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115A -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115A
KR20000047115A KR1019980063879A KR19980063879A KR20000047115A KR 20000047115 A KR20000047115 A KR 20000047115A KR 1019980063879 A KR1019980063879 A KR 1019980063879A KR 19980063879 A KR19980063879 A KR 19980063879A KR 20000047115 A KR20000047115 A KR 2000004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cable
tight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115A/ko
Priority to EP99403328A priority patent/EP1016887A1/en
Priority to CN00100870A priority patent/CN1259677A/zh
Priority to JP158A priority patent/JP2000206382A/ja
Publication of KR2000004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G02B6/4408Groove structures in support members to decrease or harmonise transmission losses in ribb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02B6/4404Multi-podd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1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3Helical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제조설비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광케이블의 광섬유밀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인장선을 갖는 통상의 초다심 광케이블에 있어서, 다수개의 단심 광섬유의 외주면에 소정의 코팅부가 마련되고, 서로 인접된 단심 광섬유의 코팅부와 코팅부 사이에는 소정의 넥크부가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가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와, 서로 인접된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사이에는 인장실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광케이블은 다수개의 단심광섬유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다발 형태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유닛에 의해 구성되므로, 별도의 피복층이나 서브인장선 등이 차지하는 공간이 없으므로 광섬유밀도가 현저히 높아지며,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를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스트렌딩(stranding)장비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 설비가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본 발명은 초다심의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를 일체형으로 코팅하여 제조한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를 중심인장선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배치하므로써, 광섬유밀도가 현저히 높고, 제조 설비가 간단하도록 된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LAN, LOCAL AREA NETWORK)의 보급확산, 양방향통신구현, 화상통화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옥외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옥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및 옥외와 옥내 사이에 설치되는 인입용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중 옥외용 케이블은 수십 킬로미터 혹은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설치되기도 하며, 이를 지하에 매설할 경우에는 땅을 파고 흙으로 묻게되는데, 선로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고 케이블 수리 및 교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하에 통신용 터널을 인공적으로 설치하고 그 터널(통신구)내에 케이블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 경우 케이블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지만 제반 시공비가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광케이블 시공방법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내부가 빈 관로(Pipe)를 땅속에 매설한 뒤 그 관로 속으로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관로는 그 길이가 수백 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로 매설되기도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씩 분지하여 맨홀과 맨홀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로 속에는 로프를 삽입한 뒤 그 관로를 지하에 매설하고, 상기 로프 끝단에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관로 속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입용 광케이블의 경우에도, 옥외용 케이블로부터 건물 내부의 단자함까지 포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물의 벽체를 뚫고 소정의 관로를 형성하여 건물 내부로 인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을 협소한 공간을 갖는 관로 속으로 포설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직경이 줄어들어야 한다는 것이 최근에 상당히 부각되고 있는 문제이다.
도 1은 종래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를 갖는 광케이블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은 그 중심축선상에 강철선이나 고강도 합성수지로 된 중심인장선(31)이 배치되고, 상기 중심인장선(31)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이 서로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소정의 피복층(45)에 의해 피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은 중심축선상에 강철선이나 고강도 합성수지로 된 서브 인장선(41)이 배치되고, 상기 서브 인장선(41)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43)가 서로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소정의 피복층(45)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피복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을 중심인장선(31)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꼬아서 배치고, 각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 내의 단심광섬유(43)를 서브 인장선(41)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꼬아서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중심인장선(31)이나 서브 인장선(41)의 재질과 광섬유(43)의 재질이 서로 다르므로, 이에 따라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르게 되고, 이러한 열팽창계수가 다르게 되면 광섬유(43) 내부에 열팽창에 의한 응력이 발생되어 광섬유의 수명이 단축되며, 광특성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광케이블 외표면의 피복층은 그 내부에 수분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방수테이프로 피복된 방수층(34)과, 상기 방수층(34) 외주면에 수분침투 및 외부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알루미늄이나 강철로 된 금속 피복층(35)을 형성하고, 최외곽층에는 폴리에스틸렌(PE) 피복층(36)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심인장선(31) 둘레면에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을 나선형으로 배치하고, 각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 내에 다수개의 단심광섬유(43)를 나선형으로 꼬아서 배치하기 위한 고가의 스트렌딩(stranding)장비가 각기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광케이블의 제조 설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광케이블에 있어서는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40) 유닛은 그 내부의 단심광섬유(43)가 서브인장선(41) 둘레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각 단심광섬유(43) 둘레면에는 별도의 피복층(45)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서브 인장선(41)과 피복층(45)이 별도로 마련됨에 따라 광케이블의 광섬유 밀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부의 각 유닛을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하며, 이러한 각 유닛 내에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코팅층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써, 별도의 피복층이나 서브인장선 등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광섬유밀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유닛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는 단순히 하나의 다발 형태로 집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코팅층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이를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스트렌딩(stranding)장비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제조 설비가 간단한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타이트 버퍼(tight-buffered)형 광섬유를 갖는 광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 11 : 단심광섬유
13 : 코팅층 15 : 넥크부
20 : 인장실 31 : 중심인장선
본 발명은 중심인장선을 갖는 통상의 초다심 광케이블에 있어서, 다수개의 단심 광섬유의 외주면에 소정의 코팅부가 마련되고, 서로 인접된 단심 광섬유의 코팅부와 코팅부 사이에는 소정의 넥크부가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가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와, 서로 인접된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사이에는 인장실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은 중심축선상에 강철선이나 고강도 합성수지로 된 중심인장선(31)이 배치되고, 상기 중심인장선(31)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10) 유닛이 서로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소정의 외피층에 의해 피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타이트 바운드 형광섬유(10)는 다수개의 단심 광섬유(11)의 외주면에 소정의 코팅부(13)가 마련되고, 서로 인접된 단심 광섬유의 코팅부(13)와 코팅부(13) 사이에는 소정의 넥크부(15)가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10) 사이에는 고인장강도를 갖는 아라미드사로 된 인장실(20)을 배치하므로써, 외부의 인장력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광케이블 외표면의 피복층은 그 내부에 수분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방수테이프로 피복된 방수층(34)과, 상기 방수층(34) 외주면에 수분침투 및 외부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알루미늄이나 강철로 된 금속 피복층(35)을 형성하고, 최외곽층에는 폴리에스틸렌(PE) 피복층(36)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은 중심인장선(31) 외주면에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10)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각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10)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11)를 일체형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내부의 각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10) 사이에는 별도의 여분의 공간이 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10)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11)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얇은 코팅층(13)에 의해 하나의 다발 형태로 코팅되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피복층이나 서브 인장선 등이 차지하는 공간이 없으므로 광섬유밀도가 현저히 증가된다.
실험치에 따르면, 종래의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의 경우 22㎜ 직경의 광케이블 내에 72심의 단심광섬유가 내장되어 광섬유밀도가 0.189심/㎟ 정도이나, 상기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10)를 갖는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19㎜직경의 광케이블에 144심의 단심광섬유(11)가 내장되어 광섬유밀도가 약 0.508심/㎟ 인 것으로 밝혀져 광섬유밀도가 현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은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10) 유닛이 다수개의 단심광섬유(11) 사이에 소정의 넥크부(15)가 마련되어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 분기시 상기 넥크부(15)를 중심으로 쉽게 절개되므로 광케이블 포설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10)는 다수개의 단심 광섬유(11)가 일직선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스트렌딩(stranding)장비가 불필요하므로, 제조 설비가 간단해 진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타이트 바운드형광케이블은 내부의 각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유닛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내에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다발 형태로 코팅되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피복층이나 서브인장선 등이 차지하는 공간이 없으므로 광섬유밀도가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은 타이트 바운드형 광섬유유닛이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를 단순히 다발 형태로 집합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코팅층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 이를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스트렌딩(stranding)장비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 설비가 간단해 진다.

Claims (1)

  1. 중심인장선(31)을 갖는 통상의 초다심 광케이블에 있어서,
    다수개의 단심 광섬유(11)의 외주면에 소정의 코팅부(13)가 마련되고, 서로 인접된 단심 광섬유의 코팅부(13)와 코팅부(13) 사이에는 소정의 넥크부(15)가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타이트 버퍼형광섬유(10)가 상기 중심인장선(31)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10)와;
    서로 인접된 타이트 바운드형광섬유(10) 사이에는 인장실(2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KR1019980063879A 1998-12-31 1998-12-31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KR20000047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79A KR20000047115A (ko) 1998-12-31 1998-12-31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EP99403328A EP1016887A1 (en) 1998-12-31 1999-12-31 Tight-buffered optical fiber bundle and optical fiber cable composed of the same
CN00100870A CN1259677A (zh) 1998-12-31 2000-01-03 一种紧缓冲光纤束和由此构成的光缆
JP158A JP2000206382A (ja) 1998-12-31 2000-01-04 マルチコアタイトバッファ光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多心光ケ―ブ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79A KR20000047115A (ko) 1998-12-31 1998-12-31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115A true KR20000047115A (ko) 2000-07-25

Family

ID=1957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879A KR20000047115A (ko) 1998-12-31 1998-12-31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08U (ko) 2014-11-25 2016-06-0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초소형 고강도 타이트 버퍼형 분배 광섬유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08U (ko) 2014-11-25 2016-06-0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초소형 고강도 타이트 버퍼형 분배 광섬유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3448B1 (en) Optical fibre cable with support member for indoor and outdoor use
US7218821B2 (en) Optical fiber cables
EP0893722B1 (en) Combination optical fiber cable
US6292611B1 (en) High fiber count, compact, loose tube optical fiber cable employing ribbon units and flexible buffer tubes
JP2005510027A (ja) 光ファイバー引込みケーブル
US5825957A (en) Structure of optical fiber composite overhead ground wire applying loose tube and its fabricating method
KR100308503B1 (ko) 십자형 그루브와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42592B1 (ko) 타이트바운드형광케이블
KR20000047115A (ko) 타이트 바운드형 광케이블
KR20000047131A (ko)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US6480654B1 (en) High fiber count ribbon sub-unit breakout cable
KR20000015278U (ko) 타이트 바운드형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41026B1 (ko) 비대칭형슬롯로드와삼각형슬롯로드및그것들을구비한초다심광케이블
KR100360984B1 (ko) 각진 중심인장선이 내장된 광케이블
GB2368404A (en) Hybrid cable with twisted pairs of metallic electrical cables alternating with optical cables
KR100511938B1 (ko) 공압 포설용 튜브가 구비된 버퍼 튜브형 광케이블
KR100429505B1 (ko) 광섬유 번들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CN217305623U (zh) 矿用光缆及信号连接器
KR100341025B1 (ko) 초다심광케이블및그제조방법
RU2773873C1 (ru) Кабель связи подвесной с несущими силовыми элементами
KR100341027B1 (ko) 단측개구형그루브및그것을갖는초다심광케이블
KR100308505B1 (ko) 폴드유니트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08506B1 (ko) 폴드유니트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100320396B1 (ko) 접이식 그루브를 갖는 초다심 광케이블_
KR200297185Y1 (ko) 다심 리본 광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