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158A -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158A
KR20060054158A KR1020050108955A KR20050108955A KR20060054158A KR 20060054158 A KR20060054158 A KR 20060054158A KR 1020050108955 A KR1020050108955 A KR 1020050108955A KR 20050108955 A KR20050108955 A KR 20050108955A KR 20060054158 A KR20060054158 A KR 2006005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st
state
image
j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271B1 (ko
Inventor
타카오 테라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6Manual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2Other manual input means, e.g. digitisers or writing tab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7Switches, knobs or the like
    • H04N1/004Rocker or tumbler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어떤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켜서 열람할 때에, 조작수단의 조작(예를 들면 조그 다이얼의 조그 조작)에 의해, 섬네일(thumb nail) 표시 등의 일람 화상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F104→F107), 그대로 또한 조작수단이 조작됨(조그 조작된다)으로써,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커서 표시)의 이동이 행해지도록 한다(F108→F112).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람 화상표시로의 전환과,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화상선택(커서 이동)을 1개의 조작수단의 조작으로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기록매체, 화상 데이터, 섬네일, 커서 표시, 조그 다이얼

Description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REPRODUCTION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배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렌즈 카바의 개폐상태의 설명도이다.
도3은 실시예의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블럭도이다.
도4는 실시예의 집중 컨트롤러의 조작기능의 설명도이다.
도5는 실시예의 동작 상태천이의 설명도이다.
도6은 실시예의 파일 관리형태의 설명도이다.
도7은 실시예의 정지상태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8은 실시예의 재생상태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9는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Ⅰ의 설명도이다.
도10은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표시 예의 설명도이다.
도11은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12는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Ⅰ의 설명도이다.
도13은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Ⅱ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14는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Ⅱ의 설명도이다.
도15는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Ⅲ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16은 실시예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Ⅲ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 4 : 표시부
5 : 집중 컨트롤러 10 : 카메라 온/오프 키
11 : 셔터 버튼 15 : 렌즈 카바
30 : CPU 34 : 미디아 드라이브부
35 : 버퍼메모리 37 : 압축인코드(encode)/디코드(decoding)부
38 : 카메라/LCD블록 45 : 카바 연동 스위치
본 발명은, 소위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분야에 있어서 실현되는 화상 데이터의 재생장치 및 그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333660호 공보
CCD센서 또는 CMOS센서 등의 고체촬영소자 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화상신호를 얻고, 이것을 촬영 데이터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보급되고 있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에서는, 촬영 데이터(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하는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혹은, 하드디스크(자기디스크) 등의 디스크 미디아를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인 DCF준거의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이 기록매체들에 있어서 촬영 데이터는 FAT시스템 상에서 폴더로 나뉘어져 기록된다.
그런데, 최근 기록매체의 대용량화가 촉진되어,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촬영 데이터의 수도 방대한 양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는, 촬영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한 촬영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켜 볼 수 있게 되어 있지만, 기록된 촬영 데이터의 수가 많아지면, 보고 싶은 촬영화상을 보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번거롭게 된다. 예를 들면 통상, 화상 열람 시에 사용자는 촬영한 화상을 1매씩 순송 조작(또는 역송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시시켜 가지만, 이러한 조작에 의해 방대한 촬영 데이터 중에서 보고 싶은 화상을 찾아 가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촬영 데이터를 소위 섬네일(thumb nail) 화상에 의해 일람표시되게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섬네일 화상 상에서는, 예를 들면 커서를 이동시켜서 화상의 선택을 행하여 가고, 커서에 의해 어떤 섬네일 화상을 선택중으로 한 상태에서, 선택 결정 조작을 행하면, 그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촬영 데이터가 표시 화면 위로 풀 화면 표시시키도록 하면, 다수의 촬영 데이터 중에서 보고 싶은 촬영 데이터를 찾는 것이 편리 하게 된다.
이러한 일람표시나, 그 때의 커서 이동 등을 생각했을 경우, 사용자에 있어서, 보다 쾌적한 조작성이 실현되는 것이 기대되어 있다.
또한, 최근 전자기기의 복합 기능화가 진행되는 경향에 있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의 구성요소인 촬상소자나 회로구성의 소형화도 진행되고 있는 데,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의 기능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되는 등의 상황에 있다.
요즈음 들어서, 예를 들면 광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용재생장치에 있어서도, 카메라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렇게 오디오 재생 및 카메라 기능을 갖춘 휴대용의 복합장치 등을 생각할 경우, 그 기기의 조작성이 적절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기능을 각각 쓰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특히 소형휴대용 기기의 경우에서, 다수의 조작키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각종 기능에서 조작키 등이 겸용되는 것이 많지만, 그 겸용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기능의 이해가 곤란해지는 것도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화상열람을 위한 조작성의 향상이나,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 등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조작성을 실현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카메라 장치나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가지 는 카메라 장치에서 실현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보다 쾌적한 조작성, 사용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표시상태를, 1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상태로부터 화상의 일람표시를 행하는 표시상태로 바꾸는 지시를 행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키는 동시에, 또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작수단은, 회전조작이 행해지도록 한 회전 조작키이다.
또 상기 기록매체는, 또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제1 모드 시에는,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시키고, 제2 모드 시에는,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모드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수단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표시를 실행시키는 동시에, 또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어서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 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그 조작의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는 상기 제어수단은,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표시시켜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어서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그 조작의 뒤에, 상기 조작수단에 관한 일정시간 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었던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표시 제어 방법은,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고,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표시상태를, 1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상태로부터 화상의 일람표시를 행하는 표시상태로 바꾸는 지시를 행하는 조작수단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으로 표시시켜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키는 일람 화상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일람 화상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 에 따라, 상기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선택중 표시 이동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일람 화상표시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중 표시 이동 단계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혹은, 상기 일람 화상표시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조작수단에 관한 일정시간 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었던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중 표시 이동 단계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촬영에 의해 기록한 어떤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조작수단(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 섬네일 표시 등의 일람 화상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또한, 그대로 상기 조작수단(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이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는,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예를 들면 커서 표시)의 이동이 행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의 실시예로서, 휴대형의 오디오 플레이어 및 카메라의 복합 기능을 갖춘 장치를 설명한다. 이 예의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는,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고, 또 촬영한 정지 화상 데이터(촬영 데이터)를 광디스크에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설명은 다음 순서로 행한다.
[1.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외관 구성]
[2.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내부 구성]
[3. 집중 컨트롤러의 조작 기능]
[4. 동작 상태천이]
[5. 파일 관리 형태]
[6. 정지 상태에서의 동작]
[7. 재생 상태에서의 동작]
[8.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I]
[9.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II]
[10.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III]
[11. 실시예의 효과 및 변형 예]
[1.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외관 구성]
도1 (a) (b) (c) (d) (e) (f)에, 본 예의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1)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배면도를 나타낸다.
이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1)의 케이스는,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로 이루어지고, 상부케이스(2)는 하부케이스(3)에 대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상세한 기구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1(e)에 나타내는 개폐 조작키(16)을 조작함으로써 상부케이스(2)가 열린 상태가 되고, 소위 미니 디스크 방식의 디스크의 장전기구가 표출된다. 그리고 디스크가 장전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를 닫음으로써 케이스 내부에서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실행된다.
이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1)는, 디스크를 장전함에 의해, 그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악곡 등)의 재생을 행할 수 있고, 휴대용의 오디오 플레이어로서 기능한다. 또 디스크에 대하여 촬영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 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또, 이하에서는, 오디오 플레이어로서 기능하는 동작상태를 오디오 모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 기능하는 동작상태를 카메라 모드라고 한다.
도1(a)와 같이 케이스정면에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에 의한 표시부(4)가 설치된다. 이 표시부(4)에는, 오디오 모드 시에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일람이나 조작 메뉴, 재생중의 트랙 넘버, 진행 시간이나 총연주 시간 등의 시간정보, 사용 가이드, 또는 앨범 자켓 화상, 슬라이드 쇼 화상, 섬네일 화상 등이 표시된다.
또 카메라 모드의 경우에는,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는, 그 때에 촬상소자에서 받아들인 피사체 화상(실동화상)이나, 셔터 조작한 시점에서 촬상된 정지 화상(사진화상)이 표시되고, 또 사진열람 상태에 있을 때는, 과거에 촬상한 사진(광디스크에 기록된 촬영 데이터)의 재생 화상이나 섬네일 화상이 표시된다.
또 케이스 상의 소정 위치에는 각종 조작키가 설치된다.
도1(a)에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 정면에는 조작키로서, 집중 컨트롤러(5), 메뉴키(6), 스톱/캔슬키(7), 슬라이드쇼키(8), 디스플레이키(9)가 설치된다. 또 도1(b)에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 상면에는 카메라 온/오프키(10), 셔터 버튼(11)이 설치된다. 또 도1(d)에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 측면에는 볼륨키(12), 다운로드키(13), 홀드 스위치(14)가 설치된다.
집중 컨트롤러(5)는, 오디오 모드, 카메라 모드의 어느 경우에도 주된 조작을 행하는 조작키로 한다. 이 집중 컨트롤러5의 조작 기능에 관해서는 도4에 의해 후술한다.
메뉴키(6)는, 표시부(4)에 있어서의 조작 메뉴표시의 온/오프 조작을 위한 키로 한다.
스톱/캔슬키(7)는, 재생동작의 정지나 각종 캔슬 조작을 위한 키로 한다.
슬라이드쇼키(8)는 슬라이드쇼로서, 예를 들면 오디오 재생시의 화상 데이터 표시동작을 지시하는 키로 한다.
디스플레이키(9)는, 표시부(4)에 있어서의 표시 모드, 표시 내용 등을 바꾸기 위한 키로 한다.
카메라 온/오프키(10)에 대해서는 뒤에도 서술하지만, 카메라 모드의 기동 및 카메라 모드의 종료를 지시하는 키로 한다.
셔터 버튼(11)은,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 촬영 타이밍을 지시하는 키다.
셔터 버튼(11)에 의해 사진화상의 촬영이 행해진다.
볼륨키(12)는, 오디오 재생시의 음량조정키다.
다운로드키(13)는, 예를 들면 당해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1)를 PC에 접속했을 경우 등에 있어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키다.
홀드 스위치(14)는, 휴대시 등의 오류조작을 없애기 위해서, 각 조작키의 무효화(홀드 상태)를 설정하는 슬라이드 조작키다.
도1(e)와 같이 케이스 전면에는, USB단자(3)가 설치되고, USB방식의 인터페이스에서 예를 들면 PC 등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c)와 같이 케이스 측면에는 헤드폰/리모트 컨트롤 단자(18)가 형성되어, 리모트 컨트롤러가 부착된 헤드폰이 접속된다.
도1(d)와 같이 케이스 측면에는 배터리 박스 개폐부(19)가 설치되고, 이 배터리 박스 개폐를 여는 것으로써 배터리의 삽입/꺼냄이 가능해 진다.
도1(f)와 같이 케이스 배면에는,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렌즈 카바(15)가 설치된다. 렌즈 카바(15)는, 촬영 렌즈의 보호를 위해 설치된다.
도2(a),(b)에, 렌즈 카바(15)의 슬라이드에 의한 개폐상태를 나타낸다.
렌즈 카바(15)는, 도2(a)와 같은 닫힌 상태와, 도2(b)와 같은 열린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b)의 열린 상태로 함으로써 촬영 렌즈부(19)가 표출되고, 카메라 촬영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도2(a)의 닫힌 상태에서는, 촬영 렌즈부(19)가 차폐되어, 렌즈가 보호되는 상태가 된다.
본 예에서는, 렌즈 카바(15)의 슬라이드 조작이, 동작 상태천이를 지시하는 조작이 된다.
[2.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내부 구성]
도3에 의해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1)의 내부구성을 설명한다.
CPU(30)는 장치 전체의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오디오 모드에서의 재생동작이나 카메라 모드에서의 촬영동작이나 화상재생동작이나, 표시부(4)의 표시 동작 등을 위한 제어, 사용자 조작의 감지, 동작 상태의 천이처리, 외부기기와의 통신제어 등을 행한다. CPU(30)는 버스(50)를 통해 각부와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주고받기를 행한다.
RAM(31)은, CPU(30)가 연산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거나, 동작중의 정보의 기억에 사용된다.
ROM(32)은, CPU(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처리 계수 등이 기억된다.
불휘발성메모리(33)(NV-RAM이나 플래시 ROM)은, 각종 계수, 설정정보, 리줌 포인트(재생 정지시의 어드레스), 기타, 전원 오프시에도 유지해두어야 할 정보의 기억에 사용된다.
미디아 드라이브부(34)는, CPU(30)의 제어에 의거하여 디스크(90),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방식의 광디스크(또는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90)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관한 기록 포맷에의 인코드(encode)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의 디코드(decode)부, 기록재생 헤드, 서보기구, 스핀들 모터 기구 등을 구비한다.
버퍼 메모리(35)는, 예를 들면 CD-RAM에 의해 구성되고, 이 버퍼 메모리(35)에서는,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 전송해서 디스크(90)에 기록시키는 데이터의 버퍼링이나,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서 디스크(90)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버퍼링이 행해진다.
또한 디스크(90)에 기록된 관리 정보, 즉 데이터의 기록재생동작을 위해 필요한 디스크(90)의 물리정보, 에어리어 정보, 기록된 데이터 파일 정보 등은, 디스크(90)가 장전되었을 때에, CPU(30)의 지시에 의해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 의해 판독되지만, 이것들의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35)의 일부영역에 저장되어, CPU(30)가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또 CPU(30)는, 버퍼 메모리(35)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RAM(31)에 받아들여서 참조하도록 하여도 좋다.
메모리 인터페이스(36)는, 버퍼 메모리(35)에 저장되 데이터의 전송 처리나 버퍼 메모리 내의 기록/판독 어드레스의 제어 처리를 행한다.
압축 인코드/디코드부(37)는, 예를 들면 ATRAC 등의 압축방식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인코드나 압축에 대한 디코드를 행한다.
압축 인코드/디코드부(37)로 디코드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면 리니어 PCM데이터로 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변환기(47)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헤드폰 앰프(48)에 공급된다. 헤드폰 앰프(48)에서는, 증폭 처리, 임피던스 조정 처리 등을 행하고,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 단자(49)에 공급한다.
헤드폰 단자(49)는, 도1(c)의 헤드폰/리모트 컨트롤 단자(18)에 있어서의 헤드폰 단자부분이며, 접속된 리모트 컨트롤러가 부착된 헤드폰에 있어서 재생 음성이 출력되게 된다.
또, 도시 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라인 입력, 마이크로폰 입력, 디지털오디오 입력 등의 입력계가 설치되어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디지털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디지털오디오 데이터 형태로 압축 인코드/디코드부(37)에 공급되고, 압축 인코드되도록 한다. 그리고 압축 인코드된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35)를 통해 미디아 드라이브부 (34)에 전송되고, 디스크(90)에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오디오 녹음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PC 등과 접속되어, 오디오 데이터가 다운로드될 경우에, 해 당 데이터를 압축 인코드/디코드부(37)에서 압축 인코드 처리를 행할 경우도 있다.
USB인터페이스(39)는, USB단자(17)을 개재해서 접속되는 PC 등의 기기와의 사이의 데이터전송처리를 행한다.
직렬 인터페이스(40)는, 후술하는 카메라/LCD블록과의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 처리를 행한다.
A/D포트(41)는, 각종 사용자 조작을 검출하고, A/D변환 값을 조작정보로서 CPU(30)에 공급한다. 조작키(44)라는 것은, 전술한 집중 컨트롤러(5), 메뉴키(6), 스톱/캔슬키(7), 슬라이드쇼키(8), 디스플레이키(9), 카메라 온/오프키(10), 셔터 버튼(11), 볼륨키(12), 다운로드키(13)을 가리키고, A/D포트(41)는 이 조작키들의 조작정보를 소정의 값으로 CPU(30)에 전해준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단자(46)는, 도1(c)의 헤드폰/리모트 컨트롤 단자(18)에 있어서의 리모트 컨트롤 단자부분이며, 접속된 헤드폰에 설정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정보가 A/D포트(41)에 의해 검출되어, 소정의 값으로서 CPU(30)에 전달된다.
직렬 인터페이스(42)는, CPU(30)이 지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리모트 컨트롤 단자(46)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에 공급한다. 헤드폰에 설치된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있고, 그 표시부에 있어서는, 직렬 인터페이스(42)를 통해 CPU(30)로부터 공급된 표시 제어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동작이 행해진다.
DSP 인터페이스(43)는, CPU(30), USB인터페이스(39) 등의 버스(50) 상의 각 부와 압축 인코드/디코드부(37)에서의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전송을 행한다.
홀드키(14)의 조작은, CPU(30)에 의해 검출된다. CPU(30)는 홀드키(14)에 의해 키의 무효화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A/D포트(41)을 통해 공급되는 조작키(44)에 의한 조작정보를 무효인 것으로서 취급한다.
카바 연동 스위치(45)는, 렌즈 카바(15)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를 바꿀 수 있는 스위치이며, 렌즈 카바(15)의 개폐의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CPU(30)는 카바 연동 스위치(45)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렌즈 카바(15)가 열린 상태에 있는지 혹은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카메라/LCD블록(38)은, 촬영처리계 및 표시부(4)를 포함하는 표시 처리계로서의 부위이다.
촬영처리계로서는, 전술한 촬영 렌즈부(19)에 의해 입사되는 피사체광을 검출하는 CCD센서 또는 CMOS센서 등의 고체촬영소자부, 고체촬영소자로부터 화소신호를 전송하고, 이득 조정이나 A/D변환을 행하는 촬영신호전송 회로, 촬영신호전송 회로에 의해 얻을 수 있은 촬영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이트(white) 밸런스, Y/C처리 등을 행하는 디지털 처리계, 촬영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압축 처리나 포맷 처리 등을 행하는 인코드계 등이 설치된다.
또 표시 처리계로서는, 표시부(4)로서의 LCD에 표시해야 할 화상, 문자, 캐릭터 등을 형성하는 표시 화상처리부, 표시 화상에 의거하여 LCD를 구동하는 표시 구동회로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에서는, 오디오 모드에서 디스크(90)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진다.
사용자가 조작키(44)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재생 조작을 행했을 경우, CPU(30)는 미디아 드라이브부(34)를 제어하고, 디스크(90)의 오디오 파일(오디오 트랙)의 재생을 실행시킨다.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서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35)에 축적된 후, 순차적으로 판독되어서 압축 인코드/디코드부(37)에 전송되어, 디코드된다. 그리고 D/A변환기(47)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바뀌고, 헤드폰 앰프(48)의 처리를 거쳐서 접속된 헤드폰으로부터 음성출력된다.
이 오디오 모드시에는, 카메라/LCD블록(38)에 있어서의 표시부(4) 및 표시 처리계에서는, CPU(30)의 제어에 의거하여 재생 메뉴(곡명 등의 일람표시), 재생중의 곡명, 아티스트 이름, 시간정보, 자켓 화상, 슬라이드 쇼 화상 등의 표시동작을 실행한다.
카메라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는, CPU(30)는 카메라/LCD블록(38)을 제어하고, 피사체 화상의 인출, 화상신호처리나, 표시부(4)에서의 피사체 화상(실동화상)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 버튼(11)을 누르면, CPU(30)는 그 시점의 피사체 화상(정지 화상)을 촬영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그 셔터 조작시의 1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35)를 통해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 기록 데이터로서 공급한다.
미디아 드라이브부(34)는 디스크(90)에 대하여, 1개의 사진화상 파일로서 촬영 데이터를 기록한다.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 사진열람 상태에 있을 때는, CPU(30)는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 디스크(90)에 기록되어 있는 사진화상 파일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35)를 개재하여, 카메라/LCD블록(38)에 전송되고, 표시부(4)에 표시된다.
또, 사진화상 데이터는 1매씩 표시부(4)에 표시될 경우와, 섬네일 화상으로서 다수의 화상이 일람표시될 경우가 있다. CPU(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1매씩의 표시와 섬네일 표시가 바뀔 수 있도록 제어한다.
[3. 집중 컨트롤러의 조작 기능]
집중 컨트롤러(5)의 조작기능에 대해서 도4에서 설명한다. 집중 컨트롤러(5)는, 카메라 모드와 오디오 모드에서 다른 조작기능이 주어져 있는 겸용 조작키다.
도4(a)에 집중 컨트롤러(5)의 조작 형태를 나타낸다.
집중 컨트롤러(5)는, 우선 그 중앙부를 누르는 푸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중앙의 주위의 네 모퉁이도 각각 누를 수 있게 되어, 그 상하 좌우의 누름이, 업 조작, 다운 조작, 레프트 조작, 라이트 조작으로 된다.
또한 집중 컨트롤러(5)의 외주부분은 소위 조그 다이얼로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있고,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조그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각 조작의 조작 기능을 도4(b)에 나타낸다.
먼저 오디오 모드로 되어 있을 때의 조작 기능을 설명한다.
푸시 조작은, 재생 및 일시정지 조작, 결정(엔터) 조작, 북 마크 설정/해제 조작이 된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의 슬립 상태나 정지상태로부터 푸시 조작이 이루어짐으로써 CPU(30)는 그것을 재생조작으로 인식하고, 재생시작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메뉴 화면상 등에 있어서 재생하는 트랙(예를 들면 노래 데이터파일)이 선택되어 있으면, 그 트랙의 재생을 개시시키고, 또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크(90)에 있어서의 최초의 트랙의 재생을 개시시킨다. 또한, 리줌 포인트로서 특정한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으면, CPU(30)는 해당 리줌 포인트로서의 어드레스로부터 디스크(90)의 재생을 실행시킨다.
또 재생동작 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일시정지(포즈) 조작으로 인식해서 재생 음성의 출력을 일시정지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부(4)에서의 조작메뉴 표시 등에 있어서 커서에 의한 선택조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와 같이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엔터조작으로서 인식하고, 각종 결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재생중이나 일시정지중 등에, 예를 들면 2초와 같이 소정시간 이상 길게 눌러서 푸시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CPU(30)는 그것을 북 마크 설정 조작이라고 인식해서 재생 위치로서의 북 마크 설정을 행한다. 또 북 마크 설정 개소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길게 눌러서 푸시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북 마크 설정을 해제한다.
조그 조작은 트랙 일람표시에의 트리거 및 커서 이동조작이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그 조작을 행하면, CPU(30)는 표시부(4)에 트랙 일람표시를 행한다. 또한, 조그 조작은 연속적으로, 트랙 일람표시 상에서의 커서 이동조작으로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재생시킬 곡을 선택하고 싶을 경우, 조그 조작에 의해 원하는 곡을 선택할 수 있다. 트랙 일람표시 상에서 커서를 원하는 곡명 위로 이동시킨 후, 푸시 조작을 행하면, 그것이 선택의 결정 및 재생 조작이 된다.
레프트 조작은, FR 조작(되돌리기 방향표시) 및 리뷰 조작(빨리 되돌리기 재생)이 된다. 즉 한번 누름으로서의 레프트 조작이, 되돌리기 방향의 트랙 선두 위치에의 액세스 조작이 되고, 계속 누름으로서의 레프트 조작이, 빨리 되돌리기 재생의 조작이 된다.
라이트 조작은, FF 조작(재생 진행 방향표시) 및 큐 조작(빨리 보내기 재생)이 된다. 즉 한번 누름으로서의 라이트 조작이, 재생 진행 방향의 트랙 선두 위치에의 액세스 조작이 되고, 계속 누름으로서의 라이트 조작이, 빨리보내기 재생의 조작이 된다.
업 조작은, + 방향의 폴더 이동 조작(폴더 점프 조작) 및 커서 이동 조작이 된다. 디스크(90)에는, 다수의 오디오 트랙(파일)이 폴더에 모여져서 관리되고, 또 폴더도 복수 개 가질 수 있다. 업 조작에 따라서는, 폴더 단위의 지정 상태의 이동이 행해진다.
또 메뉴 표시나 트랙 일람표시가 행해져 있을 경우에 있어서는, 업 조작은 커서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 된다.
다운 조작은, - 방향의 폴더 이동조작(폴더 점프조작) 및 커서 이동조작이 된다. 다운 조작에 따라서는, 상기 업 조작과는 역방향으로 폴더 단위의 지정 상태의 이동이나, 메뉴 표시나 트랙 일람표시 상에서의 커서 하방이동이 행해진다.
카메라 모드로 되어 있을 때의 조작기능은 다음과 같다.
푸시 조작은, 퀵 리뷰 조작이나 각종 결정(엔터) 조작이 된다.
예를 들면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서 촬영이 행해진 후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퀵 리뷰 조작으로 인식해서 직전에 촬영한 화상 데이터의 표시 등 과거에 촬영해 디스크(90)에 기록한 화상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또한 섬네일 화상표시 중에 푸시 조작이 이루어지면, CPU(30)는, 그 때에 커서에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선택 결정 조작으로 인식하고, 그 화상 데이터 중 1매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부(4)에서의 조작 메뉴 표시 등에 있어서 커서에 의한 선택 조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 푸시 조작이 이루어지면, CPU(30)는 그것을 엔터조작으로서 인식하고, 각종 결정 처리를 행한다.
조그 조작은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 및 커서 이동 조작이 된다.
예를 들면 사진열람 상태에 있어서 1매의 사진화상이 표시부(4)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 조그 조작이 이루어지면, CPU(30)는 그것을 섬네일 표시(일람 화상표시)에의 트리거 조작으로 인식하고, 표시부(4)에 섬네일 화상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조그 조작은 연속적으로, 섬네일 표시 상에서의 커서 이동 조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그 조작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리고 원하는 섬네일 화상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푸시 조작을 행하면, 그것이 화상의 선택결정 조작이 되고, 해당 선택된 화상의 1매 표시가 행해진다.
또 메뉴 표시 등이 행해지고 있을 경우, 조그 조작은 그 회전방향에 따른 커서 이동 조작이 된다.
레프트 조작은, 셀프 타이머(self-timer) 전환조작 및 커서 이동 조작이 된다. 즉 레프트 조작에 의해 셀프 타이머 기능의 전환이 행해지고, 또 섬네일 화상표시 중에서는 커서의 좌측방향 이동이 행해진다.
라이트 조작은, 플래시 전환조작 및 커서 이동 조작이 된다. 즉 라이트 조작에 의해 플래시 기능의 전환이 행해지고, 또 섬네일 화상표시 중에서는 커서의 우측방향 이동이 행해진다.
업 조작은, 매크로 전환, 커서 이동 조작 및 + 방향의 폴더 이동 조작(폴더 점프 조작)이 된다. 즉 업 조작에 의해, 매크로 기능의 전환이 행해지고, 또 섬네일 화상표시 중에서는 커서의 상방이동이 행해진다. 또 디스크(90)에는, 다수의 촬영 데이터로서의 파일이 폴더에 모여져서 관리되고, 또 폴더도 복수 개 가질 수 있다. 업 조작에 따라서는, 폴더 단위의 지정상태의 이동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1매 화상표시 중에 업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것이 폴더 점프 조작이 되고, 표시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 폴더로부터 다음 화상 데이터 폴더를 지정하여 표시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다운 조작은, 자켓 사진모드 전환, 화상 사이즈 전환, 커서 이동 조작 및 - 방향의 폴더 이동 조작(폴더 점프 조작)이 된다. 즉 다운 조작에 의해, 자켓 사진 모드의 전환이 행해지고, 화상 사이즈로서의 1280 x 960, 640 x 480와 같은 각종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 또 섬네일 화상표시 중에서는 커서의 하방이동이 행해진다. 또 1매 화상표시 중에 현재의 화상 데이터 폴더의 앞의 화상 데이터 폴더를 지정하는 상태로 바꿀 수 있다.
[4. 동작 상태천이]
본 예에서는,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에 있어서 각종 동작상태의 천이를 위한 조작으로서 렌즈 카바(15)의 개폐를 이용하고 있다. 렌즈 카바(15)의 개폐를 포함시킨 동작상태의 천이에 대해서 도5에서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 동작상태라는 것은, 크게 나누어서 오디오 모드와 카메라 모드가 있다.
그리고 오디오 모드에 있어서는, 슬립 상태, 정지상태, 재생상태라고 하는 각 동작상태가 있다.
또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는, 촬영 스탠바이 상태와 사진열람 상태라고 하는 각 동작상태가 있다.
슬립 상태라는 것은, 장치의 주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CPU(30)에는 슬립용의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의 검출이나 시간계수 등, 최저한 필요로 되는 처리만을 행하고 있다.
정지상태라는 것은, 장치의 주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지만 오디오 재생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재생상태라는 것은, 오디오 재생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 혹은 재생이 일시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촬영 스탠바이 상태라는 것은, 표시부(4)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고, 셔터 버튼(11)에 의해 촬영(화상 데이터 기록)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사진열람 상태라는 것은, 디스크(90)에 기록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1매 표시 또는 섬네일 표시로서 표시부(4)에 표시시키는 상태이다.
CPU(30)는, 이러한 각 동작상태(동작 모드)들을, 도5의 S1∼S21로 나타내는 각 조작 또는 조건에 따라 아래와 같이 천이(이동)시킨다.
<S1: 슬립 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카메라 모드를 기동시킨다. 단, 이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 상태이면,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서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
<S2: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다>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리면, CPU(30)는 카메라 모드를 기동시켜 촬영 스탠바이 상태로 한다.
<S3: 슬립 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상기 S1의 경우와 같이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카메라 모드를 기동시키지만, 이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닫힌 상태이면, 사진열람 상태에서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
<S4: 슬립 상태에서의 웨이크업계 조작>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웨이크업계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오디오 모드에서 주전원을 온으로 하여 정지상태로 한다. 웨이크업계 조작이라는 것은, 메뉴키(6), 디스플레이키(9)와 같은 재생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조작을 말한다.
<S5: 슬립 상태에서의 재생 조작>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집중 컨트롤러의 푸시 조작, 즉 재생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오디오 모드에서 주전원을 온으로 해서 재생상태로 한다. 즉 재생동작을 개시시킨다.
<S6: 정지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오디오 모드로부터 카메라 모드로 바꾼다. 단, 이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 상태이면,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서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
<S7: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다>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리면, CPU(30)는 카메라 모드로 바꾸고, 촬영 스탠바이 상태로 한다.
<S8:정지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상기 S6의 경우와 같이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오디오 모드를 종료시키고 카메라 모드를 기동시키지만, 이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닫힌 상태이면, 사진열람 상태 에서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
<S9: 정지상태에서의 타임아웃>
CPU(30)는, 정지상태에 있어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소정시간(예를 들면 3분 등) 경과하면, 타임아웃으로서 주전원을 오프로 하여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S10: 정지상태로부터의 재생조작>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집중 컨트롤러의 푸시 조작, 즉 재생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재생상태로 이행한다. 즉 재생동작을 개시시킨다.
<S11: 재생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재생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재생을 정지시키고, 오디오 모드로부터 카메라 모드로 바꾼다. 단, 이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 상태이면,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서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
<S12: 재생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다>
재생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리면, CPU(30)는 재생을 정지시켜 카메라 모드로 바꾸고, 촬영 스탠바이 상태로 한다.
<S13: 재생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상기 S11의 경우와 같이 재생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오디오 모드를 종료시키고 카메라 모드를 기동시키지만, 이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닫힌 상태이면, 사진열람 상태 에서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
<S14: 재생상태에서의 정지조작>
CPU(30)는, 재생상태에 있어서, 스톱/캔슬키(7)가 조작되면, 재생을 종료시키고, 정지상태로 이행한다.
<S15: 재생 종료>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CPU(30)는 정지상태로 이행시킨다.
<S16: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닫힌다>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닫히면, CPU(30)는 사진열람 상태로 바꾼다.
<S17: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카메라 모드를 종료시키고 주전원을 오프로 해서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S18: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서의 타임아웃>
CPU(30)는, 촬영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소정시간(예를 들면 3분 등) 경과하면, 타임아웃으로서 주전원을 오프로 하고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S19: 사진열람 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린다>
사진열람 상태에 있을 때에, 렌즈 카바(15)가 열리면, CPU(30)는 촬영 스탠바이 상태로 바꾼다.
<S20: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카메라 온/오프키(10)의 조작>
사진열람 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온/오프키(10)가 조작되면, CPU(30)는 카메라 모드를 종료시키고 주전원을 오프로 하고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S21: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타임아웃>
CPU(30)는, 사진열람 상태에 있어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소정시간 (예를 들면 3분 등) 경과하면, 타임아웃으로서 주전원을 오프하여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이 CPU(30)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조건에 따라 동작상태를 바꾼다.
[5. 파일 관리 형태]
여기에서 디스크(90)에 기록되는 촬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형태에 관하여 설명해 둔다.
디스크(90)에 있어서는, 기록 데이터는 예를 들면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도6에 나타낸 것처럼 FAT 파일 시스템의 루트에는, DCIM 디렉토리, HiFi 디렉토리가 배치된다.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지화상(촬영 데이터)은, JEIDA 규격의 카메라 파일 시스템 규격(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DCF 규격)에 준거해서 관리되고, 이 DCF 규격에서는, 루트에 DCIM 디렉토리가 놓여지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DCIM 디렉토리에는, 최대 999개의 폴더 CF1, CF2 …를 둘 수 있다. 설명상의 구별을 위해, DCIM 디렉토리내의 폴더 CF1, CF2, …를 "화상 데이터 폴더"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각 화상 데이터 폴더 CF 내에는, 최대 9999장의 정지화상(촬영 데이터)을 저장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지만, 그 최대수의 설정은, 설계상의 형편에 의해 임의적이다(9999장 이하이면 좋다).
도6에서는, 화상 데이터 폴더 CF1에 포함되는 촬영 데이터의 파일을, DTc101, DTc102, …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각 파일 DTc101 …에는, 각각 실제의 촬영 데이터와 함께, 헤더 정보나 섬네일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데, 더욱이, 각 파일의 섬네일 데이터를 모은 섬네일 파일이 하나 또는 복수 개 생성되고, 화상 데이터 폴더 CF1 내에 배치된다. 파일 TM101, TM102는, 섬네일 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1개의 섬네일 파일에는, 예를 들면 최대 100장의 섬네일 화상이 저장되도록 설정된다.
다른 화상 데이터 폴더 CF2, CF3 …에 대해서도 같은 구조가 된다.
HiFi 디렉토리에 의해서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가 관리된다. 이 HiFi 디렉토리에는, 트랙 인덱스 파일과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배치된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실제의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트랙이나 각종 프린지(fringe) 정보 등이 포함되고, 그것들의 실제 데이터가 트랙 인덱스 파일내의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에 의한 관리구조에 대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피하 지만,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트랙이, 하나 또는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관리된다. 그룹이란 것은, 예를 들면 앨범마다, 아티스트마다, 또는 사용자 설정 등의 구분이 된다. 예를 들면 점선내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룹 AG1, AG2 …로서의 관리구조가 형성되어, 각 그룹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트랙이나 프린지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도6에서는, 예를 들면 그룹 AG1에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트랙 TK1, TK2, TK3이나 프린지 정보 FG1이 포함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설명상, 전술한 화상 데이터 폴더와의 구별을 위해, 그룹 AG1, AG2 …을, "오디오 데이터 폴더"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미니디스크 시스템을 예로 들고 있기 때문에, 트랙 인덱스 파일에 의한 관리형태가, 직접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폴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루트 아래의 어떤 디렉토리로부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폴더가 표시되고, 그 오디오 데이터 폴더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트랙)이 배치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6. 정지상태에서의 동작]
도5에서 서술한 각 동작상태 중, 오디오 모드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행해지는 동작을 도7에 나타낸다. 도7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S31∼S39로 나타내고 있다.
정지상태에서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지중" "폴더내 트랙 일 람" "폴더 일람"이라고 하는 각 상태가 있다.
모두 오디오 재생동작에 관해서는 행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지만, "정지중"은 표시부(4)에 있어서 정지시의 일반적인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 "폴더내 트랙 일람"은 표시부(4)에 있어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x)에 포함되는 트랙이 일람표시되어 있는 상태, "폴더 일람"은 표시부에 오디오 데이터 폴더AG1, AG2 …가 일람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S31: 정지중의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
정지중에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어떤 오디오 데이터 폴더 내에서 선택중인 트랙에 대한 트랙 점프 조작으로서 처리한다. 레프트 조작은 전(前)트랙으로의 점프, 라이트 조작은 다음 트랙으로의 점프가 된다.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낸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에 있어서 트랙 TK1이 선택중일 경우(즉, 재생조작을 행하면 트랙 TK1로부터 재생되는 상태인 경우)에, 라이트 조작을 행하면, 트랙 TK2가 선택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지 중에는, 레프트 조작이나 라이트 조작으로 현재의 오디오 데이터 폴더(그룹)내의 임의의 트랙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S32: 정지중의 업 조작/다운 조작>
정지중에 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이동 조작(폴더 점프 조작)으로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업 조작은 앞의 오디오 데이터 폴더로의 점프, 다운 조작은 다음 오디오 데이터 폴더로의 점프로 한다. 예를 들면 도6의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2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 는 업 조작이나 다운 조작을 행함으로써 선택 상태를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이나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3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S33: 정지중의 조그 조작>
정지중에 조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 바꾼다. 예를 들면 CPU(30)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그 조작을 검출하면, 그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에 포함되는 트랙TK1, TK2, TK3의 명칭(곡명) 또는 트랙 넘버를 표시부(4)에 일람표시시킨다.
<S34: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스톱/캔슬 조작>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스톱/캔슬키(7)를 눌렀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일람표시의 종료로 판단하고, 표시부(4)의 표시를 정지중의 표시상태로 되돌린다.
<S35: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들을 커서 이동 조작으로서 처리하고, 트랙 일람표시상에서 커서 이동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그 조작으로서 우회전 조작은 트랙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에의 커서 이동, 조그 조작으로서 좌회전 조작은 트랙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 커서 이동, 업 조작은 트랙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다운 조작은 트랙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등으로서 표시상에서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S36: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레프트 조작>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레프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 일람으로 바꾼다. 이 경우, CPU(30)는, 표시부에,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 AG2 …의 일람표시를 실행시킨다.
<S37: 폴더 일람으로부터의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
폴더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들을 커서 이동 조작으로서 처리하고, 폴더 일람표시상에서 커서 이동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그 조작으로서 우회전 조작은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폴더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조그 조작으로서 좌회전 조작은 폴더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업 조작은 폴더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다운 조작은 폴더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등으로서 표시상에서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S38: 폴더 일람으로부터의 라이트 조작>
폴더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라이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 되돌린다. 이 라이트 조작은, 상기 S36의 레프트 조작으로 한 쌍이 되는 화면의 되돌리기를 위한 조작이 된다.
<S39: 폴더 일람으로부터의 푸시 조작>
폴더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폴더선택의 결정조작으로서 처리한다. 이 경우 CPU(30)는, 그 시점에서 폴더 일 람 화면상에서 커서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를, 선택된 폴더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로 되돌리는 셈이지만, 이때는, 선택 결정된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트랙 일람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2가 선택 결정되었다고 하면, 트랙 TK4, TK5의 일람표시를 행한다.
또, 정지상태로부터 재생상태로의 이행은, 도5에 있어서 S10의 재생조작(집중 컨트롤러5의 푸시 조작)으로서 행해진다고 서술했지만, 그 도5의 S10의 재생조작은, 도7에 있어서의 S10a 또는 S10b가 된다.
S10a로서 정지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그것이 S10의 재생조작으로서 재생상태로 이행한다. 그 경우, 그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의 선두 트랙으로부터의 재생이 행해진다.
또 S10b로서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그것이 S10의 재생조작으로서 재생상태로 이행한다. 그 경우, 그 시점에서, 표시상에서 커서로 선택되어 있는 트랙으로부터의 재생이 행해진다.
[7. 재생상태에서의 동작]
다음에 오디오 모드의 재생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행해지는 동작을 도8에 나타낸다. 도8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S41∼S57로 나타내고 있다.
재생상태에서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생중" "일시정지중" "폴더내 트랙 일람" "폴더 일람"이라고 하는 각 상태가 있다.
"재생중"은 오디오 데이터(도6의 트랙 TK1 등)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 "일시정지중"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정지되어 있는 상태, "폴더내 트랙 일람"은 표시부(4)에 있어서, 현재 선택중인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x)에 포함되는 트랙이 일람표시되어 있는 상태, "폴더 일람"은 표시부에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 AG2 …가 일람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에서의 "폴더내 트랙 일람" "폴더 일람"은, 재생 또는 일시정지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이다.
<S41: 재생중의 푸시 조작>
재생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재생동작(재생 음성출력)을 일시정지시킨다.
<S42: 재생중의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
재생중에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트랙 점프 조작(이 경우에는 표제 조작)로서 처리한다. 레프트 조작일 때는 되돌리기 방향으로의 표제 점프로서, 또 라이트 조작일 때는 재생 진행방향으로의 표제 점프로서, 각각 미디아 드라이브부(34)나 메모리 인터페이스(36)를 제어하고, 표제 재생을 실행시킨다.
또, 도8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재생중에 길게 누르는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리뷰 재생 조작, 큐(cue) 재생 조작으로 취급하고, 미디아 드라이브부(34)나 메모리 인터페이스(36)를 제어하여, ??리 되돌리기 재생, 조속 이송 재생을 실행시킨다.
<S43: 재생중의 업 조작/다운 조작>
재생중에 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이동 조작(폴더 점프 조작)으로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업 조작은 앞의 오디오 데이터 폴더로의 점프, 다운 조작은 다음 오디오 데이터 폴더로의 점프라고 한다.
이 경우 CPU(30)는, 업 조작/다운 조작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선택을 바꾸는 동시에, 즉시 재생 음성출력을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선두의 트랙으로부터 실행시키도록 제어해도 좋지만, 업 조작/다운 조작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표시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폴더 이름을 바꾸어 가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그 후의 푸시 조작으로 오디오 데이터 폴더가 결정됨으로써, 재생 음성출력을, 그 결정된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선두 트랙의 재생 음성으로 바꾸도록 제어해도 좋다.
<S44: 재생중의 조그 조작>
재생중에 조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 바꾼다. 예를 들면 CPU(30)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 내의 어떤 트랙의 재생중에 조그 조작을 검출하면, 그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에 포함되는 트랙 TK1, TK2, TK3의 명칭(곡명)또는 트랙 넘버를 표시부(4)에 일람표시시킨다. 또, 이때 재생 음성출력은 계속되고 있다.
<S45: 일시정지중의 푸시 조작>
일시정지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일시정지를 종료시켜, 재생동작(재생 음성출력)을 재개시킨다.
<S46: 일시정지중의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
일시정지중에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트랙 점프 조작(이 경우에는 일시정지 상태에서의 표제 조작)으로서 처리한다. 레프트 조작일 때는 되돌리기 방향으로의 표제 점프로서, 또 라이트 조작일 때는 재생 진행방향으로의 표제 점프로서, 미디아 드라이브부(34)에 트랙 선두위치로의 액세스를 실행시킨다.
또, 도8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일시정지중에 길게 누른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빨리 되돌리기 조작, 조속 이송 조작으로 취급하고, 미디아 드라이브부(34)을 제어하여, 빨리 되돌리기, 속 이송을 실행시킨다.
<S47: 일시정지중의 업 조작/다운 조작>
일시정지중에 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이동 조작(폴더 점프 조작)으로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업 조작은 앞의 오디오 데이터 폴더로의 점프, 다운 조작은 다음 오디오 데이터 폴더로의 점프로 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선택이 바뀐 상태에서 일시정지의 해제(푸시 조작)를 기다린다. 푸시 조작에 의해 재생을 재개할 때는, 업 조작/다운 조작으로 바뀐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선두 트랙으로부터의 재생을 행하게 된다.
<S48: 일시정지중의 조그 조작>
일시정지중에 조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 바꾼다. 예를 들면 CPU(30)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내의 어떤 트랙의 일시정지중에 조그 조작을 검출하면, 그 오디오 데이터 폴 더 AG1에 포함되는 트랙 TK1, TK2, TK3의 명칭(곡명) 또는 트랙 넘버를 표시부(4)에 일람표시시킨다. 혹은, 상기 S47의 업 조작/다운 조작으로 선택중인 오디오 데이터 폴더가 바뀐 후에 조그 조작이 행해지면, 그 바뀐 오디오 데이터 폴더에 포함되는 트랙의 일람표시를 실행시킨다.
<S49: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레프트 조작>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레프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 일람으로 바꾼다. 이 경우, CPU(30)는, 표시부에,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1, AG2 …의 일람표시를 실행시킨다.
<S50: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들을 커서 이동 조작으로서 처리하고, 트랙 일람표시상에서 커서 이동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그 조작으로서 우회전 조작은 트랙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조그 조작으로서 좌회전 조작은 트랙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업 조작은 트랙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다운 조작은 트랙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등으로서 표시상에서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S51: 재생중의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푸시 조작>
상기 S44로서 재생중의 조그 조작에서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실행시킨 후에 있어서, 푸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일람표시상의 커서로 선택되어 있는 트랙의 재생지시라고 판단하고, 해당 선택된 트랙의 재생을 개시시키도록 미 디아 드라이브부(3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36)를 제어한다. 재생 음성출력은, 그때까지 재생되어 있었던 트랙의 재생음성으로부터, 새롭게 선택된 트랙의 재생음성으로 바뀌게 된다.
<S52: 재생중의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스톱/캔슬 조작>
상기 S44로서 재생중의 조그 조작에서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실행시킨 후에, 스톱/캔슬키(7)를 눌렀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일람표시의 종료라고 판단하고, 표시부(4)의 표시를 재생중의 표시상태로 되돌린다. 재생 음성출력은 그대로 계속되고 있다.
<S53: 일시정지중의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푸시 조작>
상기 S48로서 일시정지중의 조그 조작으로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실행시킨 후에 있어서, 푸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CPU(30)는 일람표시상의 커서로 선택되어 있는 트랙의 선택상태가 결정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선택된 트랙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일시정지를 계속한다. 미디아 드라이브부(3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36)에 대하여는, 일시정지 해제 시점에서, 새롭게 선택된 트랙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S54: 일시정지중의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부터의 스톱/캔슬 조작>
상기 S48로서 일시정지중의 조그 조작으로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를 실행시킨 후에, 스톱/캔슬키(7)를 눌렀을 경우, CPU(30)는 그것을 일람표시의 종료라고 판단하고, 표시부(4)의 표시를 일시정지중의 표시상태로 되돌린다. 일시정지 상태는 그대로 계속된다.
<S55: 폴더 일람으로부터의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
폴더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들을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처리하고, 폴더 일람표시상에서 커서 이동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그 조작으로서 우회전 조작은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폴더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조그 조작으로서 좌회전 조작은 폴더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업 조작은 폴더 넘버가 돌아가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다운 조작은 폴더 넘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등으로서 표시상에서의 커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S56: 폴더 일람으로부터의 라이트 조작>
폴더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라이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 조작을 트리거로서, 표시상태를 폴더내 트랙 일람으로 되돌린다. 이 라이트 조작은, 상기 S49의 레프트 조작으로 한 쌍이 되는 화면의 되돌리기를 위한 조작이 된다.
<S57: 폴더 일람으로부터의 푸시 조작>
폴더 일람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폴더선택의 결정조작으로서 처리한다. 이 경우 CPU(30)는, 그 시점에서 폴더 일람 화면상에서 커서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폴더를, 선택된 폴더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폴더내 트랙 일람표시로 되돌리는 셈이지만, 이때는, 선택 결정된 오디오 데이터 폴더의 트랙 일람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폴더 AG2가 선택 결정되었다고 하면, 트랙 TK4, TK5의 일람표시를 행한다.
[8.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Ⅰ]
다음으로 카메라 모드의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 특히 조그 조작에 대한 동작처리의 각종 예를, 동작 예Ⅰ~Ⅲ으로서, 각각 설명한다.
먼저, 동작 예Ⅰ을 도9, 도10, 도11, 도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9는, 사진열람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S61, S62, S63 및 S71, S72, S73으로 나타내고 있다.
사진열람 상태로는, 도9에 나타낸 것처럼 "1매 표시"와 "섬네일 표시"라고 하는 각 상태가 있다.
"1매 표시"는, 촬영 데이터로서의 어떤 1매의 표시부(40)에 풀 화면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도10(a)에는, 도6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 폴더CF2에 있어서의 촬영 데이터 DTc201의 화상이 "1매 표시"되어 있는 예를 게시하고 있다.
"섬네일 표시"는, 복수의 촬영 데이터의 섬네일 화상이 표시부(4)에 나타나 있는 상태이며, 그 표시상태의 예를 도10(c)에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화상 데이터 폴더 CF2에 있어서의 촬영 데이터 DTc201~DTc209의 9장의 화상에 대응하는 각각의 섬네일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예이다. 이 섬네일 표시할 때의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폴더 CF2 내의 섬네일 파일 TM201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이다.
또 전술한 도5에 있어서 S16, S19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스탠바이 상태와 사진열람 상태의 천이는 렌즈 카바(15)의 개폐에 따라 행해진다. S16의 렌즈 카바(15)를 닫는 조작에 따라 촬영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사진열람 상태로 이행했을 때는,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진열람 상태에 있어서 1매 표시가 실행되는 상태가 된다.
<S61: 1매 표시 실행중의 조그 조작>
1매 표시중에 조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트리거로서 섬네일 표시로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즉 그 시점에서 1매 표시하고 있던 촬영 데이터가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폴더내의 섬네일 파일 등을 사용한 섬네일 화상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10(a)와 같이 화상 데이터 폴더 CF2의 촬영 데이터 DTc201의 1매 표시를 행하고 있던 때에 푸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도10(c)와 같이, 그 화상 데이터 폴더 CF2에 포함되는 섬네일 파일 TM201의 재생화상으로서의 섬네일 표시를 행한다.
또, 이것들은 전술한 도6과 같이 화상 데이터 폴더내에 섬네일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경우이지만, 섬네일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각 촬영 데이터 DTc 내에 포함되는 섬네일 화상을 추출해서 표시하면 좋다.
그런데, 어떤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중에 섬네일 표시로 이행했을 때, 예를 들면 그 1매 표시에 있어서의 촬영 데이터를 선두로서, 복수의 섬네일 화상을 표시해도 좋고, 그 1매 표시의 촬영 데이터가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폴더에 있어서의 선두로부터의 촬영 데이터의 섬네일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또 이러한 때에, 화상 데이터 폴더 단위로 섬네일 화상의 표시를 완결시켜도 좋고, 화상 데이터 폴더의 단위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전후의 화상 데이터 폴더내의 촬영 데이터도 순번에 연속하는 것으로서, 그것들의 촬영 데이터의 섬네일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S62: 1매 표시 실행중의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
1매 표시중에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1매 표시를 행하는 촬영 데이터를 전후로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레프트 조작에서 1개전의 촬영 데이터, 라이트 조작에서 다음 촬영 데이터로 바꾼다. 예를 들면 도10(a)와 같이 화상 데이터 폴더 CF2의 촬영 데이터 DTc201의 1매 표시를 행하고 있던 때에 라이트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도10(b)와 같이 , 다음 촬영 데이터 DTc202의 재생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전후는, 화상 데이터 폴더내에서 완결해도 좋고, 화상 데이터 폴더를 걸쳐서 전후로 해도 좋다. 화상 데이터 폴더내에서 완결시키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폴더 CF2의 선두의 촬영 데이터 DTc201의 1매 표시를 행하고 있던 때에 레프트 조작이 행해져서 1개전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때는, 그 1개전의 화상은, 일순해서 화상 데이터 폴더 CF2의 최후의 촬영 데이터로 해도 좋고, 또는 화상 데이터 폴더 CF2에 1개전의 촬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화상의 전환을 행하지 않도록(조작을 무효로 한다) 하여도 좋다.
또한 화상 데이터 폴더를 연속적으로 걸쳐서 취급하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폴더 CF2의 선두의 촬영 데이터 DTc201의 1매 표시를 행하고 있던 때에 레프트 조작이 행해지면, 1개전의 화상으로서, 앞의 화상 데이터 폴더 CF1의 최후의 촬영 데이터로 한다.
<S63: 1매 표시 실행중의 업 조작/다운 조작>
1매 표시중에 업 조작/다운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폴더 점프를 행하여 표시하는 화상을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업 조작에서 앞의 화상 데이터 폴더로 점프하고, 다운 조작에서 다음 화상 데이터 폴더로 점프시킨다.
예를 들면 도10(a)와 같이 촬영 데이터 DTc201 등, 화상 데이터 폴더 CF2 내의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를 행하고 있던 때에 다운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다음 화상 데이터 폴더 CF3에의 점프처리를 행하고, 도13(d)와 같이 화상 데이터 폴더 CF3의 선두의 촬영 데이터 DTc301의 재생화상을 1매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동일하게 도10(a)와 같이 촬영 데이터 DTc201 등, 화상 데이터 폴더 CF2 내의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를 행하고 있던 때에 업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앞의 화상 데이터 폴더 CF1로의 점프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 폴더 CF1의 선두의 촬영 데이터 DTc101의 재생화상을 1매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S71: 섬네일 표시중의 푸시 조작>
섬네일 표시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트리거로서 섬네일 표시로부터 1매 표시로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섬네일 표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10(c),(e)에 나타낸 것처럼 커서 K에 의해, 복수의 화상 중의 1개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섬네일 표시중에 푸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그 시점에서 커서 K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화상의 1매 표시로 바꾸게 된다. 예를 들면 도10(c)에 있어서 커서 K로 촬영 데이터 DTc201이 선택되어 있었고 하면, 도10(a)와 같은 촬 영 데이터 DTc201의 1매 표시로 바꾼다. 또 도10(e)에서 커서 K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것이 촬영 데이터 DTc208이라고 하면, 그 촬영 데이터 DTc208의 1매 표시로 바꾼다.
<S72: 섬네일 표시중의 스톱/캔슬 조작>
섬네일 표시중에 스톱/캔슬키(7)의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을 트리거로서 섬네일 표시로부터 1매 표시로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단, 이 경우에는, 섬네일 화면상에서의 커서 K에 의한 선택을 캔슬하는 것으로 하고, 섬네일 표시로 이행하는 직전의 1매 표시로 돌아가게 된다. 예를 들면 도10(a)의 촬영 데이터 DTc201의 1매 표시로부터 도10(c)의 섬네일 표시로 이행한 후, 커서 이동조작이 행해져서 도10(e)와 같이 커서 K가 촬영 데이터 DTc208의 위치로 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스톱/캔슬 조작이 행해지면, 원래의 도10(a)의 1매 표시의 상태로 되돌리도록 한다.
<S73: 섬네일 표시중의 조그/업/다운/레프트/라이트 조작>
섬네일 표시중에,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행해지면, CPU(30)는 그것들을 섬네일 표시상의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조그 조작으로서 우회전 조작은 도10(c),(e)와 같은 예를 들면 9 화상분의 섬네일 화상상의 순방향의 커서 이동, 조그 조작으로서 좌회전 조작은 섬네일 화상상의 역방향의 커서 이동, 업 조작은 상방의 커서 이동, 다운 조작은 하방으로의 커서 이동, 레프트 조작은 좌측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 라이트 조작은 우측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으로서, 각각 표시상에서의 커서 K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 예를 들면 도10(c),(e)와 같이 섬네일 표시는 9 화상으로 하고 있지만, 물론 촬영 데이터 DTc로서 10개 이상이 기록되어 있을 경우, 섬네일 표시는 커서 이동에 따라 표시되는 섬네일 화상을 바꾸어 가게 된다.
이 도9와 같은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CPU(30)의 처리를 도11에 나타낸다. 또, 도11은, 사진열람 상태에 있어서 도9에서 설명한 동작만에 대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스탠바이 상태로의 상태천이의 처리 등은 생략하고 있다.
스텝F101은, 1매 표시로서 어떤 촬영 데이터를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CPU(30)는, 이 1매 표시중에는 스텝F102, F103, F104에서 업 조작/다운 조작, 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 조그 조작을 각각 감시하고 있다.
업 조작 또는 다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F102로부터 F105로 진행하고, 상기 S63에서 설명한 폴더 점프처리를 행하여 1매 표시시키는 화상의 선택을 바꾸고, 스텝F101로 돌아가서 폴더점프에 의해 새롭게 선택된 촬영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시킨다.
레프트 조작 또는 라이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F103으로부터 F106으로 진행하고, 상기 S62에서 설명한 전(前) 또는 후의 촬영 데이터로 바꾸는 처리를 행하고, 스텝F101으로 돌아가서 전 또는 후의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를 표시시킨다.
조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F104로부터 F107로 진행하고, 상기 S6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섬네일 표시를 실행시킨다.
섬네일 표시 중에는 CPU(30)는, 스텝F108, F109, F110으로, 커서 이동조작( 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 푸시 조작, 스톱/캔슬키(7)의 조작을 각각 감시하고 있다.
커서 이동조작(조그 조작/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S73의 처리를 행한다. 즉 CPU(30)는 스텝F108로부터 F111로 진행하고, 섬네일 표시상에서, 그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커서 K를 이동시키는(경우에 따라서는 섬네일 화상의 전환이나 스크롤 처리를 동반한다) 처리를 행한다.
푸시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S71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CPU(30)는 스텝F109로부터 F112로 진행하고, 우선 그 시점에서 커서 K로 선택된 촬영 데이터의 선택을 확정시킨다. 그리고 스텝F101로 진행하고, 커서 K로 선택된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를 실행시킨다.
스톱/캔슬키(7)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S72의 처리로서, CPU(30)는 스텝F110으로부터 F101로 진행하고, 섬네일 표시로 이행하기 전의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로 되돌린다.
이상의 처리에 의한 동작 예I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1매 표시의 상태로부터 섬네일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과, 그 섬네일 화상상에서 커서 이동(화상선택)시키는 것을 조그 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스텝F104에서 조그 조작이 감지되면, CPU(30)는 스텝F107에서 섬네일 표시를 실행시키지만, 계속해서 조그 조작이 감지되어 있으면, 스텝F108로부터 F111로 진행되어서 커서 이동을 실행시킨다.
도10에 조그 조작의 감지에 대한 CPU(30)의 입력판단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집중 컨트롤러(5)의 외주부(조그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조그 조작이 이루어지지만, 가령, 조그 다이얼은 1회전에 대해서 14클릭이 설정되고, 1회전으로 14파의 조작신호가 발생된다고 한다. 이 경우, 조그 다이얼이 약26ㅀ의 각도로 회전될 때마다, CPU(30)에 대하여 조그 조작신호가 입력되지만, 이 조그 조작신호를 도12에 있어서 J1, J2 …로서 나타내고 있다.
CPU(30)는, 1매 표시 중에 조그 조작신호 J1을 감지했을 경우, 그 조그 조작신호 J1을 섬네일 표시로의 트리거 조작으로 판단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F104로부터 F107로 진행한다.
계속해서 조그 조작신호 J2, J3 …으로 연속해서 조그 조작신호를 감지하면, 그것들을 섬네일 표시상에서의 커서 이동조작으로 판단하고, 각 조그 조작신호에 따라 스텝F111로 커서 이동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섬네일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과, 섬네일 화상상에서의 커서이동을 조그 조작만으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9.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Ⅱ]
동작 예Ⅱ를 도13, 도14에서 설명한다.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천이는 상기 도9와 같지만, 상기 동작 예Ⅰ에 있어서 CPU(30)가 도12와 같이 조그 조작 신호에 대한 입력판단을 행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커서조작을 하기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예를 들면 1매 표시중에 조그 다이얼을 재빠르게 회전시켰을 경우, CPU(30)는 도12의 조그 조작신호 J1을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로서 처리한 후, 연 속적으로 감지되는 이후의 조그 조작신호 J2, J3 …을 각각 1개의 커서 이동조작으로 인식해서 커서이동을 행해버린다. 즉, 사용자가 조그를 재빠르게 큰 각도로 회전시키면, 사용자에 있어서는, 섬네일 표시상에서, 커서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로까지 되어버리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섬네일 표시상에서 선두의 섬네일 화상으로부터 순번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가고 싶었을 경우에 불편을 느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조그 다이얼의 회전이 클릭감을 수반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1클릭으로 트리거, 2번째 클릭 이후를 커서이동이라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면 상기 동작 예Ⅰ의 처리에서도 문제없지만, 특히 클릭감을 수반하지 않고 회전되는 것 같은 조작키의 경우, 상기와 같은 불편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동작 예Ⅱ에서는,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가 되는 조그 조작신호 J1에 이어서 감지되는 조그 조작신호에 대해서 불감대(不感帶)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것을 도14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 조작이 있었던 직후, 200 msec를 조그 조작신호에 관한 불감대로 한다. 지금, 사용자의 조그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50 msec간격으로 조그 조작신호가 감지되었다고 하면, 도14의 조그 조작신호 J2∼J5가, 조그 조작신호 J1의 감지후 200 msec이내의 조그 조작신호가 된다.
이러한 경우, CPU(30)는 최초의 조그 조작신호 J1을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라고 판단하고, 계속되는 조그 조작신호 J2∼J5에 대해서는 무효조작으로서 무시한다.
리고 200 msec경과후의 조그 조작신호 J6 이후를,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판단 하는 것으로 한다.
CPU(30)의 처리는 도13과 같이 된다. 또, 도13에 있어서 스텝 F201∼206은, 도11의 스텝 F101∼F106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1매 표시중에 조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204로부터 F207로 진행하여, 섬네일 표시를 실행시킨다.
섬네일 표시중에는 CPU(30)는, 스텝 F208로 조그 조작을 감시하고, 스텝 F209에서 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을 감시한다. 또 스텝 F210에서 푸시 조작, 스텝 F211에서 스톱/캔슬키(7)의 조작을 각각 감시한다.
스텝 F210에서 푸시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스텝 F214로 진행하고, 그 시점에서 커서 K로 선택된 있는 촬영 데이터의 선택을 확정시키고, 스텝 F201로 진행하여서 커서 K로 선택된 촬영 데이터의 한 장표시를 실행시키는 것은 도11과 같다. 또 스톱/캔슬키(7)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211로부터 F201로 진행하여, 섬네일 표시로 이행하기 전의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로 되돌리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조그 조작 이외, 즉 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209로부터 F213으로 진행하여, 섬네일 표시상에서, 그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커서 K를 이동시킨다.
동일하게 커서 이동조작이지만, 조그 조작이 스텝 F208로 감지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212로 진행하여, 그 조그 조작이,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가 되는 조그 조작입력(즉 스텝 F204로 감지한 조그 조작)부터 소정시간 이내의 조그 조작 입력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소정시간이란 것은 예를 들면 도14의 200 msec이다.
만약에 검출된 조그 조작이 소정시간 이내이면, 스텝 F212로부터 F209로 진행한다. 즉 그 조그 조작을 무효로서 취급한다.
한편, 검출된 조그 조작이 소정시간을 경과한 이후이면, 스텝 F212로부터 F213으로 진행하여, 유효한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그 조그 조작의 방향에 따른 커서 K의 이동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그 조작에 의한 섬네일 표시로의 이행시에, 소정 시간만큼 조그 조작을 무효로 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10.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예Ⅲ]
동작 예Ⅲ을 도15, 도16에서 설명한다. 이것도 사진열람 상태에서의 동작 천이는 상기 도9와 같다. 이 동작 예Ⅲ도, 상기 동작 예Ⅱ와 마찬가지로, 커서 이동조작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도16에 나타낸 것처럼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가 되는 조그 조작신호 J1에 이어서 감지되는 조그 조작신호 J2, J3에 대해서는, 그것들을 무효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150 msec이상, 조그 조작이 감지되지 않는 기간을 두고, 그 후의 조그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그것을 커서 이동조작이라고 판단한다. 도14의 경우, 조그 조작신호 J4 이후가, 커서 이동조작으로 하게 된다.
150 msec이상의 조그 조작이 감지되지 않는 기간이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의 회전을 한 순간 멈추었을 경우 등에 해당한다. 즉, 최초의 조그 다디얼의 회전은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 조작으로 하고, 그 후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의 회전을 한 순간 멈춘 후에 있어서의 조그 다이얼의 회전을, 커서 이동조작으로 한다.
CPU(30)의 처리는 도15과 같아진다. 또, 도15에 있어서 스텝 F301∼306은, 도11의 스텝 F101∼F106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1매 표시중에 조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304로부터 F307로 진행하여, 섬네일 표시를 실행시킨다.
섬네일 표시 중에는 CPU(30)는, 스텝 F308에서 조그 조작을 감시하고, 스텝 F309에서 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을 감시한다. 또 스텝 F310에서 푸시 조작, 스텝 F311에서 스톱/캔슬키(7)의 조작을 각각 감시한다.
스텝 F310에서 푸시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스텝 F314로 진행하여, 그 시점에서 커서 K로 선택되어 있는 촬영 데이터의 선택을 확정시키고, 스텝 F301로 진행하여서 커서 K로 선택된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를 실행시키는 것은 도11과 같다. 또 스톱/캔슬키(7)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311로부터 F301로 진행하여, 섬네일 표시로 이행하기 전의 촬영 데이터의 1매 표시로 되돌리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조그 조작 이외, 즉 업 조작/다운 조작/레프트 조작/라이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309로부터 F313으로 진행하여, 섬네일 표시상에서, 그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커서 K를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이동조작이지만, 조그 조작이 스텝 F308로 감지된 경우에는, CPU(30)는 스텝 F312로 진행하여, 그 조그 조작이,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가 되는 조그 조작입력(즉 스텝 F204에서 감지한 조그 조작)의 뒤, 소정시간이상, 조그 조작 신호가 검지(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생긴 후의 조그 조작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소정시간이란 것은 예를 들면 도16의 150 msec이다.
만약에 검출된 조그 조작이, 소정시간 이상의 무입력 기간이 생기기 전의 조그 조작신호이면(예를 들면 도16의 조그 조작신호 J2, J3), 스텝 F312로부터 F309로 진행한다. 즉 그 조그 조작을 무효로서 취급한다.
한편, 검출된 조그 조작이 소정시간 이상의 조그 무입력을 경과한 후의 조그 조작신호이면(예를 들면 도16의 조그 조작신호 J4, J5 …), 스텝 F312로부터 F313으로 진행하여, 유효한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그 조그 조작의 방향에 따른 커서 K의 이동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그 조작에 의한 섬네일 표시로의 이행시에, 소정시간의 조그 조작 무입력을 기다리고, 커서 이동조작으로서의 유효한 조그 조작으로 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11. 실시예의 효과 및 변형 예]
이상의 본 실시예의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에서, 디스크(90)에 기록한 촬영 데이터를 1매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에 의해 섬네일 표시로 바꿀 수 있고, 또한 그대로 조그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섬네일 표시상에서의 커서 이동을 행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섬네일 화상에 의한 일람 화상표시로의 전환과,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화상선택(커서 이동)을 1개의 조작수단(집중 컨트롤러(10)의 조그 다이얼)의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화상을 찾아 가기 위한 조작이 매우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7, 도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그 조작은, 오디오 모드에 있어서 트랙의 일람표시의 트리거가 됨(S33, S44, S48)과 함께, 그 트랙 일람표시상에서의 커서 이동의 조작이 된다(S35, S50).
이 때문에, 조그 조작은, 카메라 모드나 오디오 모드에서도, 같은 의미를 갖는 조작이 되고, 사용자가 조작기능을 이해하기 쉽고, 조작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도 적절하게 된다.
또 조그 조작(조그 다이얼)이, 이렇게 카메라 모드와 오디오 모드로 겸용됨으로써 복합 기능기기로서의 조작키의 삭감 효과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조작의 번잡성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 소형 휴대용의 기기로서도 적합하게 된다.
또 동작 예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U(30)는, 촬영 데이터를 1매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이 검출되어서 섬네일 표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그 섬네일 표시에의 트리거가 되는 조그 조작의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후에 있어서, 조그 조작을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취급한다.
또는 동작 예Ⅲ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U(30)는, 촬영 데이터를 1매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조그 조작이 검출되어서 섬네일 표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조그 조작에 관한 일정시간 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었던 후에 있어서, 조그 조작 을 커서 이동조작으로서 취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예기하지 않는 커서이동이 방지되어, 보다 조작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필요이상으로 조그 다이얼을 지나치게 운용해서, 섬네일 표시로 바뀐 순간에 커서가 진행되어 버리는 것이 없어진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예Ⅰ~Ⅲ은,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의 조그 조작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동작 예Ⅱ, Ⅲ과 같은 조그 조작의 불감대 기간을 설치하는 것을, 오디오 모드시의 처리에 적용해도 좋다. 즉 트랙 일람표시에의 트리거로서의 조그 조작으로부터 불감대를 가지고, 커서이동으로서의 조그 조작을 판단해도 좋다.
또한 커서 K로서 이동했지만, 물론 커서 K의 형태는, 도10과 같은 프레임 커서 이외에, 밑줄 커서, 하이라이트 표시, 점멸 표시 등, 어떤 것이라도 좋고, 즉 선택중을 제시할 수 있는 형태이면 좋다.
또한 집중 컨트롤러(10)의 조그 다이얼에 의한 조그 조작을 설명했지만, 독립적인 조그 다이얼이거나, 트랙볼l, 셔틀 조작키, 또는 회전 조작키가 아닌 입력키 등을, 일람표시에의 트리거 및 선택중 표시의 이동을 위한 조작키로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는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로서의 예를 들었지만, 오디오 기능의 1개로서 녹음기능을 갖춘 것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기능이 없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촬영기능으로서, 동작 화상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뿐만 아니라, 화상재생을 행하고, 일람표시를 실행할 수 있는 각종 화상 재생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미니디스크 방식의 디스크(90)를 예로 들었지만, CD(Compact Disc)방식, DVD(Digital Versatile Disc)방식,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방식 등의 다른 규격의 광디스크가 기록매체로서 채용되는 것이라도 좋다. 물론, HDD(Hard Disc Drive) 등의 자기디스크 미디아,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체 메모리, 고체 메모리를 내장한 메모리 카드, 자기테이프 미디아 등, 다양한 기록매체를 본 발명의 장치의 기록매체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카메라 복합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매체와 촬영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매체가 각각 준비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어떤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켜서 열람할 때에, 조작수단(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의 조작에 의해, 섬네일 표시 등의 일람 화상표시가 이루어짐과 함께, 그대로 나아가 조작수단(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이 조작됨으로써,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예를 들면 커서 표시)의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람 화상표시로의 전환과,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화상선택(커서 이동)을 1개의 조작수단의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라면, 회전조작을 행함으로써 일람 화상표시로의 전환과, 그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커서 이동을 일련의 회전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있어서는 원하는 화상을 찾아 가기 위한 조작이 매우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갖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의 조작을,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표시의 트리거로 하는 동시에, 그 일람표시상에서의 선택중의 이동(커서 이동)의 조작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은, 제1 모드(카메라 모드)나 제2 모드(오디오 모드)에서도, 같은 의미의 조작이 되고, 사용자가 조작 기능을 이해하기 쉽고, 조작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적절하게 된다.
또 상기 조작수단이, 이렇게 제1 모드 시와 제2 모드 시에서 겸용됨으로써 복합 기능 기기로서의 조작키의 삭감 효과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조작의 번잡성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 , 소형휴대용 기기로서도 적합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어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그 조작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커서)를 이동시킨다. 또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어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그 조작의 뒤 에, 상기 조작수단에 관한 일정시간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었던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커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즉, 일람 화상표시로 바뀐 경우에, 일정시간 경과, 또는 일정시간 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다고 하는 조건을 가지고, 조작수단의 조작을 선택중 표시의 이동 조작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예기하지 않는 커서 이동이 방지되어, 보다 조작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회전 조작키의 경우에,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돌려서, 일람 화상표시로 바꿀 수 있었던 순간에 커서가 진행되어버리는 것이 없어진다.

Claims (8)

  1.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서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표시 상태를, 1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 상태로부터 화상의 일람표시를 행하는 표시 상태에 바꾸는 지시를 행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서 표시시켜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 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키는 동시에, 또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회전조작이 행해지도록 한 회전 조작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또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에, 제1 모드 시에는,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시키고, 제2 모드 시에는,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모드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수단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표시를 실행시키는 동시에, 또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어서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켰을 경우, 그 조작의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어서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 시켰을 경우, 그 조작의 뒤에, 상기 조작수단에 관한 일정시간 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었던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기록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고,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표시 상태를, 1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 상태로부터 화상의 일람표시를 행하는 표시 상태에 바꾸는 지시를 행하는 조작수단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어떤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에서 일람 화상표시를 실행시키는 일람 화상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수단에서 상기 일람 화상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일람 화상표시 상에서의 선택중 표시를 이동시키는 선택중 표시 이동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화상표시 스텝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중 표시 이동 스텝의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화상표시 스텝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조작수단에 관한 일정시간 이상의 조작 미검출 기간이 있었던 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중 표시 이동 스텝의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방법.
KR1020050108955A 2004-11-15 2005-11-15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 KR101184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0018 2004-11-15
JP2004330018A JP4306592B2 (ja) 2004-11-15 2004-11-15 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158A true KR20060054158A (ko) 2006-05-22
KR101184271B1 KR101184271B1 (ko) 2012-09-21

Family

ID=3551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955A KR101184271B1 (ko) 2004-11-15 2005-11-15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28379B2 (ko)
JP (1) JP4306592B2 (ko)
KR (1) KR101184271B1 (ko)
CN (1) CN1801918B (ko)
DE (1) DE102005054417A1 (ko)
GB (1) GB2420260B (ko)
MY (1) MY1395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146A (ja) * 2004-11-08 2006-05-25 Fujitsu Ltd データ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805679B2 (en) * 2005-02-24 2010-09-28 Fujifil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lide show and program therefor
JP4926494B2 (ja) * 2006-02-2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AU2015201028B2 (en) * 2006-09-06 2017-03-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for digital object management
US8106856B2 (en)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JP4784463B2 (ja) * 2006-09-29 2011-10-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044607A1 (fr) * 2006-10-04 2008-04-17 Nikon Corporation Caméra électronique
JP4941083B2 (ja) * 2007-05-09 2012-05-30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836271B2 (ja) * 2007-04-20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9042575A (ja) * 2007-08-09 2009-02-26 Hitachi Ltd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のレンズバリア開閉制御方法
JP2010103599A (ja) * 2008-10-21 2010-05-06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交換レンズ
EP2480957B1 (en) 2009-09-22 2017-08-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780069B2 (en) 2009-09-25 2014-07-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698762B2 (en)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CN101771851B (zh) * 2010-03-15 2012-10-17 曹永军 混合式高清现场执法记录仪
JP5677062B2 (ja) * 2010-12-10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3114481A (ja) 2011-11-29 2013-06-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96081B (zh) * 2012-11-02 2018-05-29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显示图片的方法、控制设备及媒体播放器
US20150205492A1 (en) * 2014-01-20 2015-07-23 John B. Nobil Navigating audio content and selecting portions thereof using circular dial on user interface
US10324973B2 (en) 2016-06-12 2019-06-18 Apple Inc. Knowledge graph metadata network based on notable moments
DK201670608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AU2017100670C4 (en) 2016-06-12 2019-11-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243996B2 (en) 2018-05-07 2022-02-08 Apple Inc. Digital asset search user interface
US11086935B2 (en) 2018-05-07 2021-08-10 Apple Inc. Smart updates from historical database changes
US10846343B2 (en) 2018-09-11 2020-11-24 Apple Inc. Techniques for disambiguating clustered location identifiers
US10803135B2 (en) 2018-09-11 2020-10-13 Apple Inc. Techniques for disambiguating clustered occurrence identifiers
CN111290521B (zh) * 2018-12-06 2022-10-28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触控模块化显示装置
DK201970535A1 (en) 2019-05-06 2020-12-21 Apple Inc 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DK202070613A1 (en) 2020-02-14 2021-10-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8516A3 (en) * 1992-11-05 1996-07-03 Sony Corp Recording and playback of moving pictures.
US5530455A (en) * 1994-08-10 1996-06-25 Mouse Systems Corporation Roller mouse for implementing scrolling in windows applications
US5870079A (en) * 1996-11-12 1999-02-09 Legaltech, Inc. Computer input device and controller therefor
US6512527B1 (en) * 1999-09-08 2003-01-28 Rockwell Colli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ly selecting display parameters for an avionices flight display
JP2002247477A (ja) * 2001-02-22 2002-08-30 Seiko Epson Corp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機器
US6639649B2 (en) * 2001-08-06 2003-10-28 Eastman Kodak Company Synchronization of music and images in a camera with audio capabilities
US6987221B2 (en) * 2002-05-30 2006-01-17 Microsoft Corporation Auto playlist generation with multiple seed songs
JP2004046645A (ja) 2002-07-12 2004-02-12 Sony Corp 操作装置および方法、電子機器、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525482A (zh) * 2003-02-25 2004-09-01 英保达股份有限公司 整合了多种功能的多媒体播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20260A (en) 2006-05-17
US20060133795A1 (en) 2006-06-22
CN1801918B (zh) 2010-07-14
JP2006140865A (ja) 2006-06-01
DE102005054417A1 (de) 2006-08-03
GB2420260B (en) 2007-02-14
GB0523236D0 (en) 2005-12-21
US7428379B2 (en) 2008-09-23
CN1801918A (zh) 2006-07-12
KR101184271B1 (ko) 2012-09-21
MY139587A (en) 2009-10-30
JP4306592B2 (ja)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271B1 (ko) 재생장치 및 표시 제어방법
JP4232746B2 (ja) 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
JP3614120B2 (ja) 撮像装置
US20120140102A1 (en) Digital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659927B2 (en) Digital video camera and mode changing method
JP2001111963A (ja) 光ディスクを利用した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録画再生方法
JP426700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387012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60060589A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화상 파일 생성 방법 및 표시 제어방법
JP4653904B2 (ja) オーディオ再生機能付きカメラ
JP3980780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4470698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の表示制御方法
JP4181846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JP4407470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1069387A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6238011A (ja) 記録再生装置、撮像方法
JP4066378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354219A (ja) 情報信号記録装置及び情報信号再生装置
KR100806655B1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JP2537776B2 (ja) コンパクトデイスクプレ−ヤの操作モ−ド制御装置
JP4370520B2 (ja) 編集システム及び編集システムの設定方法
JP5042980B2 (ja) オーディオ再生機能付きカメラ
JP2006171909A (ja) 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721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150783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