결합됨에 따라 수평모선(10)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12)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40)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가 되므로서, 상기 수평모선(10)과 절연부재(20)의 결합부위는 완벽한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연커버(40)는 소정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모선(10)으로부터 결합 및 분리될 수가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모선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애자와 같은 절연부재에 수평모선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경우, 적당한 형상을 갖는 절연커버를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결합하여 절연기능을 부여할 수가 있으므로, 배전반 내부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배전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절연부재와 수평모선의 결합시에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테이핑 작업과 같은 각종 작업을 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절연커버를 매우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 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배전반 내에 설치되어 주회로로서 전력을 전달하는 수평모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모선의 절연체를 일부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을 관통하는 나사를 절연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때에 상기 절연체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절연커버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40)는 상기 수평모선(10)의 하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몸체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42)의 각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는 그 상단부에 결합돌기(45)가 형성된 결합부재(44)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모선(10)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그 상면상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42) 상면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 수평모선(10)과 절연부재(20)를 결합시키는 나사(30)의 돌출 부위가 삽입되도록 요입 형성된 나사홈부(4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40)의 몸체부(42) 상면의 양단부에는 상기 수평모선(10)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12)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확장부(48)가 각각 요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KR2020010029643U 2001-09-26 2001-09-26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KR200259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643U KR200259395Y1 (ko) 2001-09-26 2001-09-26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643U KR200259395Y1 (ko) 2001-09-26 2001-09-26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395Y1 true KR200259395Y1 (ko) 2002-01-09

Family

ID=7310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643U KR200259395Y1 (ko) 2001-09-26 2001-09-26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3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63B1 (ko) * 2002-03-22 2004-09-01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모선 전계완화장치
KR20210150097A (ko)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혼촉 방지용 변압기의 지지애자 지주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63B1 (ko) * 2002-03-22 2004-09-01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모선 전계완화장치
KR20210150097A (ko)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혼촉 방지용 변압기의 지지애자 지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8493A (en) Holder with busbars for a busbar system
US7601013B2 (en) Connection or device adapter
US6616465B1 (en) Bus bar fo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KR200259395Y1 (ko) 배전반의 애자 결합부 절연커버
CA2614402A1 (en) Press fit connection for mounting electrical plug-in outlet insulator to a busway aluminum housing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200446961Y1 (ko)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KR100825379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1927718B1 (ko) 부스바용 절연 커버 및 이 절연 커버를 구비한 부스바
KR100407597B1 (ko) 배전반의 모선 연결부 절연커버
KR200259399Y1 (ko) 배전반의 모선 연결부 절연커버
KR20080103810A (ko) 부스바 커넥터 및 상기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
AU1279000A (en) Connection terminal for loop powering of electrical appliances
NO993872D0 (no) Elektrisk multifase-samleskinne
DK1100105T3 (da) Færdigforbundet ledningsanordning til kontaktorer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102498767B1 (ko) 분전반
KR200272442Y1 (ko) 전력분배용 절연지지대
KR101022038B1 (ko) 부스바 컨넥터의 앤드커버
KR200323651Y1 (ko)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100320613B1 (ko) 조립식 배전반
US3256509A (en) Connector for joining wire to foils
KR101582610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용 메일 커넥터
KR900000635Y1 (ko) 전기 전자기기의 절연체
JPS598411Y2 (ja) レ−ル状コンセント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