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559A -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559A
KR20060049559A KR1020050047577A KR20050047577A KR20060049559A KR 20060049559 A KR20060049559 A KR 20060049559A KR 1020050047577 A KR1020050047577 A KR 1020050047577A KR 20050047577 A KR20050047577 A KR 20050047577A KR 20060049559 A KR20060049559 A KR 20060049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isocyanate
nozzle
inlet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귄터 프라우엔크론
헤르베르트 하이딩스펠트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04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95Manufacture of polymers by continuous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과 통하는 제1 입구,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고리형 노즐 채널, 제2 입구를 포함하고, 채널을 통해 드웰 라인으로 연결된 혼합 노즐에서,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약 400 내지 약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1종 이상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 폴리아미노 화합물과 혼합하는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제2 입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로 도입시키고,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에 있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 주입시키고, 드웰 라인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 혼합 노즐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 Prepolymers and/or Polyurethane-Urea Prepolymers}
이제 본 발명을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도면과 함께 기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혼합 노즐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혼합 노즐
2: 제1 입구
3: 제2 입구
4: 드웰 라인
5: 노즐 채널
6: 개구
7: 고리형 채널
20: 디이소시아네이트
30: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문헌 1] EP-A 0 554 718
본 발명은 혼합 노즐에서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을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A 0 554 718은 임의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일관능성인 화합물 및(또는) 활성화제, 안정화제, 윤활제 및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첨가제와 함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소시아네이트-함유 및 히드록실-함유 및(또는) 아민-함유 성분들을 함께 노즐에 넣는데, 두 성분 중 하나는 노즐 내에 있고, 다른 성분은 이것의 네크 구역에서 수개의 부분 스트림으로 네크 주위에 걸쳐 분포된 상응하는 수의 홀을 통해 제1 성분의 스트림으로 도입시킨다. 상기 성분들은 네크에서 하향식으로 노즐의 드웰 라인(dwell line)에서 반응한다.
노즐 홀의 차단은 보통 시동 문제점 또는 때때로 수시간 동안 지속되는 설비의 비-생산 기간을 유발하기 때문에, EP-A 0 554 718에 기재된 노즐 구조물은 장기간의 공정 작업시 불리함이 입증되었다. 상기 차단은 안전 주의의 준수하에 노동 력을 요하는 분해 및 세척 작업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발명의 요약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당업계에 공지된 단점을 나타내지 않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장점 및 잇점은 하기 본원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을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기재할 것이다. 작업 실시예에서나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명세서에서 양, 백분율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수는 모든 경우에서 용어 "약"에 의해 변경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달톤 (Da)으로 제시되는 당량 및 분자량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각각 수평균 당량 및 수평균 분자량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과 통하는 제1 입구,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고리형 노즐 채널, 제2 입구를 포함하고, 채널을 통해 드웰 라인으로 연결된 혼합 노즐에서,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약 400 내지 약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1종 이상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 폴리아미노 화합물과 혼합하는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제2 입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로 도입시키고,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하나 이상의 개구 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에 있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 주입시키고, 드웰 라인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장기 작업시, 상기 노즐은 디이소시아네이트용 입구 구역에서의 노즐 채널에 네크가 없고, 뒷쪽으로, 즉 하향으로 노즐 채널이 넓어지지 않아 유리함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노즐 개구의 실질적인 차단 없이 장기 작업으로 제조할 수 있다. 추가로, 세척 목적을 위한 혼합 노즐의 세정이 당업게에 공지된 노즐에 비해 상당히 간단해진다. 노즐 채널이 당업게에 공지된 혼합 노즐과는 반대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 노즐의 디자인은 훨씬 더 단순하다. 직경은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히드록실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 주입되는 구역에서 특히 일정하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은 실질적으로 노즐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히드록실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 주입되는 개구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개구는 노즐 채널의 벽에 환형으로 정렬된다. 인접한 노즐 개구는 예를 들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간격으로 환형으로 정렬된다. 대향 홀들이 서로 비껴 있어서 부분 스트림이 서로를 지나쳐 향하는 EP-A 0 554 718에서의 노즐 정렬과는 반대로, 노즐 개구는 혼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쌍의 개구 가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 개구는 유동 방향을 가로질러 몇가지 레벨의 환형으로 분포될 수 있고, 상이한 레벨의 개구가 서로에 대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비껴있게 정렬되는 것이 가능하다.
개구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mm이다. 제공되는 개구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개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용 입구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용 입구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노즐 채널 직경의 1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배이다.
노즐 채널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노즐 채널 직경의 10배 이상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주입 전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유속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s-1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장점은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부피 유량이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점이다.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부피 유량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피 유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대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피 유량이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부피 유량보다 크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유속이 당 기 술수준에 공지된 방법보다 10배까지 크도록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장점을 갖는다. 유속이 클수록 혼합 효율이 커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는, 0.002 내지 10의 성능 비율 cA/(i·cS)을 선택함으로써 고수율을 달성하며, 상기 성능 비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정의한 바와 같다.
cA/(i·cS) = (ρA·V'A·vA 2)/i·(ρS·V'S·vS 2)
상기 식에서,
cA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아래첨자 A)의 생성물 스트림을 나타내고,
cS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아래첨자 S)의 생성물 스트림을 나타내고,
ρ는 밀도를 나타내고,
V'는 부피 유량을 나타내고,
v는 유속을 나타내며,
i는 부분 스트림의 수, 즉 노즐 개구의 수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관점에서, 성능 비율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밀도, 부피 유량 및 유속 제곱의 부분 곱의 합에 대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밀도, 부피 유량 및 유속 제곱의 곱의 비율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아르지방족, 방향족 및 헤테로시클릭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이소시아네이토비페닐 (TODI), 1,4-디이소시아네이토벤젠 및 상응하는 수소첨가된 생성물,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및 그의 이성질체, 및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2,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5 몰% 이하, 특히 1 내지 4 몰% 및 소량의 2,2'-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이성질체의 이성질체 혼합물이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임의로 고관능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약 15 몰% 이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관능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은 예비중합체를 열가소성 중합체로 추가 가공한 후에 얻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여전히 가융성이거나(fusible) 열가소성이도록 제한되어야만 한다. 생성물의 과도한 화학적 가교를 막기 위해, 일반적으로 폴리히드록실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을 1종 이상의 모노히드록실 및(또는) 모노아미노 화합물로 부분적으로 대체하거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 부분적으로 대체함으로써, 비교적 다량의 고관능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을 보상해야 한다. 사용할 수 있는 모노아미노 화합물의 예는 부틸아민 또는 디부틸아민, 히드록실아민, 스테아릴아민 및 N-메틸스테아릴아민이다. 가능한 모노히드록실 화합물의 예는 1-부탄올, 2-에틸-1-헥산올, 1-도데칸올, 이소부탄올 또는 tert-부탄 올, 시클로헥산올 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스테아릴 알콜이다.
폴리우레탄 고체를 기준으로 소량, 예를 들어 0.01 내지 4 wt%의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모노알콜 및(또는) 모노아민과 같은 일관능성 화합물을 쇄 종결제로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모노알콜의 예는 부탄올, 2-에틸렌헥산올, 이소부틸 알콜, 1-옥탄올 및 스테아릴 알콜이다. 모노아민의 예는 아닐린, 디부틸아민, N-메틸스테아릴아민 및 피페리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유용한 바람직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디올 및 폴리에테르디올, 예를 들어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특히 아디프산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디올이다. 이들은 또한 소량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특히 프탈산 및 임의로는 테레프탈산 뿐만 아니라 이들의 수소첨가 생성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히드록시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히드록시폴리카프로락톤도 또한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양태에서는 분자량 1,500 내지 5,000의 1,4-부탄디올 아디페이트를 사용한다.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된 폴리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히드록시에테르디올, 예를 들어 분자량 1,000 내지 3,0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 기재의 히드록시에테르디올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올은 예를 들어 DE-A 23 02 564, DE-A 24 23 764, DE-A 25 49 372, DE-A 24 02 840 및 DE-A 24 57 387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대신에 또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혼합하여, 폴리아 미노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1급 방향족 아미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 과량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적절한 NCO 예비중합체의 염기성 가수분해로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의 예는 예를 들어 DE-A 29 48 419, DE-A 30 39 600 및 DE-A 31 12 118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DE-A 29 48 4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합한 것과 같은 고분자량 구조의 방향족 아미노 화합물 또는 소위 아미노폴리에테르의 다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 혼합할 때 일어나는 폴리우레탄 반응 이전 및(또는) 도중 및(또는) 이후에,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촉매, 이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및 착색제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항산화제 및 UV 흡수제의 첨가도 가능하다. 사용할 수 있는 촉매의 예는 3급 아민 및 유기 금속 화합물, 특히 유기 주석, 납 및 티타늄 화합물, 예를 들어 주석(II) 아세테이트, 주석(II)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또는 납 아세테이트이다. 사용되는 이형제는 바람직하게는 왁스 또는 오일; 카르복실, 에스테르, 아미드, 우레탄 또는 우레아 기를 가진 장쇄 화합물; 및 실리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반응물의 양은 보통 이소시아네이트 대 OH 화합물 또는 아민 화합물의 NCO/OH 또는 NCO/NHR 비율이 11: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6:1 내지 3:1이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 하기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혼합 노즐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혼합 노즐 (1)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용 (30) 입구 (3)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용 (20) 입구 (2)를 갖는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두 입구 (2, 3)은 모두 혼합 노즐 (1)의 채널 (5)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정렬되며, 입구 (2)는 입구 (3)으로부터 아래쪽에 있다. 노즐 채널 (5)는 두 성분 (20, 30)이 반응하여 예비 중합체 (40)을 형성하는 드웰 라인 (4)로 이어진다. 디이소시아네이트 (20)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30)으로 주입되는데, 이를 위해 입구 (2)의 구역에 있는 노즐 채널 (5)에는 고리형 채널 (7)이 존재한다. 고리형 채널 (7)의 구역에는, 환형인 몇개의 개구 (6)이 제공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디이소시아네이트 (20)이 노즐 채널 (5)로 유동하며, 여기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30)과 혼합된다.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두 입구 (2, 3) 사이의 거리는 노즐 채널 (5)의 직경의 2.5배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티타늄 테트라부틸레이트 10 ppm으로 활성화시킨, 1,4-부탄디올 (OH가 = 50, 산가 = 0.7)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2개의 개구 (d = 6 mm)를 통해 노즐 채널 (d = 7 mm)로 측방향으로 연속 도입시켰다. 유동 방향으로 17 mm 더 앞에서, 액체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150 중량부를 8개의 개구 (d = 1.5 mm)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스트림으로 측방향으로 연속 도입시 키고, 소용돌이로 혼합시키고 하향식 반응기 (드웰 라인)에서 반응시켰다. 반응기 말단에 있는 생성된 반응 생성물로부터 샘플을 취하고, 잔류 이소시아네이트를 디부틸아민 용액 및 알콜성 염산을 이용한 전위차 적정으로 측정하였다.
잔류 NCO 함량 = 18.91 wt%, 예비중합체로의 전환율 96.8%에 상응함; 전환율 100%에 대한 이론적 NCO 함량 = 18.95 wt%
개구의 차단은 장기 작동에서조차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티타늄 테트라부틸레이트 10 ppm으로 활성화시키고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디올 (MW = 2,000)로 구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50 중량부와 미리혼합시킨, 1,4-부탄디올 (OH가 = 50, 산가 = 0.7) 및 아디프산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50 중량부를 2개의 개구 (d = 6 mm)를 통해 노즐 채널 (d = 7 mm)로 측방향으로 연속 도입시켰다. 유동 방향으로 17 mm 더 앞에서, 액체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49 중량부를 8개의 개구 (d = 1.5 mm)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스트림으로 측방향으로 도입시키고, 소용돌이로 혼합시키고 하향식 반응기 (드웰 라인)에서 반응시켰다. 반응기 말단에 있는 생성된 반응 생성물로부터 샘플을 취하고, 잔류 이소시아네이트를 디부틸아민 용액 및 알콜성 염산을 이용한 전위차 적정으로 측정하였다.
잔류 NCO 함량 = 8.64 wt%, 예비중합체로의 전환율 99.8%에 상응함; 전환율 100%에 대한 이론적 NCO 함량 = 8.65 wt%
개구의 차단은 장기 작동에서조차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상기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나, 이러한 상세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일 뿐이며, 당업자는 청구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노즐 홀의 차단은 보통 시동 문제점 또는 때때로 수시간 동안 지속되는 설비의 비-생산 기간을 유발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공정 작업시 불리함이 입증되었다. 또한, 상기 차단은 안전 주의의 준수하에 노동력을 요하는 분해 및 세척 작업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노즐 개구의 차단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단점을 나타내지 않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과 통하는 제1 입구,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고리형 노즐 채널,
    제2 입구를 포함하고, 채널을 통해 드웰 라인으로 연결된 혼합 노즐에서,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약 400 내지 약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1종 이상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 폴리아미노 화합물과 혼합하는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제2 입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로 도입시키고,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고리형 노즐 채널에 있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 주입시키고,
    드웰 라인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 사이의 거리가 노즐 채널의 직경의 약 10배 이하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채널의 길이가 노즐 채널의 직경의 약 10배 이상인 방 법.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유속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주입 전에 약 1 내지 약 10 ms-1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밀도, 부피 유량 및 유속 제곱의 부분 곱의 합에 대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밀도, 부피 유량 및 유속 제곱의 곱의 비율이 약 0.002 내지 약 10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 사이의 거리가 노즐 채널의 직경의 2 내지 3배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개구의 직경이 약 0.5 내지 약 10 mm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개구의 직경이 약 1 내지 약 2 mm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개구의 수가 2 내지 8개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개구의 수가 4 내지 6개인 방법.
KR1020050047577A 2004-06-07 2005-06-03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060049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7705A DE102004027705B4 (de) 2004-06-07 2004-06-07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 und/oder Polyurethanharnstoff-Prepolymeren
DE102004027705.2 2004-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559A true KR20060049559A (ko) 2006-05-19

Family

ID=3493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77A KR20060049559A (ko) 2004-06-07 2005-06-03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272901A1 (ko)
EP (1) EP1614701A2 (ko)
JP (1) JP2005350671A (ko)
KR (1) KR20060049559A (ko)
CN (1) CN1876694A (ko)
CA (1) CA2509133A1 (ko)
DE (1) DE102004027705B4 (ko)
TW (1) TW2006133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2016A1 (en) * 2009-08-24 2011-08-18 Arsenal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polymer foa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2840A1 (de) * 1974-01-22 1975-08-07 Bayer Ag Textilbeschichtung mit gemischen aus polyurethanen, vinylcopolymeren und dienpfropfcopolymerisaten
DE2457387C3 (de) * 1974-12-05 1978-09-2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xtilbeschichtungen mit besonders weichem, Nappaleder-artigem Griff
DE3039600A1 (de) * 1980-10-21 1982-05-19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am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minen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kunststoffen
DE3112118A1 (de) * 1981-03-27 1982-10-07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merisathaltige polyetherpolyam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polyamine und deren verwendung als aufbaukomponente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en
DE3744001C1 (de) * 1987-12-24 1989-06-08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Mono- oder Polyisocyanaten
US5908913A (en) * 1992-02-03 1999-06-01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urea prepolymers
DE4202973A1 (de) * 1992-02-03 1993-08-05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urethan- und polyurethanharnstoff-elastomeren
DE4202972A1 (de) * 1992-02-03 1993-08-05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urethan- und polyurethanharnstoff-praepolymeren
DE10032269A1 (de) * 2000-07-03 2002-01-31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von Nebenprodukten bei der Vermischung von Eduktströ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72901A1 (en) 2005-12-08
CA2509133A1 (en) 2005-12-07
DE102004027705A1 (de) 2006-01-26
DE102004027705B4 (de) 2006-10-26
TW200613354A (en) 2006-05-01
CN1876694A (zh) 2006-12-13
EP1614701A2 (de) 2006-01-11
JP2005350671A (ja)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0059B (fi) Dubbelkomponentmassa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EP1558659B1 (en) Polyurethane dispersion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FI100975B (fi) Isosyanaattikoostumus ja menetelmä taipuisien vaahtojen valmistamiseks i siitä
KR101329534B1 (ko) 실릴화 레진의 연속 제조를 위한 방법
EP1225199B1 (en) Carbon dioxide blown low density, flexible microcellular elastomers suitable for preparing shoe components
CN101039980B (zh) 一种异氰酸酯-封端的预聚物组合物和一种由此生产的聚氨酯或聚脲弹性体
US425029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 elastomers in which at least two reactant portions are introduced into separate positions of a screw machine
KR950701943A (ko) 경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Har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CA2156383A1 (en) Rigid foams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US5360885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urea elastomers
US5908913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urea prepolymers
CA2088521C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urea prepolymers
JP6872536B2 (ja) 主に二級ヒドロキシル基を有する、高官能価、高当量のポリオールで製造された高弾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
CN1847281B (zh) 软质聚氨酯泡沫板用聚异氰酸酯以及使用其的软质聚氨酯泡沫板的制造方法
US20020052461A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TPUs) prepared with polytrimethylene carbonate soft segment
KR20060049559A (ko)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US8283421B2 (en) Composition from a polyisocyanate and a polyether monoamine
US20030212236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
JPH09286835A (ja) 2液注型用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AU661188B2 (en) Novel polyols
CA2462383A1 (en) Prepolymers of allophanate-modified mdi and polyoxypropylene polyol
JPS6329686B2 (ko)
JP2941933B2 (ja) 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ならびに成形体
WO2001083577A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
Morton-Jones et al. PST 3: Polyureth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