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754A - 클립 취외장치 - Google Patents

클립 취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754A
KR20190060754A KR1020197001938A KR20197001938A KR20190060754A KR 20190060754 A KR20190060754 A KR 20190060754A KR 1020197001938 A KR1020197001938 A KR 1020197001938A KR 20197001938 A KR20197001938 A KR 20197001938A KR 20190060754 A KR20190060754 A KR 2019006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distal end
sheath
length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614B1 (ko
Inventor
토모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체내에 유치된 클립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생체 내에 유치된 클립(1)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떼어내는 클립 취외장치이다. 이 장치는, 시스(22)와, 시스에 삽통되어 있는 구동 와이어(23)와,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취외장치 본체(21)를 갖는다. 취외장치 본체(21)는,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 끌려들어가는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하도록 닫히고,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는, 서로 멀어지도록 열리는 한쌍의 길이 편(21a)을 구비한다. 길이 편(21a)의 선단부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길이 편(21a)의 폭이 넓어지도록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테이퍼부(21d)는, 길이 편(21a)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클립(1)의 체부 링(14)에 계합하여, 체부 링(14)을 클립(1)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클립 취외장치
본 발명은, 체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생체 내에 유치된 클립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떼어내기 위해 이용되는 클립 취외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을 이용한 지혈, 마킹 또는 봉축(縫縮) 등의 처치에 이용되는 내시경용 클립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체부(締付) 링을 이동(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한쌍의 암부를 서로 근접시키고, 암부의 선단부 또는 그 근방에서 체내 조직을 파지하는 의료용 기구이다.
이러한 내시경용 클립은,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관으로 통과되는 클립 장치의 원위단에 설치되어, 처치해야 할 체내 조직까지 도입된 후, 클립 장치의 근위단측에 설치된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당해 체내 조직(점막 등)을 파지한 상태로 클립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체내에 유치(留置)된다.
지혈 등의 처치의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생체 내에 유치된 클립에 의한 체내 조직의 파지를 해제하고, 해당 클립을 체외로 꺼내는 경우가 있고, 이를 위한 해제 장치로서,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클립 취외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들 기술은, 클립을 폐각(閉脚)시키고 있는 체부 링을 클립의 기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클립이 자기의 탄성에 의해 개각(開脚)하여 체내 조직으로부터 빠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클립 취외장치에서는, 매우 작은 체부 링을 유지하고, 클립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클립의 자세에 대해 클립 취외장치의 원위단부의 자세를 정확하게 설정하지 않으면 체부 링을 슬라이드시킬 수 없다. 이처럼, 체부 링의 이동 조작은 용이하지 않고, 작업에 장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189705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125264호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19272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체내에 유치된 클립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클립 취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클립 취외장치는,
한쌍의 암부와, 한쌍의 상기 암부의 기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한쌍의 상기 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자재하게 구비하고 있는 체부 링을 갖고, 상기 체부 링이 상기 암부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클립의 선단부가 체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체내에 유치된 클립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떼어내는 클립 취외장치로서,
시스(sheath)와,
상기 시스에 대해서 축 방향 이동 자재하게 상기 시스에 삽통되어 있는 구동 와이어와,
상기 구동 와이어의 원위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취외장치 본체를 갖고,
상기 취외장치 본체는, 상기 시스의 원위단부로 끌려들어가는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하도록 닫히고, 상기 시스의 원위단부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는, 서로 멀어지도록 열리는 한쌍의 길이 편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의 상기 길이 편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상기 길이 편의 폭이 넓어지도록 계합(係合)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계합 테이퍼부는, 한쌍의 상기 길이 편 사이에 상기 클립의 상기 암부를 위치시킨 상태로 한쌍의 상기 길이 편이 상기 시스의 원위단부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클립의 상기 체부 링에 계합하고, 상기 체부 링을 상기 클립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클립 취외장치를 이용하여, 체내에 유치된 클립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떼어내기 위해서는, 우선, 체내 조직을 파지하고 있는 클립의 옆에, 시스의 원위단부를 가까이 대고 나서, 체외에 있는 클립 취외장치의 근위단측에서의 조작에 의해서 시스에 대해서 구동 와이어를 압입함으로써, 취외장치 본체를 시스로부터 밀어내어, 한쌍의 길이 편의 선단부를 열리게 한다. 그리고, 열려진 길이 편의 사이에서, 클립의 체부 링보다도 체내 조직측에 위치하는 암부를 끼워넣어지는 위치로, 취외장치 본체를 시스와 함께 이동시킨다.
그 상태로, 시스의 원위단부의 내부에, 한쌍의 길이 편을 끌어들이면, 이들의 길이 편의 선단측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길이 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의 이동 위치에서, 클립의 체부 링의 체내 조직측(하측/체내 조직에 가까운 측) 단부가 계합 테이퍼부에 계합한다. 계합 테이퍼부는, 길이 편이 선단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길이 편이 시스의 원위단부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클립의 체부 링의 하측에 계합하고, 체부 링을 클립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체부 링은, 클립의 암부를 따라서 기단부측으로 이동하고, 클립의 암부의 선단부는, 서로 열리고, 암부의 선단부에 끼어있던 체내 조직으로부터 클립이 빠진다. 이로써, 클립에 의한 체내 조직의 파지를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립 취외장치에서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매우 작은 체부 링 자체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체내 조직을 파지하고 있는 클립의 옆으로부터 클립의 체부 링의 체내 조직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암부를 끼워넣기 만하면 된다. 이 때문에, 그 조작은 용이하고, 클립의 취외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취외장치 본체의 길이 편에서 클립의 암부를 끼워넣을 때에, 방향을 조정하여 암부가 서로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면, 체부 링에 의한 암부의 조임이 느슨해지므로, 체부 링과 암부와의 사이에 생겨난 마찰력이 대폭 완화된다. 그 때문에, 계합 테이퍼부를 따른 체부 링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체내 조직의 파지의 해제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계합 테이퍼부가 위치하는 상기 길이 편의 내측 대향면에는, 상기 길이 편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기단측 대향면보다도 내측을 향해서 융기되어 있는 융기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융기 대향면은, 한쌍의 길이 편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양방의 길이 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융기 대향면끼리가 마주 대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끼어 있는 클립의 한쌍의 암부에 서로 닫히는 방향의 힘을 가하기 쉬워지고, 체부 링의 조임을 느슨하게 하기 쉬워지므로, 계합 테이퍼부를 따라서 체부 링을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또, 이러한 작용은, 융기 대향면을, 일방의 길이 편에 형성하는 것으로도 얻어진다.
상기 기단측 대향면과 상기 융기 대향면의 경계부에는, 융기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한쌍의 암부를 한쌍의 길이 편에 끼운 상태에서, 이들 길이 편을 시스의 원위단부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동작이 부드럽게 된다.
상기 융기 테이퍼면이, 상기 계합 테이퍼부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길이 편의 기단부와 상기 계합 테이퍼부와의 경계에 위치해도 되고, 또는 상기 경계보다도 상기 길이 편을 따라서 기단측에 위치해도 된다. 혹은, 계합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길이 편의 내측 대향면의 도중에 위치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기 대향면보다도 상기 길이 편을 따라서 선단측에는, 상기 융기 대향면의 융기 방향에 대해서 반대측으로 패여있는 요상(凹狀)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다. 요상 대향면은, 한쌍의 길이 편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양방의 길이 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상 대향면끼리가 마주 대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끼어 있는 클립의 한쌍의 암부끼리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길이 편이 시스의 원위단부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융기 대향면에 의해서 암부에 서로 닫히는 방향의 힘을 가하면서, 계합 테이퍼부에 의해 암부의 기단부측으로 이동시켜진 체부 링은, 길이 편과의 계합에 의해서 기단부측으로 이동시켜진 상태가 유지된 채로, 요상 대향면의 존재에 의해서 암부끼리의 간격이 커지게 되고, 체부 링이 중력에 의해서 다시 선단측으로 이동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체내 조직의 파지를 해제한 클립을 길이 편으로부터 해방할 때에, 중력에 의해서 체부 링이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버려서 다시 클립이 닫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작용은, 요상 대향면을, 일방의 길이 편에 형성하는 것으로도 얻어진다.
적어도 일방의 길이 편의 선단부에,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계합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계합 테이퍼부 내의 일방은, 체부 링의 체내 조직측 단부에 계합하여 체부 링을 암부의 기단부로 되돌리도록 이동하고, 타방은 체내 조직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체내 조직의 표면에 대하여 길이 편의 선단부를 들어올리도록 기능한다. 그 결과, 계합 테이퍼부가 체부 링의 체내 조직측 단부에 계합하여 체부 링을 암부의 기단부로 되돌리도록 이동시키는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 편의 선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계합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모든 계합 테이퍼부를 체부 링에 계합시켜도 되기 때문에, 계합 테이퍼부와 체부 링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클립 취외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클립 취외장치의 취외장치 본체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취외장치 본체의 길이 편의 선단 요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 도 5는 클립 취외장치의 취외 대상으로서의 내시경용 클립의 폐각 상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 도 6은 클립 취외장치의 취외 대상으로서의 내시경용 클립의 폐각 상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클립 취외장치를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클립을 떼어내는 최초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도 7에 이은 클립의 취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도 8에 이은 클립의 취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도 9에 이은 클립의 취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도 10에 이은 클립의 취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클립 취외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취외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3]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클립 취외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취외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클립 취외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의료용 클립]
우선, 클립 취외장치의 취외 대상물로서의 내시경용 클립(의료용 클립)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암부로서 판상으로 형성된 암 판부를 갖는 클립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클립 취외장치의 취외 대상물로서의 내시경용 클립은, 이러한 판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봉상(원주상, 각주상 등)의 암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클립(1)은, 한쌍의 암 판부(암부)(11,12) 및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판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연결판부(13)에는 한쌍의 암 판부(11,12)를 개폐시키는 체부 링(1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감되어 있다.
한쌍의 암 판부(11,1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상호 거리가 넓어지도록(서로 그 선단으로 감에 따라 대략 V자상으로 열리도록(개각하여)) 배치되어 있다. 암 판부(11)의 기단부의 일단(기단)은 연결판부(13)의 일단에, 암 판부(12)의 기단부의 일단(기단)은 연결판부(13)의 타단에 각각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암 판부(11,12)의 선단부에는, 갈퀴부(11a,12a)가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갈퀴부(11a,12a)는, 암 판부(11,12)의 선단에 있어서, 내측(즉, 닫히는 방향)을 지향하여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갈퀴부(11a,12a)는, 그 선단의 중간 부분에 패여있는 노치부(미도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내시경용 클립(1)을 구성하는 연결판부(13)와, 한쌍의 암 판부(11,12)와, 한쌍의 갈퀴부(11a,12a)는, 한장의 판재를 절곡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내시경용 클립(1)을 구성하는 판재의 판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0~0.30mm이다. 판재로서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판이 이용된다.
체부 링(14)은, 대략 원통상인 링 부재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단, 체부 링(14)은, 선재를 코일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체부 링(14)은, 그 내측의 안내공으로, 연결판부(13)가 삽통되고, 연결판부(13)의 외주와 암 판부(11,12)의 외주의 사이를 축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외감)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체부 링(14)이, 연결판부(13)에 외감된 위치(해제 위치)로부터 암 판부(11,12)에 외감된 위치(유지 위치)에 슬라이드된 경우에, 체부 링(14)의 내부(안내공)로 한쌍의 암 판부(11,12)의 기단부가 끌려들어가지고, 이들 암 판부(11,12)를 폐각, 즉 암 판부(11,12)의 각각을 서로 근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체부 링(14)이 클립(1)의 기단측 부근(연결판부(13))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암 판부(11,12)는 자기의 탄성에 의해 열려진(개각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듯이, 체부 링(14)을 클립(1)의 선단측 부근 위치로 이동(슬라이드)시킴으로써, 암 판부(11,12)를 서서히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체부 링(14)을 암 판부(11,12)의 기단부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암 판부(11,12)를 닫힌(폐각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용 클립(1)은. 체부 링(14)이 연결판부(13)에 배치되어 암 판부(11,12)가 열린 상태로, 내시경(3)의 처치구 안내관(31)으로 통하는 클립 장치(16)의 원위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내시경(3)의 처치구 안내관(31)을 거쳐서, 예를 들어 병변부 절제에 의해서 형성된 결손부가 존재하는 개소 등의 처치해야 할 체내 조직(4)까지 인도된다. 그 후, 클립 장치(16)의 근위단에 설치된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체부 링(14)을 암 판부(11,12)의 기단부까지 슬라이드시키고 암 판부(11,12)를 닫는다. 이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내듯이, 암 판부(11 및 12)의 선단부가, 병변부 절제에 의해 형성된 체내 조직(점막 등)(4)의 결손부(4a)를 끼워넣고 파지함으로써 결손부(4a)가 봉축되고, 그 상태로 클립 장치(16)로부터 분리되어 체내에 유치된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하여 체내에 유치된 클립(1)을 취외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클립 취외장치(클립 리무버)가 사용된다.
[클립 취외장치]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 취외장치에 대해서, 도 1~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립 취외장치(2)는, 시스(22)와, 시스(22)에 대하여 축 방향 이동 자재하게 시스(22)에 삽통되어 있는 구동 와이어(23)와,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취외장치 본체(21)를 갖는다. 시스(22)의 근위단부에는, 시스측 잠금 부재(26)와 베이스측 잠금 부재(25)에 의해, 베이스부(27)가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부(27)에는, 슬라이더부(2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 와이어(23)의 근위단은, 시스측 잠금 부재(26) 및 베이스측 잠금 부재(25)의 각각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더부(28)까지 이르고 있고, 잠금 나사(29)를 통해서, 슬라이더부(28)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27)에 대하여 슬라이더부(28)를 원위단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구동 와이어(23)가 시스(22)에 대해서 원위단측으로 이동하고,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측에 설치된 취외장치 본체(21)가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부터 밀려나고, 취외장치 본체(21)의 한쌍의 길이 편(21a)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베이스부(27)에 대하여 슬라이더부(28)를 근위단측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측에 설치된 취외장치 본체(21)가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부로 끌려들어가고, 한쌍의 길이 편(21a)이 닫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은 취외장치 본체(21)의 기부 폴드 편(21b)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슬라이더부(28)를 베이스부(27)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구동 와이어(23)가 시스(22)의 내부를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내는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부터, 취외장치 본체(21)의 한쌍의 길이 편(21a)을 튀어나오게 하거나, 끌려들어가게 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에 링상의 부재를 접속하고, 그 링에 취외장치 본체(21)를 삽통시킴으로써, 구동 와이어(23)와 취외장치 본체(21)를 연결시키고 있지만, 연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접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서 단지 직접 연결시켜도 된다.
시스(22)는 튜브상의 부재이다. 시스(22)는 가요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스(22)로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튜브를 사용해도 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튜브를 이용하고 있다. 코일 튜브로서는 금속(스테인리스강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척 평판을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평선 코일 튜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스(22)를 구성하는 코일 튜브의 원위단측에, 코일 튜브와 실질적으로 같은 내경과 외경을 갖는, 금속(스테인리스강 등) 파이프를 접속하여, 시스(22)의 원위단부(22a)를 구성하고 있다. 시스(22)의 원위단부(22a)를 금속 파이프로 구성함으로써, 이 원위단부(22a)에 한쌍의 길이 편(21a)을 끌어들일 때에, 길이 편(21a)이 탄성에 의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리려고 하는 힘에 맞서서, 길이 편(21a)을 보다 확실하게 닫을 수 있다. 단, 반드시, 시스(22)의 원위단부(22a)를 금속 파이프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시스(22) 전체를 코일 튜브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시스(22)로서, 환선(丸線) 코일 튜브 또는 내면 평코일 튜브를 사용해도 되고, 와이어 튜브를 사용해도 된다. 와이어 튜브는, 예를 들어 금속(스테인리스강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와이어(케이블)를 중공이 되도록 나선상으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중공 꼬임선으로 구성되는 튜브이다.
구동 와이어(23)는 가요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고 있다. 와이어 로프는, 예를 들어 금속(스테인리스강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와이어(케이블)를 나선상으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꼬임선으로 구성되는 로프이다. 다만, 구동 와이어(23)로는, 다른 와이어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와이어 튜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구동 와이어(23)를, 단일의 선재로 구성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구동 와이어(23)는, 시스(22)에 대하여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자재하게 시스(22)에 삽통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구동 와이어(23)의 선단(원위단)에 기부 폴드 편(21b)이 접속된 취외장치 본체(21)는, 한쌍의 길이 편(21a)을 일체적으로 갖는다. 각 길이 편(21a)의 선단에는, 각 길이 편(21a)의 일부로서의 선단 편(21c)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 폴드 편(21b)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한쌍의 길이 편(21a)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가늘고 긴 탄성판 편을 절곡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봉 등의 가늘고 긴 탄성봉재를 절곡 성형하여 형성해도 된다. 혹은, 기부 폴드 편(21b)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는 한쌍의 길이 편(21a)은, 사출 성형에 의해,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한쌍의 길이 편(21a)은, 기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상호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로, 한쌍의 길이 편(21a)의 선단부 상호간의 개폐 방향 R을 따른 거리는,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경보다도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길이 편(21a)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상태에서는, 길이 편(21a)의 선단은, 서로 근접하도록 닫힌다. 또한, 길이 편(21a)의 선단은,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는, 길이 편(21a) 및 기부 폴드 편(21b)의 탄성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듯이, 서로 멀어지도록 열리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각 길이 편(21a)의 선단부에 있는 선단 편(21c)의 폭(도 3에 나타내는 개폐 방향 R에 대략 수직 방향의 폭) W1은, 길이 편(21a)의 기단부의 폭 W0에 비교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고, W1/W0은, 바람직하게는 1.5~2.0이다. 선단 편(21c)의 폭 W1은,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경보다도 커져도 되고, 작아져도 된다. 선단 편(21c)의 폭 W1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경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길이 편(21a)의 기단부만이 아니라, 선단 편(21c)도,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길이 편(21a)의 기단부로부터 선단 편(21c)을 향하여 폭이 점차 커지게 되도록, 계합 테이퍼부(21d)가 길이 편(21a)의 폭 방향의 상측 연부(上側緣部)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길이 편(21a)의 폭 방향의 하측 연부는, 선단 편(21c)도 포함하여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계합 테이퍼부(21d)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편(21c)에는, 계합 테이퍼부(21d)의 선단부에, 폭이 일정한 폭광부(幅廣部)가 형성되어 있지만, 계합 테이퍼부(21d)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계합 테이퍼부(21d)의 선단부에는,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곡선상 경사부(21c1)(도 4 참조) 또는 직선상 경사부를 설치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계합 테이퍼부(21d)의 길이 방향의 길이 L1은, 예를 들어 길이 편(21a)의 기단부의 폭 W0과의 관계에서 결정되며, L1/W0는, 바람직하게는 1~2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 편(21c)에는, 길이 편(21a)의 기단부에서의 기단측 대향면(21e)보다도 내측을 향하여 융기되어 있는 융기 대향면(21f)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 편(21a)의 기단부란, 계합 테이퍼부(21d)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는 길이 편(21a)의 부분이며, 기부 폴드 편(21b)을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부 폴드 편(21b)의 폭과 길이 편(21a)의 기단부의 폭 W0은 거의 동일하지만, 달라져 있어도 된다. 나아가, 길이 편(21a)의 기단부의 폭 W0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소 달라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듯이, 클립(1)의 체부 링(14)과 체내 조직(4)의 표면의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길이 편(21a, 21a)의 기단부에서는, 그 부분에 끼워넣기 쉽도록, 강도가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폭 W0이 작아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대향면(21e 및 21f)이란, 한쌍의 길이 편(21a)의 상호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면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이지만, 반드시 평면이 아니고, 각각 철상(凸狀) 곡면이어도 된다. 다만, 대향면(21f)은, 대향면(21e)에 비교하여, 보다 높게 내측(마주하는 방향)으로 융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면(21e)과 대향면(21f)과의 경계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내측으로 융기하는 융기 테이퍼면(21g)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융기 테이퍼면(21g)은, 길이 편(21a)의 기단부와 선단 편(21c)의 계합 테이퍼부(21d)와의 경계 부근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경계보다도 길이 편(21a)을 따라서 기단측에 형성해도 되고, 혹은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는 길이 편의 대향면의 도중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융기 테이퍼면(21g)은, 길이 편(21a)의 기단부와 선단 편(21c)의 계합 테이퍼부(21d)와의 경계 부근에 형성하지만, 그 경계보다도 길이 편(21a)을 따라서 약간 기단측이 좋다.
다음에, 상술한 클립 취외장치(2)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도 7~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7~도 11에 있어서, 클립(1)은, 체부 링(14)이 연결판부(13)에 위치하는 해제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어 한쌍의 암 판부(11,12)의 기단부(11b, 12b)에 위치하는 유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한쌍의 암 판부(11,12)의 갈퀴부에 의해서, 체내 조직(4)(점막 등)을 파지한 상태로 체내에 유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내시경(3)의 처치구 안내관(31)을 통해서, 클립 장치(16) 대신에, 도 1에 나타내는 클립 취외장치(2)의 시스(22)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듯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를 체내에 유치된 파지를 해제해야 할 클립(1)의 근처에 위치시킨다. 즉, 체내 조직(4)을 파지하고 있는 클립(1)의 옆에, 시스(22)의 원위단부(22a)를 가까이 댄다. 이 조작과 전후해서, 도 1에 나타내는 클립 취외장치(2)의 베이스부(27)에 대해 슬라이더부(28)를 원위단측으로 슬라이드하고, 구동 와이어(23)의 원위단측에 설치된 취외장치 본체(21)를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부터 튀어나오게 하고, 한쌍의 길이 편(21a)을 연다.
그 전후에, 베이스부(27) 및 슬라이더부(28)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길이 편(21a)의 계합 테이퍼부(21d)와, 클립(1)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한다. 즉, 클립(1)의 연결판부(13)의 방향을 체내 조직(4)에 대해서 상방향으로 하면, 길이 편(21a)의 계합 테이퍼부(21d)가 위를 향하도록, 길이 편(21a)을 시스(22)의 축 주위로 회전시킨다.
그 후에,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열려진 길이 편(21a, 21a)의 사이에서, 클립(1)의 체부 링(14)의 체내 조직(4)측(하측)에 위치하는 암 판부(11,12)를 끼워넣고 서로 닫히게 하는 힘이 가해지는 위치에, 취외장치 본체(21)를 시스(22)의 원위단부(22a)와 함께 이동시킨다.
그 상태로,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내듯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부에, 한쌍의 길이 편(21a, 21a)을 길이 방향 A로 끌어들이면, 이들 길이 편(21a, 21a)의 선단 편(21c)은, 서로 접근하는(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길이 편(21a, 21a)을 죄고 있던 체부 링(14)과 길이 편(21a, 21a)의 사이의 마찰력이 대폭 완화된다. 그리고, 그와 함께, 길이 편(21a, 21a)의 길이 방향 A를 따른 소정의 이동 위치에서, 클립(1)의 체부 링(14)의 하측이 계합 테이퍼부(21d)에 계합한다. 계합 테이퍼부(21d)는, 선단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클립(1)의 체부 링(14)의 하측에 계합하여, 체부 링(14)을 클립(1)의 선단부 방향(상방향/체내 조직(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내듯이, 체부 링(14)은, 클립(1)의 암 판부(11,12)를 따라서 기단부 측으로 이동하고, 클립(1)의 암 판부(11,12)의 선단부는 서로 열리고, 암 판부(11,12)의 선단부에 끼어 있던 체내 조직(4)으로부터 클립(1)이 빠진다. 이에 의해, 클립(1)에 의한 체내 조직(4)의 파지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 파지가 해제된 클립(1)은, 별도 체외로 꺼내어진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클립 취외장치(2)에서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매우 작은 체부 링(14) 자체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체내 조직(4)을 파지하고 있는 클립(1)에 대해서 옆으로부터 클립(1)의 체부 링(14)의 하측에 위치하는 암 판부(11,12) 상호를 끼워넣기만 하면 된다. 이 때문에, 그 조작은 용이하고, 클립(1)의 취외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립(1)의 암 판부(11,12)에 서로 닫히게 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길이 편(21a, 21a)에서 암 판부(11,12)를 끼워넣지만, 체부 링(14)의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지 않아도 계합 테이퍼부(21d)의 작용만으로 체부 링(14)을 클립(1)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암 판부(11,12) 각각의 측면이 길이 편(21a, 21a)에 맞닿도록 끼워넣어도 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계합 테이퍼부(21d)가 위치하는 길이 편(21a, 21a)의 대향면에는, 길이 편(21a, 21a)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기단측 대향면(21e)보다도 내측을 향하여 융기하고 있는 융기 대향면(21f)이 형성되어 있다. 융기 대향면(21f)은, 한쌍의 길이 편(21a, 21a)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방의 길이 편(21a, 21a)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기 대향면(21f, 21f)끼리가 마주 대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끼어 있는 클립(1)의 한쌍의 암 판부(11,12)에 서로 닫히는 방향의 힘을 가하기 쉬워지게 되고, 체부 링(14)에 의한 조임을 느슨하게 하기 쉽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듯이, 계합 테이퍼부(21d)를 따라서 체부 링(14)을 이동시키기 쉽게 된다. 또, 이러한 작용은, 도 3에 나타내는 융기 대향면(21f)을, 일방의 길이 편(21a)에 형성하는 것으로도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기단측 대향면(21e)과 융기 대향면(21f)과의 경계부에는, 융기 테이퍼면(21g)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내듯이, 한쌍의 암 판부(11,12)를 한쌍의 길이 편(21a, 21a)에 끼운 상태로, 이들 길이 편(21a, 21a)을 시스(22)의 원위단부(22a)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동작이 부드럽게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외장치 본체(121)의 구성을 변경하고 있다. 또,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면에 있어서, 공통하는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외장치 본체(121)의 한쌍의 길이 편(21a, 21a)의 선단측에 각 길이 편(21a, 21a)의 일부로서의 선단 편(121c, 121c)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 편(121c, 121c)에는,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계합 테이퍼부(21d) 내의 상측 계합 테이퍼부(21d)는, 도 10에 나타내는 체부 링(14)의 하측에 계합하여 체부 링(14)을 암 판부(11,12)의 기단측(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체부 링(14)에 계합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타방의 하측 계합 테이퍼부(21d)는, 도 10에 나타내는 체내 조직(4)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체내 조직(4)의 표면에 대해서 길이 편(21a)의 선단 편(121c)을 들어올리도록 기능한다. 그 결과, 체부 링(14)의 하측에 계합하여 체부 링(14)을 암 판부(11,12)의 기단측(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 편(21a)의 선단 편(121c)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으면, 모든 계합 테이퍼부(21d)를 체부 링(14)에 계합시켜도 되기 때문에, 취외장치 본체(121)의 상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고, 계합 테이퍼부(21d)와 체부 링(14)과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길이 편(21a, 21a)에 각각 폭 방향으로 한쌍의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지만, 편방의 길이 편(21a)에만 폭 방향으로 한쌍의 계합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외장치 본체(221)의 구성을 변경하고 있다. 또, 상술한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면에 있어서, 공통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외장치 본체(221)의 길이 편(21a)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편(221c)에 있어서, 융기 대향면(21f)보다도 길이 편(21a, 21a)을 따라서 더 선단측에는, 융기 대향면(21f)의 융기 방향에 대해서 반대측으로 패여있는 요상 대향면(221h)이 형성되어 있다. 요상 대향면(221h)은, 적어도 일방의 길이 편(21a)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지만, 양방의 길이 편(21a)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상 대향면(221h)끼리가 마주 대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끼어 있는 도 10에 나타내는 클립(1)의 한 쌍의 암 판부(11,12)끼리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길이 편(21a)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융기 대향면(21f)에 의해서 암 판부(11,12)를 서로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계합 테이퍼부(21d)에 의해 체부 링(14)이 암 판부(11,12)의 기단(상측)으로 이동시켜진 후, 선단 편(221)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체부 링(14)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 채, 요상 대향면(221h)에 의해서 암 판부(11,12)끼리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암 판부(11,12)의 간격을 넓히기 전에, 체부 링(14)의 지지를 해제해버리면, 중력에 의해서 체부 링(14)이 다시 선단측으로 이동해버리고, 의도치않게 클립(1)이 닫혀버릴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작용은, 도 13에 나타내는 요상 대향면(221h)을, 적어도 일방의 길이 편(21a)의 선단 편(221c)에 형성하는 것으로도 얻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에서는, 융기 테이퍼면(21g)이, 길이 편(21a)의 기단부와 계합 테이퍼부(21d)와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경계보다도 길이 편(21a)을 따라서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경우에는, 길이 편(21a)이 시스(22)의 원위단부(22a)로 끌려들어가는 과정(도 9로부터 도 10에 이르는 과정)에서, 클립(1)의 암 판부(11,12)는, 융기 대향면(21f) 사이에 강하게 끼워진 후에, 계합 테이퍼부(21d)에 체부 링(14)의 하단이 계합하는 것에 의해, 체부 링(14)은, 암 판부(11,12)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융기 테이퍼면(21g)은, 계합 테이퍼부(21d)가 위치하는 길이 편(21a)의 대향면의 도중에 위치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실시형태의 구성 부분을 조합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다.
1... 내시경용 클립
11, 12... 암 판부(암부)
13... 연결판부
14... 체부 링
16... 클립 장치
2... 클립 취외장치
21, 121, 221... 취외장치 본체
21a... 길이 편
21b... 기부 폴드 편
21c, 121c, 221c... 선단 편
21d... 계합 테이퍼부
21e... 기단측 대향면
21f... 융기 대향면
21g... 융기 테이퍼면
221h... 요상 대향면
22... 시스
22a... 원위단부
23... 구동 와이어
25... 베이스측 잠금 부재
26... 시스측 잠금 부재
27... 베이스부
28... 슬라이더부
29... 잠금 나사
3... 내시경
4... 체내 조직
4a... 결손부

Claims (6)

  1. 한쌍의 암부와, 한쌍의 상기 암부의 기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한쌍의 상기 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자재하게 구비하고 있는 체부 링을 갖고, 상기 체부 링이 상기 암부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클립의 선단부가 체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체내에 유치된 클립을, 체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떼어내는 클립 취외장치로서,
    시스와,
    상기 시스에 대해서 축 방향 이동 자재하게 상기 시스에 삽통되어 있는 구동 와이어와,
    상기 구동 와이어의 원위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취외장치 본체를 갖고,
    상기 취외장치 본체는, 상기 시스의 원위단부로 끌려들어가는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하도록 닫히고, 상기 시스의 원위단부로부터 튀어나온 상태에서는, 서로 멀어지도록 열리는 한쌍의 길이 편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의 상기 길이 편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상기 길이 편의 폭이 넓어지도록 계합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계합 테이퍼부는, 한쌍의 상기 길이 편 사이에 상기 클립의 상기 암부를 위치시킨 상태로 한쌍의 상기 길이 편이 상기 시스의 원위단부로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클립의 상기 체부 링에 계합하고, 상기 체부 링을 상기 클립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취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테이퍼부가 위치하는 상기 길이 편의 내측 대향면에는, 상기 길이 편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기단측 대향면보다도 내측을 향하여 융기되어 있는 융기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 취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측 대향면과 상기 융기 대향면과의 경계부에는, 융기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 취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 테이퍼면이, 상기 계합 테이퍼부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길이 편의 기단부와 상기 계합 테이퍼부와의 경계, 또는 상기 경계보다도 상기 길이 편을 따라서 기단측에 위치하는 클립 취외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 대향면보다도 상기 길이 편을 따라서 선단측에는, 상기 융기 대향면의 융기 방향에 대해서 반대측으로 패여있는 요상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 취외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길이 편의 선단부에,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상기 계합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 취외장치.
KR1020197001938A 2016-09-30 2017-09-28 클립 취외장치 KR102545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4646 2016-09-30
JP2016194646 2016-09-30
PCT/JP2017/035303 WO2018062414A1 (ja) 2016-09-30 2017-09-28 クリップ取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754A true KR20190060754A (ko) 2019-06-03
KR102545614B1 KR102545614B1 (ko) 2023-06-19

Family

ID=6175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938A KR102545614B1 (ko) 2016-09-30 2017-09-28 클립 취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20717B1 (ko)
JP (1) JP6822481B2 (ko)
KR (1) KR102545614B1 (ko)
WO (1) WO2018062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364A1 (ja) * 2020-04-17 2021-10-21 国立大学法人愛媛大学 クリップ取り外し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0475A1 (en) * 1995-05-12 2003-10-08 Symbiosis Corporation Jaw assembly for an endoscopic instrument
KR20050110013A (ko) * 2003-03-17 2005-11-22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클립 및 생체 조직의 클립 장치
JP2007125264A (ja) 2005-11-07 2007-05-24 Pentax Corp 内視鏡用クリップ取り外し装置
JP2009189705A (ja) 2008-02-18 2009-08-27 Nippon Zeon Co Ltd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WO2012126477A1 (en) * 2011-03-22 2012-09-27 Herlev Hospital Fastening device, related tools and methods
JP2015192724A (ja) 2014-03-31 2015-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体内組織保持部材の保持解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2436U1 (de) * 2006-02-16 2006-05-04 Peter Lazic Gmbh Clip-Anlegezange
DE102010036713A1 (de) * 2010-07-28 2012-02-02 Aesculap Ag Chirurgisches Instrument zum Entfernen chirurgischer Clip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0475A1 (en) * 1995-05-12 2003-10-08 Symbiosis Corporation Jaw assembly for an endoscopic instrument
KR20050110013A (ko) * 2003-03-17 2005-11-22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클립 및 생체 조직의 클립 장치
JP2007125264A (ja) 2005-11-07 2007-05-24 Pentax Corp 内視鏡用クリップ取り外し装置
JP2009189705A (ja) 2008-02-18 2009-08-27 Nippon Zeon Co Ltd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WO2012126477A1 (en) * 2011-03-22 2012-09-27 Herlev Hospital Fastening device, related tools and methods
JP2015192724A (ja) 2014-03-31 2015-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体内組織保持部材の保持解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0717B1 (en) 2021-05-05
EP3520717A1 (en) 2019-08-07
EP3520717A4 (en) 2020-04-01
JPWO2018062414A1 (ja) 2019-07-18
KR102545614B1 (ko) 2023-06-19
JP6822481B2 (ja) 2021-01-27
WO2018062414A1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4436B2 (en) Medical instrument for setting tissue clips
JP4360383B2 (ja) クリップ装置
JP5004176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7140130B2 (ja) 内視鏡用牽引クリップ
JP2007136128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5045485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KR20190060754A (ko) 클립 취외장치
JP6716453B2 (ja) 内視鏡用処置具
EP2773283B1 (en) Matrix band retainer
JP6233146B2 (ja) 体内組織保持部材の保持解除装置
JP6180694B2 (ja) 縫合装置
JP2018061672A (ja) 留置用クリップ
JP3733019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9189706A (ja)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およびその組立治具
KR20200103670A (ko) 내시경용 처치구
CN110520060B (zh) 线固定器具
JP2018061673A (ja) 留置用クリップ
JP2004321343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2005058627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CN215899794U (zh) 夹具输送装置
US20240173037A1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JP5004175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2009189704A (ja)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3917465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2002345827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