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965A -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 Google Patents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965A
KR20170089965A KR1020177020811A KR20177020811A KR20170089965A KR 20170089965 A KR20170089965 A KR 20170089965A KR 1020177020811 A KR1020177020811 A KR 1020177020811A KR 20177020811 A KR20177020811 A KR 20177020811A KR 20170089965 A KR20170089965 A KR 2017008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strap
opening
buckles
str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 김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7008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0Apparel
    • Y10S2/908Guard or protector having a hook-loop type fastener
    • Y10S2/909Head protector, e.g. helmet, gogg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가 제공된다.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및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되고, 호흡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파지 부분은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 피스; 회전에 의해 고정 피스를 이동시키는 힌지; 및 개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고정 피스가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고, 스트랩은 고정 피스와 개구의 측벽 사이의 공간 내로 삽입되고, 고정 피스가 고정 돌출부에 의해 고정될 때 파지 부분에 의해 파지된다.

Description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본 발명은 스트랩(strap)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buckle)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respirator)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는 먼지, 티끌, 악취 또는 가스가 인체의 입 또는 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된다.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호흡기가 사용된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의 이유로 호흡기의 사용이 요구된다.
하루에도 수회 착용되도록 요구되는 호흡기의 특성으로 인해, 착용이 편리한 호흡기가 생산되었다. 예를 들어,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는 커버의 양측에 탄성 밴드가 연결되고, 탄성 밴드가 머리의 후방(back) 주위에 배치되며, 호흡기 몸체가 안면 부분과 밀착 접촉하는 방식으로 착용가능한 호흡기가 또한 제안되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호흡기의 일측에 있는 탄성 밴드에 고정된 후크(hook)가 머리의 후방에서 호흡기의 타측에 있는 탄성 밴드에 걸리거나, 별개의 행잉 부재(hanging member)가 제공되고 호흡기의 양측에 있는 탄성 밴드가 행잉 부재에 동시에 걸리는 구조를 갖는 호흡기가 제안되었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호흡기는 단지 탄성 밴드를 후크 또는 행잉 부재에 거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안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용자는 호흡기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구조를 갖는 호흡기에서는, 각각의 탄성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머리가 작은 사람이 호흡기를 착용하는 동안 안면 부분과 밀착 접촉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탄성 밴드가 탄성 밴드와 호흡기 몸체 사이의 연결 지점에서 꿰어지고 마찰 방식으로 지지되는 길이 조절 부분이 형성되고, 착용자가 탄성 밴드의 원위 단부(distal end)를 잡아당길 때 각각의 탄성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호흡기가 제안되었다.
호흡기 몸체는 안정된 지지를 위해 4개의 지점(좌측 상부/하부, 우측 상부/하부)에서 탄성 밴드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탄성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을 때, 탄성 밴드가 각각 4개의 지점 모두에서 잡아당겨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탄성 밴드가 꿰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길이 조절 부분에서, 탄성 밴드가 감기는 방향으로는 탄성 밴드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각각의 탄성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지만, 탄성 밴드가 감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는 탄성 밴드는 잡아당겨지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 밴드의 원위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각각의 탄성 밴드의 길이를 팽팽하게 조절하는 것은 쉽다. 그러나, 단지 반대측에서 탄성 밴드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는 탄성 밴드를 느슨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 밴드를 다시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는 매듭을 푸는 것과 같이 양손을 사용하여 탄성 밴드가 길이 조절 부분으로부터 풀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길이 조절 부분이 호흡기 몸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 밴드의 나머지 부분(길이 조절 부분으로부터 원위 단부까지)은, 각각의 탄성 밴드의 길이가 조절된 후에, 착용자의 안면에 위치된다. 이것은 미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으며, 탄성 밴드의 나머지 부분이 긴 경우에, 이것은 착용자의 작업 또는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 밴드들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고 각각의 탄성 밴드의 양방향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고, 탄성 밴드의 나머지 부분이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및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되고, 호흡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하며, 파지 부분은 버클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개구; 힌지를 통해 개구의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 피스(fixing piece); 및 개구의 타단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고,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개구 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된 고정 피스가 확고하게 걸리는 고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랩은 고정 피스가 고정 돌출부에 의해 고정될 때 개구의 타단부에 수직인 측벽 및 타단부의 측벽 반대편의 고정 피스의 측부에 의해 파지되는, 버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탄성 밴드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고 각각의 탄성 밴드의 양방향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그리고 탄성 밴드의 나머지 부분이 착용자의 시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과,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버클의 개방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버클이 폐쇄되어 밴드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한 쌍의 버클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2의 하나의 버클만이 적용된 호흡기의 일례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2의 하나의 버클만이 적용된 호흡기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예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이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21, 2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30)을 갖는 호흡기(1)는 호흡기(1) 착용시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해 있으면서 이물질이 호흡 기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기 몸체(10), 각각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 스트랩(21) 및 제2 스트랩(22), 및 제1 스트랩(21) 및 제2 스트랩(22) 중 적어도 하나를 파지하고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을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버클(30)을 포함할 수 있다.
호흡기 몸체(1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호흡기 몸체(10)는 착용자에 의해 흡기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기 몸체(10)는 하나 이상의 여과 층을 포함하는 여과 구조체(11)와, 여과 구조체(11)를 지지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 구조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여과 구조체(11)는 시트(sheet) 형상 또는 다른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과 구조체(11)는 착용자가 흡기하거나 호기할 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 투과성 표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 구조체(11)는 입자 포획 필터 또는 가스 및 증기 필터일 수 있다. 몇몇 경우에, 호흡기 몸체(10)는, 여과 구조체(11)에 연결되고 착용자에 의해 호기되는 공기를 호흡기(1)의 내부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호기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호기 밸브는 호흡기 몸체(1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제1 스트랩(21) 또는 제2 스트랩(22))의 양 단부가 호흡기 몸체(10)의 일 측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을 향해 나아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스트랩(21, 22)은 외력이 스트랩(21, 22)에 인가될 때 스트랩(21, 22)의 총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스트랩(21, 22)은 외력이 해제될 때 이완된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있는 스트랩(21, 22)은 각각 사전결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을 향해 나아갈 수 있으며, 버클(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을 갖는 스트랩(21, 22)의 복원력에 의해 스트랩(21, 22)에 장력이 생성되고, 호흡기 몸체(10)는 스트랩(21, 22)에 생성된 장력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21, 22) 각각은 약 25 내지 60 cm의 길이, 5 내지 10 mm의 폭, 및 0.9 내지 1.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트랩(21, 22)은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열경화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편조된(braided) 또는 편직된(knitted) 얀(yarn)/고무의 조합, 및 편조된 비-탄성 구성요소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버클(30)은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있는 스트랩(21, 2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클(30)은 스트랩(제1 스트랩(21))을 파지함으로써 호흡기 몸체(10)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제1 스트랩(21))에 고정될 수 있고, 호흡기 몸체(10)의 타측에 연결된 스트랩(제2 스트랩(22))에 향후 착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클(30)은, 버클(30)이 스트랩(21, 22)을 파지하는 지점의 위치가, 스트랩(21, 22)이 버클(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잡아당겨질 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트랩(21, 22)을 파지하는 버클(30)과 스트랩(21, 22)의 상대 위치는, 버클(30)을 잡고 스트랩(21, 22)을 한쪽을 향해 잡아당김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21, 22)이 버클(30)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을 향해 잡아당겨지더라도, 버클(30)과 스트랩(21, 22)의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스트랩(21, 22)은 호흡기 몸체(10)의 측부 부분과 버클(30) 사이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양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버클(30)을 사용하여 잡아당겨진다. 상술하면, 착용자가 버클(30)을 잡으면서 스트랩(21, 22)의 자유 단부(213, 223)를 잡아당길 때, 호흡기 몸체(10)의 측부 부분과 버클(30) 사이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고, 착용자가 스트랩(21, 22)의 호흡기 몸체(10)와 버클 사이의 부분(215, 225)을 잡아당길 때, 호흡기 몸체(10)의 측부 부분과 버클(30) 사이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착용자는 호흡기 몸체(10)의 측부 부분과 버클(30) 사이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도록 스트랩(21, 22)의 자유 단부(213, 223) 또는 호흡기 몸체와 버클 사이의 부분(215, 225)을 잡아당긴다.
따라서,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호흡기(1) 착용시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이 착용자에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호흡기 몸체(10)가 효과적으로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버클(30)이 하나의 호흡기(1)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있는 스트랩(21, 22)을 파지하는 한 쌍의 버클(30)이 하나의 호흡기(1)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한 쌍의 버클(30)은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있는 스트랩(21, 2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버클(30) 각각에 의해 파지되는 스트랩(21, 22)의 길이는, 착용자가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을 그/그녀 자신의 머리 크기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된다. 한 쌍의 버클(30)을 체결하기 위한 상세한 구조가 후술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버클의 개방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버클이 폐쇄되어 밴드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서 한 쌍의 버클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버클(30) 각각은 버클 몸체(100), 버클 몸체(100) 내에 형성된 파지 부분(200), 체결 후크(fastening hook)(300), 및 체결 홈(fastening groove)(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 부분(200), 체결 후크(300), 및 체결 홈(400)은 버클 몸체(100) 상에 일렬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부분(200)은 버클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후크(300)와 체결 홈(400)은 버클 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의 도면에 예시된다. 그러나, 파지 부분(200), 체결 후크(300), 및 체결 홈(400)의 상대 위치는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파지 부분(200)이 버클 몸체(100)의 중심에 형성되고 체결 후크(300)와 체결 홈(400)이 파지 부분(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다른 유형의 배열이 형성될 수 있다.
버클 몸체(100)는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사전결정된 길이를 갖는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파지 부분(200), 체결 후크(300), 및 체결 홈(400)은 버클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클 몸체(100)는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과 안정되게 밀착 접촉하도록 사전결정된 두께를 갖는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지 부분(200)은 버클 몸체(100)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스트랩(21, 22)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부분(200)이 스트랩(21, 22)을 파지한 상태에서 스트랩(21, 22)이 일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 스트랩(21, 22)은 활주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파지 부분(200)을 통해, 스트랩(21, 22)이 버클(30)에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버클(30)과 호흡기 몸체(10)의 측부 부분 사이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하면, 파지 부분(200)은 버클 몸체(100)를 통해 형성된 개구(210), 힌지(240)를 통해 개구(210)의 일측에 연결된 고정 피스(230), 및 개구(210)의 타측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고정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210) 내로 압입된 고정 피스(230)는 고정 돌출부(220)에 걸릴 수 있어서, 고정 돌출부(220)가 고정될 수 있다. 개구(210)는 버클(30)의 버클 몸체(100)를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구(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통 구멍일 수 있다. 개구(2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표면이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240)는 개구(210)의 일측과 고정 피스(230)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고정 피스(230)는 힌지(240)를 중심으로 선회되며, 이에 따라 개구(2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 피스(230)는 고정 피스(230) 또는 힌지(240)에 대한 현저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힌지(240)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선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240)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개구(210)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부재인 고정 피스(230)는, 개구(210)와 유사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부재일 수 있다. 고정 피스(230)는 고정 피스(230)가 개구(210) 내로 삽입될 때 개구(21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고정 돌출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 돌출부(220)는 개구(210)의 힌지(240)에 연결된 단부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피스(230)의 힌지(240)에 연결된 단부 반대측에 있는 타단부는, 고정 피스(230)가 개구(210)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될 때, 고정 돌출부(220)와 만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240)와 고정 돌출부(220)는 개구(2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측벽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 피스(23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이하, '고정 피스의 고정 단부'로 지칭됨)는 힌지(240)에 연결될 수 있고, 고정 피스(23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이하, '고정 피스의 자유 단부'로 지칭됨)는 고정 돌출부(220)와 만날 수 있다. 고정 피스(230)의 자유 단부는 고정 돌출부(220)의 형상과 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경사 표면(220S)이 고정 돌출부(220)의 단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표면(220S)은 고정 피스(230)가 개구(210) 내로 선회되는 방향을 향해 고정 피스(230)가 낮아질 수 있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 돌출부(220)의 돌출 부분은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V-형상의 고정 돌출부(220)와 정합하는 형상을 갖는 홈이 고정 피스(230)의 타단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홈을 형성하기 위해, 안착 돌출부(seating protrusion)(232)가 고정 피스(230)의 일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돌출부(232)가 그것 상에 형성되는 일 표면은 고정 피스(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210)를 향하는 넓은 표면(고정 피스의 내측 표면)일 수 있고, 경사 표면(232S)이 고정 피스(230)의 내측 표면을 향해 낮아지도록 안착 돌출부(23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고정 피스(230)의 두께는 그것이 고정 피스(230)의 자유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V-형상의 홈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자유 단부의 개구가 아닌) 외부를 향하는 표면(고정 피스의 외측 표면) 및 안착 돌출부(232)의 단부의 경사 표면(232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돌출부(220)는 고정 피스(230)의 자유 단부의 외측 표면과 안착 돌출부(232)의 단부의 경사 표면(232S)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피스(230)는 고정 돌출부(220)에 걸릴 수 있다. 안착 돌출부(232)의 단부의 경사 표면(232S)은, 고정 돌출부(220)가 안착 돌출부(232)와 고정 피스(230)의 외측 표면 사이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 돌출부(220)의 경사 표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피스(230)는 힌지(240)를 중심으로 선회되며, 이에 따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피스(230)가 고정 돌출부(220)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하, '개방 상태'로 지칭됨)로부터, 도 3에 예시된, 고정 피스(230)가 고정 돌출부(220)에 걸린 상태(이하, '폐쇄 상태'로 지칭됨)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피스(230)의 외측 표면은 손가락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피스(230)의 외측 표면은, 고정 피스(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210)가 아닌) 외부를 향하는 넓은 표면을 지칭할 수 있다. 조립자 또는 착용자가 고정 피스(230)의 외측 표면을 누를 때, 고정 피스(230)는 개구(210)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고정 피스(230)의 자유 단부는 고정 돌출부(220)에 걸려, 고정 피스(230)가 폐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경사 표면(230S)은 고정 피스(230)의 내측 표면을 향해 낮아지도록 고정 피스(230)의 타단부, 즉 자유 단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표면(230S)은 고정 피스(230)가 개구(210) 내로 압입될 때 고정 돌출부(220) 위로의 고정 피스(2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하면, 고정 피스(230)의 외측 표면이 손가락에 의해 눌릴 때, 고정 피스(230)는 고정 피스(230)의 자유 단부의 경사 표면(230S)이 고정 돌출부(220)의 경사 표면(220S)과 만나도록 선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 피스(230)가 더 강하게 눌릴 때, 고정 피스(230)의 자유 단부의 경사 표면(230S)은 고정 돌출부(220)의 경사 표면(220S)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 돌출부(220)는 고정 피스(230)의 내측 표면과 안착 돌출부(232) 사이에 형성된 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돌출부(220)와 고정 피스(230)의 전술된 형상과 결합 구조는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돌출부(220)와 고정 피스(230)의 형상은 버클(30)의 형상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피스(230)가 고정 돌출부(220)에 걸릴 때, 사전결정된 거리를 갖는 이격 공간이 고정 피스(230)의 측부와 개구(210)의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공간은 힌지(240) 또는 고정 돌출부(220)가 형성되지 않은 개구(210)의 측벽에, 즉 개구(210)의 폭 방향의 측벽과 고정 피스(230)의 길이 방향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피스(230)는 그것의 폭이 개구(2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 공간은 고정 피스(230)의 양측에, 즉 고정 피스(230)의 폭 방향의 양측과 양측을 향하는 개구(210)의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피스(23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호흡기 몸체(10)에 연결된 스트랩(21, 22)은 고정 피스(230)의 측부 부분에 형성된 이격 공간 내에 수용되고 그것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트랩(21, 22)은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지 부분(20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스트랩(21, 22)은 고정 피스(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 피스(230)의 측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어서 고정 피스(230)는 스트랩(21, 22)이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210) 내로 압입될 수 있다. 고정 피스(230)는 스트랩(21, 22)이 자연스럽게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돌출부(220)에 걸리고 그것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21, 22)은 고정 돌출부(220)에 결합된 고정 피스(230)의 단부에 수직인 단부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즉, 고정 돌출부(220)는 길이 방향의 고정 피스(230)의 단부와 맞물리는 반면, 스트랩(21, 22)은 폭 방향의 고정 피스(230)의 측부 및 고정 피스(230)의 측부를 향하는 개구(210)의 측벽에 의해 파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 돌출부(220)와 고정 피스(230)의 결합이 스트랩(21, 22)에 의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돌출부(220)와 고정 피스(230)의 결합력은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 또는 스트랩(21, 22)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서, 고정 피스(230)가 폐쇄 상태로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트랩(21, 22)이 고정 피스(230)와 개구(210)의 측벽 사이의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스트랩(21, 22)이 어느 일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때, 스트랩(21, 22)은 그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즉, 스트랩(21, 22)의 자유 단부(213, 223)가 잡아당겨질 때에는, 스트랩(21, 22)이 이격 공간 내에서 바깥쪽으로 활주할 수 있고, 자유 단부(213, 223)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으며, 호흡기 몸체(10)에 있는 스트랩(21, 22)의 부분(215, 225)이 잡아당겨질 때에는, 스트랩(21, 22)이 호흡기 몸체(10)를 향해 활주할 수 있고, 자유 단부(213, 223)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호흡기 몸체(10)와 버클(30) 사이의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호흡기 몸체(10)가 안면과 밀착 접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격 공간의 폭 d는, 스트랩(21, 22)이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버클(30)에 의해 파지되도록 유지될 수 있고, 스트랩(21, 22)이 잡아당겨질 때 활주할 수 있도록,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되는 스트랩의 두께 t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격 공간의 폭 d는 스트랩의 두께 t보다 작을 수 있다. 이격 공간의 폭 d는, 호흡기(1)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에 대항하여 스트랩(21, 22)이 파지될 수 있지만, 착용자가 스트랩(21, 22)을 잡아당길 때 생성되는 사전결정된 양 이상을 갖는 장력에 대해 스트랩(21, 22)이 활주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즉, 이격 공간의 폭 d가 스트랩의 두께 t보다 작기 때문에, 스트랩(21, 22)은 고정 피스(230)와 개구(210)의 측벽에 의해 단단히 유지된다. 따라서, 그것들 사이에 생성되는 마찰력은 호흡기 몸체(10)가 안면 부분과 밀착 접촉하도록 지지될 때 장력보다 크며, 이에 따라 버클(30)이 스트랩(21, 2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격 공간의 폭 d는 스트랩(21, 22)을 의도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힘보다 마찰력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스트랩(21, 22)이 잡아당겨질 때, 스트랩(21, 22)은 활주할 수 있고 스트랩(21, 2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하면, 이격 공간의 폭 d는 사전결정된 비(ratio)로 스트랩의 두께 t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공간의 폭 d는 스트랩의 두께 t의 약 9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격 공간의 폭 d는 스트랩의 두께 t보다 사전결정된 크기만큼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공간의 폭 d는 스트랩의 두께 t보다 약 0.2 mm 작을 수 있다.
이격 공간의 폭 d와 스트랩의 두께 t 사이의 관계는 스트랩(21, 22)의 특성과 재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스트랩(21, 22)의 특성과 재료는 스트랩의 두께 t, 탄성, 표면 조도, 및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 공간의 폭 d와 스트랩의 두께 t 사이의 최적 관계는 특정 스트랩(21, 22)에 대해 실험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피스(230)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만곡된 표면(230C)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21, 22)이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될 때, 스트랩(21, 22)은 고정 피스(230)의 측부 및 개구(210)의 측벽과 접촉한다. 만곡된 표면이 고정 피스(23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21, 22)은 스트랩(21, 22)이 잡아당겨질 때 더 용이하게 활주할 수 있다. 만곡된 표면(230C)이 형성되는 위치와 만곡된 표면(C)의 면적 및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착용자가 스트랩(21, 2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스트랩(21, 22)을 잡아당기는 데 필요한 최소 힘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후크(300)는 버클 몸체(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홈(400)은 버클 몸체(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버클(30)에 형성된 체결 후크(300)는 다른 버클(30)에 형성된 체결 홈(40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체결 후크(300)는 체결 후크(300)의 단부가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후크(300)가 체결 홈(400) 내로 삽입될 때, 체결 후크(300)의 구부러진 단부는 체결 홈(400)의 에지에 걸릴 수 있어서, 체결 후크(300)가 체결 홈(400) 내로 삽입되어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버클(30)에 형성된 체결 후크(300)와 체결 홈(400)은 한 쌍의 버클(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체결된다. 한 쌍의 버클(30)은, 각각,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있는 스트랩(21, 22)을 파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버클(30)은 제1 스트랩(21)을 파지할 수 있고, 다른 버클(30)은 제2 스트랩(22)을 파지할 수 있다. 제1 스트랩(21)을 파지하는 버클(30)의 체결 후크(300)는 제2 스트랩(22)을 파지하는 버클(30)의 체결 홈(400)에 체결되어서,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착용자가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을, 각각, 2개의 상이한 버클(30)에 고정시킨 다음에, 호흡기 몸체(10)를 그/그녀 자신의 안면 부분에 착용하고 머리의 후방에서 2개의 버클(30)을 서로 체결할 때,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연결된 스트랩(21, 22)은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착용자는 제1 스트랩(21) 및 제2 스트랩(22)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가 호흡기(1)를 착용한 상태에서 단지 스트랩(21, 22)을 잡아당김으로써 스트랩(21, 22)의 양방향 길이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번거로운 동작을 수행하거나 호흡기(1)를 벗지 않고서도 스트랩(21, 22)이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을 그/그녀 자신의 머리에 편리하게 그리고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고, 머리가 작은 사람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호흡기(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몸체(1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호흡기 몸체(10)가 4개의 지점(좌측 상부/하부, 우측 상부/하부)에서 스트랩(21, 22)에 연결되지만, 모든 스트랩(21, 22)의 길이는 단지 2개의 버클(30)을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21, 22) 중 하나가 하나의 버클(30)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스트랩(21, 22) 중 다른 것이 하나의 버클(30)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 2개의 버클(30)을 사용하여 스트랩(21, 22) 각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4개의 지점에서 호흡기 몸체(10)에 연결된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모든 장력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호흡기(1)에서, 보다 적은 지점에서 스트랩(21, 2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21, 22)을 파지하고 길이 조절을 허용하는 부분(버클(30))은 호흡기(1)가 착용될 때 머리의 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스트랩(21, 22)의 길이가 감소될 때 스트랩(21, 22)의 나머지 부분(자유 단부)이 또한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트랩(21, 22)의 나머지 부분은 착용자의 시각을 방해하거나 걸리적거리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버클(30)이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호흡기 몸체(10)의 양쪽 스트랩(21, 22)은 동일한 2개의 버클(30)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버클(30)들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요구되지 않고, 수형 및 암형 관계에 관해 상이한 형상을 갖는 부재가 서로 체결되는 버클(30)들로서 필요하지 않아서, 단지 단일 유형의 버클(30)만이 생산되면 된다. 그 결과, 제조 비용과 생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2의 단지 하나의 버클만이 적용된 호흡기의 일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단지 하나의 버클만이 적용된 호흡기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호흡기(1a)는 단지 하나의 버클(3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일 버클(30)은, 각각, 호흡기 몸체(10)의 양측에 연결된 제1 및 제2 스트랩 중 하나의 스트랩(21)을 파지할 수 있다. 다른 스트랩(22)은 상이한 방식으로 버클(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21)은 버클(30)의 파지 부분(200)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제2 스트랩(22)은 버클(30)의 체결 후크(300)에 걸릴 수 있다. 즉, 제2 스트랩(22)의 양단부가 호흡기 몸체(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스트랩(22)의 양단부 사이의 부분이 후크와 같은 체결 후크(300)의 구부러진 단부에 걸려, 제2 스트랩(22)이 버클(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버클(30)이 체결 홈(400)을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21)은 버클(30)의 파지 부분(200)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제2 스트랩(22)은 버클(30)의 체결 홈(400)에 매듭지어져 그것에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버클(30)은 체결 후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은 단지 하나의 버클(30)만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스트랩(21)의 자유 단부(213), 또는 호흡기 몸체(10)와 버클(30) 사이의 부분(215)은 단지 제1 스트랩(21)만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이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잡아당겨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클(30b)에서,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500)이 체결 홈(400)의 측벽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구멍(500)은 체결 홈(400)의 측벽의 일부가 커팅될 때 형성되는 갭(gap)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500)의 폭 또는 직경은 스트랩(21, 22)이 관통 구멍(500)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스트랩(21, 22) 각각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클 수 있다. 스트랩(21, 22)은 관통 구멍(500)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 홈(4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트랩(21, 22)이 체결 홈(4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스트랩(21, 22)은 체결 홈(400)에 걸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9에서와는 달리, 버클(30b)이 체결 후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을 본 실시예에 따른 버클(30b)을 사용하여 연결하기 위해,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 중 하나(예컨대, 21)가 버클(30b)의 파지 부분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 중 다른 것(예컨대, 22)이 버클(30b)의 체결 홈에 걸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스트랩(21)과 제2 스트랩(22)은 단지 하나의 버클(30)만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스트랩(21, 22)에 생성되는 장력이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단지 제1 스트랩(21)만의 길이가 조절된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록이다.
항목 1은,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로서, 버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및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되고, 호흡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하며, 파지 부분은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 피스; 회전에 의해 고정 피스를 이동시키는 힌지; 및 개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고정 피스가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고, 스트랩은 고정 피스와 개구의 측벽 사이의 공간 내로 삽입되고, 고정 피스가 고정 돌출부에 의해 고정될 때 파지 부분에 의해 파지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2는, 파지 부분이 스트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 부분은,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버클 사이의 스트랩의 길이가, 스트랩의 자유 단부 또는 호흡기 몸체와 버클 사이의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되도록 허용하는, 항목 1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3은, 개구의 측벽과 개구의 측벽을 향하는 고정 피스의 측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스트랩은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되는, 항목 1 및 항목 2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4는, 스트랩은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스트랩의 자유 단부는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버클 사이의 스트랩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잡아당겨지고, 호흡기 몸체와 버클 사이의 부분은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버클 사이의 스트랩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잡아당겨지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5는, 이격 공간의 폭은 스트랩의 두께보다 작은, 항목 1 내지 항목 4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6은, 이격 공간의 폭은 스트랩의 두께보다 0.2 mm 작은, 항목 1 내지 항목 5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7은, 이격 공간의 폭은 스트랩의 두께의 90%인, 항목 1 내지 항목 6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8은, 버클은, 개구를 향하는 고정 피스의 일 표면 상에 형성되고, 고정 피스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 표면이 형성된 일단부를 갖는 안착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고정 돌출부의 단부는 경사 표면을 형성하고, 경사 표면은 고정 피스가 개구 내로 선회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며, 고정 돌출부는 안착 돌출부의 경사 표면과 고정 피스의 일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홈 내로 삽입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9는, 경사 표면이 고정 피스의 타단부 상에 형성되고, 개구를 향해 낮아지며, 고정 피스의 경사 표면은, 고정 피스가 개구 내로 압입될 때, 고정 돌출부의 경사 표면 위로 이동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10은, 버클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 홈; 및 버클 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체결 후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11은, 하나의 체결 후크가 다른 체결 홈에 걸릴 때 2개의 버클이 서로 체결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항목 12는, 호흡기로서, 호흡기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호흡기 몸체; 각각 호흡기 몸체의 양측에 연결된 제1 및 제2 스트랩; 및 제1 스트랩을 파지하여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버클을 포함하며, 제1 스트랩의 자유 단부 또는 호흡기 몸체와 버클 사이의 부분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버클은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버클 사이의 제1 스트랩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되는 방식으로 제1 스트랩을 파지하는,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3은,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및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되고, 호흡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하고, 파지 부분은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 피스; 회전에 의해 고정 피스를 이동시키는 힌지; 및 개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고정 피스가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며, 스트랩은 고정 피스와 개구의 측벽 사이의 공간 내로 삽입되고, 고정 피스가 고정 돌출부에 의해 고정될 때 파지 부분에 의해 파지되는, 항목 12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4는, 개구의 측벽과 개구의 측벽을 향하는 고정 피스의 측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스트랩은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되는, 항목 12 및 항목 13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5는, 이격 공간의 폭은 스트랩의 두께보다 작은, 항목 12 내지 항목 14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6은, 하나 이상의 버클은 한 쌍의 버클로서 제공되고, 한 쌍의 버클 중 하나가 제1 스트랩을 파지하고 한 쌍의 버클 중 다른 것이 제2 스트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버클은 서로 체결되어,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서로 연결되는, 항목 12 내지 항목 15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7은,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버클 몸체를 통해 형성된 체결 홈; 및 버클 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체결 후크를 포함하고, 한 쌍의 버클은 하나의 체결 후크가 다른 체결 홈에 걸릴 때 서로 체결되는, 항목 12 내지 항목 16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8은, 하나 이상의 버클은, 제1 스트랩이 하나 이상의 버클의 일측에서 하나 이상의 버클에 의해 파지되고 제2 스트랩이 하나 이상의 버클의 타측에 고정될 때,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연결하는, 항목 12 내지 항목 17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19는,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버클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 및 버클 몸체의 타측에서 버클 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체결후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스트랩은 체결 후크에 걸리고 하나 이상의 버클에 고정되는, 항목 12 내지 항목 18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항목 20은,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체결 홈의 측벽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스트랩은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체결 홈 내로 삽입되고, 체결 홈에 걸리고, 하나 이상의 버클에 고정되는, 항목 12 내지 항목 19의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그것들은 단순한 예이며,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개시된 기본 사상에 기초하여 최대 범위를 갖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예를 조합/대체함으로써 명시되지 않은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이 그것의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형태 및 상세 사항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스트랩(strap)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buckle)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되고, 호흡기(respirator)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 피스(fixing piece);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피스를 이동시키는 힌지; 및
    상기 개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피스를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 피스와 상기 개구의 측벽 사이의 공간 내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 피스가 상기 고정 돌출부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파지 부분에 의해 파지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분이 상기 스트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스트랩의 자유 단부 또는 상기 호흡기 몸체와 상기 버클 사이의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상기 버클 사이의 상기 스트랩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되도록 허용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측벽과 상기 개구의 측벽을 향하는 상기 고정 피스의 측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트랩의 자유 단부가 잡아당겨지는 것에 의해 상기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상기 버클 사이의 상기 스트랩의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호흡기 몸체와 상기 버클 사이의 상기 부분이 잡아당겨지는 것에 의해 상기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상기 버클 사이의 상기 스트랩의 길이가 증가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의 폭은 상기 스트랩의 두께보다 작은,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의 폭은 상기 스트랩의 두께보다 0.2 mm 작은,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의 폭은 상기 스트랩의 두께의 90%인,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개구를 향하는 상기 고정 피스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피스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일단부를 갖는 안착 돌출부(seating protrusion)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고정 돌출부의 단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 피스가 상기 개구 내로 선회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며,
    상기 고정 돌출부는 상기 안착 돌출부의 경사면과 상기 고정 피스의 일면에 의해 형성되는 홈 내로 삽입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피스의 타단부 상에는 상기 개구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피스의 경사면은, 상기 고정 피스가 상기 개구 내로 압입될 때, 상기 고정 돌출부의 경사면을 넘어 이동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 홈(fastening groove); 및
    상기 버클 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체결 후크(fastening hook)
    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의 체결 후크가 다른 체결 홈에 걸릴 때 2개의 버클이 서로 체결되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12. 호흡기로서,
    상기 호흡기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호흡기 몸체;
    상기 호흡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1 스트랩을 파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back)에서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버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의 자유 단부 또는 상기 호흡기 몸체와 상기 버클 사이의 부분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은 상기 호흡기 몸체의 측부 부분과 상기 버클 사이의 상기 제1 스트랩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스트랩을 파지하는, 호흡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되고, 상기 호흡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버클 몸체 내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 피스;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피스를 이동시키는 힌지; 및
    상기 개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피스를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시키는 고정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고정 피스와 상기 개구의 측벽 사이의 공간 내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 피스가 상기 고정 돌출부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파지 부분에 의해 파지되는, 호흡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측벽과 상기 개구의 측벽을 향하는 상기 고정 피스의 측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이격 공간 내로 삽입되는, 호흡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의 폭은 상기 스트랩의 두께보다 작은, 호흡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은 한 쌍의 버클로서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버클 중 하나가 상기 제1 스트랩을 파지하고 상기 한 쌍의 버클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스트랩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버클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서로 연결되는, 호흡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상기 버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 홈; 및
    상기 버클 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체결 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버클은 하나의 체결 후크가 다른 체결 홈에 걸릴 때 서로 체결되는, 호흡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은,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의 일측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의 타측에 고정될 때, 상기 착용자의 머리의 후방에서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을 연결하는, 호흡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몸체;
    상기 버클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트랩을 파지하는 파지 부분; 및
    상기 버클 몸체의 타측에서 상기 버클 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L자형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 체결 후크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체결 후크에 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에 고정되는, 호흡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 각각은 상기 체결 홈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체결 홈 내로 삽입되고, 상기 체결 홈에 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버클에 고정되는, 호흡기.
KR1020177020811A 2014-12-26 2015-12-17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KR20170089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38 2014-12-26
KR1020140190138A KR20160080821A (ko) 2014-12-26 2014-12-26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PCT/US2015/066227 WO2016106054A1 (en) 2014-12-26 2015-12-17 Buckl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strap and respirato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965A true KR20170089965A (ko) 2017-08-04

Family

ID=56151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138A KR20160080821A (ko) 2014-12-26 2014-12-26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KR1020177020811A KR20170089965A (ko) 2014-12-26 2015-12-17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138A KR20160080821A (ko) 2014-12-26 2014-12-26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8507009A (ko)
KR (2) KR20160080821A (ko)
CN (1) CN107105803B (ko)
WO (1) WO201610605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285A (zh) * 2018-04-19 2018-09-14 杨丽娜 一种耳带长度调节器
CN108567187A (zh) * 2018-04-19 2018-09-25 杨丽娜 一种口罩带调节器
CN108576970A (zh) * 2018-04-19 2018-09-28 杨丽娜 一种耳带调节器
CN108606377A (zh) * 2018-04-19 2018-10-02 杨丽娜 一种口罩带调节装置
CN108669682A (zh) * 2018-04-19 2018-10-19 杨丽娜 一种口罩带适配器
CN108813754A (zh) * 2018-04-19 2018-11-16 杨丽娜 一种耳带长度适配器
KR20220137357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귀 통증 완화 기능을 구비한 목걸이형 마스크 스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6348B2 (ja) * 2016-07-30 2021-02-24 株式会社ノースヴィレッジ 衛生マスク
JP2019119960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重松製作所 使い捨て防塵マスク
KR20200027353A (ko) * 2018-09-04 2020-03-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KR102012156B1 (ko) * 2019-03-13 2019-08-19 김강권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CN110558795A (zh) * 2019-08-21 2019-12-13 众地家纺有限公司 一种便携调节枕
NL2025825B1 (nl) * 2020-06-12 2022-02-16 Talamini Andrea Verstelbare sluiting voor een mondmasker
KR200493260Y1 (ko) 2020-10-21 2021-03-02 주식회사 베스트유인터내셔널 마스크 귀걸이 고정 상의
KR102285976B1 (ko) * 2020-11-06 2021-08-18 (주)피에이치원 백헤드 착탈식 길이조절형 이어밴드를 갖는 마스크
US20220167692A1 (en) * 2020-11-29 2022-06-02 Makrite Industries Inc. Mask
KR102363927B1 (ko) * 2020-12-02 2022-02-17 온누리플랜(주) 방진 마스크
KR102633471B1 (ko) * 2022-04-01 2024-02-05 김풍세 다용도 마스크 클립.
US11723440B1 (en) * 2022-04-04 2023-08-15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with pull ring
CN117100332B (zh) * 2023-09-20 2024-02-09 北京碧莲盛不剃发植发医疗美容门诊部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短发不剃发的辅助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386U (zh) * 1987-12-17 1989-03-22 姜开侠 服饰上软绳自动锁紧装置
US4932104A (en) * 1988-09-30 1990-06-12 Adolf Kowal Separable buckle
JP3597916B2 (ja) * 1995-07-31 2004-12-08 株式会社ニフコ 紐留め具
CN2395580Y (zh) * 1999-10-09 2000-09-13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织带扣具
NZ505206A (en) * 2000-06-15 2001-10-26 Exactus Ltd A buckle for use with seatbelts
EP1275319A1 (fr) * 2001-07-11 2003-01-15 AJS Production, Josette Saunier Anneau ouvert articulé
CN2558248Y (zh) * 2002-07-25 2003-07-02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绳带扣
CN2558249Y (zh) * 2002-07-25 2003-07-02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绳索扣
HK1051113A2 (en) * 2003-02-27 2003-06-27 Chung Nam Watch Co Ltd A buckle for a band or the like
US7650884B2 (en) * 2003-11-21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y facepiece and method of making a facepiece using separate molds
JP2005152229A (ja) * 2003-11-25 2005-06-16 Msa Japan Kk マスク用クリップ
JP2007301174A (ja) * 2006-05-11 2007-11-22 Mikimoto Soshingu:Kk 装身具用留め具
KR100927336B1 (ko) 2007-11-06 2009-11-19 우제정 잠금용 지지대를 갖는 위생 마스크
US8375951B2 (en) * 2008-02-06 2013-0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uckle and respirator using such buckle, having a deformable cinch bar, and method
EP2630887A1 (fr) * 2012-02-23 2013-08-28 CK Montres & Bijoux Co., S.A. Montre-bracelet munie d'un fermoir
US9247788B2 (en) * 2013-02-01 2016-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rap retaining devic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285A (zh) * 2018-04-19 2018-09-14 杨丽娜 一种耳带长度调节器
CN108567187A (zh) * 2018-04-19 2018-09-25 杨丽娜 一种口罩带调节器
CN108576970A (zh) * 2018-04-19 2018-09-28 杨丽娜 一种耳带调节器
CN108606377A (zh) * 2018-04-19 2018-10-02 杨丽娜 一种口罩带调节装置
CN108669682A (zh) * 2018-04-19 2018-10-19 杨丽娜 一种口罩带适配器
CN108813754A (zh) * 2018-04-19 2018-11-16 杨丽娜 一种耳带长度适配器
KR20220137357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귀 통증 완화 기능을 구비한 목걸이형 마스크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7009A (ja) 2018-03-15
KR20160080821A (ko) 2016-07-08
CN107105803A (zh) 2017-08-29
WO2016106054A1 (en) 2016-06-30
CN107105803B (zh)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9965A (ko)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US11363861B2 (en) Watchbands with hook and loop fasteners
RU2523998C2 (ru) Головной гарнитур респиратора со складывающимся головным креплением
KR101788685B1 (ko) 마스크
JP6344802B2 (ja) 係止具を備えたマスク
KR100797639B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US20020078953A1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JP2017193802A5 (ko)
JP2018507009A5 (ko)
JP2013252339A (ja) マスク用係止具
TWM581921U (zh) Mask elastic adjuster
KR20190122511A (ko) 밀착밴드를 구비한 마스크
KR200411067Y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CN209950436U (zh) 一种口罩松紧度调整器
KR200348888Y1 (ko)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
US20160045798A1 (en) Flag football belt and flags
US8776324B2 (en) Attaching structure for an attachable arrangement
JP6836348B2 (ja) 衛生マスク
JP2011115463A (ja) 就寝用衛生マスク
AU2023100073B4 (en) Watchbands with hook and loop fasteners
CN219939781U (zh) 一种理发用口罩
TWI707708B (zh) 口罩配戴裝置
US20110168487A1 (en) Strap Management Apparatus and Arrangement
WO2014152166A1 (en) Quick don head harness
KR20160002916U (ko) 위생 마스크용 잠금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