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864A -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864A
KR20060059864A KR1020057016614A KR20057016614A KR20060059864A KR 20060059864 A KR20060059864 A KR 20060059864A KR 1020057016614 A KR1020057016614 A KR 1020057016614A KR 20057016614 A KR20057016614 A KR 20057016614A KR 20060059864 A KR20060059864 A KR 20060059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link
conveying
support member
conve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233B1 (ko
Inventor
토시유키 코마츠
유키오 와카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06005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65G25/1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with impeller pivotally mounted on a reciprocating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하나의 액션으로 용이하게 트로프(trough)의 탈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반송 장치(10)는 트로프(11) 상에 놓인 물품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트로프(11)와 왕복 이동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왕복 이동 기구(20)는 모터 박스(12), 평행 링크(13) 및 링크 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로서도 기능하는 평행 링크(13)를 구성하는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의 일방(一方)의 선단부(先端部)에는, 각각 제1 오목부(15a), 제2 오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15a) 및 제2 오목부(15b)는 트로프(11)로부터 돌출한 돌출부(11a, 11b)를 지지하고 있다.
트로프, 반송 장치, 왕복 이동 기구, 모터 박스, 평행 링크

Description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TRANSPORT APPARATUS AND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트로프(trough) 상에 놓인 물품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트로프 상에 놓인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송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피더 (특허 문헌 1 참조)를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전자 피더는, 전자석에 의하여 상하 방향 및 반송 방향의 벡터화 방향으로 트로프를 진동시키는 것으로 트로프 상에 놓인 물품을 반송한다. 그리고 이 전자 피더는 청소 등을 위하여 트로프를 탈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반송 장치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반송 장치에서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 및 반송 방향의 벡터화 방향으로 중력가속도를 넘는 큰 가속도를 주어 트로프를 진동시키는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되는 물품에 대하여 확실히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트로프가 지지 부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트로프를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락(lock)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종래의 반송 장치에서의 트로프의 탈착에는, 락 기구의 해제 및 트로프의 탈착이라고 하는 두 가지 액션 이상의 스텝이 필요하게 되어, 트로프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액션으로 용이하게 트로프의 탈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85637호 공보 (평성 7년 10월 31일 공개)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00-506482호 공보 (평성 12년 5월 30일 공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트로프와 왕복 이동 기구와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트로프에는 반송하는 물품이 놓인다. 왕복 이동 기구는 물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트로프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왕복 이동에서의 후진 이동을 전진 이동보다도 고속으로 행한다. 돌출부는 트로프로부터 돌출한 부재이다. 또한, 왕복 이동 기구는 돌출부를 지지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트로프로부터 돌출한 돌출부와 지지 부재의 오목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왕복 이동 기구를 채용한 반송 장치에 있어서, 트로프로부터 돌출한 돌출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 부재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이 오목부에서 트로프의 돌출부를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전자 피더 등의 반송 장치에서는, 트로프에 대하여 상하 방향 및 반송 방향의 벡터화 방향으로, 예를 들어, 중력가속도의 약 10배의 큰 가속도를 가하는 것으로, 트로프를 진동시켜 물품의 반송을 행하고 있다. 그래서 이 진동을 확실히 트로프에 전달하기 위하여, 트로프는 지지 부재에 의하여 특히 상기 벡터화 방향으로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특히, 물품이 놓인 트로프의 무게 중심이, 진동을 주는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트로프를 상기 벡터 방향으로 강고하게 고정하고 있지 않으면 트로프가 지지 부재로부터 벗어나 버릴 우려가 높아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반송 장치에서는, 트로프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방식의 반송이 아닌, 평행 링크에 의하여 반송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물품을 반송시키는 패스트백(fastback) 반송 방식에 의한 반송을 행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전자 피더 등의 반송 장치와 비교하여 트로프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에서의 가속도는 작다. 나아가, 패스트백 반송 방식에서는, 물품이 놓인 트로프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지지 부재로부터 힘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왕복 이동 기구를 채용한 반송 장치에서는, 트로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큰 가속도를 주면서 물품을 반송하는 전자 피더 등의 반송 장치와 달리, 트로프를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강고하게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반송 장치에서는, 왕복 이동 기구를 채용하는 것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의 트로프의 변위를 거의 억제하지 않는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에 의하여 트로프를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의 탈착 시에 있어서, 전자 피더 등의 반송 장치와 같이 락 기구를 해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나의 스텝으로 간단하게 트로프의 탈착을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오목부가 연직 상향(上向)이다.
여기에서는, 지지 부재의 오목부에 트로프의 돌출부를 얹은 것만으로 트로프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트로프의 탈착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덧붙여,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트로프의 상하 방향에서의 가속도가 작기 때문에, 트로프의 돌출부를 지지 부재의 오목부에 얹는 것만으로도 트로프가 지지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등의 문제가 없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있고, 그 중 적어도 1개의 지지 부재는 오목부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적어도 1개의 지지 부재가 수평 방향을 향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서의 트로프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오목부가 연직 상향인 반송 장치와 비교하여, 트로프를 안정하게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수평 방향을 향한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는, 물품의 반송 방향에서의 후측의 지지 부재이고, 오목부의 개구(開口) 측은 물품의 반송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패스트백 반송 방식을 채용한 반송 장치에 있어서, 물품의 반송 방향에서의 후측의 지지 부재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트로프의 연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트로프의 측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트로프를 양팔보 지지하는 것으로, 트로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트로프의 탈착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트로프의 측면의 일방(一方) 측에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트로프를 외팔보 지지하는 것으로,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과 함께 트로프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상하 방향에서의 가속도가 작은 패스트백 반송 방식을 채용한 반송 방법이기 때문에, 외팔보 지지로도 충분히 트로프를 지지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는, 제1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트로프의 후측 부근에서 트로프를 지지하고 있다.
통상, 패스트백 반송 방식을 채용한 반송 방법에서는, 트로프로부터 물품이 공급되는 하류측 장치의 상방에 트로프의 선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정된 스페이스 중에서는 구동 기구보다도 트로프가 튀어나온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트로프의 후측 부근에 지지 부재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것으로, 하류측 장치에 대하여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조합 계량 장치는, 제1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반송 장치를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이기 때문에, 트로프의 탈착을 하나의 액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등, 상술한 반송 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모든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조합 계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반송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트로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의 (a), (b)는 반송 중의 평행 링크 및 링크 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의 (a), (b)는 2개의 지지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외팔보 지지의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조합 계량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조합 계량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조합 계량 장치의 개략도.
도 9는 제1·제2 링크의 조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의 개략도.
도 11의 (a), (b)는 제1·제2 링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의 (a),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의 개략도.
[제1 실시예]
[반송 장치 전체의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반송 장치(10)는, 트로프(11) 상에 놓인 물품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로프(11)와 왕복 이동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10)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면서 물품을 반송한다. 또한, 반송 장치(10)에서는, 왕복 이동 기구(20)가 트로프(11)의 왕복 이동에 관하여,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보다도 고속으로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트로프(11)를 이동시킬 때에, 트로프(11) 상의 물품을 미끄러뜨리는 것과 같이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트로프〕
트로프(11)는 반송되는 물품을 놓기 위한 트레이(tray)상 부재이고, 모터 박스(12)의 직상(直上)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로프(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1a, 11b)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 (11a, 11b)는 후술하는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 각각의 일방 단부(端部)에 형성된 제1 오목부(15a)·제2 오목부(15b) (도 4(a), 도 4(b) 참조)에서 각각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11)는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에 의하여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트로프(11)에 대하여, 평행 링크(13)를 통하여 모터 박스(12) 내의 회전 모터(14, 회전 구동원)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트로프(11)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하고, 트로프(11) 상을 미끄러뜨리는 것과 같이 하여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한다.
〔왕복 이동 기구(20)〕
왕복 이동 기구(20)는,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 (후진 측)으로,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보다도 고속으로 트로프(11)를 이동시켜 반송을 행하는 기구이다. 그리고 왕복 이동 기구(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박스(12),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 및 제3 링크(13c, 평행 링크(13)), 링크 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박스)
모터 박스(1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회전 모터(14, 회전 구동원)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 모터(1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링크 부재(16, 후술)를 통하여, 평행 링크(13, 제1 링크(13a), 제2 링크(13b), 제3 링크(13c))를 전후로 요동시킨다.
회전 모터(14)는 그 회전축의 선단 부분에 원반 부재(14a)가 접속된 스텝 모 터이다. 원반 부재(14a)는 회전 모터(14)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돌출부(14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14b)는 일방의 단부가 제2 링크(13b)와 접속되어 있는 링크 부재(16)의 타방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모터(1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평행 링크(13)를 전후로 요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평행 링크(13)에 접속된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 모터(14)는, 도 3(a)에 도시하는 X방향 (물품의 반송 방향)으로 트로프(11)를 이동시킬 때에는, 도 3(b)에 도시하는 Y방향 (물품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트로프(11)를 이동시키는 속도보다도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즉, Y방향 (후진 측)으로의 이동을 X방향 (전진 측)으로의 이동보다도 빠른 속도로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트로프(11)를 반송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 트로프(11) 상에 놓인 물품에 대하여 반송 방향 전향(前向)으로 가속도를 주면서, 트로프(11) 상을 미끄러뜨리는 것과 같이 하여 트로프(11) 상에 놓인 물품을 소정의 반송 방향(도 3(a)에 도시하는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박스(12)가 트로프(11)의 직하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터 박스(12)가 트로프(11)의 옆이나 뒤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평행 링크)
평행 링크(13)는 제1 링크(13a), 제2 링크(13b), 제3 링크(13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13a)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단부가 제3 링크(13c)와, 타방의 단부가 모터 박스(12)의 측면과 각각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하는 것)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 링크(13b)는 일방의 단부가 제3 링크(13c) 및 링크 부재(16)와, 타방의 단부가 모터 박스(12)의 측면과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평행 링크(13)는 링크 부재(16)를 통하여 회전 모터(14)로부터의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이 전달되면, 모터 박스(12)와의 접속 위치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연직 평면 내에서 전후로 요동한다.
나아가, 제1 링크(13a)는 트로프(11) 및 모터 박스(12)의 측면에서의 제2 링크(13b)보다도 반송 방향 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13a)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단부에 제1 오목부(15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오목부(15a)는 연직 방향 상향으로 개구 부분이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오목부(15a)는 상술한 트로프(11)의 돌출부(11a)를 유지한다.
제2 링크(13b)는 제1 링크(13a)보다도 트로프(11)와 모터 박스(12)에서의 물품을 반송하는 측과는 반대 측 부근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13b)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단부에 제2 오목부(1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오목부(15b)는 물품의 반송 방향에서의 수평 방향, 즉 왕복 이동 기구(20)에서 보아 수평 방향 내향(內向)으로 개구 부분이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오목부(15b)는 상술한 트로프(11)의 타방의 돌출부(11b)를 유지한다.
제3 링크(13c)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링크(13a)와 제2 링크(13b)를 접속한다. 이것에 의하여, 링크 부재(16)와 접속되어 있는 제2 링크(13b)를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링크(13a)에 대해서도 요동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평행 링크(13) 전체를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평행 링크(13)는 트로프(11)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 부근에, 즉 트로프(11)의 중심 부분보다도 후측 부근에 장착되어 있다.
(링크 부재)
링크 부재(16)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단부가 평행 링크(13)에, 타방의 단부가 회전 모터(14)의 원반 부재(14a)의 돌출부(14b)에,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모터(14)가 회전을 개시하면 원반 부재(14a)가 돌출부(14b)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돌출부(14b)에 접속된 링크 부재(16)는 돌출부(14b)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 모터(1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링크 부재(16)의 타단에 접속된 평행 링크(13, 제2 링크(13b))를 모터 박스(12)와의 접속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이상과 같이, 회전 모터(14)에 의한 회전 구동을 직접 평행 링크(13)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링크 부재(16)를 통하여 전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모터(14)를 정역 반전시키지 않아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반송 장치의 동작 설명]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 의한 물품의 반송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반송 개시의 지시를 입력하면, 회전 모터(14)가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 회전 모터(14)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링크 부재(16)를 통하여 평행 링크(13, 제2 링크(13b))로 전달되어 평행 링크(13)를 연직 평면 내에서 전후로 요동시킨다. 이때, 요동되는 평행 링크(13)는 트로프(11)의 측면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트로프(11)를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트로프(11)의 왕복 이동은, 소정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 측, 즉 후진 측으로부터 개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은 왕복 이동 반송 방식을 채용한 반송 장치(10)에서는, 트로프(11) 상에 놓인 물품은 트로프(11)의 왕복 이동 중에 있어서 트로프(11) 상에서 반송된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트로프(11)의 왕복 이동 중에는,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보다도 고속으로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면서 물품에 대하여 반송 방향 전향의 가속도를 주어 반송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모터(14)가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트로프(11)를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회전 영역에서는,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보다도 회전 속도를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소정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 방향보다도 고속으로 트로프(1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반송 장치의 특징]
(1)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지지 부재로서도 기능하는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의 일방의 단부에, 각각 제1 오목부(15a), 제2 오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 제1 오목부(15a) 및 제2 오목부(15b)에 의하여, 트로프(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11a, 11b)가 지지되어 있고, 트로프(11)는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여기서, 종래의 진동 피더 등의 반송 장치에서는, 진동 모터로부터의 진동을 확실히 트로프로 전달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와 트로프는 특히 상하 방향과 반송 방향과의 벡터화 방향에 있어서 강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는 왕복 이동 기구(20)를 가지고 있고, 반송 중에 트로프(11)의 상하 변위가 적고, 진동 피더와 비교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가속도가 작은 왕복 이동 반송 방식에 의한 반송을 행한다. 이 때문에, 진동 피더와 같이 지지 부재와 트로프를 강고하게 고정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의 일방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오목부(15a) 및 제2 오목부(15b)에 있어서, 트로프(11)의 돌출부(11a, 11b)를 지지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의 제1 오목부(15a) 및 제2 오목부(15b)에 트로프(11)의 돌출부(11a, 11b)를 놓는 것만으로 트로프(11)를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최초에 수평 방향으로 개구부를 향하게 한 제2 오목부(15b)에 트로프(11)의 후측 돌출부(11b)를 찔러 넣고, 그 다음에 연직 방향으로 개구부 를 향하게 한 제1 오목부(15a)에 대하여 트로프(11)의 전측의 돌출부(11a)를 찔러 넣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트로프(11)를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에 대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트로프(11)를 제1 링크(13a) 및 제2 링크(13b)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트로프(11)의 전측의 돌출부(11a) 쪽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트로프(11)를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 의하면, 트로프(11)의 탈착 시에 있어서, 종래의 진동 피더와 같은 고정 기구를 해제하는 액션이 불필요하게 되어, 트로프(11)의 탈착을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연직 상향의 제1 오목부(15a)와 수평 방향 내향의 제2 오목부(15b)를 조합하여 트로프(11)를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는 반송 방식에 의한 반송에 있어서, 수평 방향에서의 트로프(11)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고 또한 트로프(11)의 탈착이 용이한 반송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로서의 제2 링크(13b)가, 트로프(11)에서 보아 수평 방향 내향으로 제2 오목부(15b)의 개구부를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11)의 왕복 이동 시에 있어서, 트로프(11)의 상하 방향의 변위를 확실히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3)가 트로프(11)의 편측(片側)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로프(11)의 편방(片方)의 측면에 연결된 평행 링크(13)를 이용하여 트로프(11)의 왕복 이동을 실현하는 것으로,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트로프(11)를 편측의 측면에 연결된 평행 링크(13)로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로프(11)를 외팔보 지지하는 것으로, 구성을 간략화하여 트로프(11)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양팔보 지지와 비교하여, 트로프(11)를 지지하는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성이 향상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왕복 이동 기구(20)를 구비하고, 왕복 이동 반송 방식에 의하여 물품의 반송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진동 피더와 비교하여, 트로프(11)를 평행 링크(13)에 강고하게 고정할 필요성이 작다. 따라서, 트로프(11)의 왕복 이동 중에 트로프(11)가 평행 링크(13)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외팔보 지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본 실시예의 반송 장치(10)에서는, 평행 링크(13)가 트로프(11)의 측면에서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 부근에, 즉 트로프(11)의 중심 부분보다도 후측 부근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반송되는 물품의 무게 중심이 반송 중에 트로프(11)의 후측 부근으로 이동하여 가는 것을 고려하여, 물품의 무게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평행 링크(13)를 장착하는 것으로, 이들 물품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반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조합 계량 장치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의 조합 계량 장치(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설명한 반송 장치(10)를, 계량부(31)에 대하여 피계량물을 공급하는 반송부(10)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합 계량 장치(30)는 피계량물이 넣어진 용기(C)를 순환하면서 계량으로부터 배출까지의 공정을 행하는 조합 계량 장치이다. 그리고 조합 계량 장치(30)는 계량부(31), 스톡부(33), 배출부(34), 수수부(35a ~ 35c), 선회 기구(36) 및 조작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C)는 상부가 개구한 컵상의 용기이며 외주부(外周部)에 전(물건의 위쪽 가장자리의 약간 넓게 된 부분) 부분을 가지고 있고, 조합 계량 장치(30) 내를 순환하면서 피계량물을 공급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까지 반송한다. 또한, 용기(C)는 계량부(31), 스톡부(33), 배출부(34)에 있어서 상시 이동시켜지면서 조합 계량 장 치(30) 내를 순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조합 계량 장치(30)에서는, 이동 중의 용기(C)에 대하여 피계량물의 공급, 계량, 스톡, 배출이라고 하는 각 공정이 행해진다. 또한, 용기(C)는 금속제 또는 일부가 금속제인 부재이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계량부(31), 스톡부(33), 배출부(34)가 가지는 홀더에 장착된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각부(31·33·34)에서 유지된다.
반송부(10)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반송 장치이고, 조합 계량 장치(30)에 의하여 계량되는 피계량물을 슛(32)을 통하여 이동 중의 용기(C) 내로 투입한다.
계량부(31)는 복수의 계량기를 가지고 있고, 피계량물이 넣어지지 않은 빈 용기(C) 및 피계량물이 넣어진 용기(C)의 계량을 행한다.
스톡부(33)는 계량부(31)에 있어서 계량을 마친 피계량물이 넣어진 복수의 용기(C)를 모아 조합 계량에 이용하기 위하여 선택된 용기(C)를 배출부(34)로 인도한다.
배출부(34)는 스톡부(33)에 있어서 입체적으로 모아져 있는 복수의 용기(C) 중에서 선택된 소망하는 용기(C)를 반송부(1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용기(C)의 개구부가 하향(下向)이 되도록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용기(C)에 넣어져 있는 피계량물을 도 7에 도시하는 배출 슛(42)이 설치되어 있는 소망하는 장소로 배출할 수 있다.
수수부(35a ~ 35c)는 계량부(31)와 스톡부(33) 간, 스톡부(33)와 배출부(34) 간, 배출부(34)와 계량부(31) 간에 설치되어 있고, 각부 간에서 용기(C)의 수수를 행한다.
선회 기구(36)는 상술한 계량부(31), 스톡부(33), 배출부(34), 수수부(35a ~ 35c)의 각각의 회전축(A1 ~ A4)을 동기시키면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각부 간 (31·33·34) 간에서의 용기(C)의 수수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운전 속도 등의 설정 값이 입력되어 운전 등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 조합 계량 장치(3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1)가 조작부(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배출 슛(42)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한 깔때기 형상의 부재이고, 하부 개구(42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출 슛(42)은 배출부(3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배출부(34)에 있어서 반전시킨 용기(C)로부터 배출되는 피계량물을 하부 개구(42a)로부터 배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합 계량 장치(30)에 있어서는, 용기(C)의 이동 경로를 따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계량 존(R1), 용기 수수 존(R2), 스톡 존(R3), 용기 수수 존(R4), 배출 존(R5) 및 용기 수수 존(R6)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C)는 이 각 존 (R1)로부터 (R6)의 순으로 이동하여 조합 계량 장치(30) 내를 순환하고 있다. 덧붙여, 도 7에 도시하는 일점 쇄선은 순환하는 용기(C)의 중심 위치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공급 계량 존(R1)은 계량부(31)에 있어서, 피계량물의 용기(C)로의 공급과 용기(C) 및 피계량물의 계량이 행해지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빈 용기(C)의 계량을 행한다. 그리고 그 용기(C)에 대하여 피계량물을 투입하는 것과 함께, 피계량물이 들어간 용기(C)의 계량을 행한다. 용기 수수 존(R2)은 수수부(35a)에 있어서 계량부(31)로부터 계량을 마친 용기(C)를 받아, 스톡부(33)로 인도하는 부분이다. 스톡 존(R3)은 수수부(35a)로부터 용기(C)를 받아, 스톡부(33)에서 입체적으로 모으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계량을 마친 복수의 용기(C)를 입체적으로 모으고 있고, 스톡부(33) 내에서 이들 복수의 용기(C)를 순환시킨다. 용기 수수 존(R4)은 스톡부(33)에서 모아진 복수의 용기(C) 중에서 제어부(40)에 의하여 선택된 용기(C)를 받아, 배출부(34)에 대하여 인도하는 부분이다. 배출 존(R5)은 수수부(35b)로부터 받은 용기(C)를 선회시키면서 반전시켜, 배출 슛(42)의 하부 개구(42a)를 배출 목표 위치로 하여 피계량물을 배출하는 부분이다. 용기 수수 존(R6)은 피계량물이 배출되어 비워진 용기(C)를 배출부(34)로부터 받아, 다시 계량부(31)로 인도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조합 계량 장치(30)에서는, 이상과 같은 각 존(R1 ~ R6)에 따라, 용기(C)를 조합 계량 장치(30) 내에서 순환시키고 있다. 그리고 소망하는 중량의 피계량물을 차례로 배출하는 것으로, 조합 계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조합 계량 장치의 특징]
본 실시예의 조합 계량 장치(30)는, 상술한 실시예 1의 반송 장치(10)를, 순환 이동 중의 용기(C)에 대하여 피계량물을 공급하는 반송부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11)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합 계량 장치(3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실시예 1의 반송 장치(10)에 의하여 얻어지는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제1 링크(13a)와 제2 링크(13b)에 형성된 제1 오목부(15a), 제2 오목부(15b)가 각각 연직 방향 상향, 수평 방향 내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오목부(15a, 15b)가 연직 방향 상향이어도 무방하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오목부(15a, 15b)가 수평 방향 내향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평 방향의 방향에 대하여도, 도 9(c) 및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의 어느 쪽을 향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오목부(15a, 15b)가 연직 방향 상향인 경우에는, 한층 더 트로프(11)를 용이하게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트로프(11)의 편방의 측면에 있어서, 트로프(11)를 외팔보 지지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로프(11)의 양방의 측면에 있어서 트로프(11)를 지지 하는 양팔보 지지여도 무방하다. 양팔보 지지로 하는 것으로, 트로프(11)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만, 트로프(11)의 탈착의 용이함, 청소성의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외팔보 지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는 평행 링크(13)가 트로프(11)의 지지 부재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평행 링크(13)와는 별도로, 트로프(11)의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이 경우도 트로프(11)의 탈착의 용이함, 청소성의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트로프(11)에 접속되는 부품 점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같이 평행 링크(13)를 지지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원으로서의 회전 모터(14)에 스텝 모터를 이용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보 모터 등의 다른 회전 구동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E)
상기 실시예 2에서는, 1대의 계량 장치(30)를 이용하여 조합 계량을 행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조합 계량 장치(30)를 복수대 조합한 조합 계량 장치(50)에 의하여 조합 계량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합 계량 장치(50)를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4대의 조합 계량 장치(30a ~ 30d)로부터 거의 동시에 배출 슛(42)으로 피계량물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조합 계량을 고속화할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로프(11)의 측면에 제1·제2 링크(11a, 11b)를 연결하여 트로프(11)를 왕복 이동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로프(52)의 이면 측에 제1 링크(53a) 및 제2 링크(53b)를 연결하고, 모터 박스(54)가 내장하고 있는 회전 모터에 의하여 트로프(52)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 기구(61)를 구비한 반송 장치(51)여도 무방하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로프(11)의 측면에 연결된 제1 링크(11a) 및 제2 링크(11b)의 오목부(15a, 15b)가, 트로프(11)의 돌출부(11a, 11b)의 크기에 대응한 사이즈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로프(11)의 돌출부(11a, 11b)의 크기보다 큰 오목부(15aa, 15ba)나, V자의 오목부(15ab, 15bb)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가 형성된 제1·제2 링크(13a, 13b)를 이용하 였을 경우에는, 오목부에 대하여 돌출부(11a, 11b)를 놓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트로프(11)의 탈착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로프(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11a, 11b)에 제1·제2 링크(13a, 13b)를 연결한 왕복 이동 기구(20)를 구비한 반송 장치(10)를 예로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제2 링크(73a, 73b)를 내경 20mm 정도의 원통형의 부재(72a, 72b)로 하고, 트로프(72)의 이면 측으로 돌출한 저경 21mm, 높이 50mm 정도의 원추형의 부재(72a, 72b)의 선단을 원통형의 제1·제2 링크(73a, 73b)에 찔러 넣어 트로프(72)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 기구(81)를 구비한 반송 장치(71)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선단 부재(73aa, 73bb)가 연결방(7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제1·제2 링크(73a, 73b)에 대하여 회동하고, 항상 연직 상향으로 개구 부분이 향하도록 장착된 왕복 이동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트로프(72)의 이면 측으로부터 돌출한 원통형의 부재(72a, 72b)를 지지하는 선단 부재(73aa, 73bb)가, 항상 개항 부분이 연직 상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중에 트로프(72)가 제1·제2 링크(73a, 73b)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쌍방의 경우에 있어서, 트로프(72)를 제1·제2 링크(73a, 73b) 상에 놓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트로프 (72)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로프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트로프를 이용하여 반송을 행하는 각종 반송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8)

  1. 반송하는 물품을 놓는 트로프(trough)와,
    상기 물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왕복 이동에서의 후진 이동을 전진 이동보다도 고속으로 행하는 왕복 이동 기구와,
    상기 트로프로부터 돌출한 돌출부
    를 구비하며,
    상기 왕복 이동 기구는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는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연직 상향(上向)인,
    반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있고, 그 중 적어도 1개의 지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는,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을 향한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 부재는, 상기 물품의 반송 방향에서의 후측의 지지 부재이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開口) 측은 상기 물품의 반송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트로프의 측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반송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트로프의 측면의 일방(一方) 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반송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트로프의 후측 부근에서 상기 트로프를 지지하고 있는,
    반송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조합 계량 장치.
KR1020057016614A 2004-03-26 2005-03-11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 KR100724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2213 2004-03-26
JPJP-P-2004-00092213 2004-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864A true KR20060059864A (ko) 2006-06-02
KR100724233B1 KR100724233B1 (ko) 2007-05-31

Family

ID=3505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614A KR100724233B1 (ko) 2004-03-26 2005-03-11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39454B2 (ko)
EP (1) EP1728740A4 (ko)
JP (1) JPWO2005092748A1 (ko)
KR (1) KR100724233B1 (ko)
CN (1) CN1805891B (ko)
WO (1) WO2005092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4984B2 (en) * 2005-01-20 2010-07-13 Ishida Co., Ltd. Transportation device and combinational weig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976364B1 (en) * 2007-03-30 2011-09-07 Mydata Automation AB A mechanical interface
JP2011035022A (ja) * 2009-07-30 2011-02-17 Murata Machinery Ltd 天井搬送車
CA2793336C (en) * 2012-10-26 2020-08-04 Countlab Inc. Retaining device for a vibration tray
CN103043386A (zh) * 2012-12-26 2013-04-17 新乡市高服筛分机械有限公司 一种输送方向可选择的振动给料机
US11287141B2 (en) * 2019-09-30 2022-03-29 Midea Group Co., Ltd. Articulating rack for a cooking appliance
CN113651079A (zh) * 2021-10-20 2021-11-16 邳州利康沃智能康复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生产用夹持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274Y1 (ko) * 1970-01-10 1975-06-26
JPS5021274U (ko) 1973-06-23 1975-03-11
JPS57175612A (en) 1981-04-20 1982-10-28 Shinko Electric Co Ltd Different-speed reciprocating conveyor
US4593603A (en) * 1984-07-09 1986-06-10 Johnson Leroy A Asymmetrically accelerated vibrator for feeding materials
US4962896A (en) * 1989-01-12 1990-10-16 Carrier Vibrating Equipment Co. Conveyor having a material attenuating device, and a material attenuating device therefor
JPH0645857Y2 (ja) 1991-04-02 1994-11-24 株式会社イシダ 自動計量装置におけるトラフ取り付け構造
US5445261A (en) * 1992-02-03 1995-08-29 Ishida Co., Ltd. Mechanism for attaching trough to vibrating feeder
US5467859A (en) * 1994-01-19 1995-11-21 Vibro Industries, Inc. Vibrator for transporting articles
JP3485630B2 (ja) 1994-04-15 2004-01-13 株式会社イシダ 加振式搬送装置のトラフ取り付け構造
US5704466A (en) * 1996-02-23 1998-01-06 Upper Limits Engineering Co. Feed tray attachment for vibratory feeder
US5794757A (en) 1996-03-15 1998-08-18 Paul A. Svejkovsky Differential impulse conveyor and method
EP1281941B1 (en) * 2000-05-11 2012-07-04 ISHIDA CO., Ltd. Conveyor device, and article testing unit having the same
US20050126893A1 (en) * 2002-04-19 2005-06-16 Hermann Berger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vibrating conveyor
JP2006273494A (ja) * 2005-03-29 2006-10-12 Ishida Co Ltd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5891A (zh) 2006-07-19
EP1728740A1 (en) 2006-12-06
US20070095579A1 (en) 2007-05-03
EP1728740A4 (en) 2009-06-03
WO2005092748A1 (ja) 2005-10-06
CN1805891B (zh) 2010-05-26
KR100724233B1 (ko) 2007-05-31
US7439454B2 (en) 2008-10-21
JPWO2005092748A1 (ja)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233B1 (ko)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합 계량 장치
JP7022357B2 (ja)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し装置
CN104076161A (zh) 分析装置
CN110785364B (zh) 用于运输袋的装料的装置
EP2591901A1 (en) Pellet dosing apparatus
CN108024907B (zh) 药剂运送装置
JP7194893B2 (ja) 散薬秤量装置
CN113195384A (zh) 离散零件的高输出灵活进给
US20090277132A1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and bag-manufacturing and packaging system and combination weigh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JP2005272132A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JP4025356B2 (ja) 計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US7332680B2 (en) Conveying device having container order changing mechanism, and combination weighing device and quality inspection device provided therewith
JP2005272133A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JP4625689B2 (ja) 容器受渡し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計量装置
US7390981B2 (en) Weighing device for weighing target object in container, combination weigh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weighing method
JP3964377B2 (ja) 計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計量方法
JP2852832B2 (ja) 分散供給装置
JP2005140732A (ja) 計量装置
JP2005257418A (ja) 組合せ計量装置
JP4322085B2 (ja) 排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計量装置、排出方法
JP2005112458A (ja) 排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計量装置、排出方法
EP3868499A1 (en) Metal powder fusion manufacturing with improved quality
JP2023072732A (ja) 薬剤供給装置
JP2005257419A (ja) 組合せ計量装置
JP2003057099A (ja) 物品の計量方法及び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