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637A -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 - Google Patents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637A
KR20060058637A KR1020050112081A KR20050112081A KR20060058637A KR 20060058637 A KR20060058637 A KR 20060058637A KR 1020050112081 A KR1020050112081 A KR 1020050112081A KR 20050112081 A KR20050112081 A KR 20050112081A KR 20060058637 A KR20060058637 A KR 2006005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base
mobile communication
pilot signal
hand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005B1 (ko
Inventor
가츠야 미야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먼저, 현재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과, 상기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B)을 측정하고,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전송상황에 응한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D)을 취득하는 동시에 핸드오프 임계값(C)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B)과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의 차가 핸드오프 임계값(C)과 보정값(D)의 합보다도 컸을 경우에는 유휴 핸드오프를 개시한다. 이로 인해 같은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송신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쉽게, 그렇지 않은 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어렵게 한다.
파일럿, 수신레벨, 핸드오프, 콘텐츠, 기지국, 유휴

Description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HANDOFF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인접기지국과 해당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제 1 데이터 구조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인접기지국과 해당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제 2 데이터 구조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인접기지국과 해당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제 3 데이터 구조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 갱신절차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 갱신절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 101: 송수신부
102: 변복조부 103: 기억부
104: 표시부 105: 키입력부
106: 음성입출력부 107: 제어부
301: 멀티캐스트콘텐츠ID 302: 인접기지국
303: 전송상황 401: 멀티캐스트콘텐츠ID
402: 전송기지국 수 403: 인접기지국
501: 인접기지국 502: 멀티캐스트콘텐츠 수
503: 멀티캐스트콘텐츠ID 901: 인접기지국
902: 핸드오프 임계값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이나 음성 등의 콘텐츠를 ADSL이나 FTTH과 같은 유선브로드밴드회선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방송방식으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캐스트서비스에는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로 대표되는 IP멀티캐스트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휴대전화의 보급 고기능화에 따라 무선에 의한 멀티캐스트서비스제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휴대전화를 이용한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1-308856호 공보 참조). 각 셀에는 멀티캐스트서비스용으로 마련된 순방향 트래픽채널이 있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이동기기가 이 동일한 채널을 모니터하게 된다. 또한, 멀티캐스트서비스이용중의 이동기기가 각 셀 사이를 이동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유휴 핸드오프처리를 행하며, 그 후 이동할 셀에서 다시 멀티캐스트서비스의 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자동차ㆍ휴대전화방식에서는 한정된 주파수구분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무선존(zone)을 세밀하게 나눈 이른바 셀 구성을 만들어 일정구간의 셀마다 주파수를 반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핸드오프(핸드오버)라고 함은 지금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할 곳의 셀 기지국에 접속을 바꾸는 제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수평 핸드오프는 같은 무선시스템간의 핸드오프이며, 수직 핸드오프는 다른 무선 시스템간의 핸드오프이다.
유휴 핸드오프 제어라는 것은 유휴(대기수신상태)일 때에 기지국의 접속을 바꾸는 제어를 말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유휴 핸드오프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제 1 셀에서 유휴상태로 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이 제 2 셀 쪽으로 이동한다.
(2) 제 1 셀의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서서히 낮아지고, 제 2 셀의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서서히 높아진다.
(3) 제 2 셀의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과 제 1 셀의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의 차가 어떤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제 2 셀에서 대기수신처리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소정값이라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유휴 핸드오프에는 수신레벨이 높은 파일럿신호를 적극적으로 포착함으로써 양호한 착신율을 실현하는 역할이 있는 한편, 빈번하게 유휴 핸드오프하는 것은 소비전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에 응하여 가변시키거나(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11(1999)-113042호 공보 참조) 또한, 파일럿신호 수신레벨의 순간값이 아닌 시간적으로 평균값을 이용하기도 하여(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6(1994)-335051호 공보 참조), 돌발적인 전파환경의 변동에 의해 유휴 핸드오프 횟수가 늘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캐스트서비스이용중일 경우, 반드시 적극적으로 수신레벨이 높은 파일럿신호를 포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각 셀에서 송신되는 멀티캐스트콘텐츠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 1 셀에서 전송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제 2 셀에서는 송신되고 있지 않은(송신할 수 없다) 경우를 생각해 본다. 상기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셀에서 제 2 셀로 이동하거나, 혹은 제 1 셀과 제 2 셀의 경계 근방에서 계속 머물고 있으면, 제 2 셀 파일럿신호가 강하게 되어, 제 1 셀에서 제 2 셀로 유휴 핸드오프해 버릴 경우가 있다. 제 2 셀로 유휴 핸드오프해 버리면 제 2 셀에서는 해당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수신을 계속할 수 없다. 이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 수신상태가 나빠도 해당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해당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기지국에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쉽게 하고, 그렇지 않은 기지국에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콘텐츠수신에 있어서의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 제어방법은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서 송신되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이동통신단 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스텝;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을 기초로 핸드오프 임계값을 조정하는 스텝;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의 차가 상기 핸드오프 임계값과 같거나 혹은 커졌을 때에 핸드오프 처리를 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 제어방법은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송신상황을 취득하는 스텝;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스텝;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커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의 후보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 제어방법은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 송상황을 취득하는 스텝;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스텝;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혹은 작아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의 후보에서 삭제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체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제 1 측정수단; 상기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서 송신되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제 2 측정수단;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전송상황취득수단;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 임계값을 조정하는 조정수단;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의 차가 상기 핸드오프 임계값과 같거나 혹은 커졌을 때에 핸드오프 처리를 개시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 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인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전송상황취득수단; 적 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추가판정 임계값 결정수단;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혹은 커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 후보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 을 갖춘다.
더욱이, 다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인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전송상황취득수단;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삭제판정 임계값 결정수단;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혹은 작아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 후보에서 삭제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 을 갖춘다.
이하, 본 발명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제 1 실시형태
A-1.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100)은 송수신부(101), 변복조부(102), 기억부(103), 표시부(104), 키입력부(105), 음성입출력부(106), 제어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부(101)는 무선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한다. 또한, 송수신부(101)는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한 신호, 특히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한다. 변복조부(102)는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변조ㆍ복조를 수행한다. 기억부(103)는 프로그램, 음성, 영상, 메일, 웹, 기타 사용자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기억부(103)는 통신단말에 내장된 메모리, 탈착이 가능한 메모리카드 등의 외부메모리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표시부(104)는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표시화면으로 수신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영상이나 메일, 웹, 기본조작화면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4)는 메인화면, 서브화면 등의 복수의 표시화면을 갖추고 있어도 상관없다. 키입력부(105)는 숫자키, 기능키, 터치 패널, 음성입력 등에 의해 사용자들이 보내는 입력을 받아들인다. 음성입출력부(106)는 입력된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부를 갖추고 있다.
제어부(107)는 이동통신단말 전체 즉, 송수신부(101), 변복조부(102), 기억부(103), 표시부(104), 키입력부(105), 음성입출력부(106)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입력부(105)를 통하여 음성통화조작을 했을 경우, 제어부(107)는 기억부(103)에 저장된 음성통화용의 통신회선 확보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송수신부(101)를 제어해서 통신회선을 확보한다. 통신회선이 확보되면, 그 취지를 표시부(104)에 표시하고, 음성입출력부(106)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복조부(102)에 의해 변조시켜 송수신부(101)를 통해 통화 상대에게 송신하며, 한편, 송 수신부(101)를 통해서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변복조부(102)에 의해 복조하여 음성입출력부(106)에서 음성신호로서 출력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송수신부(101) 및 변복조부(102)를 통해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기억부(103)에 저장된 멀티캐스트콘텐츠재생프로그램을 기초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재생을 수행하여 그 영상을 표시부(104)에 표시하고, 음성을 음성입출력부(106)에서 출력시키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A-2. 제 1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으로, 도 2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0)은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정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유휴 핸드오프를 실행하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을 찾는다. 이하에 스텝마다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07)는 현재 이동통신단말(100)이 대기수신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이것을 제 1 파일럿신호라고 함)의 수신레벨을 송수신부(101)를 통해서 측정한다(스텝S10). 이것은 순간값 또는 시간평균값이라도 좋다. 이 수신레벨의 값을 “A”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중 어느 하나(이것을 제 2 파일럿신호라고 함)의 수신레벨을 송수신부(101)를 통해서 측정한다(스텝S12). 이것도 순간값 또는 시간평균값이라도 좋다. 이 수신레벨의 값을 “B”로 한다.
더구나, 상기 제 2 파일럿신호는 제 1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과는 다 른 기지국에서 송신된다고 했지만, 동일 기지국이 복수의 셀들을 가지고 각 셀들에 다른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파일럿신호와 제 1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동일한 곳이라도 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0)이 복수의 파일럿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에 해당하는 파일럿신호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해당하는 모든 제 2 파일럿신호의 수만큼 본 시퀀스를 반복하거나 수신레벨이 가장 높은 것에 대해서만 본 시퀀스를 적용하거나, 수신레벨이 높은 것 중 몇 개에 대해 본 시퀀스를 적용하거나 하는 방법들을 생각할 수 있다.
2개의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 B)을 측정한 후, 제어부(107)는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이용중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4). 이 판정은 기억부(103)에 저장된 멀티캐스트콘텐츠재생프로그램이 작동중인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송수신부(101) 및 변복조부(102)를 통해서 멀티캐스트서비스용의 제어메시지를 교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이용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제어부(107)는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를 취득한다(스텝S16). 일반적인 멀티캐스트서비스에서는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기지국들은 자기가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멀티캐스트콘텐츠ID나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송신조건(주파수나 전송레이트 등)들을 포함하는 제어메시지(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를 지역 내의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고 있다.
한편의 이동통신단말(100)은 상기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를 수 신하고, 수신한 상기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에서 멀티캐스트콘텐츠ID나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송신조건을 취득하며,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개시한다. 따라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개시한 시점에서 제어부(107)는 해당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를 기억부(103)에 기억시키고, 스텝S16에서 이것을 읽어내면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스텝S16에서 취득한 멀티캐스트콘텐츠ID로 특정되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것이 인접기지국에서도 전송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송신상황을 취득한다(스텝S18). 구체적인 예로서,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에 자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 뿐만 아니라, 인접기지국과 해당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에서 취득하면 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는 인접기지국과 해당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와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에서는 멀티캐스트콘텐츠ID(301)와 인접기지국(302)과 각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인접기지국들에게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303)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에서는 멀티캐스트콘텐츠ID(401)와 각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 가능한 인접기지국들 수(402), 각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 가능한 인접기지국(403)을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에서는 인접기지국(501)과 각 인접기지국들에서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 수(502), 각 인접기지국들에서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ID(503)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은 한 예로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멀티캐스트콘텐츠ID와 그것을 전송하는 인접기지국과의 대응관계가 알 수 있으므로 스텝S16에서 취득한 멀티캐스트콘텐츠ID로 특정되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것이 스텝S12에서 수신레벨을 측정한 제 2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에서 전송 가능한지의 전송상황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에서 취득하는 이외에 네트워크상의 서버에서 취득하는 방법이라도 된다.
인접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상기 전송상황에 응한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을 취득한다(스텝S20). 이 보정값을 “D”라고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2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에서 스텝S16에서 취득한 멀티캐스트콘텐츠ID로 특정되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것이 전송 가능하였을 경우에는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으로서 마이너스의 값을 선택하고, 전송 불가능하였을 경우에는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으로서 0을 선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송 가능하였을 경우에는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으로서 0을 선택하고, 전송 불가능이었을 때에는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으로서 플러스의 값을 선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전송 가능한 기지국 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쉽게 하고, 전송 불가능한 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어렵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콘텐츠 전송 불가의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프 임계값을 무한대로 하면 멀티캐스트콘텐츠 전송 불가한 기지국에는 유휴 핸드오프를 하지 못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 외에도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면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 선택방법은 상기 예의 이외라도 된다.
한편, 스텝S14에 있어서 멀티캐스트서비스이용중이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경우에는 제어부(107)는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으로서 0을 선택한다(스텝S22). 이것은 통상적인 유휴 핸드오프 제어를 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S20 또는 스텝S22에 있어서, 핸드오프 임계값의 보정값(D)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핸드오프 임계값을 취득한다(스텝S24). 이 핸드오프 임계값을 “C”라고 한다. 이 핸드오프 임계값(C)은 일반적인 유휴 핸드오프 제어에 이용되는 것이며, 기억부(103)에 기억된 고정값이고,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에 응한 가변값이기도 하다.
핸드오프 임계값(C)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B)과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의 차가 핸드오프 임계값(C)과 보정값(D)의 합보다도 큰지의 여부, 즉 부등식 B-A>C+D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6). 그리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였을 경우에 유휴 핸드오프를 개시하고(스텝S28),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 은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쉽고, 그렇지 않은 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어렵게 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유휴 핸드오프에 의해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기회를 줄일 수 있다.
B.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구나, 이동통신단말(100)의 구성은 도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높아진 기지국을 유휴 핸드오프할 후보가 될 기지국(후보집합이라고 함)으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스텝마다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07)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송수신부(101)를 통하여 측정한다(스텝S30). 이 수신레벨을 “A”라고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파일럿신호라는 것은 이동통신단말(100)이 대기수신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와, 그것과는 다른 기지국들 중 유휴 핸드오프할 후보로 되어 있는 곳들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 조건에 해당하는 파일럿신호가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파일럿신호의 수만큼 본 시퀀스를 반복하여도 된다.
이하, 스텝S32∼S3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스텝S14∼S18까지의 처리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36까지에 있어서, 인접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기지국을 후보집합에 추가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파일럿신호 수신레벨 의 임계값(T_Add)의 보정값을 상기 전송상황에 응하여 취득한다(스텝S38). 이 보정값을 “C”라고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에서 스텝S34로 취득한 멀티캐스트콘텐츠ID로 특정되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것이 전송 가능하였을 경우에는 T_Add 보정값으로서 마이너스의 값을 선택하고, 전송 불가였을 경우에는 T_Add 보정값으로서 0을 선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송 가능하였을 경우에는 T_Add 보정값으로서 0을 선택하고, 전송 불가였을 때에는T_Add 보정값으로서 플러스의 값을 선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전송 가능한 기지국은 후보집합에 추가되기 쉽고, 전송 불가의 기지국에서는 후보집합에 추가되기 어렵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전송 불가능한 기지국에 대한 T_Add 보정값을 무한대로 하면,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전송 불가능한 기지국들을 후보집합에 추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 외에도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면 T_Add 보정값 선택방법은 상기 예의 이외라도 상관없다.
한편, 스텝S32에 있어서 멀티캐스트서비스이용중이 아니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07)는 T_Add 보정값(C)으로서 0을 선택한다(스텝S40). 이것은 통상적인 후보집합추가처리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S38 또는 스텝S40에 있어서 T_Add 보정값(C)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T_Add를 취득한다(스텝S42). 이 T_Add의 값을 “B”라고 한다. 이 T_Add(B)는 일반적인 후보집합추가처리에 이용되는 것이며, 기억부(103)에 기억된 고정값 이기 도 하고, 대기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에 응한 가변값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T_Add(B)를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이 T_Add(B)와 보정값(C)의 합보다도 큰지의 여부 즉, 부등식 A>B+C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44). 그리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을 후보집합에 추가하고(스텝S46),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은 후보집합에 추가되기 쉽고, 그렇지 않은 기지국은 후보집합에 추가되기 어렵게 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유휴 핸드오프에 의해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기회를 줄일 수 있다.
C.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구나, 이동통신단말(100)의 구성은 도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낮아진 기지국들을 유휴 핸드오프할 후보가 되는 기지국(후보집합)에서 삭제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스텝마다 동작을 성명한다.
먼저, 제어부(107)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송수신부(101)를 통해서 측정한다(스텝S50). 이 수신레벨을 “A”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파일럿신호라는 것은 이동통신단말(100)의 유휴 핸드오프할 후보가 되어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들 중 하나를 말한다. 이 조건에 해당하는 파일럿신호가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파일럿신호의 수만큼 본 시퀀스를 반복하여도 된다.
이하, 스텝S52∼S56까지의 처리는 도 6의 스텝S32∼S36까지의 처리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56에 있어서 인접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기지국을 후보집합에서 삭제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파일럿신호 수신레벨의 임계값(T_Drop)의 보정값을 상기 전송상황에 응하여 취득한다(스텝S58). 이 보정값을 “C”라고 한다. 구체적인 예는 나타내지 않지만 스텝S38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다. 이것에 의해 전송 가능한 기지국은 후보집합에서 삭제되기 어렵고, 전송 불가능한 기지국은 후보집합에서 삭제되기 쉽게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같은 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T_Drop 보정값의 선택방법은 상기 예의 이외라도 상관없다.
한편, 스텝S52에 있어서 멀티캐스트서비스이용중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제어부(107)는 T_Drop 보정값(C)으로서 0을 선택한다(스텝S60). 이것은 통상적인 후보집합삭제처리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S38 또는 스텝S40에 있어서 T_Drop 보정값(C)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T_Drop을 취득한다(스텝S62). 이 T_ Drop의 값을 “B”라고 한다. 이 T_ Drop(B)은 일반적인 후보집합삭제처리에 이용되는 것이며, 기억부(103)에 기억된 고정값이기도 하고, 대기수신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에 응하는 가변의 값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T_ Drop(B)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해당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이 T_Drop(B)과 보정값(C)의 합보다도 작은지 아닌지, 즉 부등식 A<B+C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4). 그리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들을 후보집합에서 삭제하고(스텝S66),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은 후보집합에서 삭제되기 어렵고, 그렇지 않은 기지국은 후보집합에서 삭제되기 쉽게 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유휴 핸드오프에 의해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기회를 줄일 수 있다.
D.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100)의 구성은 도 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0)은 도 8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정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유휴 핸드오프를 실행하는데 가장 좋은 타이밍을 찾는다. 이하, 스텝마다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S70 및 스텝S72는 도 2에 나타내는 스텝S101 및 스텝S12와 같은 처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개의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 B)을 측정한 후, 제어부(107)는 기억부(103)에 기억된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에서 핸드오프 임계값을 취득한다(스텝S74). 이 핸드오프 임계값을 “C”라고 한다.
여기에서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 예를 도 9에 나타낸다.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은 인접기지국(901)과 핸드오프 임계값(902)을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핸드오프 임계값(902)의 초기값에는 일반적인 유휴 핸드오프 제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값이 이용되고, 기억부(103)에 기억된 고정값이기도 하며, 이동통신단말이 대기수신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에 응하는 가변의 값이기도 하다. 이 핸드오프 임계값을 멀티캐스트서비스의 이용상황에 응하여 갱신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더구나, 도 9에 나타낸 것은 하나의 예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텝S74의 구체적인 동작으로서 제어부(107)는 제 2 파일럿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을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에서 탐색하고, 그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프 임계값을 읽어낸다. 핸드오프 임계값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B)과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A)의 차가 핸드오프 임계값(C)보다도 큰지의 여부, 즉 부등식 B-A>C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6). 그리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였을 경우에는 유휴 핸드오프를 개시하고(스텝S78),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의 갱신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0 및 도 11은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의 갱신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개시 때에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의 갱신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개시하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기지국에서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놓는다(스텝S80). 이것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100)은 그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수신 가능한지를 알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개시가 요구되는 것을 기다린다(스텝S82).
그리고 키입력부(105)를 통한 사용자조작 등에 의하여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개시가 요구되면 제어부(107)는 해당 멀티캐스트콘텐츠의 ID를 취득한다(스텝S84).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스텝S84에서 취득한 멀티캐스트콘텐츠ID로 특정되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것이 인접기지국에서도 전송되어 있는지 여부의 전송상황을 취득한다(스텝S86). 이것은 도 2에 나타내는 스텝S18과 같은 처리이다.
다음으로, 인접기지국에서의 송신상황을 취득한 후, 제어부(107)는 상기 송신상황에 응하여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을 갱신한다(스텝S88). 구체적인 예로서는 초기상태에 있어서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이 도 9의 T900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모든 기지국에 대해 같은 핸드오프 임계값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기지국(b)에서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콘텐츠를 전송하고 있으므로 T900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 핸드오프 임계값을 작은 값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b)에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d)에서는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 핸드오프 임계값을 큰 값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같은 T900b) 기지국(d)에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은 하나의 예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전송상황 이외의 요인에 기초하여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 블을 갱신하여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종료할 때에는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을 초기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1은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을 갱신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중에는 계속적으로 기지국에서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스텝S90). 다음으로, 수신한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의 내용이 전회에 수신했던 것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2). 그리고 갱신되어 있지 않았다면 그대로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메시지의 내용이 전회부터 갱신되어 있다면 현재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수신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4). 그리고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중이라면 그대로 해당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중일 경우에는 스텝S96∼S100까지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것들은 도 10에 나타내는 스텝S84∼S88까지의 처리와 같은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핸드오프 임계값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유휴 핸드오프 제어에 의하여 현재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같은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인접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쉽고, 그렇지 않은 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휴 핸드오프하기 어렵게 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유휴 핸드오프에 의해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기회를 줄일 수 있다.
더구나, 상기한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후보집합에의 추가처리나 후보집합에서의 삭제처리를 하는 예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7)가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을 실행하지만 통상적인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을 실행하는지를 사용자조작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의 스텝S26, 도 6의 스텝S44, 도 7의 스텝S64, 도 8의 스텝S76에서 조건식을 만족시키면 바로 유휴 핸드오프를 개시한다로 하였지만, 조건식을 만족시킨 후에 소정의 시간만 채터링을 감시하고 나서 유휴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방법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것도 유휴 핸드호프 제어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다른 핸드오프 제어에 있어서도 같은 제어방법이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휴 핸드오프에 의해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수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기회를 줄일 수 있어 멀티캐스트콘텐츠를 수신할 때의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되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송신상황을 취득하는 스텝;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을 기초로 핸드오프 임계값을 조정하는 스텝; 및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의 차가 상기 핸드오프 임계값과 같거나 커졌을 때에 핸드오프처리를 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2.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송신상황을 취득하는 스텝;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스텝; 및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커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의 후보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3.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스텝;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스텝;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을 기초로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스텝; 및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작아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의 후보에서 삭제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4.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상황은 상기 인접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전송되어 있는지, 전송 가능하지만 전송되어 있지 않은지, 또는 전송 불가능한 것인지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5.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스텝은 상기 인접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에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는 상기 무선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는 상기 무선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인접 무선기지국에 의하여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제어방법.
  8.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제 1 측정수단;
    상기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되는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제 2 측정수단;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전송상황취득수단;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에 기초하여 핸드오프 임계값을 조정하는 조정수단; 및
    상기 제 2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제 1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의 차가 상기 핸드오프 임계값과 같거나 커졌을 때에 핸드오프처리를 개시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9.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전송상황취득수단;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을 기초로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추가판정임계값 결정수단; 및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추가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커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의 후보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0.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위치하는 무선기지국의 인접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수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콘텐츠와 동일한 멀티캐스트콘텐츠의 상기 인접 무선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취득하는 전송상황취득수단;
    적어도 상기 전송상황을 기초로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을 결정하는 삭제판정임계값 결정수단; 및
    상기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핸드오프할 후보의 삭제판정 임계값과 같거나 작아졌을 때에 해당 파일럿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을 핸드오프할 무선기지국의 후보에서 삭제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1. 제 8 항에서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상황은 상기 인접기지국에서 상기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전송되어 있는지, 전송 가능하지만 전송되어 있지 않은지, 또는 전송 불가능한 것인지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2. 제 8 항에서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상황취득수단은 상기 인접기지국에서의 전송상황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하여 송신되는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에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는 상기 무선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인접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서비스기지국정보 메시지는 상기 무선기지국이 전송 가능한 멀티캐스트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해당 멀티캐스트콘텐츠가 인접 무선기지국에 의하여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KR1020050112081A 2004-11-25 2005-11-23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 KR10072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9828A JP4181107B2 (ja) 2004-11-25 2004-11-25 ハンドオフ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JPJP-P-2004-00339828 200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37A true KR20060058637A (ko) 2006-05-30
KR100726005B1 KR100726005B1 (ko) 2007-06-08

Family

ID=3646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081A KR100726005B1 (ko) 2004-11-25 2005-11-23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93518B2 (ko)
JP (1) JP4181107B2 (ko)
KR (1) KR100726005B1 (ko)
CN (1) CN17840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16B1 (ko) * 2004-10-28 2007-05-3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단말의 핸드오프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9463B2 (ja) * 2006-07-24 2011-08-3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デジタル無線移動局およびデジタル移動無線システム
US20080081624A1 (en) * 2006-09-29 2008-04-03 Andres Reial Inter-network handover optimization for terminals using advanced receivers
JP4352180B2 (ja) * 2006-11-16 2009-10-2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無線通信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携帯型電子装置、無線通信ハンドオーバシステム
US8718646B2 (en) 2006-12-21 2014-05-06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multimedia content supporting user mobility
KR101098143B1 (ko) * 2007-01-22 2011-12-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US20080227453A1 (en) * 2007-03-13 2008-09-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ell reselection proces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320328B2 (en) 2007-03-19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dependent credit accumulation for mobile handover
US8737353B2 (en) 2007-03-21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50248B2 (en) 2007-03-21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37350B2 (en) 2007-03-21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JP5226767B2 (ja) * 2007-03-21 2013-07-03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周波網内でのrfハンドオ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48757B2 (en) * 2007-03-21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457064B2 (en) 2007-03-21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JP4941039B2 (ja) * 2007-03-23 2012-05-30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装置
AU2011203320B2 (en) * 2007-03-26 2012-01-19 Fujitsu Limited Pilo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ellular system to which that method is applied
JP4973282B2 (ja) * 2007-03-30 2012-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選択方法及び通信端末
US8565799B2 (en) 2007-04-0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ow data acquisition in a multi-frequency network
JP4896804B2 (ja) * 2007-04-26 2012-03-1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902867B2 (en) * 2007-11-16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Favoring access poin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737295B2 (en) 2007-11-16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Sector identification using sector parameters signatures
US8848656B2 (en) 2007-11-16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Utilizing broadcast signals to convey restricted association information
US9603062B2 (en) 2007-11-16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Classifying access points using pilot identifiers
JP2009147531A (ja) * 2007-12-12 200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7920494B2 (en) * 2008-01-04 2011-04-05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obility measureme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414086B2 (ja) * 2008-02-27 2014-02-1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方法
KR20120062901A (ko) * 2008-03-03 2012-06-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주파수 네트워크에서의 rf 채널 핸드오프
US8570939B2 (en) 2008-03-07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hoosing cyclic delays in multiple antenna OFDM systems
US8411638B2 (en) 2008-06-23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background scanning in OFDMA mobile stations
AU2008358807B2 (en) * 2008-07-04 2013-10-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ation of handover command siz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588773B2 (en) * 2008-08-04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ell search and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688B1 (en) * 2008-10-03 2014-09-30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handoff threshold associated with a slot cycle index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n access terminal handoff
JP5298062B2 (ja) 2010-04-26 2013-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通信システム、セル再選択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457038B1 (en) 2010-10-27 2013-06-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locity based handoff determ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44255B1 (en) 2011-03-24 2014-02-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device access to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nother wireless device
CN102843737B (zh) * 2011-06-24 2015-08-1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CDMA2000 1x网络中的空闲切换方法和终端
US8868119B1 (en) 2012-04-17 2014-10-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arrier frequency mode selection based on device mobility
CN103024945B (zh) * 2012-12-31 2016-03-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自动切换数据网络的方法和系统
JP6148808B2 (ja) * 2013-06-24 2017-06-14 日本無線株式会社 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
US9137716B1 (en) 2013-12-27 2015-09-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ity based frequency band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637772B1 (ko) 2014-12-11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냄새 가속 재현 시험 장치 및 방법
WO2016190254A1 (ja) * 2015-05-22 2016-12-01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無線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9199C (en) 1993-05-07 2003-05-27 Steven J. Willhoff Dual stage rssi handoff trigger
US5577022A (en) * 1994-11-22 1996-11-19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searching technique for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KR100265584B1 (ko) 1997-07-22 2000-09-15 정태기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EP0978508B1 (de) * 1998-08-05 2005-12-14 DSM IP Assets B.V. Herstellung von 4,4'-Diketo-carotinoiden
KR100330412B1 (ko) * 1998-10-15 2002-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이동통신시스템의소프트핸드오프방법
US6507740B2 (en) * 1999-05-18 2003-01-14 Ericsson Inc. Adaptive threshold of handoff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JP3717748B2 (ja) 2000-04-20 2005-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装置及び無線端末
US8068832B2 (en) * 2001-11-19 2011-11-29 Nokia Corporation Multicast session handover
KR100891785B1 (ko) * 2002-04-27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KR20040016540A (ko) * 2002-08-17 200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U2002333921A1 (en) * 2002-10-08 2004-05-0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resources in radio system, and radio system
EP1467586B1 (en) * 2003-04-09 201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ell reselection in an MBM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534277C (en) * 2003-08-22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 reselection method for receiving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b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16B1 (ko) * 2004-10-28 2007-05-3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단말의 핸드오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4077B (zh) 2012-04-18
KR100726005B1 (ko) 2007-06-08
US20060109820A1 (en) 2006-05-25
JP4181107B2 (ja) 2008-11-12
CN1784077A (zh) 2006-06-07
US7693518B2 (en) 2010-04-06
JP2006148836A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005B1 (ko) 핸드오프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단말
CN111149387B (zh) 小区重选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7725106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relating to reselecting cells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3038566B (zh) 路径选择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EP1509050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station, reception station,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th deci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path deciding program
WO2006016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p2p communication interference
US20070173255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relating to reselecting cells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1436060B (zh) 测量配置方法及相关装置
JP2007251652A (ja) 無線lan移動局、無線lanシステム、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プログラム
JP2006333040A (ja) 移動通信端末、着信報知方法および着信報知プログラム
KR20110048570A (ko)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22520770A (ja) 端末測定の処理方法及び端末
CN111988867B (zh) 无线资源控制受限的通信方法及终端设备
JP2001028776A (ja) Phs(登録商標)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US20130196669A1 (en)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060054152A (ko) 이동통신단말 및 그 단말의 콘텐츠재생방법
US20070191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neighbor cell management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317219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33098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재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28103A (ko) 계층적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
US20050070284A1 (en) Method for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JP5020658B2 (ja) 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100657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JP2001251657A (ja) 無線電話装置
JP3865387B2 (ja) 移動体通信装置、チャネル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