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639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639A
KR20060049639A KR1020050053025A KR20050053025A KR20060049639A KR 20060049639 A KR20060049639 A KR 20060049639A KR 1020050053025 A KR1020050053025 A KR 1020050053025A KR 20050053025 A KR20050053025 A KR 20050053025A KR 20060049639 A KR20060049639 A KR 2006004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holding member
article
mal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564B1 (ko
Inventor
마나부 요시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4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2005/025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 A45F2005/026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with a pin having an enlarged head detachably connected to a fastening device, e.g. to a pin receiving slo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66Tubular, rod-shaped articles, e.g. bat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3Article holder attachable to apparel or body
    • Y10T24/1394Article held by cl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Landscapes

  • Buckl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과제) 버클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에, 이 버클에 의해서 각종의 물품을 그 물품을 사용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적절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버클을, 버클 본체(1)와 각종의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재(2)를 구비하고 있고, 버클 본체(1)에 대해 유지부재(2)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구비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다. 유지부재(2)에 수부분(4)이 구비되고, 버클 본체(1)에 이 수부분(4)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암부분(3)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도 1은 유지부재(2)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유지부재(2)의 좌측면도
도 3은 상기 유지부재(2)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유지부재(2)의 정면도
도 5는 상기 유지부재(2)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유지부재(2)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8은 (a)는 유지부재(2)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b)는 (a)의 하측을 위로 해서 이 유지부재(2)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a)는 유지부재(2)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b)는 (a)의 하측을 위로 해서 이 유지부재(2)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버클 본체(1)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버클 본체(1)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버클 본체(1)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요부 파단 배면도
도 14는 암버클(13)의 사시도
도 15는 유지부재(2)를 조립한 상태의 암버클(13)의 정면도
도 16은 상기 도 15의 암버클(13)의 평면도
도 17은 상기 도 15의 암버클(13)의 우측면도
도 18은 상기 도 15의 암버클(13)의 저면도
도 19는 도 15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20은 유지부재(2)를 조립한 상태의 암버클(13)의 사시도
도 21은 유지부재(2)의 회동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유지부재(2)의 요부를 단면으로 하고, 또한 회동 후의 상태를 상상선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22는 버클 본체(1)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상기 도 22와 반대방향에서 그 버클 본체(1)를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상기 도 22의 버클 본체(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a)는 유지부재(2)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b)는 (a)의 하측을 위로 해서 이 유지부재(2)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클 본체 2 - 유지부재
본 발명은 띠형상체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버클이 되는 베이스와 도구 홀더로 구성되고, 이 베이스에 립(lip)과 가요성 암을 형성함과 아울러, 도구 홀더에 플랜지를 구비시키고 있고, 립의 하측에 플랜지를 삽입함으로써, 이 베이스에 도구 홀더를 조립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그런데, 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에 있어서는, 도구 홀더의 플랜지의 외곽형상이 다각형상을 이루거나, 립 내의 내곽형상이 다각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도구 홀더를 회동시킬 수 없다. 즉, 베이스에 일단 도구 홀더를 조립한 후에는, 다시 그것을 떼어내지 않는 한 도구 홀더의 홀더부분의 방향을 바꿀 수 없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11281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버클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에, 이 버클에 의해서 각종의 물품을 그 물품을 사용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적절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클을,
버클 본체와,
각종의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버클 본체에 대하여 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구비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클 본체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에, 각종의 물품을 그 물품을 사용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또 물품의 지지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유지부재를 버클 본체에서 떼어내어 버클 본체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클을,
버클 본체와,
띠형상물, 끈형상물, 선형상물, 봉(棒)형상물, 관형상물 등의 길이를 가진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버클 본체에 대하여 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구비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클 본체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이것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연장방향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뿐만 아니라, 이것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연장방향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라도, 무리없이 이 길이를 가진 물품을 버클 본체에 의해서 지지 할 수 있다. 즉, 이 지지상태에 있어서 길이를 가진 물품을 사용 등 하기 위해 길이를 가진 물품의 중심선과 버클 본체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바뀌도록 길이를 가진 물품을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따라서 유지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지지된 길이를 가진 물품에 변형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길이를 가진 물품의 지지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유지부재를 버클 본체에서 떼어내어 버클 본체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버클 본체 및 유지부재 중 어느 일측에 암부분이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의 타측에 수부분이 구비되어 있고,
수부분은,
머리부와 목부를 가지고 있고,
암부분은,
수부분의 머리부의 삽입개구에 연속되는 삽입공간과,
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중 하나에 형성되며 이 삽입공간에 연이어 통함과 아울러, 수부분의 목부를 통과하게 하고, 또한 머리부를 통과시키지 않는 직경을 가진 가상원의 원호를 따른 구멍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연이어 통하고 상기 벽체의 삽입개구측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연속되며, 또한 이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수부분의 목부의 도입홈을 가지고 있고,
이 도입홈을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수부분의 목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 고, 또한 삽입개구를 통해서 머리부가 삽입공간내에 삽입되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띠형상체를 서로 연결시킨 버클 본체에 대해 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사용을 위한 물품의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즉, 암부분의 삽입공간내에 수부분의 머리부를 삽입시킴으로써 이 머리부가 삽입공간내로부터 간단하게는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여, 암부분과 수부분을 조립할 수 있다. 암부분의 관통구멍은 상기 구멍 내주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관통구멍을 축구멍으로 하도록 하여 수부분은 원활하게 회동된다. 각종 물품을 버클 본체에 지지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입홈을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관통구멍내에 있던 수부분의 목부를 이 도입홈을 통해서 빠져 나오게 하도록 함으로써, 삽입공간으로부터 머리부를 빠져 나오게 하여, 버클 본체와 유지부재를 원터치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재가, 길이를 가진 물품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부에서, 삽입되는 이 길이를 가진 물품에 의해 클램프입구를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클램프 내부에 수용해서 유지하는 클램프형상을 이루도록 구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튜브나 파이프 등의 길이를 가진 물품을 유지부재에 원터치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유지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사용을 위한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상기 버클 본체가 사이드 릴리스 버클을 구성하는 수버클과 암버클로 구성되 어 있고, 이 암버클의 외면에 수부분 및 암부분 중 어느 일측이 구비되어 있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버클과 암버클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수버클에 접속된 띠형상체와 암버클에 접속된 띠형상체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수버클에 연결된 암버클에 유지부재를 통해서 각종 물품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유지된 물품의 사용을 위한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의 회동에 의해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상기 버클 본체가 중간 크로스 바의 양측에 2개소의 띠형상체의 통과부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띠형상체의 고정부를 가지고 있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클 본체를 통해서 연결되는 띠형상체의 적어도 일측에 대한 버클의 장착위치를 이 버클 본체의 고정부에 의해서 변경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 띠형상체의 일측을 버클 본체를 통해서 다른 띠형상체와 서로 연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버클 본체에 유지부재를 통해서 각종 물품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유지된 물품의 사용을 위한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의 회동에 의해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2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 내지 도 7은 버클을 구성하는 유지부재(2)의 일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이러한 유지부재(2)의 다른 일예를, 도 9는 또 다른 일예 를, 도 25는 또 다른 일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은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 본체(1)의 일예를, 도 11 내지 도 13은 이러한 버클 본체(1)의 다른 일예를, 도 14는 이 버클 본체(1)의 다른 일예를 구성하는 암버클(13)을, 도 15 내지 도 21은 이 버클 본체(1)의 다른 일예를 구성하는 암버클(13)에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유지부재(2)를 조립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4는 버클 본체(1)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띠형상체(W)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버클은 2개의 띠형상체(W,W)를 버클을 통해서 서로 연결시키도록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배낭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버클에 의해 배낭에 구비되는 좌우 한쌍의 웨스트 스트랩이나 체스트 스트랩 등을 버클을 통해서 분리가능하게 서로 접속시키거나, 배낭의 상부에 상단부를 고정한 숄더 벨트를 구성하는 패드부의 하단부와 배낭의 하부에 하단부를 고정한 하부 인출 테이프의 상단부를 버클을 통해서 고정위치를 조정가능하게 서로 접속시키거나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버클은 띠형상체(W)를 서로 연결시키는 버클 본체(1)와 각종의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이러한 버클은 띠형상물, 끈형상물, 선형상물, 봉형상물, 관형상물 등의 길이를 가진 물품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구비한 유지부재 (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클 본체(1)에 대하여 유지부재(2)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구비시키고 있다.
이러한 길이를 가진 물품으로서는, 튜브, 파이프, 로드(rod), 코드, 끈, 와이어 등이 예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배낭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배낭을 멘 사람에게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용기에 접속된 빨대와 같이 기능하는 튜브를 버클의 배치위치에 있어서 지지하거나, 끈의 단부에 각종의 물품을 서로 연결하거나 고정하거나 하도록 구성된 끈을 인출할 수 있고, 또한 감을 수 있게 수납하는 릴체를 버클의 배치위치에 있어서 지지하거나 하는 것이 예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클 본체(1)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W)에, 각종의 물품을 그 물품을 사용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또, 물품의 지지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유지부재(2)를 버클 본체(1)에서 떼어내어 버클 본체(1)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물품이 길이를 가진 것일 경우, 버클 본체(1)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W)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이것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연장방향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라도, 무리없이 이 길이를 가진 물품을 버클 본체(1)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이 지지상태에 있어서 길이를 가진 물품을 사용 등 하기 위하여 길이를 가진 물품의 중심선과 버클 본체(1)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W)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바뀌도록 길이를 가진 물품을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따라서 유지부재(2)를 회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지지된 길이를 가진 물품에 변형 등을 발생시키지 않 도록 할 수 있다. 길이를 가진 물품의 지지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유지부재(2)를 버클 본체(1)에서 떼어내어 버클 본체(1)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클 본체(1) 및 유지부재(2) 중 어느 일측에 암부분(3)이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것들의 타측에 수부분(4)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유지부재(2)에 수부분(4)이 구비되고, 버클 본체(1)에 암부분(3)이 구비되어 있다.
수부분(4)은 머리부(40)와 목부(41)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수부분(4)은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40)와, 이 머리부(40)의 일면의 거의 중앙부에 축의 일단부를 일체로 연접시킴과 아울러 축의 타단부를 유지부재(2)측에 일체로 연접시킨 원주축형상을 이루는 목부(41)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목부(41)의 축의 타단부는, 일면을 유지부재(2)에 일체로 연접시킨 거의 정사각형의 판상을 이루는 베이스체(42)의 타면의 거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이 베이스체(42)의 마주 향한 한쌍의 변부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에는, 이 베이스체(42)의 타면에 있어서, 이 타면에서 돌출되는 융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43)는 그 돌출단부가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한편 암부분(3)은,
(1) 수부분(4)의 머리부(40)의 삽입개구(30)에 연속되는 삽입공간(31)과,
(2) 이 삽입공간(31)을 형성하는 벽체(32) 중 하나에 형성되고 이 삽입공간(31)에 연이어 통함과 아울러, 수부분(4)의 목부(41)를 통과하게 하고, 또한 머리 부(40)를 통과시키지 않는 직경을 가진 가상원의 원호를 따른 구멍 내주면을 가진 관통구멍(33)과,
(3) 이 관통구멍(33)에 연이어 통하고 상기 벽체(32)의 삽입개구(30)측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연속되고, 또한 이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수부분(4)의 목부(41)의 도입홈(34)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암부분(3)은 수부분(4)의 베이스체(42)의 외곽형상에 거의 따른 외곽형상을 가진 상판체(35)를, 그 마주 향한 한쌍의 변부에 있어서 이 변부에 일체로 연접된 지지판체(36)에 의해, 이 상판체(35)의 내면하측에 상기 삽입공간(31)을 형성시키도록 지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이 상판체(35)의 거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상판체(35)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판체(36)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은 남은 한쌍의 변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개구(3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남은 한쌍의 변부의 일측의 거의 중앙과 관통구멍(33)의 사이에 상기 도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도입홈(34)의 중앙부의 홈폭은 수부분(4)의 목부(41)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관통구멍(33)의 구멍 내주면이 위치되는 상기 가상원의 직경은 이 수부분(4)의 목부(4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이 도입홈(34)의 개방부, 즉 입구에 있어서는 양홈벽이 도입홈(34)의 중앙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차 이 도입홈(34)의 홈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이 입구에서 수부분(4)의 목부(41)를 도입홈(34)내에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상판체(35)에 있어서의 지지판체(3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변부의 거의 중앙부에, 수부분(4)의 베이스체(42)에 형성된 융기부(43)가 삽입되는 깊이와 폭을 구비한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입홈(34)을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수부분(4)의 목부(41)가 상기 관통구멍(33)에 삽입되고, 또한 삽입개구(30)를 통해서 머리부(40)가 삽입공간(31)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띠형상체(W)를 서로 연결시킨 버클 본체(1)에 대해 유지부재(2)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립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한 길이를 가진 물품의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2)의 회동에 의해서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즉, 암부분(3)의 삽입공간(31)내에 수부분(4)의 머리부(40)를 삽입시킴으로써, 이 머리부(40)가 삽입공간(31)내에서 간단하게는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여, 암부분(3)과 수부분(4)을 조립할 수 있다. 암부분(3)의 관통구멍(33)은 상기 구멍 내주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관통구멍(33)을 축구멍으로 해서 수부분(4)은 원활하게 회동된다. 길이를 가진 물품을 버클 본체(1)에 지지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입홈(34)을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관통구멍(33)내에 있던 수부분(4)의 목부(41)를 이 도입홈(34)을 통해서 뽑아내도록 함으로써, 삽입공간(31)에서 머리부(40)를 뽑아내어 버클 본체(1)와 유지부재(2)를 원터치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수부분(4)의 베이스체(42)에 형성된 한쌍의 융기부(43,43)가, 암부분(3)의 상판체(35)에 형성된 한쌍의 오목부(37,37)에 각각 상방에서부터 삽입되도록, 이 베이스체(42)의 하면에 상판체(35)의 외면이 접한 상태 로 수부분(4)과 암부분(3)이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도 21의 실선단면의 상태), 이 상태에서 관통구멍(33)을 축구멍으로 하여 수부분(4)이 회동 또는 상대적으로 회동되면, 한쌍의 융기부(43,43)가 오목부(37)에서 빠져나오도록 베이스체(42)가 탄성변형되어 융기부(43)가 오목부(37)에서 빠져나옴과 아울러, 한쌍의 융기부(43,43)의 일측이 이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판체(35)의 한쌍의 변부의 측부에 삽입되고, 또한 한쌍의 융기부(43,43)의 타측이 도입홈(34)의 입구에 삽입되는 회동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이 한쌍의 융기부(43,43)의 일측의 내면이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판체(35)의 한쌍의 변부에 면적으로 접촉되고, 또한 한쌍의 융기부(43,43)의 타측이 도입홈(34)의 입구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도 21의 상상선 단면의 상태). 이 상태에서 더욱 더 수부분(4)이 회동 또는 상대적으로 회동되면, 다시 베이스체(42)가 탄성변형되고, 한쌍의 융기부(43,43)가 상기 오목부(37)에 삽입되는 회동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 한쌍의 융기부(43,43)는 각각 대응하는 오목부(37)에 삽입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부재(2)를 약 90도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위치에 있어서 각각 임시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상기 유지부재(2)가, 길이를 가진 물품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부에서 삽입되는 이 길이를 가진 물품에 의해서 클램프입구(20)를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클램프 내부(21)에 수용하여 유지하는 클램프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유지부재(2)에 수부분 (4)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수부분(4)을 구성하는 베이스체(42)의 상면에 서로 마주 향한 측을 만곡내측으로 하도록 상단부측을 제외한 개소를 만곡시킨 한쌍의 클램프편(23,23)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접시켜서 길이를 가진 물품을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다. 한쌍의 클램프편(23,23)의 상단부(23a)간은 유지되어야 하는 길이를 가진 물품의 직경보다 약간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한쌍의 클램프편(23,23)의 만곡개소(23b)간이 상기 클램프 내부(21)가 되고, 그 상단부(23a)간이 클램프 입구(20)가 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유지부재(2)에 수부분(4)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 이 예에 있어서는, 이 수부분(4)을 구성하는 베이스체(42)에 있어서의 융기부(43)가 형성된 양변부에서 각각 측방으로 돌출되는 기부편(24)과, 이 기부편(24)의 돌출단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편(25)과, 이 지지편(25)의 돌출단부에서 이 지지편(25)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클램프편(26)에 의해 유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한쌍의 클램프편(26,26)은, 서로 마주 향한 측을 만곡내측으로 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 클램프편(26)과 지지편(25)의 연접개소(26a)간은, 유지되어야 하는 길이를 가진 물품의 직경보다 약간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한쌍의 클램프편(26,26)의 만곡개소(26b)간이 상기 클램프 내부(21)가 되고, 상기 연접개소(26a)간이 클램프 입구(20)가 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유지부재(2)에 수부분(4)이 일체로 구비되 어 있다. 또 이 예에 있어서는, 이 수부분(4)을 구성하는 베이스체(42)에 있어서의 융기부(43)가 형성된 양변부의 일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기부편(27)과, 이 양변부의 타측에서 이 양변부의 일측으로 향하여진 측을 만곡내측으로 하도록 만곡형상으로 올림과 아울러, 그 만곡종료위치가 되는 개소(28a)와 기부편(27)의 상면간의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는 길이를 가진 물품의 직경보다 약간 좁게 한 클램프편(28)에 의해서 유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클램프편(28)의 만곡개소(28b)의 내측이 상기 클램프 내부(21)가 되고, 이 클램프편(28)의 만곡종료위치가 되는 개소(28a)와 그 직하에 있는 기부편(27)의 상면간이 클램프 입구(20)가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튜브나 파이프 등의 길이를 가진 물품을 유지부재(2)에 원터치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유지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사용을 위한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2)를 회동시킴으로써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버클 본체(1)의 양단부에 각각 띠형상체(W)의 통과부(10)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중간부에 상기 암부분(3)이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1 내지 도 2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버클 본체(1)가 사이드 릴리스 버클을 구성하는 수버클(12)과 암버클(13)로 구성되어 있고, 이 암버클(13)의 외면에 상기 암부분(3)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암버클(13)은 통의 일단부를 수버클(12)의 다리부 (121)를 내부에 도입할 수 있도록 개방시킨 편평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121)의 도입방향을 따른 암버클(13)의 폭이 좁은 양측부에는 각각 창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암버클(13)의 통의 타단부측에는, 띠형상체(W)의 통과부(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버클(12)은 2개소의 띠형상체(W)의 통과부(10,10)를 평행하게 구비한 기부(122)와, 이 기부(122)에 일단부를 일체로 연접시키고 이 기부(122)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다리부(121,121)를 가지고 있다. 이 한쌍의 다리부(121,121)에 있어서의 타측의 다리부(121)에 마주 향하지 않는 측에는 걸어맞춤용 융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암버클(13)내에 수버클(12)의 한쌍의 다리부(121,121)를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 한쌍의 다리부(121,121)의 걸어맞춤용 융기부(123)가 암버클(13)의 상기 폭이 좁은 양측부의 내면에 의해서 일단 내향으로 휘어져 들어온 후, 상기 창구멍(131)에 삽입되는 수버클(12)의 끼워넣음위치에 있어서의 탄성복귀에 의해 한쌍의 다리부(121,121)의 이 걸어맞춤용 융기부(123)가 각각 암버클(13)의 대응하는 창구멍(131)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수버클(12)의 통과부(10)에 통과된 띠형상체(W)와 암버클(13)의 통과부(10)에 통과된 띠형상체(W)를 버클을 통해서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버클(12)의 기부(122)는, 2개소의 띠형상체(W)의 통과부(10,10)에 의해서 중간 크로스 바(124)와 엔드 크로스 바(125)를 가지도록 되어 있고, 띠형상체(W)를 수버클(12)의 이면측으로부터 중간 크로스 바(124)에 걸어 돌려서 수버클(12)의 바깥쪽으로 인출한 후, 이 인출부를 엔드 크로스 바(125)의 이면을 통과하게 하여 다시 수버클(12)의 측방으로 인출함으로써, 띠형상체(W)에 장력 이 작용되는 한 중간 크로스 바(124)와 엔드 크로스 바(125)의 사이에 있는 통과부(10)에 면한 중간 크로스 바(124)의 일부와 엔드 크로스 바(125)의 일부가 이 띠형상체(W)에 대해서 강하게 찌르게 되어, 이 띠형상체(W)에 대한 수버클(12)의 장착위치가 바뀌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도 12).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버클(12)이 띠형상체(W)의 고정부(1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암버클(13)에 있어서의 통의 일단부측에 있어서, 이 암버클(13)의 폭이 넓은 측면부에 상기 암부분(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이러한 암부분(3)은 도입홈(34)이 이 암버클(13)의 통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부분(4)의 머리부(40)의 삽입공간(31)은, 상판체(35)와 암부분(3)의 폭이 넓은 측면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암부분(3)은 암버클(13)의 외면에 형성되어 융기부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공간(31)을 형성하는 암버클(13)의 폭이 넓은 측면부에, 이 암버클(13)의 통의 일단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고, 도입홈(34)의 직하에 있어서 이 도입홈(34)을 따라 연장되는 분할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암부분(3)의 도입홈(34)에 수부분(4)의 목부(41)를 삽입함에 있어서, 이 분할홈(132)에 의하여 도입홈(34)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버클(12)과 암버클(13)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수버클(12)에 접속된 띠형상체(W)와 암버클(13)에 접속된 띠형상체(W)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수버클(12)에 연결된 암버클(13)에 유지부재(2)를 통해서 길이를 가진 물품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유지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사용을 위한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2)의 회동에 의해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또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버클 본체(1)가, 중간 크로스 바(141)의 양측에 2개소의 띠형상체(W)의 통과부(10,10)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띠형상체(W)의 고정부(11)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테두리형상부(14)에 있어서의 마주 향한 한쌍의 측부간에, 중간 크로스 바(141)를 걸쳐놓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테두리형상부(14)내에 2개소의 통과부(10,10)를 형성시키고 있다. 그리고, 엔드 크로스 바의 일측(142){중간 크로스 바(141)에 대략 평행을 이루는 테두리형상부(14)의 단부의 일측}에 띠형상체(W)의 일측을 걸어 돌려서 접속시킴과 아울러, 이 중간 크로스 바(141)에 띠형상체(W)의 타측을 버클 본체(1)의 이면측에서 이 중간 크로스 바(141)에 걸어 돌려서 수버클(12)의 바깥쪽으로 인출한 후, 이 인출부를 이 중간 크로스 바(141)에 대략 평행을 이루는 테두리형상부(14)의 단부의 타측, 즉 타측의 엔드 크로스 바(143)의 이면을 통과하게 하여 다시 버클 본체(1)의 측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이 타측의 띠형상체(W)에 장력이 작용되는 한 이 중간 크로스 바(141)와 타측의 엔드 크로스 바(143)의 사이에 있는 통과부(10)에 면한 이 중간 크로스 바(141)의 일부와 타측의 엔드 크로스 바(143)의 일부가 이 띠형상체(W)에 대해서 강하게 찌르게 되어, 이 타측의 띠형상체(W)에 대한 버클 본체(1)의 장착위치가 바뀌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버클 본체(1)의 중간 크 로스 바(141)와 이것에 인접하는 타측의 엔드 크로스 바(143)에 의해서 띠형상체(W)의 고정부(11)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타측의 엔드 크로스 바(143)의 표면측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부(144)의 상면에 상기 암부분(3)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클 본체(1)를 통해서 연결되는 띠형상체(W)의 적어도 일측에 대한 버클의 장착위치를, 이 버클 본체(1)의 고정부(11)에 의해서 변경가능하게 한 상태로, 이 띠형상체(W)의 일측을 버클 본체(1)를 통해서 다른 띠형상체(W)와 서로 연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버클 본체(1)에 유지부재(2)를 통해서 길이를 가진 물품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유지된 길이를 가진 물품의 사용을 위한 방향의 변경을 유지부재(2)의 회동에 의해 자유도 높게 허용시킬 수 있다.
또 도 25는 유지부재(2)를, 끈단부에 각종 물품의 고정부(28a)를 구비한 끈(28)을 인출할 수 있고, 또한 감을 수 있게 수납하는 릴체(도시생략함)를 내장한 케이스체(29)에 의해서 구성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체(29)는, 이 케이스체(29)내에서 끈(28)을 인출함으로써 릴체가 정회전되도록 릴체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케이스체내에는 이 릴체의 정회전에 의해서 이 릴체를 역회전시키는 방향의 탄지력을 축적하는 나선형 스프링 등의 축세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끈(28)의 인출조작을 중지하면 이 역회전의 탄지력에 의해서, 인출된 끈(28)은 케이스체(29)내에 되감기형상으로 끌어들여진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 케이스체(29)의 일면에 수부분(4)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 케이스체(29) 의 수부분(4)을 버클 본체(1)의 암부분(3)에 조립해서 버클을 구성한다. 케이스체(29), 즉 끈(28)의 유지부재(2)는, 끈(28)의 인출에 의해서 이 끈(28)을 가장 인출하기 쉬운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 의하면, 이 버클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띠형상체에, 이 버클에 의해 각종의 물품을 그 물품을 사용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적절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버클 본체와,
    각종의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버클 본체에 대하여 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구비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버클 본체와,
    띠형상물, 끈형상물, 선형상물, 봉(棒)형상물, 관형상물 등의 길이를 가진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버클 본체에 대하여 유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떼어낼 수 있도록 구비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클 본체 및 유지부재 중 어느 일측에 암부분이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의 타측에 수부분이 구비되어 있고,
    수부분은,
    머리부와 목부를 가지고 있고,
    암부분은,
    수부분의 머리부의 삽입개구에 연속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중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연이어 통함과 아울러, 수부분의 목부를 통과하게 하고, 또한 머리부를 통과시키지 않는 직경을 가진 가상원의 원호를 따른 구멍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에 연이어 통하고 상기 벽체의 삽입개구측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수부분의 목부의 도입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도입홈을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수부분의 목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삽입개구를 통해서 머리부가 삽입공간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2에 있어서,
    버클 본체 및 유지부재 중 어느 일측에 암부분이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의 타측에 수부분이 구비되어 있고,
    수부분은,
    머리부와 목부를 가지고 있고,
    암부분은,
    수부분의 머리부의 삽입개구에 연속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중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연이어 통함과 아울러, 수부분의 목부를 통과하게 하고, 또한 머리부를 통과시키지 않는 직경을 가진 가상원의 원호를 따른 구멍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에 연이어 통하고 상기 벽체의 삽입개구측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수부분의 목부의 도입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도입홈을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수부분의 목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삽입개구를 통해서 머리부가 삽입공간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지부재가, 길이를 가진 물품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부에서, 삽입되는 상기 길이를 가진 물품에 의해 클램프입구를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클램프 내부에 수용해서 유지하는 클램프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유지부재가, 길이를 가진 물품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부에서, 삽입되는 상기 길이를 가진 물품에 의해 클램프입구를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클램프 내부에 수용해서 유지하는 클램프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유지부재가, 길이를 가진 물품을 그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부에서, 삽입되는 상기 길이를 가진 물품에 의해 클램프입구를 탄성적으로 넓히면서, 클램프 내부에 수용해서 유지하는 클램프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클 본체가 사이드 릴리스 버클을 구성하는 수버클과 암버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암버클의 외면에 수부분 및 암부분 중 어느 일측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클 본체가 중간 크로스 바의 양측에 2개소의 띠형상체의 통과부를 구비해 서 이루어지는 띠형상체의 고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버클 본체가 중간 크로스 바의 양측에 2개소의 띠형상체의 통과부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띠형상체의 고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50053025A 2004-07-20 2005-06-20 버클 KR100601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1550A JP2006026207A (ja) 2004-07-20 2004-07-20 バックル
JPJP-P-2004-00211550 2004-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639A true KR20060049639A (ko) 2006-05-19
KR100601564B1 KR100601564B1 (ko) 2006-07-19

Family

ID=3565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025A KR100601564B1 (ko) 2004-07-20 2005-06-20 버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16050A1 (ko)
JP (1) JP2006026207A (ko)
KR (1) KR100601564B1 (ko)
CN (1) CN100438797C (ko)
TW (1) TWI2602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14B1 (ko) * 2020-12-02 2022-04-06 김승건 목욕 바구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11157A (en) * 2007-09-13 2009-03-16 Nifco Taiwan Corp Side-open buckle
US7559123B1 (en) * 2008-01-11 2009-07-14 Nifco Taiwan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US20090199322A1 (en) * 2008-02-07 2009-08-13 Parrish Rodney L Headgear accessory clip
CN101513906B (zh) * 2008-02-19 2013-01-09 维乐工业股份有限公司 将配件连接于自行车座垫的装置
KR100995471B1 (ko) * 2008-07-15 2010-11-18 백지숙 휘슬이 장착된 버클
JP5242285B2 (ja) * 2008-08-08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連結機構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袋物
US8360378B1 (en) * 2009-04-07 2013-01-29 Owens Michael D Mobile electronic device support
WO2010137985A1 (en) * 2009-05-29 2010-12-02 Sigrid Eckhoff Belt buckle for relief and stabilisation of objects
ITRM20090295A1 (it) * 2009-06-10 2010-12-10 Orco Mauro Dell Dispositivo da parrucchiere per sostener il cavo elettrico di un attrezzo quale un asciugacapelli
JP4537497B1 (ja) * 2009-10-30 2010-09-01 大介 西浦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及びバックル解除用補助具
US9750310B2 (en) 2012-09-18 2017-09-05 Illinois Tool Works Inc. Releasable buckle
KR101922285B1 (ko) * 2015-08-20 2018-11-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JP3204607U (ja) * 2016-02-23 2016-06-09 Ykk株式会社 機能追加バックル
EP3515226B1 (en) * 2016-09-19 2022-01-26 Duraflex Hong Kong Limited Tension releas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558A (en) * 1943-03-09 1943-08-10 E A Myers & Sons Spring clip
US3550824A (en) * 1968-11-18 1970-12-29 Madeline M Bohanski Adjustable support for wrist
US4419794A (en) * 1981-10-05 1983-12-13 Repco Incorporated Portable fastening device
KR940006944A (ko) * 1992-09-18 1994-04-26 김홍지 폐유리를 이용한 마불크라스의 제조방법
US5507610A (en) * 1994-07-27 1996-04-16 Emhart Inc. Refusable fastener including a pin and grommet
US5604958A (en) * 1995-11-06 1997-02-25 National Molding Corp. Attachment system for backpacks, vests, belts and the like
CN2286558Y (zh) * 1997-04-10 1998-07-29 陈正统 改进结构的扣具
KR200162310Y1 (ko) * 1997-09-20 1999-12-15 김동주 무선전화기용 홀더의 착탈구조
US5897278A (en) * 1998-02-05 1999-04-27 Southco, Inc. Turn fastener
JP3453071B2 (ja) * 1998-10-22 2003-10-06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KR100572526B1 (ko) * 1998-12-18 2006-04-24 내셔날 몰딩 코오포레이션 다목적 부착 기구
CN2484794Y (zh) * 2001-06-14 2002-04-10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背夹扣
CN2494142Y (zh) * 2001-07-12 2002-06-05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扣具
US6715185B2 (en) * 2002-07-25 2004-04-06 Illinois Tool Works Inc. Self aligning panel faste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14B1 (ko) * 2020-12-02 2022-04-06 김승건 목욕 바구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0207B (en) 2006-08-21
CN1723818A (zh) 2006-01-25
JP2006026207A (ja) 2006-02-02
KR100601564B1 (ko) 2006-07-19
US20060016050A1 (en) 2006-01-26
TW200605802A (en) 2006-02-16
CN100438797C (zh)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564B1 (ko) 버클
US6350030B2 (en) Face mask for diver
JP2007021224A (ja) サイドリリース型バックル組立体
JP2009061050A (ja) バックル
CA2554265A1 (en) Ligating clip with integral cutting guide
KR20030076305A (ko) 버클
KR20000017326A (ko) 낚시대용 분리형 그립과 이를 구비한 낚시대
CA3139875A1 (en) Gasifier stove
JP5955952B2 (ja) コードロック
EP2773283B1 (en) Matrix band retainer
US9409056B2 (en) Goggles comprising adjustable nose bridge
KR950014566B1 (ko) 낚시줄 가이드가 결합된 낚시대
EP3320956B1 (en) Belt length adjuster
KR200395639Y1 (ko) 물병 홀더
JP2000083713A (ja) 止め具及び紐止め装置
KR20190060754A (ko) 클립 취외장치
CA3133855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panding and collapsing a rod
KR200222574Y1 (ko) 넥타이 매듭 고정장치
KR200387187Y1 (ko) 혁대
KR101847842B1 (ko) 지퍼가 닫힌 채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JP2007082494A (ja) 釣具の釣糸保持構造
KR200354847Y1 (ko) 넥타이 매듭 보조구
KR200189101Y1 (ko) 착탈이 용이한 버클
JP3073445U (ja) チェーンネックレス
KR920004350Y1 (ko) 파마롯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