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510A - 모의 이동상에서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 - Google Patents

모의 이동상에서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510A
KR20060057510A KR1020050111294A KR20050111294A KR20060057510A KR 20060057510 A KR20060057510 A KR 20060057510A KR 1020050111294 A KR1020050111294 A KR 1020050111294A KR 20050111294 A KR20050111294 A KR 20050111294A KR 20060057510 A KR20060057510 A KR 2006005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desorbent
feed
strea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상드르 니꼴라오
토르스텐 부르크하르트
뤽 볼프
Original Assignee
앵스띠뛰 프랑세 뒤 뻬뜨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앵스띠뛰 프랑세 뒤 뻬뜨롤 filed Critical 앵스띠뛰 프랑세 뒤 뻬뜨롤
Publication of KR2006005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5/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 C10G65/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 C10G25/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with moving sorbents or sorbents dispersed in the oil
    • C10G25/08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with moving sorbents or sorbents dispersed in the oil according to the "moving bed" meth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에 의하여 가스유형 탄화수소 유분을 탈황시켜 10 중량 ppm 미만으로 탈황된 유출물을 95 중량% 초과의 수율로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공급물 중 황-함유 화합물의 모의 이동상 흡착 단계, 라피네이트 증류 단계 및 추출물 증류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의 이동상에서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PROCESS FOR DESULPHURIZING A HYDROCARBON CUT IN A SIMULATED MOVING BED}
본 발명은 모의 이동상 흡착에 의한 증류물형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류물형 유분"이란 증류 간격 150∼450℃에서 원유 증류 또는 접촉 분해와 같은 전환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유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유분을 "가스유"라 하겠으나, 이러한 지칭이 성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증류 간격이 가스유 유분의 증류 간격과 유사하고 황을 함유하는 임의의 탄화수소 유분을 본 발명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방법은, 황 함량이 수십 중량 ppm일 수 있고 2 중량% 또는 3 중량%까지 될 수 있는 처리 공급물로부터 출발하여 10 중량 ppm 이하의 황(S), 또는 5 중량 ppm의 황 또는 1 중량 ppm 미만의 황을 포함하는 탈황 유분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중량 ppm"이란 중량으로 백만부당 부수를 의미하며 10-6kg/kg과 동등하다.
또한, 상기 방법의 가스유 수율은 실질적으로 고정상 방법의 가스유 수율보다 높다.
자동차 연료에 관한 미래의 규정에서는 연료, 특히 가스유에서 황 함량의 큰 감소가 예상된다. 이러한 감소는 자동차 배기 가스 중 황 및 질소 산화물의 양을 제한하려는 의도이다. 유럽 법률에 의하면 가스유 연료 규정에서 황은 2000년부터는 350 중량 ppm, 2005년에는 50 중량 ppm으로 떨어질 것이며 2009년에는 10 중량 ppm으로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연료의 황 함량 규제 변화는, 현행 수소화 처리 접촉 공정을 개선시켜 수소의 실질적인 과소비 및/또는 작동 압력의 증가를 얻거나 또는 가스유의 신규한 강력 탈황 방법을 개발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을 필요로한다.
대안적인 가스유 탈황 방법 중에서 선택적 흡착제 상에서 황-함유 화합물의 흡착에 의한 정제 방법은 종래의 수소화 탈황 방법에 대한 유리한 대안을 제공한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US-A-4 337 156호(UOP 1982)는 KX형 제올라이트 및 1-옥탄올형 탈착제를 사용하여 나프타 유분(초기 비점이 약 70℃이고 최종 비점이 약 220℃인 가솔린 유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당업자가 사용하는 용어)의 모의 이동상(SMB)에 의한 (황-함유, 질소-함유, 산소-함유) 극성 화합물의 분리를 추천한다.
나프타 유분에 존재하는 황-함유 화합물은 티오펜형이며 벤조형이나 디벤조티오펜형은 아닌데, 벤조형이나 디벤조티오펜형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마주치게 되는 것과 같은 증류물의 경우 제거가 가장 곤란한 황-함유 화합물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제US-A-5 454 933호는 "용이한 황" 공정으로서 공지된 황-함유 화합물의 제거를 위한 종래의 수소화 처리 공정과, 비표면적이 800∼1200 m2/g이고 특정 기공 구조를 갖는 활성탄 상에서 어려운 황-함유 화합물을 흡착시키는 공정을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가스유 탈황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어려운 황" 화합물로 칭해지는 제거가 곤란한 상기 황-함유 화합물은 베타-치환된 디벤조티오펜형 방향족에 해당한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흡착 방법은 전체 출발 가스유 공급물의 처리를 위해 설계된 것은 아니며 수소화 전처리를 필요로한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FR-A-02/03314호는 π 전자 수용체에 기초한 착화 고체 상에서 탄화수소 공급물을 탈황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방법은 규정에 맞는 경질 유출물 및 탈황시켜야 할 중질 유출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분별 칼럼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고정상 작동의 경우, 탈황시키고자 하는 생성물의 손실은 탈착제의 기공 부피를 물리적으로 충전시키기 때문에 무지할 수 없다. 상기 특허는 다양한 탈착력을 갖는 상이한 세정 유체를 사용하여 탄화수소의 손실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ㆍ모의 이동상(SMB)으로서 작용하고, 황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및 황을 함유하지 않는 탄화수소에 대하여 선택성이 상이한 흡착 고체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상을 포함하며, 탈착제 도입점 및 추출물 배출점 사이의 제1 구역, 추출물 배출점 및 공급물 도입점 사이의 제2 구역, 공급물 도입점 및 라피네이트 배출점 사이의 제3 구역 및 라피네이트 배출점 및 탈착제 도입점 사이의 제4 구역인 4 이상의 작용 구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흡착 칼럼에서 실시되는, 처리하고자 하는 공급물로부터 황-함유 화합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ㆍ1 이상의 증류 칼럼에서 실시되는 라피네이트 증류 단계로서, 상기 칼럼으로부터 가스유 유출물을 탈착제 스트림과 함께 추출하고 상기 탈착제 스트림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흡착 칼럼에 재순환시키는 단계;
ㆍ1 이상의 증류 칼럼에서 실시되는 추출물 증류 단계로서, 상기 칼럼으로부터 황-함유 불순물을 함유하는 유출물을 실제적으로 순수한 탈착제 스트림과 함께 배출시키고 상기 탈착제 스트림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흡착 칼럼에 재순환시키는 단계
의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증류 간격이 150∼450℃인, 3% 이하의 황을 함유할 수 있는 가스유 유형의 탄화수소 공급물의 고도 탈황 방법으로서 정의된다.
얻어지는 가스유의 황 함량은 일반적으로 10 중량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pp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ppm이며, 유입 공급물에 대한 수율은 일반적으로 97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이다.
본 방법의 변형에서는, 처리하고자 하는 공급물은 모의 이동상 흡착 유닛의 상류에 위치한 증류 칼럼으로 미리 이송되고, 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탈착제로서 사용되는 상부 스트림 및 공급물로서 모의 이동상 흡착제 유닛으로 도입되는 하부 스트림이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공정 흐름도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공급물(1)은 모의 이동상(2)으로서 작동하는 흡착 탈황 유닛으로 유입된다. 이 흡착 탈황 유닛은 정제하고자 하는 공급물(알칸 및 방향족)의 화학군에 대하여 황-함유 화합물의 선택성이 큰 복수개의 상호 연결된 흡착제상이 구비된 1 이상의 흡착 칼럼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 칼럼은, 흡착 공급물 및 탈착제(9b)를 구성하는 혼합물 주입부 및, 탈착제와 혼합된 탈황 가스유를 함유하는 라피네이트(3) 및 탈착제와의 혼합물로서 제거되는 황-함유 화합물을 주로 함유하는 추출물(4)의 배출부에 의하여 정해지는 4 개 이상의 구역을 포함한다.
황-함유 화합물의 탈착 구역(1)은 탈착제(9b) 주입부 및 추출물(4) 배출부 사이에 포함된다.
알칸 및 방향족 탈착 구역(2)은 추출물(4) 배출부 및 흡착 공급물(1) 주입부 사이에 있다.
황-함유 화합물 흡착 구역(3)은 공급물(1) 주입부 및 라피네이트(3) 배출부 사이에 있다.
구역(4)은 라피네이트(3) 배출부 및 탈착제(9b) 주입부 사이에 있으며 알칸 및 방향족을 흡착시킬 수 있다.
스트림(3 및 4) 분리 단계는 예컨대 칼럼의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탈착제를 제거할 수 있는, 라피네이트(3) 및 추출물(4)이 공급된 2 개의 증류 칼럼(5 및 6)에 의하여 실시된다.
10 중량 ppm 미만의 황, 바람직하게는 5 중량 ppm 미만의 황, 더바람직하게는 1 중량 ppm 미만의 황을 함유하는 탈황 가스유 스트림(8)은 칼럼(5)의 헤드로부터 배출되고, 황-함유 화합물 및 질소-함유 화합물의 혼합물(10)은 칼럼(6)의 헤드로부터 배출된다.
이 혼합물 자체는, 예컨대 가스유와 같은 생성 혼합물의 비점과 양립할 수 있는 비점을 가지며 적당한 황 함량을 갖는 정련 스트림과 혼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탈황 공정의 촉매 활성은 처리하고자 하는 황의 유입 농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상기 혼합물은 또한 공급물의 황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재순환 황-함유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종래의 수소화 처리 유닛으로 재순환시킬 수도 있다.
탈착제(9 및 11)는 칼럼(5 및 6)의 하부로부터 회수되어, 증류 칼럼을 거치면서 발생한 임의의 탈착제 손실에 상응하는 탈착제(12)가 임의로 보충된 모의 이동상(SMB) 탈황 유닛(2)으로 돌아가는 스트림(9a)을 형성한다.
여러 스트림(9, 11 및 12)은 모의 이동상 칼럼(2)으로 도입되는 탈착제(9b)의 첨가를 형성한다.
스트림(7)은 모의 이동상 칼럼의 조작에 필수불가결한 재순환 스트림을 구성한다. 이것은 경시적으로 비율이 변화하는 재생 용매 및 가스유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흐름도의 상류에 유닛(1e)에 상응하는 증류 단계를 배치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증류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SMB 흡착 유닛(2)에 이송되는 중질 황-함유 탄화수소 유분(1b) 및, 황 함량이 소정 함량 이하인 경질 탄화수소 유분(1a)을 생성시키는 증류탑(1e)에 공급물(1)을 이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황 유분(1a)은 SMB 흡착 유닛(2)에서 탈착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유사 정상 상태에 도달하면 스트림(1a)의 부분(1d)은 보충 탈착제로서 사용되고 스트림(9a)과 혼합되어 흡착 칼럼(2)의 탈착제 스트림(9b)을 형성한다. 탈황된 경질 탄화수소의 나머지 부분(1c)은 소정 함량을 이미 만족시키므로 시판 가스유에서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본 방법의 변형예에서는, 이미 탈황된 가스유를 당업자에 널리 공지된 종래의 접촉 수소화탈황 유닛에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가스유의 황 함량은 수소화처리 작동 조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황 함량이 10 중량 ppm 내지 1000 중량 ppm일 수 있는 생성 가스유는 도 1 및 2에 상응하는 본 발명 방법의 한 변형 또는 다른 변형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SMB 흡착 유닛에서 사용되는 흡착제는 일반적으로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사용된 촉매, 수지, 찰흙, 가교 찰흙, 환원 금속 또는 산화물 및 이들 상이한 흡착제군에서 가능한 모든 혼합물과 같은 종래의 흡착제군에서 선택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SMB 흡착 유닛에서 사용되는 흡착제는 활성탄류에서 선택되는데, 이것이 황-함유 분자 및 가스유 매트릭스의 나머지 사이에서 충분한 선택성을 갖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활성탄 유형은 비표면적이 1200 m2/g을 초과하고 총 기공 부피가 0.5 cm3/g을 초과하는 것인데, 전구체는 임의의 유형일 수있고 다공성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활성 유형은 물리적 활성 또는 화학적 활성 또는 이 둘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사용되는 고체 흡착제가 무엇이든지,총 기공 부피는 0.5 cm3/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체 흡착제의 세공율에 포함되는 기공 부피 분율은 0.2 cm3/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공율은 직경이 20Å(2 nm, 즉 2 x 10-9 m) 미만인 기공으로서 정해진다.
모의 이동상 흡착 유닛을 구성하는 흡착제상의 수는 일반적으로 24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이다.
탈착제는 질소-함유 화합물, 알콜, 에테르, 방향족, 탈황 경질 유분 또는 임의의 다른 정련 스트림 또는 이들의 혼합물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에컨대, 방향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모의 이동상 분리 유닛에서 공급물에 대한 탈착제의 부피비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0 범위이다.
작동 온도는 상온 내지 처리하고자 하는 탄화수소 유분의 최종 비점 사이이므로 액상 작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50∼350℃, 바람직하게는 50∼250℃ 범위의 온도를 사용한다.
작동 압력은 SMB 탈착 유닛 전체에 걸쳐 반드시 액상이 존재하도록 최경질 화합물의 버블점 및 15 bar 절대(1.5 MPa) 사이이므로 이 방법의 성능은 이 매개변수에 거의 의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상이한 군의 증류물의 유출 순서가 하기와 같도록 비표면적이 1440 m2/g이고 총 기공 부피가 1.7 cm3/g이며 세공율중 기공 부피 분율이 0.35 cm3/g인 활성탄을 고려한다:
ㆍ알칸;
ㆍ방향족: 모노-, 디- 및 트리-;
ㆍ용이한 황(제거하기가 용이한 황-함유 화합물)
ㆍ어려운 황(제거하기가 곤란한 황-함유 화합물)
ㆍ질소-함유 화합물.
황 함량이 낮은(50 중량 ppm의 황) 가스유의 처리 실시예
50 중량 ppm의 황을 함유하는 가스유를, 구역 1 = 3 상; 구역 2 = 5 상; 구역 3 = 5 상; 및 구역 4 = 2 상의 구성을 갖는 4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609.6 cm3의 15상을 구비하는 파일럿 유닛에서 모의 이동상에서 정제하였다.
작동 조건은 하기와 같았다:
온도:210℃
압력: 액체가 회로의 모든 점에 존재할 정도, 즉 3 bar 절대(0.3 MPa);
주입, 배출 및 재순환 유속 및 작동 조건:
공급물: 200.0 cm3/분;
용매: 톨루엔 147.0 cm3/분;
추출물: 57.0 cm3/분
라피네이트: 290.0 cm3/분
재순환 유속(구역 1): 193 cm3/분.
밸브 교체 시간 (또는 기간)은 152.0초이다.
톨루엔 증류 후, 얻어지는 라피네이트는 황 함량이 1.5 중량 ppm인 순도 99.5%의 가스유를 생성시켰다. 흡착제 부피 및 유닛 시간당 생성되는 가스유의 부피로서 표현되는 유닛의 생산성은 1.31 m3/(m3.h)이었다.
황 함량이 높은(1.5%의 황) 가스유의 처리 실시예
1.5 중량%의 황을 함유하는 가스유를, 구역 1 = 3 상; 구역 2 = 5 상; 구역 3 = 5 상; 및 구역 4 = 2 상의 구성을 갖는 4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609.6 cm3의 15상을 구비하는 파일럿 유닛에서 모의 이동상에서 정제하였다.
작동 조건은 하기와 같았다:
온도:210℃;
압력: 액체가 회로의 모든 점에 존재할 정도;
주입, 배출 및 재순환 유속 및 작동 조건:
공급물: 105.0 cm3/분;
용매: 톨루엔 147.0 cm3/분;
추출물: 82.0 cm3/분
라피네이트: 170.0 cm3/분
재순환 유속(구역 1): 193 cm3/분.
밸브 교체 시간 (또는 기간)은 152.0초이다.
톨루엔 증류 후, 얻어지는 라피네이트는 황 함량이 3.5 중량 ppm인 순도 99.5%의 가스유를 생성시켰다. 흡착제 부피 및 유닛 시간당 생성되는 가스유의 부피로서 표현되는 유닛의 생산성은 0.67 m3/(m3.h)이었다.
본 발명 방법에 따르면 흡착에 의하여 가스유형 탄화수소 유분을 탈황시켜 10 중량 ppm 미만으로 탈황된 유출물을 95 중량% 초과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가장 일반적인 본 발명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공정 흐름도의 변형을 도시한다.

Claims (10)

  1. ㆍ모의 이동상(SMB)으로서 작용하고, 황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및 황을 함유하지 않는 탄화수소에 대하여 선택성이 상이한 흡착제 상을 복수개 포함하며, 탈착제(9b) 도입점 및 추출물(4) 배출점 사이의 제1 구역, 추출물(4) 배출점 및 공급물(1) 도입점 사이의 제2 구역, 공급물(1) 도입점 및 라피네이트(3) 배출점 사이의 제3 구역 및 라피네이트(3) 배출점 및 탈착제(9b) 도입점 사이의 제4 구역인 4 이상의 작용 구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흡착 칼럼(2)에서 실시되고, 공급물에 대한 탈착제의 부피비가 0.5∼2.5 범위인, 공급물(1)로부터 황-함유 화합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ㆍ1 이상의 증류 칼럼(5)에서 실시되는 라피네이트(3) 증류 단계로서, 상기 칼럼으로부터 한편으로 탈황 가스유 유출물(8) 및 다른 한편으로 탈착제 스트림(9)을 배출시키고 상기 탈착제 스트림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흡착 칼럼(2)에 재순환시키는 단계;
    ㆍ1 이상의 증류 칼럼(6)에서 실시되는 추출물(4) 증류 단계로서, 상기 칼럼으로부터 한편으로 황-함유 불순물을 함유하는 유출물(10) 및 다른 한편으로 실제적으로 순수한 탈착제 스트림(11)을 배출시키고 상기 탈착제 스트림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흡착 칼럼에 재순환시키는 단계
    의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증류 간격이 150∼450℃인, 3% 이하의 황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공급물의 고도 탈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탈황 가스유(8)의 황 함량은 10 중량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pp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ppm이며, 유입되는 공급물에 대한 수율은 일반적으로 97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인 것인 고도 탈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착 유닛에서 사용되는 고체 흡착제는 비표면적이 1200 m2/g을 초과하고 총 기공 부피가 0.5 cm3/g을 초과하는 활성탄인 것인 고도 탈황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의 세공율에 포함되는 기공 부피 분율이 0.2 cm3/g을 초과하는 것인 고도 탈황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흡착제 유닛의 작동 온도는 50∼350℃ 범위, 바람직하게는 50∼250℃ 범위인 것인 고도 탈황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모의 이동상 흡착 유닛은 24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개 이하의 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도 탈황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모의 이동상 흡착 유닛에서 공급물에 대한 탈착제의 부피비 0.7∼2.0 범위인 것인 고도 탈황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처리하고자 하는 공급물을 모의 이동상 흡착 유닛의 상류에 위치한 증류 칼럼으로 미리 이송시키고, 상기 칼럼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탈착제로서 사용되는 상부 스트림(1a) 및 공급물로서 모의 이동상 흡착 유닛(2)으로 도입되는 하부 스트림(1b)을 배출시키는 것인 고도 탈황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황-함유 화합물 스트림(10)을 연료 오일 유분(연료)에 혼합물로서 이송시키는 것인 고도 탈황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황-함유 화합물 스트림(10)을 수소화탈황 유닛으로 재순환시키는 것인 고도 탈황 방법.
KR1020050111294A 2004-11-23 2005-11-21 모의 이동상에서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 KR20060057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2.415 2004-11-23
FR0412415A FR2878252B1 (fr) 2004-11-23 2004-11-23 Procede de desulfuration d'une coupe hydrocarbonee en lit mobile sim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510A true KR20060057510A (ko) 2006-05-26

Family

ID=3495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294A KR20060057510A (ko) 2004-11-23 2005-11-21 모의 이동상에서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31217A1 (ko)
EP (1) EP1666568A1 (ko)
JP (1) JP2006144020A (ko)
KR (1) KR20060057510A (ko)
CN (1) CN1800309A (ko)
FR (1) FR2878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0808A (zh) * 2006-01-30 2012-07-25 高级技术材料公司 纳米多孔碳材料,以及利用其的系统和方法
US9315733B2 (en) * 2006-10-20 2016-04-19 Saudi Arabian Oil Company Asphalt production from solvent deasphalting bottoms
FR2910457B1 (fr) * 2006-12-22 2009-03-06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urification par adsorption d'hydrogene avec cogeneration d'un flux de co2 en pression
US20130270155A1 (en) * 2010-11-19 2013-10-17 Indian Oil Corporation Limited Process for desulfurization of diesel with reduced hydrogen consumption
US8679231B2 (en) 2011-01-19 2014-03-25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PVDF pyrolyzate adsorbent and gas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utilizing same
CN105542835B (zh) 2015-12-11 2017-08-25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模拟移动床吸附分离多环芳烃的方法
CN105368482B (zh) * 2015-12-11 2017-07-28 中海油天津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多塔并联吸附脱除柴油中多环芳烃的方法
CN105542849B (zh) * 2015-12-11 2017-06-23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由劣质柴油生产清洁柴油和轻质芳烃的方法
CN105349175B (zh) * 2015-12-11 2018-03-13 中海油天津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同时吸附脱除柴油中的硫化物和芳烃的方法
CN106244225B (zh) * 2016-08-12 2018-12-14 中国昆仑工程有限公司 实现重芳烃高效分离的模拟移动床吸附分离方法
WO2020174610A1 (ja) * 2019-02-27 2020-09-03 日揮グローバル株式会社 炭素系吸着材の再生方法及び炭素系吸着材の再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5589A (en) * 1957-05-22 1961-05-23 Universal Oil Prod Co Continuous sorption process employing fixed bed of sorbent and moving inlets and outlets
US4337156A (en) * 1980-09-23 1982-06-29 Uop Inc. Adsorptive separation of contaminants from naphtha
US5454933A (en) * 1991-12-16 1995-10-03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Deep desulfurization of distillate fuels
US5710092A (en) * 1993-10-25 1998-01-20 Westvaco Corporation Highly microporous carbon
US6482316B1 (en) * 1999-06-11 2002-11-1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Adsorption process for producing ultra low hydrocarbon streams
FR2837212B1 (fr) 2002-03-18 2004-10-01 Total Raffinage Distribution Procede de deazotation de charges hydrocarbonees en presence d'une masse polymerique
WO2003097771A1 (fr) * 2002-05-22 2003-11-27 Japan Energy Corporation Agent de desulfuration par adsorption utile pour desulfurer la coupe petroliere et procede de desulfuration comprenant ledit agent
FR2852019B1 (fr) * 2003-03-07 2007-04-2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ulfuration, de deazotation et/ou de desaromatisation d'une charge hydrocarbonee par adsorption par un solide adsorbant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6568A1 (fr) 2006-06-07
CN1800309A (zh) 2006-07-12
US20060131217A1 (en) 2006-06-22
JP2006144020A (ja) 2006-06-08
FR2878252A1 (fr) 2006-05-26
FR2878252B1 (fr) 200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7510A (ko) 모의 이동상에서 탄화수소 유분의 탈황 방법
KR101320813B1 (ko) 경질 유분의 흡착에 의한 탈황 및 중질 유분의수소화탈황을 포함하는 가솔린의 탈황 방법
Babich et al. Science and technology of novel processes for deep desulfurization of oil refinery streams: a review☆
US7780847B2 (en) Method of producing low sulfur, high octane gasoline
KR101895091B1 (ko) 피드/버텀 처리를 갖는 수소화 분해 공정
US7678262B2 (en) Hydrocracking process with recycle, comprising adsorption of polyaromatic compounds from the recycled fraction on an adsorbant based on silica-alumina with a controlled macropore content
US20050040078A1 (en)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hydrocarbonacecus oil
US9011676B2 (en) Process for elimination of mercury contained in a hydrocarbon feed with hydrogen recycling
US20050075528A1 (en) Proess for desulfurization, denitrating and/or dearomatization of a hydrocarbon feedstock by adsorption on a spent solid adsorbent
KR20190103305A (ko) 방향족 및 올레핀계 석유화학물질로의 원유의 전환
JP2005509727A (ja) 精留を伴うストリッピングによる中間分留を含む、中間留出物を水素化処理するための2段プロセス
CA2374660C (en) Adsorption process for producing ultra low sulfur hydrocarbon streams
US7186328B1 (en) Process for the regeneration of an adsorbent bed containing sulfur oxidated compounds
KR100877004B1 (ko) 연료유 수소화 분해공정의 미전환유 및 이의 감압증류분획 유분으로부터 질소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US7670477B2 (en) Desulphurization process comprising a transformation step and a step for extracting sulphur-containing compounds
KR102447296B1 (ko) 올레핀 가솔린을 수소화탈황하는 방법
EP1958691A1 (en) A process for the regeneration of an absorbent bed containing sulfur oxidated compounds
US7744748B2 (en) Process for desulphurizing a hydrocarbon feed by adsorption/desorption
EP0255754B1 (en) Olefin hydrogenation method
US7452459B2 (en) Process for the removal of sulfur-oxidated compounds from a hydrocarbonaceous stream
US10443001B2 (en) Removal of sulfur from naphtha
KR101222719B1 (ko) 석유계 유분으로부터의 황 및 질소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