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546A -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 Google Patents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546A
KR20210036546A KR1020190118635A KR20190118635A KR20210036546A KR 20210036546 A KR20210036546 A KR 20210036546A KR 1020190118635 A KR1020190118635 A KR 1020190118635A KR 20190118635 A KR20190118635 A KR 20190118635A KR 20210036546 A KR20210036546 A KR 2021003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optical cable
inner tube
branch lin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김석태
김광호
강종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546A/ko
Publication of KR2021003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는: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를 구비하는 제1덮개;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덮개와 결합되는 제2덮개;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선내관 인입홀부에 배치되는 지선내관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간선내관 인입홀부에 배치되는 간선내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JUNCTION BOX FOR UNDERGROUND OPTICAL CABLE BRANCH}
본 발명은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인입되는 간선 내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거나 간선 내관에 지선 광케이블을 분기접속하는 시공작업 시 내관 내부의 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은 굴절률이 큰 속유리와 굴절률이 작은 겉유리로 이루어진 광섬유를 통해 빛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이다. 광통신은 전기통신에 비해 외부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 적고, 먼 거리를 중계기 없이 빛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광통신은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는 전기통신 대신 광케이블의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광케이블망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광케이블 단자함을 경유해야만 광케이블을 사용자에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망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광케이블 접속개소가 많아지고 있다.
광케이블망 구축을 위해서는 지중에 설치되는 광케이블을 보호하며 광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내관(Microduct)이 필요하다. 내관의 내부에는 튜브(tube)가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튜브 내부로 광케이블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불어넣는 공압포설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기존에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 접속개소에서 지상 광케이블 개폐기에서 분기되는 지선(branch line)내관의 광케이블과 간선(main line)내관을 연결하는 분기접속 시공작업 시, 간선내관을 절단한 후 간선내관의 절단부와 지선내관을 테이핑 연결하는 시공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때 광케이블의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이 되어 광케이블이 단선 또는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768호(2013.03.26, 마이크로덕트용 함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 광케이블 분기접속 시공과정 동안 광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면서 지선내관의 광케이블을 간선내관에 연결할 수 있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는: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를 구비하는 제1덮개;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덮개와 결합되는 제2덮개;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선내관 인입홀부에 배치되는 지선내관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간선내관 인입홀부에 배치되는 간선내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덮개는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는 제1판부재와, 상기 제1판부재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덮개는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3판부재와, 상기 제3판부재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는 제4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선내관 고정부재는 상기 지선내관 인입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간선내관 고정부재는 상기 간선내관 인입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선내관 고정부재는 제1지선내관 인입홀부 및 제1지선내관 인입홀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선내관 인입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선내관 고정부재는 제1간선내관 홀부 및 제1간선내관 홀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간선내관 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덮개 및 상기 제2덮개는,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리브; 및 상기 제1리브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접속 시공작업 시, 광케이블의 외부 노출을 줄여 광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는 추가 분기접속 시공작업이 필요할 시, 내관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분기접속 시공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내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고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분기접속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인입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내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에 고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분기접속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인입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케이블망 구축을 위해서는 지중에 설치되는 광케이블을 보호하며 광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내관(Microduct)(D)이 필요하다. 지중에 설치되는 내관(Microduct)(D)은 피복과 피복 내부에 튜브(T)를 단수개 또는 복수개를 포함한다. 내관(D) 내부의 튜브(T)가 단수개일 때, 단심 내관이라고 부르며, 튜브(T)가 복수개일 때, 복심 내관이라고 칭하며, 튜브(T) 내부로 광케이블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불어넣는 공압포설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는 제1덮개(110), 제2덮개(120), 간선내관 인입홀부(130), 지선내관 인입홀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를 맞닿게 배치하여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로 조립할 수 있다. 결합부(150)는 힌지결합방식이거나, 돌기와 홈이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형성이 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덮개(110)의 일측면에는 제1판부재(111)와 제1판부재(111)의 상단에 맞닿으면서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판부재(112)가 형성된다. 제1판부재(111)에는 반장공의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131)가 형성되고, 제2판부재(112)에는 반장공의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141)가 형성된다. 제1덮개(110)의 타측면에는 제1판부재(111), 제2판부재(112),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131),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141)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2덮개(110)의 일측면에는 제3판부재(121)와 제3판부재(121)의 상단에 맞닿고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판부재(122)가 형성된다. 제3판부재(121)에는 반장공의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132)가 형성되고, 제4판부재(122)에는 반장공의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142)가 형성된다. 또한, 제2덮개(120)의 타측면에는 제3판부재(121), 제4판부재(122),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132),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142)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2판부재(112) 및 제4판부재(122)는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의 상부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덮개(110) 측면의 제1판부재(111)와 제2덮개(120) 측면의 제3판부재(121)를 맞닿게 배치한다. 이때, 제1덮개(110) 측면의 제2판부재(112)와 제2덮개 측면의 제4판부재(122)도 맞닿게 배치된다.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를 결합부(150)를 사용해 체결하면 내관(D)을 인입할 수 있는 인입홀부(130,140)가 형성되고 광케이블 연결부(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가 조립이 된다.
따라서, 반장공의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131)와 반장공의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132)가 결합하여 장공의 간선내관 인입홀부(130)가 형성되고, 또한, 반장공의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141)와 반장공의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142)가 결합하여 장공의 지선내관 인입홀부(140)가 형성된다.
광케이블을 지중에 시공할 때는 광케이블 허용곡률반경, 지형 및 포설조건 등을 감안하여 여장을 두고 시공작업을 해야한다. 광케이블 허용곡률반경이란, 광케이블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변형시키지 않고, 광케이블을 구부릴 수 있는 곡률반경을 말하며, 보통 광케이블 외경의 6배정도이다. 광케이블 여장이란, 광케이블의 포설, 가설 및 분기접속 시공등의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광케이블의 여유길이분을 두는 것을 뜻한다.
지선내관(4)의 광케이블 여장(미도시)은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에 꺽어지면서 지선내관(4) 또는 지선내관(4) 광케이블이 인입되기 때문에 광케이블 허용곡률반경을 고려하여, 지선내관 인입홀부(140)가 형성되는 제2판부재(112)와 제4판부재(12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지선내관(4)의 광케이블 연결부(미도시)를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지선내관(4)의 분기 시공작업 시 광케이블 연결부(미도시)의 노출을 줄여 광케이블의 단선,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의 외측면에는 제1리브(40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의 외측면에는 제2리브(40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리브(401)와 교차하여 형성된다. 제1리브(401)와 제2리브(402)는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의 외측면에 직교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가 지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에 가해지는 토양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구조를 보강하는 제1리브(401)와 제2리브(402)를 설치할 수 있다. 제1리브(401)와 제2리브(402)를 설치함으로써,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재질을 변경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가 결합하여 형성된 간선내관 인입홀부(130)와 지선내관 인입홀부(140)에는 내관(D)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0,300)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300)는 인입홀부(130,140)에 착탈가능하며, 인입홀부(130,140)에 형성된 걸림턱(160)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100)를 조립하기 전에, 고정부재(200,300)를 인입홀부(130,140)에 장착하여, 제1덮개(110)와 제2덮개(120)를 가조립을 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300)는 인입홀부(130,140)와 내관(D), 튜브(T) 및 광케이블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고정부재(200,300)는 내관(D), 튜브(T) 또는 광케이블을 인입 및 고정 할 수 있는 고정홀(201,202,203,301,302,30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00,300)의 고정홀(201,202,203,301,302,303)에 내관(D), 튜브(T) 또는 광케이블을 인입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200,30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홀(201,202,203,301,302,303)의 크기는 내관(D), 튜브(T), 광케이블의 굵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내관(D)이 인입되는 제1고정홀(201,301)은 크기가 제2고정홀(202,302) 및 제3고정홀(203,30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고정홀(201,301)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고정홀(202,302)과 제3고정홀(203,303)에는 튜브(T) 또는 광케이블이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110: 제1덮개
111: 제1판부재 112: 제2판부재
120: 제2덮개 121: 제3판부재
122: 제4판부재 130: 간선내관 인입홀부
131: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 132: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
140: 지선내관 인입홀부 141: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
142: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 150: 결합부
160: 걸림턱
200: 간선내관 고정부재 201: 제1고정홀
202: 제2고정홀 203: 제3고정홀
300: 지선내관 고정부재 301: 제1고정홀
302: 제2고정홀 303: 제3고정홀
401: 제1리브 402: 제2리브

Claims (6)

  1.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를 구비하는 제1덮개;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덮개와 결합되는 제2덮개;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선내관 인입홀부에 배치되는 지선내관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상기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간선내관 인입홀부에 배치되는 간선내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는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는 제1판부재와, 상기 제1판부재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덮개는 제2간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간선내관 인입홈부와 맞닿는 제3판부재와, 상기 제3판부재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지선내관 인입홈부가 형성되는 제4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내관 고정부재는 상기 지선내관 인입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간선내관 고정부재는 상기 간선내관 인입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내관 고정부재는 제1지선내관 인입홀부 및, 상기 제1지선내관 인입홀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선내관 인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선내관 고정부재는 제1간선내관 홀부 및, 상기 제1간선내관 홀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간선내관 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 및 상기 제2덮개는,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리브; 및 상기 제1리브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KR1020190118635A 2019-09-26 2019-09-26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KR20210036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35A KR20210036546A (ko) 2019-09-26 2019-09-26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35A KR20210036546A (ko) 2019-09-26 2019-09-26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46A true KR20210036546A (ko) 2021-04-05

Family

ID=7546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35A KR20210036546A (ko) 2019-09-26 2019-09-26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5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4158B2 (en) Mini drop terminal
US9417403B2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field installable outer connector housing and keyed ferrule hub
US8903216B2 (en) Cable strain relief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7668432B2 (en)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US20130022328A1 (en) Drop Terminal with Anchor Block for Retaining a Stub Cable
US7344314B2 (en) Joining optical fibres
US10598858B2 (en) Fiber optic connection device with an in-line splitter
KR20210036546A (ko) 지중 광케이블 분기용 접속함체
KR101165180B1 (ko) 구부림 보호를 갖는 케이블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 장치및 방법
KR100947631B1 (ko)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US20110268403A1 (en) Mounting and strain relief device
WO2004074900A1 (en) Blowing of optical fiber cables into ducts
AU2016215668B2 (en) Universal remote radio unit bird armored fiber optic cable assembly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US20190121028A1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with in-line splitter
AU2014200789B2 (en) Mini Drop Terminal
KR100391091B1 (ko) 광 다심 점퍼 코드 케이블
CN104714279A (zh) 一种光纤连接器的固定装置
KR200267348Y1 (ko)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Foss Long-Haul and Access Networks, 407 Optical Metro and WDM A. Lord et al.(Eds.) IOS Press, 2001© AKM High Fibre Count Cable Deployment
KR20050002454A (ko) 광점퍼코드를 보호하는 광덕트에 연결되는 어댑터
KR20010059912A (ko)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KR20150021758A (ko) 마이크로 덕트 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