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644A - 웨트 티슈용 포장체 - Google Patents

웨트 티슈용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644A
KR20060051644A KR1020050089309A KR20050089309A KR20060051644A KR 20060051644 A KR20060051644 A KR 20060051644A KR 1020050089309 A KR1020050089309 A KR 1020050089309A KR 20050089309 A KR20050089309 A KR 20050089309A KR 20060051644 A KR20060051644 A KR 2006005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package
region
opening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801B1 (ko
Inventor
이쿠야 사이토
사치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front or sides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배치 타입에 적합하고, 웨트 티슈를 꺼내기 쉬운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웨트 티슈용 포장체(300)는 복수의 웨트 티슈(250)를 수용하고,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위한 제1 개구 영역이 형성된 연질 포장체(200)와, 연질 포장체(200)를 수용하고, 제1 개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근방에, 웨트 티슈편(251)을 꺼내기 위한 제2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2 개구 영역을 개폐 가능한 덮개(140)가 설치되어 있는 외장 용기(100)로 이루어지며, 제2 개구 영역은 외장 용기(10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이 측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웨트 티슈용 포장체{PACKAGES FOR WET TISSUES}
도 1은 본 발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외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연질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연질 포장체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연질 포장체를 외장 용기에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외장 용기에 수용하기 전의 연질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덮개재를 박리한 도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웨트 티슈편을 꺼내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제2 개구 영역이 외장 용기의 상측에만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웨트 티슈편을 꺼내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제2 개구 영역이 외장 용기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장 용기
110: 본체부
111: 정면
112: 좌측면
113: 우측면
114: 배면
115: 상면
120: 바닥 덮개
130: 제2 개구 영역
131: 하단부
140: 덮개
141: 힌지부
142: 걸어맞춤부
150: 버튼
200, 200a: 연질 포장체
210: 적층 필름
211: 절취선
212: 설편부
215: 제1 개구 영역
215a: 하단부
220: 덮개재
231, 232: 가로 시일부
250: 웨트 티슈
251, 252: 웨트 티슈편
260: 찢기 유도 수단
300: 웨트 티슈용 포장체
A: 제2 개구 영역
B: 제1 개구 영역
C: 외장 용기의 높이의 1/2의 위치
θ1, θ2: 각
본 발명은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을 수용하는 필름형의 연질 포장체와, 이 연질 포장체를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와 같이, 수분을 함유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연질 포장체에 있어서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꺼내기 쉬우며, 또한, 남은 웨트 티슈를 재사용할 때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재밀봉을 할 수 있는 연질 포장체가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연질 포장체로서,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주머니 본체에 자름선을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박리 가능한 덮개 부재를 설치한 화장용 섬유 소재 등의 봉입 주머니가 기재되어 있으며, 개구부를 갖고, 또한, 그 개구부를 재밀봉할 수 있는 필름 연질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서는 웨트 티슈를 꺼내기 쉬우며, 또한, 남은 웨트 티슈를 재사용할 때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가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2에는 재봉선으로 연결된 롤형의 웨트 시트를 직접 수납하여, 용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꺼내기 입구로부터 시트를 꺼내는 구조의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 문헌 3에는 한 장씩 분리된 웨트 시트편을 접어 포개어 적층하고, 이것을 웨트 시트편이 수직이 되도록 직접 수용한 용기로서, 용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꺼내기 입구로부터 시트를 꺼내는 구조의 강성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연질 포장체와 강성 용기를 조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으며,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4에는 한 장씩 분리된 웨트 티슈를 접어 포개면서 평면형으로 적층한 것을 수용하는 필름형 연질 포장체와, 이 연질 포장체를 웨트 티슈 평면이 수평이 되도록 가로 배치로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강성 용기가 소위 팝 업(pop up)식으로 불리우는 것이며, 웨트 티슈편을 꺼내어 연속적으로 꺼낼 수 있는 있는 꺼내기 입구를 용기 상부면에 구비하는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공개 소 제59-9997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 공고 소 제48-3358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제8-10437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0950호 공보
상기한 특허 문헌 2의 용기에 있어서는 재봉선으로 연결된 시트를 용기 덮개부에 설치한 가는 슬릿을 통과시킴에 의한 저항에 의해 시트를 분리한다. 이 때문에, (a)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재봉선을 분리하는 데에 과도한 힘이 필요하고, 꺼내기 방법에 따라서는 시트의 재봉선을 자를 수 없으며, 불필요하게 여러 장의 시트를 꺼내게 되고, (b) 용기 내부에서 재봉선이 잘린 경우는 한 번 용기의 덮개를 벗겨 다시 슬릿부에 시트의 단을 통과시켜야 하는 수고가 생기며, 그 때에 사용자는 시트 전체를 맨손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균 등의 오염 가능성이 높아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용기에 있어서는, 시트 적층체를 수직으로 수용하는 소위 세로 배치 구조이기 때문에, 가로 배치 구성에 비해 설치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시트를 용기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개구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끌어당겨 꺼내기 때문에, 통상 개구부와 최초로 꺼내는 시트 단의 위치 관계는 어긋나 있으며, 사용자가 개구부로부터 손가락을 넣어 최초의 시트를 집어 꺼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각 시트는 소정의 겹침 부분을 갖고 있으며, 최초의 시트가 꺼내어졌을 때에, 겹쳐서 끌려나오도록 하여 제2 시트의 단이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의 용기에 있어서는 시트의 겹침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꺼내는 구조이기 때문에, 꺼내기 입구를 향함에 따라 양 시트의 겹침 부분이 없어져, 시트를 끌어내었을 때에, 다음 시트의 단이 개구부로부터 안정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4의 용기에 있어서는 한 장씩 잘려져 있는 시트를 접어 포개어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수납한 포장체를 이용하여, 용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비교적 넓은 개구부로부터 시트를 꺼내는 구조이며, 수납된 각 시트가 수평으로 놓여진 가로형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운반하기 어렵고 설치 면적을 많이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설치 면적이 적어도 되고, 운반하기 쉬운 세로 배치 타입에 적합한 포장체이며, 게다가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용이하며, 한 장씩 안정적으로 꺼낼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웨트 티슈용 포장체를 제공한다.
(1) 웨트 티슈편의 일부를 다른 웨트 티슈편의 일부와 겹쳐 접어 포개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을 수용하고, 상기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위한 제1 개구 영역이 형성된 연질 포장체와, 상기 연질 포장체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기 제1 개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근방에, 상기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위한 제2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개구 영역을 덮고,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강성의 외장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개구 영역은 상기 외장 용기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측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웨트 티슈용 포장체.
본 발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에 의하면,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연질 포장체의 제1 개구 영역과,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웨트 티슈편을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을, 외장 용기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이 측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외장 용기의 상면(상부면)이 아닌 측면 상부로부터 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로 배치라도 용기 정면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우수한 꺼내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을 외장 용기의 측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보다 손가락을 삽입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꺼내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을, 외장 용기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이 측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1 개구 영역으로부터 꺼낸 웨트 티슈편은 반드시 외장 용기의 상측을 향해 꺼내어진다. 이에 따라 웨트 티슈와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가 서로 닿으면서 꺼내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마찰을 이용함으로써 확실하게 웨트 티슈편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웨트 티슈끼리의 분리를 행하기 위한 슬릿이나 갈고리 구조가 불필요하며, 간단한 구조로 웨트 티슈편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면 상부」란, 측면에 있어서 외장 용기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상측에 적어도 제2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질 포장체」란, 필름형 연질 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를 의미하고, 「강성의 외장 용기」란, 예컨대 플라스틱 성형품과 같이 통상의 외압 레벨로는 변형되지 않는 용기를 의미한다.
(2) 상기 연질 포장체는 상기 복수의 웨트 티슈편이 수직이 되도록 수용되어 있는 (1)에 기재한 웨트 티슈용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연질 포장체를 세로 배치한 상태에서 그대로 외장 용기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면적이 적어도 되며, 운반하기 쉬운 세로 배치 타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3) 상기 외장 용기의 상기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는 상기 외장 용기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기 제1 개구 영역의 하단부는 상기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웨트 티슈용 포장체.
통상,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의 연질 포장체의 제1 개구 영역은 웨트 티슈편의 평면부에 상당하는 대략 중앙부 부근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를 외장 용기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상측으로 함으로써, 연질 포장체의 제1 개구 영역과,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의 위치가 일치되기 쉬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 영역의 하단부를 상기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위치 시킴으로써, 제1 개구 영역으로부터 꺼내어진 웨트 티슈편은 반드시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에서 서로 서로 닿으면서 꺼내어진다. 따라서, 이 마찰을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웨트 티슈편 사이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4) 상기 제2 개구 영역은 상기 외장 용기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웨트 티슈용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개구 영역을 외장 용기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을 넣는 개구 부분을 다면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웨트 티슈편을 집어 꺼내기 용이해지며, 꺼내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5)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기 제1 개구 영역은 상기 웨트 티슈편의 평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단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웨트 티슈용 포장체.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개구 영역을 매우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연질 포장체의 제1 개구 영역과, 외장 용기의 제2 개구 영역의 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전체 구성>
도 1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은 웨트 티슈용 포장체 전체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X'측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외장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연질 포장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질 포장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웨트 티슈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연질 포장체를 외장 용기 내에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웨트 티슈용 포장체(300)는 강성의 외장 용기(100)와, 이 외장 용기(100)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을 수용한 연질 포장체(20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질 포장체(200)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이 직립한 상태, 즉, 소위 세로 배치된 상태로 외장 용기(100)의 바닥부로부터 삽입 배치된 후, 바닥 덮개(12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외장 용기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 용기(100)는 연질 포장체(200)를 수용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바닥부에 기밀성을 갖도록 감합(勘合) 가능한 바닥 덮개(120)로 주로 구성되고, 본체부(110)는 정면(111), 좌측면(112), 우측면(113), 배면(114), 상면(115)으로 구성되는 속이 빈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장 용기(10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형상은 직육면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형 및 다각기둥형이라도 좋다.
본체부(110)의 정면(111)의 상부로부터 상면(115)에 걸쳐서는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위한 제2 개구 영역(1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개구 영역(130)에는 제2 개구 영역(130)을 기밀 상태로 덮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덮개(140)는 힌지부(141)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개구 영역(130) 하단부(131)의 하측에는 덮개(140) 선단의 걸어맞춤부(142)와 하단부(131)가 걸어맞춰져, 덮개(1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버튼(1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힌지부(141)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 부재가 배치되어 덮개(140)가 상측으로 압박되어 있으며, 버튼(150)의 걸어맞춤이 느슨해지면, 덮개(140)가 상측 방향으로 가동하여 제2 개구 영역(130)을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외장 용기(10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성형품이며,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PP)를 이용한 인젝션 성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사용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PE) 외에, 폴리스티렌 수지(PS), ABS 수지,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수지(PET), 나이론 수지(PA),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제2 개구 영역(130)은 외장 용기(100)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제2 개구 영역(130)이 외장 용기(100)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하측에 형성되면, 웨트 티슈편을 꺼낼 때에 제2 개구 영역과 웨트 티슈편과의 마찰이 적어지기 때문에, 웨트 티슈편에 부여하는 저항이 적어져서, 웨트편 사이의 분리가 안정적이며, 여러 장의 웨트 티슈편이 한번에 끌려나온다. 제2 개구 영역 (130)의 크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시트를 집어내는 것을 고려하면, 40×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개구 영역(130)의 형상은 도 2와 같은 각 형상 이외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원이나 타원이라도 좋다.
또한, 제2 개구 영역(130)은 적어도 1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이 실시형태와 같이, 정면(111)으로부터 상면(115)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정면(111)의 상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정면(111)으로부터, 우측면(113) 또는 좌측면(112)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면에 걸치도록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을 넣는 개구 부분을 다면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웨트 티슈편을 집어내기가 용이해지며, 꺼내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연질 포장체의 구성>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연질 포장체(200)는 연질 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210)으로 구성된 필로우 연질 포장체이다. 도 4에 있어서의 231, 232는 각각 상하의 가로 시일부이며, 도 4의 배면측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세로 시일(등 시일)부가 있다. 그리고, 웨트 티슈(250)의 평면상 대략 중앙부에 상당하는 개소로부터 가로 시일부(232)에 걸쳐 제1 개구 영역(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웨트 티슈편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연질 포장체(200) 내에는 겹쳐 접어 포개어진 복수의 웨트 티슈(250)가 수용되어 있으며, 도 5에는 각각의 웨트 티슈편(251, 252)의 적층 구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웨트 티슈편(251)의 일부가 다른 웨트 티슈편(252)의 일부 와 겹치도록 Z 형상으로 접혀져 있으며, 이후, 순차 상하의 웨트 티슈편이 서로 겹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적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C 형상이라도 W 형상이라도 좋고, 이들을 조합하여 접어도 좋다. 즉, 소위 팝 업이라고 불리우는, 시트를 연속하여 꺼낼 수 있는 기능을 얻기 위해 각 웨트 티슈편이 겹침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있으면 좋다.
웨트 티슈(250)에 이용되는 시트 소재는 흡수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종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웨트 티슈(250)에는 알콜, 살균제, 세정제, 보습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한 것을 함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연질 포장체(200)에 제1 개구 영역(215)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연질 포장체(200a)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질 포장체(200a)의 적층 필름(210)의 상면측에는 コ 자형으로 절취선(211)이 형성되어 있다. コ 자의 내측 영역은 후에 덮개재(220)의 박리에 의해 잘려져 일어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이 영역을 덮도록, 설편부(212)를 갖는 덮개재(220)가 점착되어 있으며, 덮개재(220)의 하면측의 설편부(212)를 제외한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는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 필름(210)과 덮개재(220)가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다.
적층 필름(210)의 상면에서의 절취선(211)의 コ자의 양종점의 연장상에는 거기에서부터 가로 시일부(232)에 걸쳐서 연속하는 2개의 평행한 찢기 유도 수단(260)이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찢기 유도 수단(260)은 가상선으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적층 필름(210)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가상선의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며, 이 연신 필름의 배향이 찢기 유도 수단(260)이 되어 있다.
절취선(211)은 제1 개구 영역(215)이 생기도록 설치되면 좋고, 절취선(211)의 형상 및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꺼내기 입구가 되는 제1 개구 영역(215)의 크기는 연질 포장체(200a)의 크기나 꺼내는 웨트 티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취선(211)은 필름(2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속선이지만, 절취선(211)은 반드시 연속선이 아니어도 좋고, 재봉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찢기 유도 수단(260)은 가상선으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적층 필름(210)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가상선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며, 이 연신 필름의 배향이 찢기 유도 수단(260)이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적층 필름(210)의 기재층을 연신 필름으로 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배향성이 높은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소위 찢기 용이성(직선 컷트성)의 일축 연신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연신 필름은 종래 공지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찢기 유도 수단(260)은 상기한 연신 배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자름선을 적층 필름(210)상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자름선은 적층 필름(2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소위 반쪽 컷트의 상태라도 좋지만, 연질 포장체 전체의 밀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쪽 컷트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쪽 컷트는 예컨대 레이저광의 조사나 기계적인 칼 집 가공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컨대 기재층에만 형성할 수 있다.
덮개재(220)로서는 유연성을 갖는 가요성 필름형이나 시트형인 것으로 형성되며, 점착층을 형성하는 감압형 접착제는 예컨대 아크릴계의 풀제, 가소제를 포함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염화비닐 단량체가 그래프트 중합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그래프트머를 주체로 한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정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4의 연질 포장체(200)는 도 7의 연질 포장체(200a)에 있어서, 덮개재(220)의 설편부(212)측으로부터 덮개재(220)를 박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우선, 덮개재(220)를 박리하면, 덮개재(220)의 이면측의 점착제 층에 의해 점착되고, 적층 필름(210)의 절취선(211) 내가 분리되어 들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서, 적층 필름(210)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용물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덮개재(220)의 박리를 더욱 계속하면 コ 자형의 절취선(211)의 양종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2개의 평행한 가상선(260)을 따라 적층 필름(210)이 찢어지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대로 가로 시일부(232)에 도달하며, 최종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취선(211)으로부터 가로 시일부(232)에 걸쳐서 보다 큰 제1 개구 영역(215)을 형성할 수 있다.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작용>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제1 개구 영역과 제2 개구 영역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측단면도이며, 웨트 티슈를 꺼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장 용기(100)로부터 웨트 티슈를 꺼내는 제2 개구 영역(A)을 외장 용기(100)의 측면 상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개구 영역(A)의 하단부(131)보다 하측에 연질 포장체(200)의 제1 개구 영역(B)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외장 용기(100)의 정면(111)측의 최전방부의 웨트 티슈편(251)을 꺼내면 서로 겹쳐진 부분을 개재하여 다음 웨트 티슈편(252)이 꺼내어지지만, 웨트 시트의 경우는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약액)의 표면 장력에 의해 시트간 겹친 부분이 강고히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저항을 설치하여 시트를 분리하지 않으면, 몇 장의 시트가 한번에 연속하여 나와 버린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꺼내기 입구 부분에 저항이 되는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한 갈고리 및 슬릿 등의 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은 시트를 빼내는 개구부에 돌출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갈고리 및 슬릿 사이에 시트가 통과함으로써 겹치는 부분에 저항을 부여하여 시트를 적당히 분리하는 것이다.
한편, 이 웨트 티슈용 포장체(300)에 있어서는 제2 개구 영역(A)을 외장 용기(100)의 측면 상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웨트 티슈편(251)은 상측을 향하여 꺼내어지게 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트 티슈편(251)은 반드시 외장 용기(100)의 제2 개구 영역(A)의 하단부(131) 사이에서 서로 스쳐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마찰에 의해 웨트 티슈(251)와, 다음 웨트 티슈(251)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갈고리나 슬릿의 형성이 불필요하며, 보다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꺼낼 때에 좁은 슬릿 사이나 마우스의 갈 고리 사이로 시트를 통과시키거나 하는 수고도 불필요하다.
이러한 작용은 외장 용기(100)로부터 웨트 티슈를 꺼내는 제2 개구 영역(A)을 외장 용기(100)의 측면 상측에 설치한 것에 더하여, 제2 개구 영역(A)의 하단부(131)보다 하측에 연질 포장체(200)의 제1 개구 영역(B)의 하단부(215a)가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확실한 것이 된다.
즉, 연질 포장체(200)의 하단부(215a)가 외장 용기(100)의 하단부(131)보다 상측에 위치하면, 웨트 티슈편(251)을 꺼낼 때 서로 닿는 것이 외장 용기(100)의 하단부(131)가 아닌 연질 포장체(200)의 하단부에 의해 이루어져 버린다. 하단부(215a)는 연질 포장 필름에 형성된 단면이기 때문에 매우 얇으며, 강성(경도)도 낮다. 이 때문에, 웨트 티슈편(251)의 마찰 저항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웨트 티슈편을 분리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한편, 연질 포장체(200)의 하단부(215a)가 지나치게 하측에 위치하면, 연질 포장체(200)의 개구 영역이 지나치게 커져 기밀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웨트 티슈의 노출부가 너무 많아 세균 등의 2차 오염 가능성 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연질 포장체(200)의 하단부(215a)의 위치는 외장 용기(100)의 하단부(131)와 같은 위치이거나, 그것보다 5∼15 mm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웨트 티슈편을 꺼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제2 개구 영역이 외장 용기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웨트 티슈편을 꺼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제2 개구 영역이 외장 용기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면 중 C는 외장 용기(100)의 높이의 1/2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이다.
도 9의 경우, 제2 개구 영역(A)이 보다 상측에 있기 때문에, 웨트 티슈편(251)과 외장 용기(100)의 하단부(131)가 이루는 각 θ1이 작고 마찰이 크다. 한편, 도 10과 같이 제2 개구 영역(A)이 하부에 위치하면, 웨트 티슈편(251)과 외장 용기(100)의 하단부(131)가 이루는 각 θ2가 커지기 때문에 마찰이 작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웨트 티슈 사이의 분리가 불안정해져 몇 장의 시트가 한 번에 끌려 나올 가능성이 생긴다. 따라서, 외장 용기(100)의 제2 개구 영역(A)은 외장 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에 대하여, 1/2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어야 하지만, 외장 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하여 2/3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 a, b는 각각 최초의 한 장과 최후의 한 장의 웨트 티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a는 웨트 티슈가 가득차 있는 경우, b는 웨트 티슈가 비어있는 경우). a 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외장 용기(100)의 하단부(131)에 대하여 대략 직각에 가까운 형태로 끌려 나오기 때문에, 저항이 부여되기 쉽다. 그러나, 웨트 티슈의 장수가 감소함에 따라서, b와 같은 위치 관계로 변화해가며, 하단부(131)에 대한 각 θ2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θ1로부터 θ2로), 마찰이 보다 작아져 웨트 티슈 사이의 분리가 보다 불안정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300')는 외장 용기(100')가 가로 배치 타입이며, 그 측면으로부터 상부면에 걸쳐 제2 개구 영역(130)을 형성한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배치는 세로 배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 배치라도 좋다. 이 경우, 설치 면적은 세로 배치에 비해서 증가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인 웨트 티슈의 꺼내기 특성에 관해서는 세로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 웨트 티슈용 포장체(300')에 있어서도 상기한 갈고리 및 슬릿의 형성이 불필요하며, 보다 단순한 구조로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한 장씩 웨트 티슈편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면적이 적어도 되며, 운반하기 쉬운 세로 배치 타입에 적합하고, 게다가,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쉬워 안정적으로 한 장씩 꺼낼 수 있는 일회용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용 포장체는 내용물인 웨트 티슈를 꺼내기 쉬우며, 특히 세로 배치 타입의 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웨트 티슈편의 일부를 다른 웨트 티슈편의 일부와 겹쳐 접어 포개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을 수용하고, 상기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위한 제1 개구 영역이 형성된 연질 포장체와,
    상기 연질 포장체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기 제1 개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근방에, 상기 웨트 티슈편을 꺼내기 위한 제2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개구 영역을 덮고, 개폐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강성의 외장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개구 영역은 상기 외장 용기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측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웨트 티슈용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포장체는 상기 복수의 웨트 티슈편이 수직이 되도록 수용되어 있는 것인 웨트 티슈용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용기의 상기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는 상기 외장 용기의 높이의 1/2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기 제1 개구 영역의 하단부는 상기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웨트 티슈용 포장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 영역은 상기 외장 용기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웨트 티슈용 포장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기 제1 개구 영역은 상기 웨트 티슈편의 평면에 있어서 대략 중앙부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연질 포장체의 상단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웨트 티슈용 포장체.
KR1020050089309A 2004-09-27 2005-09-26 웨트 티슈용 포장체 KR101228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0306 2004-09-27
JP2004280306A JP4776198B2 (ja) 2004-09-27 2004-09-27 ウエットティシュ用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644A true KR20060051644A (ko) 2006-05-19
KR101228801B1 KR101228801B1 (ko) 2013-01-31

Family

ID=3611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309A KR101228801B1 (ko) 2004-09-27 2005-09-26 웨트 티슈용 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76198B2 (ko)
KR (1) KR101228801B1 (ko)
CN (2) CN101027228A (ko)
TW (1) TWI285177B (ko)
WO (1) WO2006035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4915B2 (ja) * 2004-09-28 2010-06-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
JP5709305B2 (ja) * 2011-02-02 2015-04-30 株式会社タイキ 折り畳みパックシート配列体及びパックシート包装体
US9027749B2 (en) 2013-04-15 2015-05-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s dispenser with self-closing lid
USD768009S1 (en) 2013-04-15 2016-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s dispenser
JP2013230380A (ja) * 2013-06-28 2013-11-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パッケージ、及びマスクの取り出し方法
US8997990B2 (en) 2013-08-15 2015-04-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 of premoistened multilayered cleaning wipes
JP6188234B2 (ja) * 2014-03-31 2017-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シュー積層体入り容器の製造方法
JP7458163B2 (ja) * 2019-10-01 2024-03-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集合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7U (ko) * 1985-06-19 1987-01-06
US5516000A (en) * 1994-12-02 1996-05-14 Kimberly-Clark Corporation Facial tissue carpack
JP4339961B2 (ja) * 1999-06-21 2009-10-07 中川 直樹 ウエットティシュ包装体
JP2002211664A (ja) * 2001-01-16 2002-07-31 Uni Charm Corp 積層シートの収納体
JP2003026224A (ja) * 2001-07-10 2003-01-29 Unitika Ltd 包装体
JP3584226B2 (ja) * 2001-08-30 2004-11-04 ピジョン株式会社 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
JP4354141B2 (ja) * 2001-12-07 2009-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EP1318081B2 (en) * 2001-12-10 2009-12-16 Sca hygiene products ab Soft package for absorbent tissue sheets having an asymmetric opening
JP4436703B2 (ja) * 2004-03-12 2010-03-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密封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76198B2 (ja) 2011-09-21
CN1754782A (zh) 2006-04-05
JP2006089114A (ja) 2006-04-06
TW200610712A (en) 2006-04-01
CN101027228A (zh) 2007-08-29
KR101228801B1 (ko) 2013-01-31
TWI285177B (en) 2007-08-11
WO2006035697A1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801B1 (ko) 웨트 티슈용 포장체
KR101187503B1 (ko) 웨트 티슈용 포장체
JP5912288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7703602B2 (en) Easy-open encasement
KR930004323B1 (ko) 습윤티슈용의 재밀봉 가능한 디스펜서-컨테이너
JP6174565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CA2195211A1 (en) Readily openable pop-up dispenser
US9067724B2 (en) Wet tissue package
JP2009078828A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JP5976287B2 (ja) 包装体及び包装体の開閉蓋
KR101157257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CN109890726B (zh) 湿片包装体
JPH09117387A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JP4018067B2 (ja) 包装体
US5269404A (en) Sleeve and tray assembly
JP6001868B2 (ja) 包装体及び包装体の開閉蓋
KR100587866B1 (ko) 시트 제품이 중첩 수납되어 있는 포장체
JP4169588B2 (ja) リシールラベル
JPH07291370A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JP2004331158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2517731Y2 (ja) ウエットティシュ用容器
JPH11342091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7161239B2 (ja) ピロー包装体
JP3110302U (ja) ゴミ収集袋閉鎖用取手付きテープ及びシール
JP2007091294A (ja) 詰め替え用嵩高ピロー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