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912A -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912A
KR20010059912A KR1019990067449A KR19990067449A KR20010059912A KR 20010059912 A KR20010059912 A KR 20010059912A KR 1019990067449 A KR1019990067449 A KR 1019990067449A KR 19990067449 A KR19990067449 A KR 19990067449A KR 20010059912 A KR20010059912 A KR 2001005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cable
cable
groov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984B1 (ko
Inventor
권오준
전용한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6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9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중심인장선의 피복층을 그 외부에 밀착되는 U그루브의 개수에 대응되게 각진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압축력에 대해 보다 강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갖도록 한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 내부에 다수의 광섬유소선이 구비된 광섬유리본과; 상기 광섬유리본 다수본을 그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U그루브와; 그 내부에 중심인장선이 구비되며 그 단면이 다수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표면에 다수의 상기 U그루브가 밀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된 내부피복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케이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압축력에 대응하여 인장강도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중심인장선의 피복층을 그 외부에 밀착되는 U그루브의 개수에 대응되게 각진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 및 압축력에 대해 보다 강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갖게 되며, 그 효과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Description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Optical fiber cable having an angula central strength member}
본 발명은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중심인장선을 포함하고 있는 피복층의 단면을 다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외표면에 밀착되는 U그루브가 보다 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갖도록 한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LAN, LOCAL AREA NETWORK)의 보급확산, 양방향통신구현, 화상통화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옥외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옥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및 옥외와 옥내 사이에 설치되는 인입용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중 옥외용 케이블은 수십 킬로미터 혹은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설치되기도 하며, 이를 지하에 매설할 경우에는 땅을 파고 흙으로 묻게되는데, 선로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고 케이블 수리 및 교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하에 통신용 터널을 인공적으로 설치하고 그 터널(통신구)내에 케이블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 경우 케이블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지만 제반 시공비가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광케이블 시공방법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내부가 빈관로(Pipe)를 땅속에 매설한 뒤 그 관로 속으로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관로는 그 길이가 수백 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로 매설되기도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씩 분지하여 맨홀과 맨홀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로 속에는 로프를 삽입한 뒤 그 관로를 지하에 매설하고, 상기 로프 끝단에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관로 속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입용 광케이블의 경우에도, 옥외용 케이블로부터 건물 내부의 단자함까지 포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물의 벽체를 뚫고 소정의 관로를 형성하여 건물 내부로 인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관로를 통해 포설되는 광케이블은 설치된 관로를 통해 포설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다심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다심 광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다심 광케이블의 요부를 확대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다심 광케이블은 내부 피복층(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U그루브(6)를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U그루브(6) 내에 복수개의 광섬유리본(8)을 적층되게 삽입한다.
또한, 상기 내부 피복층(4)의 중심축선상에는 철선 또는 합성섬유로 된 중심인장선(10)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U그루브(6)는 그 저면이 일정한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 피복층(4)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게 될 때 그 저면 가장자리로 갈수록 U그루브의 저면과 상기 내부 피복층(4)과의 거리가 이격되게 되므로 광케이블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그 인장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중심인장선의 피복층을 그 외부에 밀착되는 U그루브의 개수에 대응되게 각진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압축력에 대해 보다 강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갖도록 한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다심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다심 광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다심 광케이블의 요부를 확대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광케이블, 4:내부피복층,
6:U그루브, 8:광섬유리본,
10:중심인장선, 12:보조인장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내부에 다수의 광섬유소선이 구비된 광섬유리본과; 상기 광섬유리본 다수본을 그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U그루브와; 그 내부에 중심인장선이 구비되며 그 단면이 다수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표면에 다수의 상기 U그루브가 밀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된 내부피복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케이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압축력에 대응하여 인장강도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U그루브는 이웃하는 U그루브와의 사이에 보조인장선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은 그 내부에 중심인장선을 포함하고 있는 피복층의 단면을 다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외표면에 밀착되는 U그루브가 보다 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광케이블(2')은 외부의 충격이나 압축력에 대응하여 인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그 중심축선상에 중심인장선(10)이 구비되고, 그 중심인장선(10)의 외부에는 내부피복층(4')이 성형된다.
이때, 상기 내부피복층(4')은 그 성형시 상기 중심인장선(10)을 그 내부에 포함시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피복층(4')은 그 단면이 다수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더불어 그 길이방향으로 나선형 트위스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외표면상에는 U그루브(6)가 밀착되게 되므로 광케이블(2')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축력과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U그루브(6)의 하면을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광케이블(2')은 외부의 충격이나 압축력에 대응하여 인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그 중심축선상에 중심인장선(10)이 구비되고, 그 중심인장선(10)의 외부에는 내부피복층(4')이 성형된다.
또한, 상기 내부피복층(4')은 그 단면이 다수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표면상에는 U그루브(6)가 밀착되게 되므로 광케이블(2)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압축력과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U그루브(6)의 하면을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U그루브(6)는 이웃하는 U그루브(6)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케이블 외측으로부터의 압축력에 대해 인장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U그루브(6)는 이웃하는 U그루브(6)와의 사이에 보조인장선(12)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내부피복층(4')을 인발하여 제조할 때 상기 중심인장선(10)을 그 중심축선상에 구비하여 제조하고, 내부피복층(4')의 단면이 일정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부피복층(4')을 그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을 갖도록 하며, 상기 내부피복층(4')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기 U그루브(6)도 내부피복층(4')의 나선형 꼬임에 대응되어 나선형으로 제작한다.
그러면, 외부의 충격이나 압축력에 의해 그 내부의 U그루브(6)가 비틀리거나 그 설치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되며 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에 의하면 중심인장선의 피복층을 그 외부에 밀착되는 U그루브의 개수에 대응되게 각진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 및 압축력에 대해 보다 강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갖게 된다.

Claims (3)

  1. 그 내부에 다수의 광섬유소선이 구비된 광섬유리본(8)과;
    상기 광섬유리본(8) 다수본을 그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U그루브(6)와;
    그 내부에 중심인장선(10)이 구비되며 그 단면이 다수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표면에 다수의 상기 U그루브(6)가 밀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된 내부피복층(4')으로 구성됨으로써 케이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압축력에 대응하여 인장강도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그루브(6)는 이웃하는 U그루브(6)와의 사이에 보조인장선(12)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그루브(6)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피복층(4')의 상면에 밀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KR1019990067449A 1999-12-30 1999-12-30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KR10036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449A KR100360984B1 (ko) 1999-12-30 1999-12-30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449A KR100360984B1 (ko) 1999-12-30 1999-12-30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912A true KR20010059912A (ko) 2001-07-06
KR100360984B1 KR100360984B1 (ko) 2002-11-18

Family

ID=1963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449A KR100360984B1 (ko) 1999-12-30 1999-12-30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735A1 (ko) * 2021-05-31 2022-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파손 검출 기능을 갖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735A1 (ko) * 2021-05-31 2022-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파손 검출 기능을 갖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984B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14732U (zh) 一种高防护性路槽光缆
KR100360984B1 (ko)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KR100308503B1 (ko) 십자형 그루브와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20000047131A (ko)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42592B1 (ko) 타이트바운드형광케이블
KR100341026B1 (ko) 비대칭형슬롯로드와삼각형슬롯로드및그것들을구비한초다심광케이블
US20070050975A1 (en) Blowing of optical fiber cables into ducts
KR100308506B1 (ko) 폴드유니트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08505B1 (ko) 폴드유니트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20000015278U (ko) 타이트 바운드형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20396B1 (ko) 접이식 그루브를 갖는 초다심 광케이블_
KR200332982Y1 (ko) 일체형 점퍼 코드 케이블
KR200245861Y1 (ko) 리본형 초다심 광케이블
KR20000047115A (ko)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KR100341027B1 (ko) 단측개구형그루브및그것을갖는초다심광케이블
US11914208B2 (en) Rapid optical fiber link restoration solution
KR100272771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성단조립체
KR20000047116A (ko) 광케이블 풀링아이
KR100429505B1 (ko) 광섬유 번들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KR200367181Y1 (ko) 가공 및 광가입자 분기 겸용 광케이블
KR20000015283U (ko) 리본형 초다심 광케이블
EP1385245A1 (en) Self-supporting cable duct
KR100320380B1 (ko) 접이식 그루브를 갖는 초다심 광케이블_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100341028B1 (ko) 칸막이접이식그루브를갖는초다심광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