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464A -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464A
KR20060056464A KR1020067007745A KR20067007745A KR20060056464A KR 20060056464 A KR20060056464 A KR 20060056464A KR 1020067007745 A KR1020067007745 A KR 1020067007745A KR 20067007745 A KR20067007745 A KR 20067007745A KR 20060056464 A KR20060056464 A KR 2006005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point
wall
passag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180B1 (ko
Inventor
존 케리
필립 알프레드 바커
Original Assignee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ublication of KR2006005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8Bending relief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벽(60)을 통한 구멍(13) 내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케이블을 인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멍 내의 통로를 따라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바디에 의해 한정되고 아크(arc)에서 상기 구멍 내의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입구(mouth)를 거쳐서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포인트는 상기 케이블이 실질적으로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에서 상기 통로 아크를 따라 인도되도록 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상기 장치(10)는 튜브부(12), 맞물리는 종단(24)을 갖는 넥(26), 아크-모양의 통로(15)를 갖는 혼부(14), 및 종결 종단(16)으로 이루어진다. 장치(10)는 전기 및 광 케이블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 및 방법{CABLE LEAD-IN OR LEAD-OUT WITH BEND PROTECTION}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통신 케이블을 제어 및 인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댁내를 외부 트렁크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광섬유가 고객 진입 포인트에서 빌딩으로 들어가게 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네트워크는 실질적으로 광섬유로 구성된 트렁크 네트워크, 및 카퍼 와이어 페어(copper wire pairs)로 구성된 LAN을 포함한다. 미래에 근접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체 네트워크는 광섬유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광섬유 및 카퍼 와이어의 성질은 이하에서 논의되는 것과 같이 매우 다르며, 그래서 광섬유 및 카퍼에 대한 케이블 경로, 빌딩 진입 방법 및 네트워크 종결(termination) 장비는 다르다. 이는 인프라 구조가 일반적으로 완전히 대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카퍼로부터 광섬유까지의 설치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고가이고 쉽게 얻어질 수 없음을 의미한다.
트렁크 네트워크로부터 고객 댁내까지 광섬유를 설치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블로잉-인 방법(blowing-in method(EP 0108590에서 최초로 설명됨))에 의해서이다. 블로운(blown) 광섬유 튜브는 먼저 고객 댁내의 외벽을 따라 공급되고 그 다음 90 도 회전하여, 댁내의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 댁내의 벽에 만들어진 구멍을 통과한다. 광섬유는 이후 튜브 내부로 블로잉된다.
의문을 없애기 위해, 용어 상세한 설명의 "고객 댁내"는 광섬유와 같은 통신 케이블이 진입하는 모든 빌딩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문맥이 허용하는 한 카퍼 페어, 광섬유, 블로운 광섬유, 블로운 광섬유 튜브 또는 다른 통신 케이블로서 참조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문제는 카퍼 페어와 광섬유 사이의 차이점 중의 하나에 있다. 카퍼와 다르게, 광 손실은 광섬유의 구부러지고 또는 휘어지는 장소에서 발생한다. 날카로운 구부림은 기계적인 고장뿐만 아니라 중대한 광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구부림이 더 단단하면 할수록, 손실은 더 나빠진다(출처: John Crisp "Introduction to Fiber Optics" 2001 edition, page 53). 비록 광섬유는 사용중에 구부러질 수 있지만, 과도한 구부림은 광섬유의 손상 및/또는 중대한 광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용납할 수 없는 방사 손실로 귀결되는 것과 같이 케이블이 구부러지지 않아야 하는 한계는 최소 구부림 반경(출처: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Telecommuncations Telecom Glossary 2000)으로서 알려져 있다.
단지 하나의 코어, 클래딩(cladding) 및 주요 버퍼를 포함하는 나(bare)광섬유는 대략 50mm의 최소 허용가능한 구부림 반경을 갖는다. 외부 보호층, 및 광섬유의 묶음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은 더욱 큰 최소 허용가능한 구부림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심지어 단일 광섬유조차도 코너를 돌기 위해 직접 90도 구부러질 수 없다. 최소 구부림 반경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필요성은 심지어 단일 광섬유조 차도 구부림이 있는 장소, 즉 고객 댁내의 벽의 액세스 구멍으로 진입하는 장소에서 심각하게 밀어내야 할 것이고, 유사하게 벽의 다른 측면 상의 구멍에서 배출해야 할 때에도 밀어내야 할 것임을 의미한다(쉽게 설명하기 위해, 지금부터는 구멍으로의 케이블의 "진입" 및 그와 유사한 것에 대한 참조는 문맥이 허용하는 경우 "배출" 및 그 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구멍에서 배출할 때 광섬유의 최소 허용가능한 구부림 반경에 의해 제기되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하나의 알려진 방법은 광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루프가 광섬유가 배출되는 액세스 구멍에 대해 가까운 벽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비교적 큰 고객 리드인(CLI : customer lead in) 하우징 유닛은 간섭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광섬유의 루프를 하우징하는데 사용된다. 배출 광섬유의 반경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CLI 유닛 내에서 제어되지 않는다.
이러한 CLI 하우징 유닛의 사이즈를 줄이는 개선은 EP 0748460에 설명되어 있다. 이 CLI 유닛은 도 1에 대해서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나, 이는 광섬유의 손상 또는 손실에 대해 보호하면서, 광섬유의 반경을 실질적으로 최소로 줄이기 위해 배출 케이블의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본 발명은 구멍으로부터 배출하는 광섬유의 돌출부를 더욱 추가로 줄임으로써, 장치에서의 리드의 부피를 줄인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리드의 적음은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 이를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장치의 리드가, 카퍼 시스템이 일단 빌딩 구조에 설치된 이들 구성요소를 버리고 및 대체할 필요없이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중요한 결과를 갖는 광섬유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카퍼 와이어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벽을 통한 구멍 내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케이블을 인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멍 내의 통로를 따라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바디에 의해 한정되고 아크(arc)에서 상기 구멍 내의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입구(mouth)를 거쳐서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포인트는 상기 구멍의 상기 표면에서의 또는 근처에서의 위치의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고, 이로써 상기 케이블이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 이상으로 상기 통로 아크를 따라 인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를 제공한다.
제 2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벽의 구멍 내에 위치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케이블을 인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멍 내의 통로를 따라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바디에 의해 한정되고 아크에서 상기 구멍 내의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입구를 거쳐서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포인트는 상기 케이블이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 이상으로 상기 통로 아크를 따라 인도되도록 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를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구멍으로부터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갖는 케이블을 인도하기 위해, 표면의 상기 구멍 내의 위치 선정을 위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구멍 내의 위치 선정을 위한 바디를 갖고, 상기 바디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통로는 아크에서 상기 통로가 상기 구멍의 세로축과 평행인 세로축을 갖는 상기 구멍 내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를 거쳐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장치로부터 나오는 상기 구멍 외부의 배출구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포인트에서 상기 통로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제 1 포인트에서의 상기 통로의 상기 세로축과 직교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제 1 포인트의 상기 위치는 사용시 상기 장치, 및 상기 배출로부터 나오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의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보다 더 많이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구멍으로부터 충분히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제부터 단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유닛에서의 고객 리드의 도면이고,
도 1B는 설치된 경우의 종래 기술의 유닛에서의 고객 리드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의 세로 단면도이고,
도 3은 장치의 리드의 혼부의 도면이며,
도 3A는 조립되지 않은 혼부를 나타내며,
도 3B는 조립된 경우의 혼부를 나타내고,
도 4는 장치의 리드의 튜브부의 도면이며,
도 5는 장치를 통해 경로가 정해진 케이블과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리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장치의 리드의 내부 구부림 개시의 원칙을 도시하며,
도 7은 사용중인 장치의 한 쌍의 리드의 도면이고,
도 8A ~ 8D는 장치의 리드의 설치에서의 단계들을 나타내며,
도 9A ~ 9F는 장치의 리드와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충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도 10A ~ 10L은 다른 설치 시나리오에서 장치의 리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보충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EP 0748460의 종래기술의 고객 리드인(CLI) 유닛을 나타낸다. 도 1A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유닛이 2개의 부품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유사하게 뚫어진 분리된 보충부(3)와 맞물릴 수 있는 케이블(3)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직경을 갖는 공동(空洞) 축 구멍(2)을 갖는 플러그(1)를 포함한다. 장치의 리드의 구멍과 맞물리는 경우 보충부는 CLI 유닛을 통한 케이블 또는 광섬유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정렬한다. 보충부는 후자가 장치의 리드의 입구에서 배출될 때 광섬유를 수신하기 위해 동작한다. 보충부 내의 구멍(4)은 광섬유에 의해 취해진 경로를 인도 및 제어하기 위해 배열된다. 곡선은 최소 구부림 반경에서 또는 근처에서(예컨대, 바로 그 이상) 광섬유 경로의 반경을 유지하기 위해 계산된다.
도 1B는 사용중인 종래 기술의 CLI 유닛을 나타낸다. 플러그(1)는 고객의 벽(60)의 액세스 구멍과 마찰에 의해 또는 다르게 맞물리고, 그래서 플러그의 입구(2)는 실질적으로 액세스 구멍의 입구와 같은 높이가 된다. 보충부(3)는 후자가 액세스 구멍에서 배출될 때 광섬유를 수신하기 위해 동작한다. 보충부에서 구멍의 경로는 벽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벽으로부터 나오는 광섬유의 최소 구부림 반경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반경 다음에 90도 구부러지고, 따라서 광섬유가 통과할 때 광섬유의 경로를 관리한다. 이는 CLI 유닛이 광섬유 돌출을 줄이는 것을 허용한다.
도 2는 케이블의 돌출을 추가로 줄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10)의 리드는 두개의 부품, 튜브부(12) 및 혼부(14)를 포함한다.
혼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튜브부와 밀어서 고정되고, 부품은 조립될 때 서로에 관하여 축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다. 튜브부는 그 길이를 따라 케이블을 수신하기 위해 크기가 조정된 구멍(13)을 포함한다. 혼부는 튜브부에 적합하게 되는 경우 케이블을 통과하게 하는 장치의 리드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경로를 형성하는 유사한 구멍(15)을 갖는다. 대부분의 부품에 대한 구멍은 직선 경로로 이동한다. 그러나, 혼부(14)의 단면은 장치(16)의 리드의 종결 종단으로 이끌어지는 구멍의 단면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부러지도록 배열된다.
혼 및 튜브 단면은 이제부터 더욱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 3은 장치(10)의 리드의 혼부(14)의 실시예의 3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3A는 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2개의 부품상의 암 및 수 부분 이 상호동작하여 함께 연결되는 2개의 부품(14a, 14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부분(18)은 모두 혼부의 하나의 단편(14a) 상에 제공되고 모든 결합되는 암(20)부분은 다른 단편(14b) 상에 존재한다. 이 도면은 종결 종단(16)으로 이끌어지는 구부러진 구멍 경로(15)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의 단편(14a)의 혼부분의 내부 벽이 어떻게 윤곽이 잡히는지를 또한 나타낸다. 다른 단편(14b)은 내부에 유사하게 윤곽이 잡혀서 함께 고정되는 경우, 내부 벽은 혼부를 통과하는 구멍을 한정한다. 종결 종단은 케이블이 장치의 리드에서 배출되는 구멍(17)을 포함한다. 종결 종단에 대향하는 종단은 맞물리는 종단(24)이고, 장치의 리드가 완전히 조립되는 경우 튜브부와 조립된다. 맞물리는 종단은 넥(26) 상에 설치된다. 이 배열은 맞물리는 종단을 튜브부의 보충 부품으로 밀어지는 경우 안전하게 "덥썩 고정(snap-fit)"시키게 한다. 추가로, 혼 및 튜브부의 상호 동작하는 부품은 조립 이후에 서로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케이블이 구멍을 통과하여 배출된 이후에, 사용자가 그가 좋아하는 배출 케이블의 진행하는 방향을 선택하게 한다.
도 3B는 조립된 혼부(14)를 만드는 함께 고정된 2개의 단편(14a, 14b)을 도시한다. 넥(26)은 혼부의 축을 따라 분리되어 맞물리는 종단(24)이 틈에 의해 공간 이격된 2개의 단편을 포함하고, 여기서 틈 중의 하나는 (15)로 표시되는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배열은 혼부를 밀어서 맞물리는 종단을 튜브부에 "덥썩 고정"시키는 사용자 작업을 쉽게 한다. 도 2로 돌아가 참조하면, 혼부(14)의 단면은 맞물리는 종단(24) 및 넥(26)이 어떻게 튜브부(12)와 결합 하는지 뿐만 아니라 구멍(15)에 의해 취해진 경로를 나타낸다.
도 3C는 조립된 혼부(14)의 다른 도면을 나타낸다. 장치의 전체 리드가 설치된 이후에, 종결 종단(16)은 벽 외부에서 실질적으로 보이는 단지 하나의 부품이다. 케이블이 배출되는 구멍(17)은 이 도면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혼부의 주요 기능은 케이블이 벽의 구멍에서 배출되기 전에 정해진 곡선을 따르도록 케이블의 경로를 전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종단을 얻는 임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혼부 구멍은 구부러지는 것 대신에 직선일 수 있으나 케이블에 의해 취해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벽 상에 혹(nub) 또는 융기(bump)를 형성하는 전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전환된 케이블 경로를 수용하기 위해 혼부 내부의 룸은 허용되어야 하며, 그래서 케이블은 구멍의 경로 내에 제한되기 보다는 곡선을 따라 인도되어야 한다. 더욱이, 광 신호 품질에 또한 영향을 미치는 미세구부림(microbends)을 생성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광전송 매체에 대한 구조를 설계하는 경우 주의가 필요로 한다.
구멍 경로에 의해 한정된 곡선은 사용된 케이블의 형태에 따라 및 케이블 돌출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미리-판정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관한 추가 상세는 이하의 도 5 및 도 6과 연계하여 제공된다.
도 4는 장치의 리드의 튜브부(12)의 외부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는 바람직하게 외부로 하나 이상의 플랜지(28)를 갖는 것으로 묘사된다. 도 2로 돌아가 참조하면, 플랜지는 플러그가 위치로 삽입된 이후에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객 댁내 벽(60)의 미리-뚫어진 구멍(50)으로 플랜지가 삽입되는 경우 마 찰을 줄이는 것을 돕는다. 튜브부의 내부벽이 어떻게 혼부(14)의 맞물리는 종단(24) 및 넥(26)과 맞물리는가를 도 2로부터 또한 알 수 있다.
장치의 리드는 그것이 잘 동작할 수 있어서 고객 댁내 벽을 통해 카퍼 와이어를 인도하는 것과 같이, 광섬유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트위스티드(twisted) 와이어 페어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퍼로부터 광섬유까지의 예상된 업그레이드는 광섬유에 대한 설비를 대체하기 위해 카퍼 와이어에 대한 모든 인프라 구조를 제거해야 하는 필요를 없애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심지어 카퍼 와이어에 대한 사용을 위해 이 장치를 채택하는데에는 상당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동작은 지금부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사용에 있어서, 고객 또는 사용자는 종결 또는 연결 목적으로 케이블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벽 표면(70)을 따라 놓이도록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이후 케이블(30)의 방향을 정하길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케이블 배출 방향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장치의 종결 종단(16)의 리드로부터 하향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벽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케이블(30)을 갖는 벽에서 사용 중인 장치(10)의 리드의 세로 단면도를 나타낸다.
케이블의 구부러진 경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에 의해 지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바람직한 케이블 배출 방향은 하향이다. 그의 종결 종단(16)으로 향하는 방향의 장치(10)의 리드를 보면, 구멍 경로는 바람직한 케이블 배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 경우에 상향으로, 구멍의 중앙 축을 따라 그 경로로부터 떨어져 구부림을 시작한다. 그 다음 구멍 경로는 케이블이 벽 표면(70)을 향해 외부 로, 즉 이 예에서 하향으로 인도될 때, 바람직한 케이블 배출 방향으로 방향 및 곡선을 변경한다. 케이블이 장치의 리드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케이블의 구부림을 시작함으로써, 벽으로부터의 돌출의 확장은 이하의 도 6과 연계하여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것과 같이 줄어든다.
도 6은 3개의 다른 위치에서의 벽(60)에서의 구멍(50)으로부터 광섬유 케이블(30) 돌출의 예를 나타낸다. 이들 예는 12mm의 전형적인 구멍 반경의 가정에 기초한다. 도 6A는 어떤 케이블 구부림 제어도 존재하는 않는 경우 케이블 돌출의 확장을 나타내고 - 여기서 구부림 반경은 전체적으로 케이블 자체의 강도 및 중량에 의지한다. 구부림 제어는 벽 표면(70) 상에서 케이블이 구멍에서 배출된 이후에 단독으로 발생한다. 이 경우에, 대략 30mm의 케이블 돌출이 예상될 수 있다. 도 6B는 예컨대 도 1과 연계하여 설명된 종래 기술의 장치가 사용된 경우, 케이블이 구멍에서 배출되는 것과 같이, 양의 구부림 제어가 케이블에 적용되는 경우 취해지는 더 단단한 배출 케이블 반경을 나타낸다. 돌출의 확장은 대략 15mm까지 감소된다. 도 6C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서, 케이블이 구멍에서 배출되기 전에 케이블이 곡선을 따라 인도된다면 구부림 반경이 어떻게 훨씬 더 감소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의 케이블과 달리, 케이블 경로는 구멍의 중앙축을 따라 단독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것은 케이블을 공간이 미치는 한도까지 바람직한 케이블 배출 방향으로 거꾸로 구부러지도록, 바람직한 케이블 배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최초에 구부러진다. 이는 케이블의 곡선을 벽의 구멍으로 필수적으로 후퇴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벽 외부로의 케이블 돌출은 결과적으로 대략 10mm로 감소된다.
본 발명은 구멍 내의 배열에 주로 놓여 있어서, 케이블은 구멍으로부터 그 배출에 앞서서 특정 경로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점은 케이블 경로가 구멍 내의 특정 포인트를 통과하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포인트는 구멍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하고, 구멍의 축을 따르는 그것의 위치는 사용중인 특별한 케이블의 최소 구부림 반경에 의해 판정된다. 이 포인트는 도 6의 가장 아래 그림에서 포인트(100)로서 식별되는 포인트이다. 이는 구멍으로부터 케이블의 배출에 대해 구부림 반경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케이블 경로는 구멍으로의 케이블 구부림의 임의의 한도까지의 움직임은 벽으로부터의 돌출을 줄일 것이기 때문에, 케이블 경로가 이에 근접한 포인트를 통과하는 한 구멍 내의 이러한 특별한 포인트를 통과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비록 여기에서 논의된 실시예는 튜브를 통한 구부러진 구멍의 배열을 참조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장점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을 구멍의 내부 표면에 단순히 대고 및 기대기 위해 벽의 구멍 내에 적합한 와이어 고안장치와 같이, 케이블이 포인트(100)를 통과하도록 구멍 내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한다.
광섬유 돌출을 줄이는 것은 많은 장점이 존재한다. 고객 벽 상의 작고, 많은 유선형의 CLI 유닛은 우연한 손상을 덜 받을 수 있다. 개선된 미학적인 외관은 가정의 고객 댁내의 외부 벽 상의 진입 포인트에서 특히 중요하다.
줄어든 광섬유 돌출은 추가적으로 장치에서의 리드가 케이블이 벽에서의 구 멍으로부터 배출되는 포인트에서 또는 근처에서의 벽 상에 설치될 수 있는 보충적인 구성요소를 받아들이게 한다. 이들 보충적인 유닛은 추가적인 부피 없이 기능을 추가한다 - 및 특히 광섬유의 구부림을 단지 인도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은 도 9 및 도 10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될 것이다.
도 7은 고객 벽(60)에 설치된 장치의 한 쌍의 리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빌딩 재료 또는 모양으로 동작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설명은 단지 예시로서 중앙 공동(cavity)을 에워싸는 2개의 분리된 공동 벽들을 포함하는 벽을 사용한다. UK에서의 전형적인 시나리오에 있어서, 구멍 직경은 즉시-이용가능한 전력 도구(예컨대, 일반적인 드릴 비트를 갖는 산업용 해머 드릴 보다는 소비자용)로 쉽게 생성될 수 있는, 대략 12mm 정도가 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벽(60)이 벽돌 및 모르타르로 만들어진 경우, 구멍은 모르타르의 2개의 경로의 교차점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생성된다 - 예컨대, 수직 및 수평 라인은 벽돌의 코너에서 만난다 - 이는 적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벽 표면에 장식적인 손상을 최소화한다. 구멍은 실질적으로 평행인 벽을 갖고,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2개의 공동 벽 위치에서, 벽의 2개의 표면의 구멍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에 대향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생성된다.
장치(10)의 리드는 미리-뚫어진 구멍으로 삽입되고, 비록 접착제와 같은 다른 고정 수단이 추가로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마찰에 의해 고정된다. 각 플러그의 종결 종단(16)은 각각 내부 및 외부 벽 쪽의 구멍에 근접 하여 위치하고, 및 구멍으로부터 외부를 향한다. 케이블(30)은 장치의 리드에 의해 벽을 통해서 보호 및 인도되고, 그 다음 벽의 구조 내에서 케이블의 배출 구부림의 시작을 관리한다. 배출 상의 돌출은 감소되어 종래 기술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른 단계에서 벽에 표면에 대해, 케이블은 같은 높이로, 또는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놓기 위해 90도 만큼 안전하게 끌어당겨 질 수 있다.
보충 구성요소(32)가 장치에서 리드와 함께 사용되는 장소는 또한 도면에서 점선으로된 아웃트라인으로 표시된다. 이들은 케이블이 장치의 리드로부터 배출되고, 플러그에서 벽 내의 구부러진 구멍 내에서 시작된 케이블의 구부림을 관리하는 작업을 계속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수신하기 위해 동작한다. 약간의 경우에 있어서, 보충 구성요소는 추가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성요소는 접착 트레이(splice tray)를 포함할 수 있다. 보충 구성요소는 도 9 및 도 10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된다.
도 8A ~ 8D는 장치의 리드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다. 구멍(50)은 장치의 리드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반경을 갖는 고객 댁내 벽(60)으로 뚫어진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12)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설치 도구(32)를 사용하여 구멍으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도되고 및 강제로 밀려진다; 도구는 특히 튜브부가 구멍으로 너무 깊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칼라(collar)(34)의 형태로 전체 깊이 멈춤 장치를 포함한다. 그 다음 설치 도구는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상표 방향으로 후퇴하고, 튜브부의 플랜지(28)는 구멍 내에서 마찰로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다음에,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혼부(14)는 삽 입되고 밀어져서 튜브부와 "덥썩 고정"된다. 그 다음 케이블이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이후에 케이블에 의해 취해지는 바람직한 방향에 의존하여 튜브부에 관련된 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이 맞추어진다 - 예컨대 케이블이 벽 표면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혼부는 회전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배출 케이블을 인도한다.
도 9는 고객 댁내에 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다른 방법에 있어서 장치의 리드와 함께 사용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형태의 보충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여기서 논의되는 보충적인 구성요소는 장치의 리드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완전한 제품 포트폴리오가 아닌 것의 단지 예인 것으로 구현될 것이다. British Standards for Electric Accessories는 도 9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설계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된다; 이들에 대한 변형은 다른 시장에서 이들 설계의 사용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것과 같이, 구성요소는 배출 케이블 및/또는 설명된 것과 같은 추가된 기능의 구부림 반경의 관리를 계속하도록 동작한다.
도 9A는 다음의 기능/피처를 포함하는 외부 광섬유 접착 포인트(External Fibre Splicing Point)를 나타낸다:
ㆍ튜브 및 블로운 광섬유 유닛의 가스 차단
ㆍ케이블 버트(butt) 종결
ㆍ케이블 브레이크아웃
ㆍ광 접착 트레이를 하우징하는 설비
ㆍ네트워크 종결 장비(댁내 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를 하우징하는 설비
ㆍ장치의 리드에 대한 위치
ㆍIP55 속도
도 9B는 다음의 기능/피처를 포함하는 내부 광섬유 접착 포인트(Internal Fibre Splicing Point)를 나타낸다:
ㆍ필요하다면, 튜브 및 블로운 광섬유 유닛의 가스 차단
ㆍ케이블 버트(butt) 종결
ㆍ케이블 브레이크아웃
ㆍ접착 트레이
ㆍ장치의 리드에 대한 위치
도 9C는 다음의 기능/피처를 포함하는 가스 차단을 갖는 외부 광섬유 준비 케이블 진입 포인트(External Fibre Ready Cable Entry Point)를 나타낸다:
ㆍ모든 측면으로부터 케이블/튜브 진입
ㆍ튜브 및 블로운 광섬유 유닛의 가스 차단
ㆍ구부림 관리
ㆍ물방울
ㆍ접착 트레이
ㆍ장치의 리드에 대한 위치
도 9D는 다음의 기능/피처를 포함하는 어떤 가스 차단도 갖지 않은 외부 광섬유 준비 케이블 진입 포인트를 나타낸다:
ㆍ재 방향설정에 의한, 모든 측면으로부터 케이블/튜브 진입
ㆍ구부림 관리
ㆍ물방울
ㆍ장치의 리드에 대한 위치
도 9E는 원격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을 위한 내부 광섬유 준비 케이블 엔트리 포인트(Internal Fibre Ready Cable Entry Point)를 나타낸다. 그 기능/피처는 다음을 포함한다:
ㆍ재 방향설정에 의한, 모든 측면으로부터 케이블/튜브 진입
ㆍ구부림 관리
ㆍ장치의 리드에 대한 위치
도 9F는 원격 진입에 대한 광/카퍼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Optical/Copper Network Termination Point)를 도시한다. 그 기능/피처는 다음을 포함한다.
ㆍ설치된 표면
ㆍ3개의 측면 상의 케이블 진입
ㆍ4개의 측면 상의 케이블 배출
ㆍ필요한 케이블 배출 방향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 방향이 정해지는 용기
도 10은 장치의 리드와 함께 사용된 보충적인 구성요소가 어떻게 고객 댁내로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약간의 전형적인 설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0A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빌딩 진입, 커넥토라이즈드(connectorised) 테일을 갖는 원격 내부 접착 포인트를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B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빌딩 진입, 커넥토라이즈드 테일을 갖는 직접 내부 접착 포인트를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C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빌딩 진입, 원격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직접 내부 접착 포인트를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D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원격 외부 접착, 커넥토라이즈드 테일을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E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원격 외부 접착, 직접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F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원격 외부 접착, 원격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G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결합된 외부 접착 & 커넥토라이즈드 테일을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H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결합된 외부 접착 & 직접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I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결합된 외부 접착 & 원격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J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전체 접착 포인트 & 커넥토라이즈드 테일을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K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전체 접착 포인트 & 직접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도 10L는 천장 또는 지하 제공; 전체 접착 포인트 & 원격 네트워크 종결 포인트를 갖는 빌딩 진입을 갖는 설비를 도시한다.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있는 구성은 단지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장치에서 리드의 사용 및 사용중인 특별한 배열에 대한 보충적인 구성요소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통상의 지식인은 설명된 방법 및 장치상의 다양한 구성 및 치환이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가능하게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1)

  1. 벽(50)을 통한 구멍 내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케이블(30)을 인도하는 바디(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멍 내의 통로(13)를 따라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바디에 의해 한정되고 아크(arc)에서 상기 구멍 내의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입구(mouth)를 거쳐서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포인트는 상기 구멍의 상기 표면에서의 또는 근처에서의 위치(100)의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고,
    이로써 상기 케이블이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 이상으로 상기 통로 아크를 따라 인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벽 내에 실질적으로 놓여서 사용중인 공동(hollow)의 벽플러그(12, 14)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벽플러그의 상기 공동을 거쳐서 상기 구멍을 통해 연장하며, 상기 벽플러그의 상기 공동은 상기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상기 입 구까지 상기 통로의 일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플러그는 사용시 상기 벽 내에 전부가 놓여지는 제 1 공동 튜브(12)와,
    2개의 종단을 갖는 제 2 공동 튜브(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동 튜브(14)는 사용시 제 1 튜브와 제 1 종단(24)에서 맞물려 상기 제 1 튜브의 상기 공동이 상기 제 2 튜브의 상기 공동과 통신하도록 위치되고, 제 2 종단(16)이 상기 구멍의 상기 입구에 또는 근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의 상기 공동은 상기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상기 입구까지의 상기 통로의 상기 일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는 상기 제 2 튜브의 상기 제 1 종단에서 상기 제 2 튜브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그 외부 표면 상에 플랜지들(flange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7. 벽의 구멍 내에 위치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케이블(30)을 인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멍 내의 통로를 따라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바디에 의해 한정되고 아크에서 상기 구멍 내의 제 1 포인트로부터 상기 구멍의 입구를 거쳐서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1 포인트는 상기 케이블이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 이상으로 상기 통로 아크를 따라 인도되도록 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구멍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8. 구멍으로부터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을 갖는 케이블을 인도하기 위해, 표면의 상기 구멍 내의 위치 선정을 위한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구멍 내의 위치 선정을 위한 바디를 갖고,
    상기 바디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통로는 아크에서 상기 통로가 상기 구멍의 세로축과 평행인 세로축을 갖는 상기 구멍 내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구멍 외부의 제 2 포인트를 거쳐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장치로부터 나오는 상기 구멍 외부의 배출구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포인트에서 상기 통로의 상기 세로축은 상기 제 1 포인트에서의 상기 통로의 상기 세로축과 직교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제 1 포인트의 상기 위치는 사용시 상기 장치, 및 상기 배출로부터 나오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의 최소 허용 구부림 반경보다 더 많이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구멍으로부터 충분히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드 아웃 장치.
  9. 장치에 있어서,
    도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벽을 통한 케이블의 경로를 정하는 장치.
  10. 장치에 있어서,
    도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벽의 구멍으로부터 케이블의 돌출의 확장을 감소하는 장치.
  11. 방법에 있어서,
    도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벽의 구멍으로부터 케이블의 돌출의 확장을 감소하는 방법.
KR1020067007745A 2003-09-30 2004-09-30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및 방법 KR101165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322893.9A GB0322893D0 (en) 2003-09-30 2003-09-30 Telecommunications lead in apparatus
GB0322893.9 2003-09-30
PCT/GB2004/004183 WO2005033758A1 (en) 2003-09-30 2004-09-30 Cable lead-in or lead-out with bend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64A true KR20060056464A (ko) 2006-05-24
KR101165180B1 KR101165180B1 (ko) 2012-07-11

Family

ID=2928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45A KR101165180B1 (ko) 2003-09-30 2004-09-30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70862B2 (ko)
EP (1) EP1668393A1 (ko)
JP (1) JP4658055B2 (ko)
KR (1) KR101165180B1 (ko)
CN (1) CN100465682C (ko)
AU (1) AU2004278878B2 (ko)
CA (1) CA2540094A1 (ko)
GB (1) GB0322893D0 (ko)
NO (1) NO20061564L (ko)
WO (1) WO2005033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9649B (zh) * 2009-12-21 2011-07-13 佛山电力设计院有限公司 电缆伸缩装置
GB2488833B (en) * 2011-03-10 2016-06-01 Sensor Developments As Tubular electric cable fittings with strain relief
US10326260B2 (en) 2015-01-15 2019-06-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mporary cable bend limiting device for use in cable installation
DE202015106838U1 (de) * 2015-12-16 2016-01-12 ZweiCom GmbH Kabelzugabfangelement für Glasfaserkabel
US10001619B2 (en) 2016-03-14 2018-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 assembly with a removable installation device
AU2023201009A1 (en) * 2022-05-06 2023-11-23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Fiber bend control fixtu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2448A1 (de) 1987-12-15 1989-06-29 Philips Patentverwaltung Kabelkanal
DE8803551U1 (ko) * 1988-03-16 1988-05-26 Rkm Rose Kabelmontage Gmbh & Co Kg, 6108 Weiterstadt, De
US5503369A (en) * 1994-03-02 1996-04-0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tical fibre customer lead in
DE4412571C1 (de) * 1994-04-13 1995-06-08 Framatome Connectors Int Kombinierter LWL-/Metallkabel-Steckverbinder
DE19544724A1 (de) * 1995-11-30 1997-06-05 Siemens Nixdorf Inf Syst Kabelführung für Lichtwellenleiter-Kabel
JPH09243859A (ja) 1996-03-08 1997-09-19 Sumitomo Wiring Syst Ltd 光コンセント
DE29900087U1 (de) * 1999-01-05 1999-04-08 Delphi Tech Inc Kabeldurchführung
EP1085360A1 (de) * 1999-09-13 2001-03-21 KA-TE System AG Knickschutzvorrichtung für Leitungen
US6321017B1 (en) * 1999-09-21 2001-11-20 Lucent Technologies Inc. Portal bend limiter/strain reliever for fiber optic closure exit portal
US6580029B1 (en) * 2000-05-17 2003-06-17 Kenneth G. Bing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s conduit bodies
US6445865B1 (en) * 2000-09-29 2002-09-03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jumper cable bend limiter and housing therefor
DE10113528A1 (de) * 2001-03-20 2002-09-26 Reichle & De Massari Ag Wetzik Kabelführungsmodul und Verwendung desselben
US6601997B2 (en) * 2001-04-17 2003-08-0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Fiber optic cable guide boot
JP2003125520A (ja) * 2001-10-12 2003-04-25 Kitagawa Ind Co Ltd ケーブル配線方法、およびケーブル配線具
JP2003248125A (ja) 2002-02-26 2003-09-05 Mitsubishi Rayon Co Ltd 光ファイバ用曲げ規制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7734A (ja) 2007-03-29
AU2004278878B2 (en) 2010-05-27
NO20061564L (no) 2006-05-31
CN100465682C (zh) 2009-03-04
CA2540094A1 (en) 2005-04-14
AU2004278878A1 (en) 2005-04-14
US20070041696A1 (en) 2007-02-22
KR101165180B1 (ko) 2012-07-11
WO2005033758A1 (en) 2005-04-14
GB0322893D0 (en) 2003-10-29
US7570862B2 (en) 2009-08-04
CN1860395A (zh) 2006-11-08
JP4658055B2 (ja) 2011-03-23
EP1668393A1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29262B2 (en) Network termination apparatus
US11841542B2 (en) Pre-terminated optical fibre cable assembly, methods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thereof
CN102076477A (zh) 柔性挤出缆线造型系统、方法和工具
KR20030051681A (ko) 광섬유 연결 하우징
US6493500B1 (en) Method for mid-span branching of optical fiber cable
KR20060056464A (ko)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및 방법
JP4917505B2 (ja) 光ローゼット
TW201926805A (zh) 用於多戶住宅單元的光纖連接盒
JP2001201641A (ja) 光通信幹線ケーブルおよび補強チューブケーブル
JP7281295B2 (ja) 光成端箱
JP200510701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4121526B2 (ja) 分岐部付光ケーブル
JP4274376B2 (ja) 光ブランチケーブルを配設した建造物
JP2005164994A (ja) 光アウトレット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KR200391401Y1 (ko) 세대단자함에 이용되는 소형광분배함
KR102525950B1 (ko) 이종커넥터가 구비된 광케이블
KR20210036546A (ko)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JP2005164754A (ja) 配線用ローゼット及びケーブル配線方法
JP2008268391A (ja) 光ファイバの施工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光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5188187B2 (ja) 集合住宅(mdu)および商業ビルへの配設のための光ファイバ配線
IT202000009184A1 (it) Armadio da esterno per telecomunicazioni
JP2005084220A (ja) 屈曲型光コネクタ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配線方法
JP2009093114A (ja) 収納ケース付き光ケーブルとそ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