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285B1 -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 Google Patents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285B1
KR101922285B1 KR1020150117270A KR20150117270A KR101922285B1 KR 101922285 B1 KR101922285 B1 KR 101922285B1 KR 1020150117270 A KR1020150117270 A KR 1020150117270A KR 20150117270 A KR20150117270 A KR 20150117270A KR 101922285 B1 KR101922285 B1 KR 10192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fastening
buckle
tab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384A (ko
Inventor
문정철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1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285B1/ko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AU2016308734A priority patent/AU2016308734B2/en
Priority to EP16837798.4A priority patent/EP3337575A4/en
Priority to CN201680055550.0A priority patent/CN108136235B/zh
Priority to CA2995979A priority patent/CA2995979A1/en
Priority to PCT/US2016/047450 priority patent/WO2017031262A1/en
Priority to US15/753,031 priority patent/US10702024B2/en
Priority to JP2018509507A priority patent/JP2018527076A/ja
Priority to RU2018106327A priority patent/RU2672729C1/ru
Priority to BR112018003273A priority patent/BR112018003273A2/pt
Publication of KR2017002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384A/ko
Priority to CL2018000456A priority patent/CL2018000456A1/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5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8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means for attaching respirators or breathing 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일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헬멧의 탭 또는 헤드 크래들의 탭이 수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는 착용자가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을 흡인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로서, 청정 공기가 존재하는 마스크의 내부로부터 오염된 주변 공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코와 입 위에 밀착되어 착용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는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흡기는 건설, 제조, 자동 도장 및 수리, 의약품 제조, 수술 등을 포함하는 많은 산업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호흡기는 상기 마스크의 양 단에 연결된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 상에 착용되도록 제공되는 헤드 크래들에 연결되며, 헤드 크래들에 의해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호흡기를 사용하는 동안 마스크 본체를 착용자의 안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통칭하여 하니스(harness)라고 통칭한다.
종래의 호흡기에 사용되는 하니스의 일 예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되는 하니스는 가요성 스트랩, 스트랩에 결합되는 헤드 크래들을 포함하며, 헤드 크래들은 제 1 및 제 2 측방향 연장 부재를 포함하여, 착용자가 호흡기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머리에 상기 제 1 및 제 2 측방향 연장 부재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트랩은 버클(buckle)을 통해 헤드 크래들이 연결되며, 헤드 크래들 및 호흡기의 마스크 본체 각각의 측부 상에서 마스크 본체와 헤드 크래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스트랩은 버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착용자는 자신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18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호흡기가 사용되는 산업 현장에서는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안전용 헬멧을 착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작업자가 호흡기와 헬멧을 동시에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호흡기를 헬멧에 연결할 수단이 부재하여 헤드 크래들을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헬멧을 얹어서 착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헤드 크래들과 헬멧이 중첩적으로 착용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필요 이상으로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나아가, 작업자의 머리에 헬멧이 밀착되지 못함에 따라 머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대로 된 완충 작용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호흡기와 헬멧을 모두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기만을 벗고자 할 때에도 먼저 헬멧을 벗어서 다른 위치에 놓아둔 다음 헤드 크래들을 벗어서 호흡기를 벗고 다시 헬멧을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헤드 크래들과 헬멧에 범용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호흡기를 벗는 것이 가능한 호흡기 하니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일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헬멧의 탭 또는 헤드 크래들의 탭이 수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 크래들과 헬멧에 범용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어서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호흡기를 벗는 것이 가능하여 헬멧을 쓴 상태에서 호흡기를 착용하거나 벗는 것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가 마스크 본체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버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버클을 도시한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1의 버클이 헤드 크래들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b의 버클과 헤드 크래들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버클이 헬멧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버클이 헬멧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버클과 헬멧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스트랩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버클에 포함되는 고정편에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트랩 연결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버클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버클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버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버클의 가압 돌기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의 버클이 헬멧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버클에 스트랩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가 마스크 본체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은 착용자의 코와 입 위에 밀착되어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을 착용자가 흡인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인 호흡기 마스크(1)에 사용될 수 있다. 호흡기 마스크(1)는 착용 시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하여 호흡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20)와, 마스크 본체(20)를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하니스(10: harness)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니스(10)는 마스크 본체(20)의 양측에 연결되는 스트랩(12),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는 헤드 크래들(200), 및 스트랩(12)과 헤드 크래들(200)을 연결하는 버클(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버클(100)은 하니스(10)가 사용되는 호흡기 마스크(1)뿐만 아니라 마스크 본체(20)를 헬멧(도 6, 30)에 연결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마스크 본체(2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돌출된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착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20)는 하나 이상의 여과층을 포함한 여과 구조물과, 상기 여과 구조물을 지지하며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여과 구조물은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구조물은 착용자가 숨을 들이쉬거나 내쉴 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 투과성 표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구조물은 입자 포획 필터 또는 기체 및 증기 필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스크 본체(20)는 상기 여과 구조물에 연결되어 착용자가 내쉰 공기를 마스크의 내부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호기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호기 밸브는 마스크 본체(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2)은 일 단이 마스크 본체(20)의 일 측부에 연결되며, 타 단이 버클(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12)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총 길이의 2배 넘게 신장될 수 있고, 외력이 사라지면 이완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20)의 양측의 스트랩(12)은 각각 소정 길이 연장되며 착용자의 머리 양 측에서 버클(100)에 의해 헤드 크래들(200)의 탭(도 4, 210) 또는 헬멧(30)의 탭(도 6, 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탄성을 갖는 스트랩(12)의 복원력에 의해 스트랩(12)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 같은 스트랩(12)의 장력에 의해 마스크 본체(20)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12)은 길이가 약 25 내지 60 ㎝이고, 폭이 5 내지 10 ㎜이며, 두께가 0.9 mm 내지 1.5 ㎜일 수 있다.
또한, 스트랩(12)은 다양한 재료, 예컨대 열경화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편조된(braided) 또는 편직된(knitted) 얀(yarn)/고무 조합, 비탄성의 편조된 구성요소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버클(100)은 일 측에서 스트랩(12)과 연결되고, 타 측에서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 또는 헬멧(30)의 탭(3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버클(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버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클을 도시한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클(100)은 단일한 피스(piec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헬멧(30)의 측부에 형성되는 탭(300)과 체결되어 마스크 본체(20)에 연결된 스트랩(12)과 헬멧(30)을 연결하거나, 헤드 크래들(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탭(210)과 체결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는 헤드 크래들(200)과 스트랩(12)을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버클(100)은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요성을 갖는 폴리머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클(100)은 일 지점(102)으로부터 제 1 방향(104)으로 연장되는 체결부(120), 일 지점(102)으로부터 제 2 방향(106)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연결부(130), 및 일 지점(102)으로부터 제 3 방향(108)으로 시작되어 체결부(120)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방향(104)과 제 2 방향(106)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120)는 헬멧(30)에 체결되는 경우, 헬멧(30)의 측부에 형성되는 탭(30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되는 경우,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과 밀착된다.
또한, 체결부(120)는 제 1 방향(104) 측 단부로부터 제 2 방향(106)으로 요입 형성되면서, 체결부(120)의 양 면에 대하여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26)은 후술하는 헬멧(30)의 탭(300)의 형상에 맞춰 탭(300)의 내부 공간에 체결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서 체결부(120)의 삽입이 안내되도록 하는 기능도 발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20)는 체결홈(126)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체결홈(126)에 의해 분할된 총 3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헬멧(30)의 탭(300) 형상에 따른 것이며, 체결홈(126)의 개수 및 이에 따른 체결부(120)의 분할되는 개수는 버클(100)이 적용되는 헬멧(3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120)는 2 개의 체결홈(126)에 의해 총 3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각각 중앙 체결 부재(122) 및 중앙 체결 부재(122)의 양 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체결 부재(124)에 해당될 수 있다.
중앙 체결 부재(122)와 사이드 체결 부재(124)는 모두 단부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이는 버클(100)을 손에 쥐고 헬멧(30) 또는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할 때, 단부가 각진 형상일 경우에 느껴질 수 있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중앙 체결 부재(122)와 사이드 체결 부재(124)의 단부 형상은, 착용자가 헬멧(30)의 탭(300)에 버클(100)을 체결하거나,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체결할 때, 체결부(120)의 위치를 대략적으로만 설정하여 체결부(120)의 삽입을 시도하더라도, 헬멧(30)의 탭(300)의 단부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의 단부가 각 체결 부재(122, 124)의 단부의 라운드를 타고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으므로, 버클(100)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나아가, 사이드 체결 부재(124)는 도 3의 저면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체결홈(126)을 구성하는 측면은 직선 형상이고, 그 반대쪽 측면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곡선 형상은 사이드 체결 부재(124)의 너비가 단부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드 체결 부재(124)의 형상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드 체결 부재(124)의 형상은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체결홈(126)은 라운드 처리된 양 단부를 제외하고는 제 1 방향(104)을 따라 일정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방향(104)을 따르는 가상의 중심선(X)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체결 부재(122) 및 사이드 체결 부재(124)의 형상도 중심선(X)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체결부(120)의 걸이부(110)에 대향하는 면(121)은 제 1 방향(104)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20)의 형상은, 버클(100)이 헬멧(30) 또는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될 때,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대해 체결부(120)의 면(121)이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때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자가 체결부(120)를 삽입시 매끄러운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걸이부(110)는 버클(100)의 일 지점(102)으로부터 제 3 방향(108)으로 시작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방향(108)은 제 2 방향(106)보다는 제 1 방향(104)에 더 치우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3 방향(108)과 제 1 방향(104)이 이루는 각도가 제 3 방향(108)과 제 2 방향(106)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걸이부(110)는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면서도 체결부(120)에 대향하는 면(117)을 포함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걸이부(110)와 체결부(120)의 연결 부분은 내측과 외측이 모두 완만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려한 미관을 확보하면서도 걸이부(110)와 체결부(120) 사이의 연결 부분의 면적이 넓어져서 연결 부분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10)의 체결부(120)에 대향하는 면(117)과 체결부(120)의 걸이부(110)에 대향하는 면(121)으로 일부가 둘러싸인 이격 공간(128)으로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이 삽입됨으로써, 버클(100)이 헬멧(30) 또는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110)는 체결부(120)에 대향하는 면(117)으로부터 체결부(12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112)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 돌기(112)는 이격 공간(128)의 제 1 방향(104) 측 개구를 좁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112)는 돌출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걸림 돌기(112)의 내측벽(1122)은 걸이부(110)의 체결부(120)에 대향하는 면(117)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고, 외측벽(1124)은 내측벽(1122)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112)의 형상에 의해, 버클(100)이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체결될 때,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택(210)이 걸림 돌기(112)의 외측벽(1124)을 타고 넘어가서 내측벽(1122)의 단차에 걸림으로써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걸이부(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복수의 곡부들이 서로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곡부는 만곡된 형상으로써 체결부(120)를 향하는 곡면과 그 반대면을 포함한다. 이때, 각 곡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곡면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이부(110)는 체결부(120)와 만나는 일 지점(102)으로부터 돌출이 시작되는 돌출 곡부(114), 돌출 곡부(114)에서부터 연장되는 대향 곡부(116), 및 대향 곡부(116)에서부터 연장되는 연장 곡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곡부(114)는 제 3 방향(108)으로 시작해서 체결부(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돌출 곡부(114)에서부터 연장되는 대향 곡부(116)는 체결부(120)에 대향하는 면(117)을 포함하며, 돌출 곡부(114)보다 더 작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연장 곡부(118)는 제 1 방향(104)에 대하여 체결부(12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12)는 대향 곡부(116)와 연장 곡부(118)의 연결 지점에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 공간(128)은 제 1 방향(104)에 있어서 체결부(120)의 단부 근방에서 걸림 돌기(112)에 의해 좁아지는 개구(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개구(129)를 통해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이 이격 공간(128)으로 삽입되고, 이격 공간(128)으로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걸림 돌기(112)에 의해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이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버클(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버클(100)에 포함되는 걸이부(110)도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129)의 너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이 개구(129)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에 걸림 돌기(112)가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의해 밀려서 개구(129)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걸이부(110)가 휘어지게 되고, 삽입이 완료되어 걸림 돌기(112)를 미는 힘이 사라진 후에는 걸이부(11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걸림 돌기(112)가 헬멧(30)의 탭(30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걸리게 된다.
한편, 걸이부(110)의 단부에 해당되는 연장 곡부(118)의 단부(119)는 체결부에 가까워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 곡부(118)의 단부(119)가 체결부(120)를 향해 만곡됨으로써, 만곡되지 않게 형성될 경우에 비하여 도 3의 측면도를 기준으로 버클(100)의 최대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착용자가 버클(100)을 이용하여 호흡기 마스크(1)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머리의 좌우측 방향으로 버클(100)이 심하게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20) 외에도 웰딩 쉴드(welding shield), 이어 프로텍션(ear protection) 등 다른 장비들이 얼굴 부분에 착용될 필요가 있는 통상적인 산업현장에서 버클(100)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장비들을 머리에 지지하는 부재들과 간섭되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 연결부(130)는 버클(100)의 체결부(120) 반대측에 형성되며, 스트랩(12)이 통과하여 연결되기 위한 스트랩 연결용 홀(132)이 형성된다. 스트랩(12)은 스트랩 연결용 홀(132)에 통과된 다음, 통과된 단부가 스트랩(12)의 다른 부분에 접합됨으로써 버클(100)에 분리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12)의 접합 수단으로는 일 예로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스트랩(12)의 접합 수단에 의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스트랩 연결용 홀(132)은 일 예로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반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트랩(12)이 버클(100)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버클(100)을 이용해서 호흡기 마스크(1)를 착용하였을 때, 헬멧(30) 또는 헤드 크래들(200)의 착용 위치, 착용자의 머리와 안면 형상 등에 따라 스트랩(12)의 헬멧(30) 또는 헤드 크래들(2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버클(100)의 걸이부(110), 체결부(120), 및 스트랩 연결부(130)는 가상의 중심선(X)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클(100)이 하나의 피스로 구성되어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좌우 대칭으로 손쉽게 제작된 몰드(mold)를 이용한 사출 몰딩(injection molding)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버클(100)이 헬멧(30) 및 헤드 크래들(200)에 쉽게 체결되는 원리에 대하여 이하에서 순서대로 서술하겠다. 먼저,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버클(100)이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되는 원리부터 설명하겠다.
도 4a 및 4b는 도 1의 버클이 헤드 크래들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b의 버클과 헤드 크래들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헤드 크래들(200)은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버클(100) 및 스트랩(12)을 통해 연결된 마스크 본체(20)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헤드 크래들(200)은 서로 소정 각도로 벌어지도록 양 측에서 연결된 두 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 부재가 서로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은 버클(100)과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은 일 면으로부터 버클(100)의 체결홈(12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212)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의 상기 일 면 상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체결홈(126)의 너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100)의 체결부(120)에 형성되는 2 개의 체결홈(126)에 맞춰서 돌출 부재(212)는 2 개가 형성될 수 있고, 2 개의 돌출 부재(212)의 사이 공간에 체결부(120)의 중앙 체결 부재(122)가 인입될 수 있다. 즉, 버클(100)이 체결부(120)에 체결될 때 돌출 부재(212)가 체결홈(126)에 삽입됨으로써 버클(100)의 헤드 크래들(2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는 버클(100)이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되었을 때 버클(100)의 걸림 돌기(112)가 수용될 수 있는 걸이용 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 크래들(200)의 돌출 부재(212)가 돌출된 면의 반대쪽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클(100)이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체결될 때 걸림 돌기(112)가 상기 경사진 면을 따라 부드럽게 전진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12)가 전진할 때 이격 공간(128)의 개구(129)가 급격히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체결부(120)와 걸이부(110)의 연결 부위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에 버클(100)이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100)이 착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제 1 방향(104)으로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을 향해 접근할 수 있다. 버클(100)의 걸림 돌기(112)가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의 경사진 면을 따라 전진되기 시작하면, 버클(100)의 가요성으로 인해 개구(129)가 넓어지면서 중앙 체결 부재(122)가 돌출 부재(212)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렇게 버클(100)이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을 향해 계속 전진되어 걸림 돌기(112)가 걸이용 홀(214)로 수용되면, 개구(129)가 벌어지도록 휘어졌던 걸이부(110)가 다시 복원되면서 걸림 돌기(112)가 걸이용 홀(214)을 구성하는 측벽에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걸림 돌기(112)가 걸이용 홀(214)에 수용되면서 걸이용 홀의 측벽에 걸림 돌기(112)의 내측벽(1122)이 접촉된다.
이로써, 버클(100)이 헤드 크래들(200)에 체결되는 과정이 완료될 수 있으며, 돌출 부재(212)가 체결홈(126)에 수용됨과 동시에 걸림 돌기(112)가 걸이용 홀(214)에 수용됨으로써 버클(100)의 헤드 크래들(200)에 대한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버클(100)을 단순히 헤드 크래들(200)의 탭(210)을 향해 진입시키기만 하면 체결이 가능하므로, 헤드 크래들(200)을 머리에 쓴 상태에서도 손쉽게 버클(100)을 체결시켜서 마스크 본체(20)를 안면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 크래들(200)을 벗기 위해 버클(100)과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걸이부(110)의 연장 곡부(118)를 당겨서 개구(129)를 인위적으로 넓힌 상태로 버클(100)을 체결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헤드 크래들(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를 헬멧(30)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버클(100)을 먼저 분리하여 헤드 크래들(200)을 벗은 다음 헬멧(30)을 착용하고 다시 버클(100)을 헬멧(30)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교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버클(100)이 헬멧(30)에 체결되는 원리를 설명하겠다.
도 6은 도 1의 버클이 헬멧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버클이 헬멧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버클과 헬멧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헬멧(30)은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헬멧(30)은 통상적으로 웰딩 쉴드(welding shield), 이어 프로텍션(ear protection) 등의 장비들이 함께 착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장비들을 헬멧(30)에 고정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헬멧(30)의 양 측부에는 탭(300)이 형성될 수 있다.
탭(300)은 헬멧(3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내부에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헬멧(3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탭(300)의 상기 관통홀은 헬멧(30)의 굴곡진 측부면 자체를 관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탭(300)의 관통홀은 단면이 사각형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헬멧(30)의 기 형성되어 있는 탭(300)에 버클(100)이 체결됨으로써, 마스크 본체(20)와 연결된 스트랩(12)이 헬멧(30)과 연결되어 마스크 본체(20)가 헬멧(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버클(100)을 헬멧(30)에 체결할 때, 탭(300)을 향해 버클(100)을 하측에서부터 상방으로 전진시켜서 탭(300)의 내부 공간으로 버클(100)의 체결부(120)를 진입시킬 수 있다. 체결부(120)의 탭(300) 내부 진입이 시작될 때, 걸이부(110)가 휘어져서 개구(129)가 넓어지고, 탭(300)의 내벽면을 타고 걸림 돌기(112)가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걸림 돌기(112)가 탭(300)의 상면에 도달하면 휘어졌던 걸이부(110)가 다시 복원되면서 탭(300)의 내측벽(1122)이 탭(300)의 상면에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 돌기(112)가 탭(300)에 걸려서 버클(100)의 체결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은 헤드 크래들(200)이 없이도 헬멧(30)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헤드 크래들(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헬멧(30)을 착용해야 했던 종래의 호흡기 하니스 구조에 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다 더 안전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버클의 제 2 실시예를 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스트랩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버클에 포함되는 고정편에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스트랩 연결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버클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a)은 스트랩 연결부(130)의 구성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르며, 동일한 구성 및 부재 번호는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겠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버클(100a)의 스트랩 연결부(130)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스트랩 연결용 홀(132)이 형성되며, 스트랩 연결용 홀(132)을 형성하는 일측 벽과 힌지(138)를 통해 연결되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고정편(1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연결용 홀(132)의 타측 벽에는 고정편(134)의 단부(1344)가 선택적으로 맞닿는 단차부(136)가 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134)은 단차부(136)의 단차면(1364)에 단부(1344)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힌지(138)를 중심으로 피봇됨으로써 스트랩 연결용 홀(13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스트랩(12)의 단부를 스트랩 연결용 홀(132)로 통과시키기 위해, 고정편(134)을 피봇시켜서 고정편(134)과 단차부(136)의 사이에 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상기 틈으로 스트랩(12)의 단부를 밀어넣어서 스트랩(12)을 스트랩 연결용 홀(132)에 통과시킴으로써 버클(100)과 스트랩(1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렇게 통과된 스트랩(12)은 고정편(134)의 단부(1344)와 단차부(136)에 의해 물려서 버클(10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편(134)의 단부(1344)에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 돌기(1342)가 단차부(13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용 홈(1362)에 삽입되려는 압력에 의해 물려서 파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차부(136)에는 스트랩 파지 돌기(13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트랩 파지용 홈(1362)이 스트랩 연결용 홀(132)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파지 돌기(1342)는 스트랩 파지용 홈(1362)의 너비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12)을 파지하는 압력은 힌지(138)에서 발생되는 복원력(토크)이 고정편(134)의 단부(1344)로 전달됨으로써 스트랩(12)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파지 돌기(1342)는 단차부(136)의 단차면(1364)에 대향하는 고정편(134)의 면에 대하여 하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스트랩(12)이 파지될 때 스트랩(12)을 파지하는 압력이 스트랩(12)에 잘 전달되어 스트랩(12)이 스트랩 파지 돌기(1342)와 스트랩 파지용 홈(1362)에 의해 꽉 물릴 수 있으므로, 스트랩(12)의 파지되는 위치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착용자가 스트랩(12)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스트랩(12)의 일부 중 스트랩 파지 돌기(1342)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쪽 방향으로 통과된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스트랩(12)이 스트랩 파지 돌기(1342)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서, 스트랩(12)에 작용하는 파지 압력에도 불구하고 스트랩(12)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가 스트랩(12)의 길이를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고정편(134)을 피봇시켜서 고정편(134)의 단부(1344)와 단차부(136) 사이의 틈을 형성시킨 상태로 스트랩(12)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헬멧(30)은 탭(300)의 외측면이 헬멧(30)의 챙(32)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헬멧(30)의 저면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 100a)이 헬멧(30)의 하측에서부터 탭(300)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32a)이 탭(300)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헬멧(30a)인 경우에는 챙(32a)에 의한 간섭에 의해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 100a)을 하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챙(32a)의 측부 폭이 넓어서 탭(300)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헬멧(30a)에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 100a)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b)이 제안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버클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버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버클의 탄성 돌기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b)은 체결부(120)가 헬멧(30a)의 탭(300)의 상측에서부터 탭(30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버클(100b)은 원통형의 메인 바디(1000), 메인 바디(100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이부(110)와 체결부(120), 및 스트랩(12)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10)와 체결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128)으로 탭(300)이 끼워져서 헬멧(30a)에 버클(100b)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000)에는 메인 바디(1000)의 상면이 개구된 원형의 수용 공간(101)이 형성되며, 스트랩 연결부(130)는 수용 공간(101)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가져, 수용 공간(101)에 스트랩 연결부(130)가 수용될 수 있다.
체결부(120)는 메인 바디(10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메인 바디(1000)의 수용 공간(101)의 개구면의 반대측 면과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V자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10)도 체결부(120)와 대략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격 공간(128)도 메인 바디(10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20)는 중앙 부분에 관통홀(123)이 형성되며, 관통홀(123)의 내부에 수용된 가요성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3)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요성 부재(125)는 관통홀(123)의 4 개의 내측면 중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부재(125)의 단부에는 걸이부(110)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 돌기(12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기(1252)를 미는 힘이 외부로부터 작용할 경우, 가요성 부재(125)가 체결부(120)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피봇되어 가압 돌기(1252)가 관통홀(123)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부(120)의 단부(127)에는 걸이부(110)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단차면(12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면(1272)은 헬멧(30a)의 탭(300)에 버클(100b)이 삽입되었을 때 탭(300)에 걸려서 헬멧(30a)과 버클(100b)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120)의 단부(127)의 단차면(1272)이 두 단계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단차면(1272)은 한 단계 또는 세 단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 연결부(13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수용 공간(101)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체결 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기(131)는 스트랩 연결부(130)가 수용 공간(101)에 수용된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플랜지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01)의 저면에는 체결 돌기(131)가 수용될 수 있는 체결용 홀(103)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트랩 연결부(130)는 수용 공간(101)에 수용된 상태에서 버클(100b)의 바디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스트랩 연결부(130)는 상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원의 일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 공간(101)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수용 공간(101)과 연통되는 스트랩 연결용 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스트랩 연결용 홀(132)을 통해 스트랩(12)의 단부가 스트랩 연결부(13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연결부(130)의 상면에는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과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이 형성되며,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은 스트랩 연결부(13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은 스트랩 연결용 홀(132)의 반대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연결용 홀(132)과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과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은 모두 스트랩 연결부(130)의 내부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트랩 연결용 홀(132),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 및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 모두를 통과하도록 스트랩(12)이 삽입되어 스트랩(12)이 스트랩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과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 돌기(133)가 돌출 형성되며, 마찰 돌기(133)에 의해 스트랩(12)의 면이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스트랩(12)이 쉽게 풀리지 않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b)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7은 도 13의 버클이 헬멧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3의 버클에 스트랩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b)은 헬멧(30a)의 상측에서부터 탭(30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때 체결부(120)가 탭(3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버클(100b)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챙(32a)이 탭(300)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 헬멧(30a)에도 적용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챙(32)이 탭(300)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 헬멧(3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탭(300)의 상측에서부터 버클(100b)의 체결부(120)가 탭(300)의 내부를 향해 진입하면, 탭(300)의 내측벽에 가압 돌기(1252)가 눌려서 가요성 부재(125)가 피봇되고, 가압 돌기(1252)가 체결부(120)의 관통홀(123)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120)가 탭(30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완료되면, 체결부(120)의 단부(127)에 형성된 단차면(1272)이 탭(300)에 결려서 체결부(120)가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버클(100b)의 탭(300)에 대한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돌기(1252)는 피봇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압력을 탭(3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클(100b)의 탭에 대한 체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버클(100b)의 스트랩 연결부(130)에는 마스크 본체(20)와 연결된 스트랩(12)이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트랩 연결용 홀(132)을 통해 스트랩(12)의 자유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스트랩(12)의 자유단이 다시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을 통과하여 스트랩 연결부(1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스트랩 연결부(130)는 재차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을 통해 수용 공간(101)으로 삽입되고,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을 통과한 스트랩(12)의 자유단은 다시 스트랩 연결용 홀(132)을 통과하여 스트랩 연결부(13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 연결용 홀(132), 제 1 스트랩 체결홀(1322), 및 제 2 스트랩 체결홀(1324)을 차례로 통과한 후 빠져나온 스트랩(12)의 자유단이 팽팽하게 당겨지면 마찰 돌기(133)에 의해 스트랩(12)의 일 면이 걸리면서 스트랩(12)이 스트랩 연결부(130)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12)이 스트랩 연결부(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술한 과정을 통해 버클(100b)이 탭(300)에 삽입되면, 마스크 본체(20)와 헬멧(30a)이 스트랩(12)과 버클(100b)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마스크 본체(20)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연결부(130)가 버클(100b)의 메인 바디(10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버클(100b)이 탭(3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트랩 연결부(130)가 회전됨에 따라 스트랩(12)이 마스크 본체(20)와 연결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스트랩 연결용 홀(132)이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헬멧(30a)에 버클(100b)이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스트랩(12)이 꼬임으로써 착용자가 불편한 느낌을 받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버클(100b)을 헬멧(30a)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으로 체결부(120)의 단부(127)를 탭(300)의 안쪽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탭(300)의 상측 방향으로 버클(100b)을 밀어서 헬멧(30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일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헬멧의 탭 또는 헤드 크래들의 탭이 수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2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과 연결되어 상기 헤드 크래들과 상기 스트랩을 연결하거나, 상기 헬멧의 탭과 연결되어 상기 헬멧과 상기 스트랩을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3은 상기 걸이부는,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 공간의 개구를 좁히도록, 상기 체결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4는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이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벽이 상기 걸이부의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고, 외측벽은 상기 내측벽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5는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일 지점으로부터 돌출이 시작되는 돌출 곡부; 상기 돌출 곡부에서부터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대향 곡부; 및 상기 대향 곡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연장 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 곡부와 상기 연장 곡부의 연결 지점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6은 상기 연장 곡부의 단부는 상기 체결부에 가까워지도록 만곡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7은 상기 체결부에는 외측 단부로부터 요입된 체결홈이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8은 상기 체결부는, 중앙 체결 부재; 및 상기 중앙 체결 부재의 양 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이 상기 중앙 체결 부재와 양 측의 상기 사이드 체결 부재의 경계를 규정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9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로 상기 헬멧의 탭 또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이 수용되었을 때, 상기 헬멧의 탭 또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의 단부가 상기 걸이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0은 상기 체결부는, 단면적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상기 걸이부에 대향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1은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2는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의 일측 벽에 연결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의 타측 벽에는, 상기 고정편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맞닿는 단차부가 돌출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3은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단차부에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용 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단차부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랩 파지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4는 상기 스트랩 파지 돌기는, 상기 고정편의 상기 단차부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5는 상기 체결부, 상기 걸이부, 및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6 원통형의 메인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걸이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메인 바디와 별개의 부재로서 제공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7은 상기 체결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8은 상기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홀의 복수의 내측면 중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요성 부재; 및 상기 가요성 부재의 단부에 상기 걸이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19는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헬멧의 탭 또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었을 때, 상기 헬멧의 탭 또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에 상기 단차면이 걸림으로써 상기 헬멧과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20은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면이 개구된 원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항목 21은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 가능한 체결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체결용 홀에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이다.
이상 본 발명의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호흡기 마스크 10: 하니스
20: 마스크 본체 30: 헬멧
100, 100a, 100b: 버클 110: 걸이부
120: 체결부 130: 스트랩 연결부
200: 헤드 크래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 연결부;
    원통형의 메인 바디; 및
    상기 일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헬멧의 탭 또는 헤드 크래들의 탭이 수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걸이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메인 바디와 별개의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체결부는,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홀의 복수의 내측면 중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요성 부재; 및
    상기 가요성 부재의 단부에 상기 걸이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19.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 연결부;
    원통형의 메인 바디; 및
    상기 일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걸이부의 사이에 헬멧의 탭 또는 헤드 크래들의 탭이 수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 및 상기 걸이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메인 바디와 별개의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부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헬멧의 탭 또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에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었을 때, 상기 헬멧의 탭 또는 상기 헤드 크래들의 탭에 상기 단차면이 걸림으로써 상기 헬멧과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면이 개구된 원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 가능한 체결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체결용 홀에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스트랩 연결용 버클.
KR1020150117270A 2015-08-20 2015-08-20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KR10192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270A KR101922285B1 (ko) 2015-08-20 2015-08-20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EP16837798.4A EP3337575A4 (en) 2015-08-20 2016-08-18 BUCKLE FOR CONNECTING A STRAP AND RESPIRATOR STRAP SYSTEMS COMPRISING THE SAME
CN201680055550.0A CN108136235B (zh) 2015-08-20 2016-08-18 用于连接条带的带扣和包括该带扣的呼吸器束具
CA2995979A CA2995979A1 (en) 2015-08-20 2016-08-18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AU2016308734A AU2016308734B2 (en) 2015-08-20 2016-08-18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PCT/US2016/047450 WO2017031262A1 (en) 2015-08-20 2016-08-18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15/753,031 US10702024B2 (en) 2015-08-20 2016-08-18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JP2018509507A JP2018527076A (ja) 2015-08-20 2016-08-18 ストラップを接続するためのバックル及びそれを含む呼吸マスクハーネス
RU2018106327A RU2672729C1 (ru) 2015-08-20 2016-08-18 Фиксатор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ремня и головная гарнитура респиратора, содержащая фиксатор
BR112018003273A BR112018003273A2 (pt) 2015-08-20 2016-08-18 fivela para a conexão de uma correia e um arnês para respirador que incluem o mesmo.
CL2018000456A CL2018000456A1 (es) 2015-08-20 2018-02-20 Hebilla para conectar la correa y el arnés del respirador incluyendo el mi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270A KR101922285B1 (ko) 2015-08-20 2015-08-20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84A KR20170022384A (ko) 2017-03-02
KR101922285B1 true KR101922285B1 (ko) 2018-11-26

Family

ID=5805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270A KR101922285B1 (ko) 2015-08-20 2015-08-20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02024B2 (ko)
EP (1) EP3337575A4 (ko)
JP (1) JP2018527076A (ko)
KR (1) KR101922285B1 (ko)
CN (1) CN108136235B (ko)
AU (1) AU2016308734B2 (ko)
BR (1) BR112018003273A2 (ko)
CA (1) CA2995979A1 (ko)
CL (1) CL2018000456A1 (ko)
RU (1) RU2672729C1 (ko)
WO (1) WO2017031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6861B2 (en) * 2015-06-10 2022-03-08 Louis M. Gerson Co., Inc. Face mask assembly
KR102073783B1 (ko) * 2015-08-20 2020-02-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흡기 마스크의 착용을 위한 해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KR101922285B1 (ko) 2015-08-20 2018-11-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CN112167764A (zh) * 2019-07-01 2021-01-05 苏州欧康信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安全帽帽带带扣装配检测装置
US20210316169A1 (en) * 2020-04-13 2021-10-14 Roddymedical, Llc Reusable Respirator Mask Apparatus
KR102482146B1 (ko) * 2020-12-08 2022-12-27 임동훈 흡착식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US20220211124A1 (en) * 2021-01-07 2022-07-07 Mark Hunter Sanitary Face Mask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77Y1 (ko) * 2000-05-26 2000-11-01 김홍기 장식구 체결용 회전버클
KR200338228Y1 (ko) * 2003-10-27 2004-01-13 주식회사 진아산업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JP2006026207A (ja) * 2004-07-20 2006-02-02 Nifco Inc バックル
US20070157439A1 (en) * 2003-03-24 2007-07-12 Msa Auer Gmbh Holding device for connecting a gas mask to a protective helmet
JP5134437B2 (ja) * 2008-05-28 2013-01-30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9738A (en) * 1973-01-22 1974-10-08 J Coslett Helmet strap
FR2415437A1 (fr) * 1978-01-30 1979-08-24 Renault Boucle de securite, notamment pour casque de cyclomotoriste
DE3300646C1 (de) * 1983-01-11 1984-07-26 Drägerwerk AG, 2400 Lübeck Schutzhelm,kombiniert mit Atemschutzmaske
JPH0641450Y2 (ja) 1986-09-19 1994-11-02 吉田工業株式会社 ベルト固定具
DE3721662A1 (de) * 1987-06-26 1989-01-12 Auergesellschaft Gmbh Schutzhelm mit einer baenderlosen atemschutzmaske
JPH0734706Y2 (ja) 1988-03-29 1995-08-09 三菱鉛筆株式会社 水性ボールペン等の筆記具
US5193368A (en) 1992-06-10 1993-03-16 Ling Chong Kuan Combination lock of strap buckle
JPH0734706U (ja) * 1993-12-15 1995-06-27 株式会社ニフコ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FR2784588B1 (fr) 1998-10-20 2000-12-29 Gallet Sa Casque de protection et son dispositif d'accrochage de masque respiratoire
US5970526A (en) 1998-11-17 1999-10-26 Weathers; Jessie Adjustable multi-part belt
JP3992194B2 (ja) 2003-05-07 2007-10-17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SE529698C2 (sv) * 2006-03-14 2007-10-30 Joeran Lundh Spänne
WO2009059353A1 (en) 2007-11-05 2009-05-14 Resmed Ltd Headgear for a respiratory mask and a method for donning a respiratory mask
GB0910582D0 (en) 2009-06-18 2009-07-29 Avon Polymer Prod Ltd Mask securing device
US8839785B2 (en) 2010-03-10 2014-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harness having collapsible head cradle
US10265492B2 (en) * 2010-04-30 2019-04-23 Resmed Limited Respiratory mask
CN201941551U (zh) * 2010-10-25 2011-08-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板固定挂钩
AU2013224626A1 (en) * 2012-02-20 2015-07-23 Global Shopping Network Pty Ltd A hook for use with a handbag to locate articles
US9247788B2 (en) * 2013-02-01 2016-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rap retaining devices
ES2723473T3 (es) * 2014-05-22 2019-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junto de hebilla de conexión de correas para dispositivo de protección personal
KR101922285B1 (ko) 2015-08-20 2018-11-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77Y1 (ko) * 2000-05-26 2000-11-01 김홍기 장식구 체결용 회전버클
US20070157439A1 (en) * 2003-03-24 2007-07-12 Msa Auer Gmbh Holding device for connecting a gas mask to a protective helmet
KR200338228Y1 (ko) * 2003-10-27 2004-01-13 주식회사 진아산업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JP2006026207A (ja) * 2004-07-20 2006-02-02 Nifco Inc バックル
JP5134437B2 (ja) * 2008-05-28 2013-01-30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5322A1 (en) 2018-08-23
AU2016308734A1 (en) 2018-03-15
AU2016308734B2 (en) 2019-04-04
RU2672729C1 (ru) 2018-11-19
EP3337575A4 (en) 2019-04-24
BR112018003273A2 (pt) 2018-12-04
WO2017031262A1 (en) 2017-02-23
CA2995979A1 (en) 2017-02-23
JP2018527076A (ja) 2018-09-20
US10702024B2 (en) 2020-07-07
CN108136235A (zh) 2018-06-08
EP3337575A1 (en) 2018-06-27
CN108136235B (zh) 2021-10-01
CL2018000456A1 (es) 2018-06-08
KR20170022384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85B1 (ko)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KR102073783B1 (ko) 호흡기 마스크의 착용을 위한 해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KR101898799B1 (ko)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US6497232B2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AU765478B2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RU2523998C2 (ru) Головной гарнитур респиратора со складывающимся головным креплением
KR20170089965A (ko)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KR101723421B1 (ko) 반면형 마스크
KR101729961B1 (ko) 반면형 마스크
KR20190081065A (ko) 후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160002916U (ko) 위생 마스크용 잠금용 지지대
AU2002351485A1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