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030A - 근 위축 억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 위축 억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030A
KR20060057030A KR1020067008605A KR20067008605A KR20060057030A KR 20060057030 A KR20060057030 A KR 20060057030A KR 1020067008605 A KR1020067008605 A KR 1020067008605A KR 20067008605 A KR20067008605 A KR 20067008605A KR 20060057030 A KR20060057030 A KR 2006005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rophy
composition
muscle atrophy
muscle
quantity qua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로 마쓰모토
가에 야나기사와
마사오 사쿠라이
고지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과실, 예를 들면, 장미과 과실로부터 분리 정제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근 위축, 특히 폐용성 근 위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조성물은 폐용성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를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근 위축 억제 조성물, 폐용성 근 위축, 산화형 글루타티온, 과실 폴리페놀, 골 중량, 골 염량, 가자미근, 산화 스트레스

Description

근 위축 억제 조성물 {Compositions inhibiting muscle atrophy}
본 발명은 근 위축 억제 조성물 및 골 중량 및 골 염량(骨鹽量) 저하 억제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억제 조성물 및 폐용성(廢用性)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 위축(muscular atrophy)은 크게 비활동성(폐용성) 근 위축(disuse atrophy)과 진행성 근 위축(progressive muscular atrophy)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진행성 근 위축에는, 예를 들면, 근 위축성 측색(側索) 경화증, 진행성 척수성 근 위축, 쿠겔버그-벨란더 질환, 베르드니히-호프만 질환 등의 신경원성 근 위축(neurogenic atrophy) 및, 예를 들면, 진행성 근 이영양증(dystrophy)[듀시엔형, 베커형, 지대(肢帶)형, 안면형갑상완형, 근 긴장성 이영양증] 등의 근원성 근 위축(myogenic atrophy)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도 석고 고정에 의한 폐용성 근 위축시에는, 위축된 근육내에서 TBA(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 양성물질(TBARS)의 증가, 산화형 글루타티온(GSSG)의 증가, 총 글루타티온에 대한 GSSG의 비의 증가가 확인되며, 지질 과산화반응의 항진 및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가 시사되고 있다[참조: Kondo, H. et al., Acta. Physiol. Scand., 142, 527-528(1991)]. 위축근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위축근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고 있는 사실에 의해서도 시사되고 있다[참조: Kondo, H. et al., Am. J. Physiol., 265, E839-E844(1993)]. 또한, 석고 고정에 의한 폐용성 근 위축시에는, 위축된 근육의 마이크로좀 분획에서 철의 증가와 함께 TBARS의 증가가 보여지며 이러한 철의 증가가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생성을 증대시키고, 이로써 과산화 지질이 증가하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참조: Kondo, H. et al., Acta. Physiol. Scand., 142, 527-528(1991)].
따라서, 산화 스트레스가 폐용성 근 위축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산화 스트레스가 폐용성 근 위축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이 항산화 물질로서 비타민 E를 투여하는 시험에서 검토되어 있으며[참조: Kondo, H. et al., Acta. Physiol. Scand., 142, 527-528(1991)], 위축근의 산화 스트레스를 비타민 E가 경감시키며, 이로써 근 위축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아펠(Appell) 등에 의해서도 비타민 E의 복강내 투여에 의해 석고 고정에 의한 폐용성 근 위축이 억제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참조: Appell, H.-J. et al., Int. J. Sports Med., 18, 157-160(1997)].
또한, 폐용성 근 위축시의 위축된 근육에서 철의 증가가 근 위축의 진행에 관여하는지 여부를 철 킬레이트화제로서 데페록사민(DFX)의 투여에 의해 검토한 보고가 있으며[참조: Kondo, H. et al., Pflugers Arch., 421, 295-297(1992)], 당해 보고에 따르면 철이 폐용성 근 위축의 산화 스트레스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
한편, 폴리페놀이 라디칼 스케빈저 작용에 의한 항산화능을 갖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폴리페놀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류는 라디칼 스케빈저 작용 뿐만 아니라 전이금속의 킬레이트 작용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조: Afanasev, I. B. et al., Biochem. Pharmacol., 38, 1763-1769(1989)].
또한, 지금까지 근육량과 골염 밀도 사이에 플러스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참조: Nichols, D. L., et al., Med. Sci. Sports Exerc., 27, 178-182(1995)], 부동화시에는 근육량의 저하와 함께 골 중량 및 골 염량도 저하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참조: Grobus, R. K., et al., Enfocrinology, 114, 2264-2270(1984); Weinreb, M., et al., Bone, 10, 187-194(1989)].
폴리페놀의 제조법으로서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과실의 미숙(未熟) 과실에서 착즙(搾汁)·추출하여 정제하는 방법[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7-285876호] 또는 포도 과실의 착즙박(lee) 또는 종자를 물에서 70℃ 이상으로 추출할 때에 전처리로서 70℃ 미만에서 물과 접촉시켜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제조법[참조: 일본 특허 제2694748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 위축 억제제, 특히 석고 고정에 의한 폐용성 근 위축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근 위축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관여가 시사되어 있는 폐용성 근 위축의 억제에는 항산화 작용을 갖는 물질의 섭취가 효과적이라는 관점에서 각종 항산화 작용을 갖는 물질에 관하여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특정한 폴리페놀이 폐용성 근 위축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또한 폐용성 근 위축에 따른 골의 건조 중량 및 재(灰)의 중량 저하, 및 골 칼슘 함량 저하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실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 위축 억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폐용성 근 위축 억제 조성물인 근 위축 억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과실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용성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과실 폴리페놀에 관하여 상세하게 기재하면, 당해 과실 폴리페놀로서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실, 특히 사과, 배 및 복숭아의 미숙 과실의 착즙 과즙 또는 추출액에서 정제된 폴리페놀 분획 또는 포도 과실의 착즙박 또는 종자로부터 추출되는 프로안토시아니딘 등을 포함된다. 이러한 폴리페놀 분획의 정제는 착즙 과즙 및 추출액을 흡착제로 처리함으로써 실 시되며, 폴리페놀은 흡착제에 흡착되는 분획(이하, 흡착 분획이라고 한다)에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흡착 분획을 함수 알콜(에탄올 등)로 용출시킴으로써 폴리페놀 분획이 정제된다.
이러한 폴리페놀 분획은 이어서 농축처리함으로써 액체 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폴리페놀 분획의 농축액을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처리함으로써 분말 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원료로서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과, 배 및 복숭아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사과가 바람직하다. 또한, 과실로서는 성숙 과실 및 미숙 과실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많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며 광범위한 생리작용을 갖는 각종 활성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점으로부터 미숙 과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착즙 방법으로서는, 원료를 세정하여 그대로 또는 아황산을 첨가하면서 파쇄 및 압착에 의해 착즙 과즙을 수득하고, 바람직하게는 펙틴 분해효소를 첨가한다. 이어서, 원심분리 또는 여과 등의 수단에 의해 청등(淸澄) 과즙을 수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추출방법으로서는, 세정한 원료를 알콜(예: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과 혼합하여 파쇄하고 그대로 침지 및 압착 또는 가열 환류하면서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으로 알콜을 증류 제거한 후에 원심분리 또는 여과, 또는 유기 용매(예: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등)로 분배 및 여과를 실시하여 청등 추출액을 수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정제 방법으로서는, 폴리페놀류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면서 또한 용리(溶離)할 수 있는 흡착제, 예를 들면, 스티렌-디비닐벤젠계의 합성 흡착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 옥타데실기 화학 결합형 실리카 겔(ODS) 등을 충전시킨 칼럼에 상기한 청등 과즙 또는 청등 추출액을 통과시킴으로써 폴리페놀 분획을 흡착시킨다. 이어서, 칼럼에 증류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세정한 다음, 20 내지 100% 알콜(예: 에탄올) 용액, 바람직하게는 약 50% 알콜 용액을 칼럼에 통과시킴으로써 폴리페놀 분획을 용출시켜 회수할 수 있다. 수득된 폴리페놀 용액을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알콜을 증류 제거하여 과실 폴리페놀 액체 제제(바람직하게는, 말산 등의 유기산을 첨가)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제제를 그대로 또는 덱스트린 등의 분말 조제를 첨가하여 분무 건조시키거나 동결 건조를 실시하여 과실 폴리페놀 분말 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과실 폴리페놀의 조성은 단순 폴리페놀 화합물로서 카페산 유도체, p-쿠마르산 유도체, 플라반-3-올류(카테킨류), 플라보놀류(케르세틴 글루코사이드), 또는 디하이드로칼콘류(플로레틴 글루코사이드) 등, 및 또한 중합체성 폴리페놀 화합물로서의 축합형 탄닌류 등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근 위축 억제 조성물은 과실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및 식품 형태로 조제하여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거나 식용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 형태로 조제할 때, 수득되는 의약품 형태는 유효성분과 통상적인 제제 담체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제제화 수단으로 조제한다. 여기서, 제제 담체로서는 제제의 사용 형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 증량 제, 결합제, 보습제, 붕해제, 표면활성제 및 활탁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수득되는 제제의 투여 단위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된다.
의약 제제의 투여 단위 형태로서는 각종 형태가 치료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정제, 환제, 산제, 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캡슐제, 주사제(예를 들면, 액제 및 현탁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정제의 형태로 성형할 때에는, 제제 담체로서, 예를 들면, 락토스, 슈크로스, 염화나트륨, 글루코스, 우레아, 전분, 탄산칼슘, 고령토, 결정성 셀룰로스, 규산 및 인산칼륨 등의 부형제; 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일 시럽, 글루코스 용액, 전분 용액, 젤라틴 용액,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나트륨 크로스칼메로스, 건조 전분, 나트륨 알기네이트, 한천 분말, 라미나란 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카복시메틸 전분 나트륨, 부분 알파화 전분 등의 붕해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레이트 등의 계면활성제; 슈크로스, 스테아린, 카카오 버터 및 수소 첨가유 등의 붕해 억제제; 4급 암모늄 염기 및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흡수 촉진제; 글리세린 및 전분 등의 보습제; 전분, 락토스, 고령토, 벤토나이트 및 콜로이드상 규산 등의 흡착제; 및 정제 활석, 스테아레이트, 붕산 분말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활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제피(劑皮)를 실시한 정제, 예를 들면, 당의정, 젤라틴 피복정(被包錠), 장용 피복정, 필름 코팅정, 이중정 및 다층정으로 제피할 수 있다.
환제의 형태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제 담체로서, 예를 들면, 글루코스, 락토스, 전분, 카카오 버터, 경화 식물유, 고령토 및 활석 등의 부형제; 아라비아 검 분말, 트라가칸트 분말, 젤라틴 및 에탄올 등의 결합제; 및 라미나란 및 한천 등의 붕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캡슐제는 유효성분을 상기에 예시한 각종 제제 담체와 혼합한 다음,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등에 충전시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액제(현탁제) 및 과립제 등도 상기한 각종 제제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의약 제제 중에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보존제, 향료, 풍미제, 감미제 등이나 다른 의약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한 의약 제제 중에 함유되어야 하는 유효성분인 과실 폴리페놀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넓은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적인 의약 제제 중에 약 1 내지 70중량% 정도로 함유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한 의약 제제의 투여량은 이의 용법, 환자의 연령, 성별 및 기타 조건, 및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통상적으로 유효성분이 이의 원래의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양호하다. 당해 양은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 로는 1일 성인 1인당 체중 1㎏에 대해 약 0.5 내지 500㎎ 정도인 것이 양호하며, 당해 제제는 1일에 1회 또는 2 내지 4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형태로서 실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 형태에는, 예를 들면, 음료, 정제, 츄잉 정제, 과자류, 블록 형태, 쿠키 및 케익 등의 통상적인 식품 형태의 전체가 포함된다.
식품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에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각종 첨가제 성분, 예를 들면, 당류(올리고당을 제외한다), 당 알콜류, 감미료 등의 기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탁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전해질, 향료, 색소, pH 조정제, 유동성 개선제 및 비타민류 등을 적절하게 첨가 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밀 전분,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및 덱스트린 등의 전분류; 슈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말토스, 크실로스 및 락토스 등의 당류;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및 크실리톨 등의 당 알콜류; 인산칼슘 및 황산칼슘 등의 부형제; 전분, 당류, 젤라틴, 아라비아 검, 덱스트린, 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크산탄 검, 펙틴, 트라가칸트 검, 카제인 및 알긴산 등의 결합제 내지 증점제; 루이신, 이소루이신, L-발린, 당 에스테르, 경화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마크로골 등의 활탁제; CMC, CMC-Na 및 CMC-Ca 등의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및 레시틴 등의 계면활성제; 아스파탐 및 알리탐 등의 디펩타이드; 이산화규소 등의 유동성 개선제; 스테비아 및 사카린 등의 감미료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의 적당량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식품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제는 통 상적인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되는 본 발명의 식품은 경구 섭취된다. 이의 섭취(복용)량은 일반적으로는 정제를 예로 들면 1정에 약 O.5 내지 6g으로 조제된 정제 수 개가 섭취되는 양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제예를 실시예로 들고, 이어서 본 발명 조성물에 관하여 실시한 시험예를 예시한다. 또한, 각 실시예 중에서 %는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이 되도록 각 원료 화합물을 수중에 혼합,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각 실시예의 조성물에는, 다시 적절하게 향료 및/또는 비타민류가 배합된다. 각 배합에 물을 부가하여 전체량을 1000㎖가 되게 하였다.
실시예 번호 1 2 3 4 5 6
양이온 (mEq/ℓ) Na+ 21 15 21 15 8 27
K+ 5 5 5 5 4 5
Ca2 + 1 1 1 2 1 1
Mg2 + 0.5 0.5 0.5 0.5 0.5 0.5
합계 27.5 21.5 27.5 22.5 13.5 33.5
음이온 (mEq/ℓ) Cl- 16.5 10.5 16.5 10.5 6.5 17.5
시트르산 이온(2-) 10 10 8 10 4 11
락트산 이온(-) 1 1 1 2 1 1
타르타르산 이온(2-) 0 0 1 0 1 2
말산 이온(2-) 0 0 1 0 1 2
합계 27.5 21.5 27.5 22.5 13.5 33.5
레바우디오사이드 A (㎎/ℓ) 80 75 83 73 70 85
당분 프럭토스(g/ℓ) 글루코스(g/ℓ) 20 2 18 1 17 2 16 3 15 2 22 1
애플페논 50(g/ℓ) 100 50 10 60 30 200
실시예 7
하기 성분(전체량 5g)을 혼합하여 직접 타정(打錠)하여 조제(정제)하거나, 각 성분을 칭량 혼합하여 분포(分包; folding)(산제)하거나, 또는 각 성분을 칭량 혼합하고 제립 건조시킨 다음, 분포(과립제)하여 각각 제제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애플페논 50 34%
L-아스코르브산 21%
L-타르타르산 20%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1%
염화나트륨 적량
탄산칼륨 0.5%
향료ㆍ 착색료 미량
합계 1O0%
또한, 상기「애플페논 50」은 닛카 위스키 디스틸링 캄파니 리미티드(Nikka Whiskey Distilling Co., Ltd.)제의 과실 폴리페놀 분말(농도 5O%, 이하, 「AP」라고 한다)이다.
실시예 8 내지 10
실시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기 각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산제 및 과립제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8 처방>
AP 40%
L-아스코르브산 10%
L-타르타르산 23%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2%
나트륨 시트레이트 적량
탄산칼륨 0.4%
향료ㆍ 착색료 미량
합계 100%(전체량: 5g)
<실시예 9 처방>
AP 40%
L-아스코르브산 11%
L-타르타르산 23%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2%
암모늄 시트레이트 O.8%
시아노코발라민 미량
나트륨 시트레이트 미량
탄산칼륨 0.4%
향료ㆍ 착색료 미량
합계 100%(전체량: 4.6g)
<실시예 10 처방>
AP 40%
L-타르타르산 29%
감미료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4%
암모늄 제2철 시트레이트 3.6%
시아노코발라민 미량
탄산칼륨 0.5%
향료ㆍ 착색료 미량
합계 100%(전체량: 4g)
실시예 11 내지 18
실시예 7 내지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의 발포 제제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구성성분(%) 실시예 번호
11 12 13 14 15 16 17 18
AP 40 30 40 60 50 35 45 35
L-아스코르브산 11 16 10 8 10 10 10 13
L-타르타르산 23 23 23 13 19 20 20 25
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2 22 23 15 15 20 20 23
암모늄 제2철 시트레이트 0.8 0.8 1.0 0.8 0.8 - - 0.7
나트륨 제1철 시트레이트 - - - - - 1.2 - -
제2철 시트레이트 - - - - - - 0.8 -
시아노코발라민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나트륨 시트레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ㆍ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전체량(g) 4.6 4.6 4.7 4.6 4.6 4.7 4.7 5.4
실시예 19 내지 25
하기 표 3에 기재된 각 성분(㎎)을 혼합하고 직접 압축법으로 츄잉 정제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구성성분(㎎) 실시예 번호
19 20 21 22 23 24 25
AP 1800 3600 4620 700 3330 600 350
당 에스테르 40 80 841 20 80 15 7
폴리덱스트로스 150 400 300 100 300 60 60
슈크로스 100 200 200 20 200 80 20
비타민 C 150 320 200 20 200 - -
오렌지 과즙 분말 80 150 - - 100 20 5
레몬 과즙 분말 - - 84 40 - 10 5
타르타르산 - - - - 460 95 50
NaHCO3 - - - - 500 100 50
K2CO3 30 40 40 40 30 8 8
향료ㆍ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전체량(㎎) 2400 4950 5580 1000 5200 1000 5000
실시예 26 내지 34
하기 표 4에 기재된 각 성분을 혼합하고 물을 가하여 전체량을 100㎖가 되게 하여 건강음료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구성성분(100㎖ 중) 실시예 번호
26 27 28 29 30 31 32 33 34
β-카로틴(㎎) 3 5 10 15 1 2 30 5 3
폴리덱스트로스(g) 5 3 5 7 4 2 10 20 20
유화제(㎎) 6 10 20 30 5 6 20 15 8
유제(㎎) 100 90 80 120 50 50 200 70 60
프럭토스(g) - 15 10 - 15 15 15 5 10
시트르산(㎎) 200 400 100 300 50 20 - - -
타르타르산(㎎) - - 50 - 50 10 100 200 -
락트산(㎎) - - - - 50 10 100 - 200
아스코르브산(㎎) 300 200 100 50 30 150 200 1000 50
토코페롤(㎎) 10 5 10 20 20 0.5 20 10 5
AP(g) 2 5 10 3 8 7 5 12 10
향료ㆍ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35 내지 45
하기 표 5에 기재된 각 성분을 혼합하고 물을 가하여 전체량을 100㎖가 되게 하여 음료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표 중의 가스 체적값은 용액과 동일 체적의 이산화탄소의 기체를 용해시킨 경우를 1로 하여 산출된 이산화탄소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수치가 클수록 이산화탄소 함량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구성성분(100㎖ 중) 실시예 번호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AP(g) 3 12 9 1 8 2 4 10 15 7 13
이성화당(g) 8 - - 7 7 8 5 - - 9 -
정제된 슈크로스(g) - 1 8 3 7 5 3 - - - -
프럭토스(g) 2 6 - 1 - - 3 - - - 60
글루코스(g) 2 2 - - 2 - 3 - - 2 4
시트르산(㎎) 3 2 - - 8 - - 2 5 - -
타르타르산(㎎) - 2 - 2 - - - - - 10 -
말산(㎎) 4 - 8 - 5 - 4.5 - - - -
락트산(㎎) 8 - - 2 - 20 - - - 10 -
나트륨 시트레이트(㎎) 20 30 10 - 80 - - 100 55 70 -
나트륨 타르트레이트(㎎) 60 - - 60 25 70 - - - 30 20
나트륨 말레이트(㎎) - 80 150 - - 100 45 - 10 - 50
칼슘 락테이트(㎎) - - - - 15 10 - - - - 5
염화나트륨(㎎) - - 4 - 1 1.5 - - 2 - -
염화칼륨(㎎) - 3 - 2 - - 5 - 1 1 -
염화마그네슘(㎎) 2 - 1 - - - - - 1 - -
과즙(%) 3 - 1 0.5 0.1 - - - - 2 0.3
향료ㆍ감미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가스 체적 - - - - - 3.0 2.0 2.5 2.3 3.3 1.5
pH 5.0 6.3 5.8 4.9 5.8 5.3 5.5 5.6 6.4 5.6 5.9
시험예 1
근 위축 억제 시험예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1) 공시(供試) 동물:
위스터 수컷 래트(12주 나이, 미생물학적 품질: SPF/VAF) 전체 21마리를 사용하였다.
(2) 실험군:
실험군: AP 투여군(A 그룹, n = 11)
대조군: (C 그룹, n = 10)
(3) 실험 방법:
래트는 1케이지당 1마리의 조건으로 사육하고 12시간의 명암 주기(명 주기 8:00-20:00)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래트는 펜토바르비탈나트륨(5Omg/kg)에 의한 전신 마취하에 우측 족근(足根) 관절부에 족근 관절을 신전(伸展)시킨 상태로 석고 고정을 실시하였다. 석고 고정은 12일 동안 유지하여 폐용성 근 위축을 유도하였다. 석고 해제 직후 신속하게 양측의 가자미근(soleus muscle) 및 경골(tibia)을 채취한다.
(4) 시험식 투여 방법
석고 고정 기간 동안, A 그룹은 시판되는 래트용 분말식 AIN-93G(이의 조성은 표 1에 기재한다)에 AP를 1% 첨가한 분말식(「AD」라고 한다)을 제공하고, C 그룹에는 AP 무첨가된 분말식 AIN-93G를 제공하였다.
조성(g/㎏ 식이) AIN-93G AD
옥수수 전분※1 529.49 524.49
카제인※1 200.00 200.00
슈크로스※2 100.00 100.00
대두유※1 70.00 70.00
셀룰로스 분말※1 50.00 45.00
미네랄 혼합물(AIN-93형)※1 35.00 35.00
비타민 혼합물(AIN-93형)※1 10.00 10.00
L-시스테인※3 3.00 3.00
타르타르산 콜린※3 2.50 2.50
AP 0.00 10.00
3급-부틸하이드록시퀴논※3 0.014 0.014
전체 에너지(MJ) 15.60 15.60
표 6에서 ※1은 오리엔탈 이스트, 캄파니, 리미티드(Oriental Yeast, Co., Ltd.)제 성분이고, ※2는 케이에스 캄파니(KS Co.)제 성분이며 ※3은 와코 쥰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성분이다.
식사는 그룹간의 섭식량에 차이가 나지 않도록 섭식량을 조정하면서 먹이를 급식하는 페어 피딩(pair feeding)으로 1일 2회씩 제공하였다. 식사 시간은 8:00-9:00과 20:00-21:00로 했다. 실험 기간 중의 식수는 수도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5) 측정 항목
ㆍ체중 및 섭식량:
체중은 매일 아침 식사 섭취후(9:00)에 측정하였다. 섭식량은 매일 식사전 및 9:00와 21:00의 식사 종료후에 먹이 상자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의 차이를 섭식량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에서 자동 저울을 사용하였다.
ㆍ가자미근 위축률:
가자미근은 채취후에 신속하게 칭량하여 액체 질소로 동결시키고 분석시까지 동결 보존(-80℃)시켰다. 근육의 위축률은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근 위축률(%)= [(대측(對側)근 습중량-위축근 습중량)/대측근 습중량]×100
ㆍ가자미근 중 유리된 철 농도:
근육 중의 유리된 철은 문헌[참조: Zhang, D. et al., Biochem. Mol. Biol. Int., 35, 635-641(1995)]의 방법에 변형을 가한 문헌[참조: Ma, Y. et al., Path. Int., 47, 203-208(1997)]의 방법에 근거하여 추출하였다. 근육 조직 약 20mg을 헝크스 용액(Hunks' solution) 1.8㎖로 균질화시키고, 이러한 균질화액 500㎕에 800mM 니트로트리아세트산(NTA) 용액(pH 7.0, 50㎕)을 가하여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러한 용액을 한외여과 필터(분획 분자량 30,000, ultra-free CL UFC4LTK25, 제조원: 밀리포어 캄파니(Milipore Co.))를 사용하여 원심 여과하였다(4℃, 3000rpm, 60분 동안). 회수한 여과액을 초원심분리(4℃, 21460g, 60분 동안)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이러한 상등액을 유리된 철 측정용 샘플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샘플 용액의 철 농도는 흑연 원자화법에 의한 원자 흡광도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ㆍ경골의 건조 중량 및 재의 중량:
미리 일정한 중량으로 칭량한 시험관에 골 샘플을 투입하고, 일정한 중량으로 될 때까지 진공 오븐으로 건조시켰다(100℃, 진공 흡인, 6일 동안). 이때의 중량을 칭량하여 시험관 단독의 중량과의 차이에서 골의 건조 중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건조된 골 샘플을 오븐으로 회화(灰化)시키며(참조: 600℃, 3일 동안),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중량을 칭량하였다. 이때의 중량과 시험관 단독의 중량과의 차이에서 재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ㆍ경골의 칼슘 함량:
재의 중량을 측정한 샘플에 약 2㎖의 진한 질산을 가하여 가열 및 블로팅으로 130℃에서 가열하여 건고(乾固)시켰다. 이러한 조작을 2회 반복하여 수득된 샘플을 1% 질산으로 용해시켜 순차적으로 희석시켰다. 최종 희석 샘플 용액에는 염화란탄을 안정화제로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샘플 용액을 화염법(flame method)에 의한 원자 흡광 분석법(압축 공기-아세틸렌 가스, 측정 파장: 422.7㎚, 슬리트: 1.3㎜, 포토말 전압: 560V, 램프 전류: 7.5mA)으로 측정하였다. 유리 용기는 모두 1% 질산으로 산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6) 통계 방법
데이터는 전부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동일 개체의 석고 고정한 위축측 후지(後肢)와 대조측 후지의 비교를 쌍체 t 검정(paired t test)으로 실시하고 석고 고정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A 그룹과 C 그룹의 비교를 비쌍체 t 검정(unpaired t test)으로 실시하였다. p < O.05인 경우를 유의적인 차이로 판단하였다.
(7) 결과
결과를 하기 표 7 및 표 8에 기재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A 그룹(본 발명의 그룹) C 그룹(대조군)
석고 고정전 체중(g) 석고 고정후 체중(g) 374.5 ±21.4 360.2 ±21.6 372.6 ±22.5 359.3 ±26.3
평균 섭식량(g/d) 13.6 ±1.3 13.6 ±1.2
AP 섭취량(㎎/㎏/d) 379 ±36 -
가자미근 중량(㎎) 위축측 대조측 근위축률 112 ±10* 193 ±12 41.8 ±5.5# 104 ±9* 200 ±14 48.1 ±4.1
유리된 철 농도(㎍/g) 위축측 대조측 위축측/대조측(%) 1.7 ±0.6 2.0 ±0.8 91.2 ±24.5# 2.1 ±1.1* 1.6 ±0.7 131.9 ±35.4
*: p < 0.05 대 대조측(쌍체 t 검정) #: p < 0.05 대 C 그룹(비쌍체 t 검정)
(평균 ±표준편차) A 그룹(본 발명의 그룹) C 그룹(대조군)
경골 건조 중량(㎎) 위축측 대조측 위축측/대조측(%) 491.1 ±30.8 497.5 ±22.6 98.8 ±6.4 489.8 ±19.2* 506.2 ±30.2 96.9 ±3.7
재 중량(㎎) 위축측 대조측 위축측/대조측(%) 297.2 ±18.5 308.2 ±14.6 96.5 ±5.8 294.8 ±7.5* 312.5 ±15.7 94.5 ±2.9
칼슘 함량(㎎) 위축측 대조측 위축측/대조측(%) 95.0 ±7.2 98.2 ±4.8 96.8 ±6.4 91.5 ±3.3* 96.5 ±4.9 94.9 ±2.7
*: p < 0.05 대 대조측(쌍체 t 검정)
당해 표 7 및 8로부터 하기 사실이 명백해진다.
체중 및 섭식량:
석고 고정 기간 동안에는, 두 그룹(A 그룹 및 C 그룹)에서 체중은 감소하지만 그룹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석고 고정 기간 동안의 섭식량은 그룹간에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A 그룹의 AP 평균 섭취량은 379 ±36㎎/㎏/d(평균 ±표준편차)이었다.
근 위축률:
A 그룹의 근 위축률은 C 그룹보다 13%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1.8 ±5.5% 대 48.1 ±4.1%, p < 0.01)
가자미근 중의 유리된 철 농도:
가자미근 중의 유리된 철 농도는 C 그룹에서 위축측이 대조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지만, A 그룹에서는 위축측과 대조측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A 그룹과 C 그룹 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조측에 대한 위축측의 근육중 유리된 철의 농도의 비율은 A 그룹에서 C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골의 건조 중량, 재의 중량 및 칼슘 함량:
경골의 건조 중량은 C 그룹에서 위축측이 대조측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A 그룹에서는 위축측과 대조측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위축측/대조측(%)은 A 그룹과 C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경골의 재중량은 C 그룹에서 위축측이 대조측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A 그룹에서는 위축측과 대조측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위축측/대조측(%)은 A 그룹과 C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경골의 칼슘 함량은 C 그룹에서 위축측이 대조측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A 그룹에서는 위축측과 대조측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위축측/대조측(%)은 A 그룹과 C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상기한 점으로부터, 석고 고정 동안 AP의 투여는 가자미근의 위축 억제에 효과적이며, 또한 경골의 건조 중량, 재의 중량 및 칼슘 함량의 감소 억제에 효과적이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러한 AP 투여에 의한 가자미근의 위축 억제에는 위축근에서 유리된 철의 증가 억제가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 위축 억제 조성물 및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이 제공되며, 이러한 조성물은 이를 섭취함으로써 석고 고정 등에 의한 폐용성 근 위축은 물론, 산화 스트레스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고령자에서의 근 위축(sarcopenia)이나 진행성 근 위축에 대해서도 근육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근육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은 근육량에 비례하는 근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특히, 고령자에게는 근력의 유지는 몸의 균형 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연결되며, 전도(轉倒)하는 위험을 저하시키거나 전도에 의한 골절이나 이에 따라 일어나지 못하는 생활을 강요하는 위험을 예방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근육은 생체내의 최대 에너지 소비 조직이므로 근육량을 유지하 는 것은 탄수화물 대사 및 지질 대사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당뇨병이나 동맥경화증 등의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근육량의 저하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골의 중량이나 골염 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과실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 위축 억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폐용성 근 위축 억제 조성물인 근 위축 억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과실 폴리페놀이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과실로부터 분리 정제된 근 위축 억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장미과에 속하는 과실이 사과, 배 또는 복숭아인 근 위축 억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의약품용 조성물 또는 식품용 조성물인 근 위축 억제 조성물.
KR1020067008605A 1999-09-17 2000-09-13 근 위축 억제 조성물 KR200600570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375799A JP2001089387A (ja) 1999-09-17 1999-09-17 筋萎縮抑制組成物
JPJP-P-1999-00263757 1999-09-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485A Division KR100625508B1 (ko) 1999-09-17 2000-09-13 폐용성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030A true KR20060057030A (ko) 2006-05-25

Family

ID=173938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485A KR100625508B1 (ko) 1999-09-17 2000-09-13 폐용성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
KR1020067008605A KR20060057030A (ko) 1999-09-17 2000-09-13 근 위축 억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485A KR100625508B1 (ko) 1999-09-17 2000-09-13 폐용성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089387A (ko)
KR (2) KR100625508B1 (ko)
TW (1) TWI225789B (ko)
WO (1) WO2001021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390A (ja) * 2003-02-21 2004-09-09 Taisho Pharmaceut Co Ltd 鉄化合物配合内服液剤
JP5275537B2 (ja) * 2004-08-24 2013-08-28 学校法人日本医科大学 筋肉の酸化ストレス由来疾患予防経口剤
JP2006328031A (ja) * 2005-05-30 2006-12-07 Asahi Breweries Ltd 筋繊維タイプ移行抑制剤
US20090162457A1 (en) 2005-10-26 2009-06-25 Kao Corporation Resveratrol and/or grape leaf extract as i. a. endurance improver, anti-aging agent, muscle strength improver
KR101473017B1 (ko) * 2006-07-05 2014-12-1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노화 억제제
JP2008013473A (ja) * 2006-07-05 2008-01-24 Kao Corp 筋機能低下抑制剤
JP5507802B2 (ja) * 2006-08-10 2014-05-28 花王株式会社 筋肉老化抑制剤
WO2011007866A1 (ja) * 2009-07-16 2011-01-20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筋強直性ジストロフィー治療薬
JP2013126951A (ja) * 2010-03-01 2013-06-27 Kyushu Univ 筋萎縮阻害剤
JP6395350B2 (ja) 2013-03-28 2018-09-26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筋萎縮防止剤
CN110234334B (zh) * 2016-12-05 2024-02-06 大塚制药株式会社 肌肉萎缩抑制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982A (ja) * 1984-07-03 1986-01-24 Kikkoman Corp 抗酸化剤
JP3521155B2 (ja) * 1993-12-06 2004-04-19 ニッカウヰスキー株式会社 果実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508B1 (ko) 2006-09-20
TWI225789B (en) 2005-01-01
WO2001021186A1 (fr) 2001-03-29
KR20020042678A (ko) 2002-06-05
JP2001089387A (ja) 200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8224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physical performance
JP4423447B2 (ja) 骨粗鬆症予防治療剤
ZA200604097B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 blood circulation-improv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es
KR100625508B1 (ko) 폐용성 근 위축시의 골 중량 및 골 염량 저하 억제 조성물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EP2303297B1 (en) Water-soluble extracts of 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for improvement of glucose metabolism
US7767236B2 (en) Plant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56330B1 (ko) 간기능 개선제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11115416A2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US20040033281A9 (en) Extracts of cacao and cacao bean husk with inhibitory effects on carcinogenesis
JP4176638B2 (ja) 川椒抽出物を含む脳細胞保護及び記憶力増進用組成物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2007008928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4210675A (ja) 骨量改善組成物
JP2009126814A (ja) 高尿酸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101147913B1 (ko)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100907201B1 (ko) 내복용 액제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60018937A (ko) 선학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지질대사 개선 및당뇨병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60008570A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포함하는 조성물
JP2009227622A (ja) 治療剤
KR100583876B1 (ko) 당뇨병 환자의 식이를 위한 참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건강기능식품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052028A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