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837A -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837A
KR20060047837A KR1020050039874A KR20050039874A KR20060047837A KR 20060047837 A KR20060047837 A KR 20060047837A KR 1020050039874 A KR1020050039874 A KR 1020050039874A KR 20050039874 A KR20050039874 A KR 20050039874A KR 20060047837 A KR20060047837 A KR 20060047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requency
error
signal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908B1 (ko
Inventor
음호민
이용태
서재현
김흥묵
박성익
김승원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4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67Common-wave systems, i.e. using separate transmitters operat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동기복원 과정에서 반송파 오차 및 샘플링 타이밍 오차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신호에 반영함으로써,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로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반송파 복원 수단; 수신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타이밍 복원 수단;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 및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타이밍 오차 반영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털 TV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 임의의 전송 시스템에서 동일채널 중계망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됨.
동일채널 중계기, 주파수 일치, 동기복원

Description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sponding Frequency Synchronization in On-channel Repeater}
도 1은 기존의 중계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2는 기존의 중계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은 동일채널 중계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반송파 복원부 및 타이밍 복원부의 상세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8은 도 6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의 상세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9는 도 6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의 다른 상세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방식 주파수 일 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방법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흐름도,
도 14는 도 13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일실시예 흐름도,
도 15는 도 13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
도 16은 도 13의 타이밍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일실시예 흐름도,
도 17은 도 13의 타이밍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620 : 반송파 복원부
630 : 타이밍 복원부 660 : 타이밍 오차 반영부
670 : 반송파 오차 반영부 680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본 발명은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동기복원 과정에서 반송파 오차 및 샘플링 타이밍 오차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신호에 반영함으로써,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송신기 및 중계기는 주변 지형/지물에 따라, 그리고 서비스 구역에 따라 배치한다. 중계기는 주송신기의 신호가 약하게 수신되는 지역에 설치하여 난시청지역을 해소하고 주송신기 신호의 전송 영역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기존의 중계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중계기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중계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중계기를 이용한 서비스는, 먼저 주송신기(101)에서 송신주파수 A를 통해 신호를 송출하고, 각각의 중계기(102~105)에서는 송신주파수 A와 다른 주파수(B, C, D, E)로 신호를 중계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중계기는 각각의 중계기(102~105)마다 다른 주파수(B, C, D, E)를 부여하여 주송신기(101) 신호의 난시청 지역을 해소하거나 서비스 구역을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각각의 중계기(102~105)가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되고, 많은 주파수 자원 이 필요하게 되므로 주파수 이용 관점에서는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도 2는 기존의 중계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같은 주파수로 신호를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를 이용한 서비스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즉, 주송신기(201)에서는 송신주파수 A를 통해 신호를 송출하고, 각각의 동일채널 중계기(202~205)에서는 송신주파수 A와 같은 주파수로 신호를 중계한다.
이러한 동일채널 중계기(202~205)는 일반적으로 주송신기(201)로부터 송신되어 입력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잡음이 제거된 기저대역 신호를 다시 RF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입력된 RF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동일 채널을 통해 중계한다.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주송신기(20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와 동일채널 중계기(202~205)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기가 식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즉, 주송신기(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동일채널 중계기(202~205)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수신기 등화기의 신호 제거 능력을 벗어나는 주파수 차이를 갖게되면 수신기의 등화기가 수신신호를 등화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채널 중계기를 통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송신기와 동일채널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같아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전제 조건을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동기복원 과정에서 반송파 오차 및 샘플링 타이밍 오차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신호에 반영함으로써,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로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반송파 복원 수단; 수신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타이밍 복원 수단;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 및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타이밍 오차 반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로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반송파 복원 수단;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타이밍 복원 수단;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 및 반송파 주파수 오차가 반영된 송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 및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반영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으로 발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압제어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는 반송파 복원 단계; 수신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타이밍 복원 단계;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는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 및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는 타이밍 오차 반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으로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계;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는 반송파 복원 단계;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타이밍 복원 단계;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는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 및 반송파 주파수 오차가 반영된 송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단계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은 디지털 TV 방송(ATSC, DVB 등)에 적합하나,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단일주파수망 구성을 위해 중계기가 필요한 환경에서는 어디에나 적용이 가능함을 분명히 한다.
도 3은 동일채널 중계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채널 중계기는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부(301), RF 수신부(301)에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복조부(302), 복조부(302)에 의해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등화하여 전송 채널상에서 발생한 왜곡을 보 정하기 위한 등화부(303), 등화부(303)의 기저대역 출력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조부(304) 및 변조된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RF 전송부(305)를 포함한다.
도 3의 동일채널 중계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RF 수신부(301)에서는 주송신기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RF 신호는 복조부(302)를 통해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는 등화부(303)를 통해 주송신기와 동일채널 중계기 간의 전송로에 의해 야기된 잡음 및 다중경로 신호, 동일채널 중계기 송수신안테나의 낮은 격리로 인해 야기된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고, 상기 잡음 및 다중경로 신호,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기저대역 신호는 변조부(304)를 통해 RF 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RF 신호는 RF 전송부(305)를 통해 송신된다.
도 4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동일채널 중계기는 수신안테나(401), RF 수신부(402), IF(Intermediate Frequency) 하향 변환부(403), 복조부(404), 등화부(405), 변조부(406), RF 상향 변환부(407), 고전력 증폭부(408), 송신안테나(409) 및 국부 발진기(LO:Local Oscillator, 이하 "LO"라고 함)(410)를 포함한다.
RF 수신부(402)는 주송신기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 안테나(401)를 통해 수신하고, IF 하향 변환부(403)는 수신된 RF 신호를 LO(410)로부터 제공된 기준주파수에 근거하여 IF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복조부(404)는 주파수 하향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고, 등 화부(405)는 복조된 기저대역 신호를 등화하여 전송 채널상에서 발생한 신호 왜곡을 보정하고, 동일채널 중계기의 송수신안테나의 낮은 격리로 인해 야기된 피드백 신호를 제거한다.
변조부(406)는 등화된 기저대역 신호를 IF 신호로 변조하고, RF 상향 변환부(407)는 변조된 IF 신호를 LO(410)로부터 제공된 기준주파수에 근거하여 RF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한다. 또한, 고전력 증폭부(408)는 주파수 상향 변환된 RF 신호를 증폭하고, 송신안테나(409)는 증폭된 RF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도 3 및 도 4의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같아야 한다.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방법은 외부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과 수신신호의 반송파 오차 및 샘플링 타이밍 오차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5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일실시예 구성도로, 도 4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411)를 더 포함한다.
GPS 수신부(411)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GPS 기준 신호를 분기하여 복조부(404)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및 변조부(406)의 디지털-아날로그(DAC) 변환시에 필요한 발진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GPS 수신부(411)는 수신한 GPS 기준 신호를 분기하여 LO(410)에 제공하고, LO(410)는 상기 GPS 기준 신호에 근거하여 IF 하향 변환부(403) 및 RF 상향 변환부(407)로 기준 주파수를 제공한다.
한편, 주송신기는 도 5의 동일채널 중계기가 수신하는 GPS 기준 신호와 동일한 GPS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에 이용하고 또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RF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시에 이용한다.
따라서, 주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도 4의 동일채널 중계기의 송신안테나(409)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같아진다. 그러나, 주송신기와 동일채널 중계기에 GPS 수신기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주송신기 내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된 후 정해진 RF 주파수로 상향변환되어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전송된다. 이 때, 정해진 RF 주파수의 이론적인 값을 fc라고 하면 실제로는 (fc+Δfc)의 주파수를 갖는다. Δfc만큼의 주파수 차이는 주송신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과 주파수 변환에 사용되는 국부발진기의 오차에 기인한다. 따라서, 동일채널 중계기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주파수는 (fc+Δfc) 이므로, 동일채널 중계기의 송신신호는 (fc+Δfc)의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한편, 동일채널 중계기에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주파수 상향변환 또는 하향변환시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동일한 국부발진기로부터 분기되어야 한다. 이는 수신신호의 주파수 오차 Δfc와는 무관하며, 수신신호의 주파수 하향변환과 송신신호의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 전후에 발생될 수 있는 제3의 주파수 오차를 막기 위함이 다. 그러나, 단일한 시스템에서 주파수 변환을 위해 하나의 국부발진기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으로 동일채널 중계기의 송수신신호 주파수 일치를 위한 핵심 장치는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과정에 이용되는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전압제어발진기의 입력으로서 고정 전압이 사용되면 디지털 방식, 타이밍 복원부의 출력이 사용되면 디지털-아날로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10)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680)에서 신호를 변환할 때 고정 전압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전압제어발진기(690)로부터 발진 주파수를 공급받는다.
도 6에 도시된 반송파 복원부(620)와 타이밍 복원부(63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1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신호에서 반송파 오차와 샘플링 타이밍 오차(이하, "타이밍 오차"라고 한다)를 보상하고, 오차가 보상된 신호는 심볼 복원과 등화과정 등을 포함하는 신호처리부(640)를 거쳐 변조부(650)에서 변조된다. 이 때, 변조된 신호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10)에 입력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주파수 오차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와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에서 주파수 오차를 반영한다. 즉, 반송파 복원부(620) 및 타이밍 복원부(630)에서 추출한 반송파 주파수 오차와 타이밍 오차를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와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에서 송신신호에 반영한다.
도 7은 도 6의 반송파 복원부 및 타이밍 복원부의 상세한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6의 반송파 복원부(620)는 주파수 변환기(621), 반송파 오차 검출부(622), 루프필터부(623) 및 수치제어발진기(624)를 포함하고, 도 6의 타이밍 복원부(630)는 재샘플부(631), 타이밍 오차 검출부(632), 루프필터부(633) 및 수치제어발진기(634)를 포함한다. 그러나, 반송파 복원부(620)와 타이밍 복원부(630)는 여러가지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부에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반송파 복원부(620)는 동작 후 일정시간이 지나 반송파 획득 과정이 완료되면 반송파 주파수 및 위상 오차를 보상한다. 즉, 반송파 오차 검출부(622)는 오차 검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 입력 수신신호로부터 반송파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루프필터부(623)는 반송파 오차 검출부(622)에서 검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누적하여 평균적으로 일정한 오차 값을 출력하며, 수치제어발진기(624)는 누적된 오차 값을 주파수 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기(621)는 입력 수신신호와 주파수 값을 복소곱하여 상기 주파수 값만큼 입력 수신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시킨다. 이 때, 주파수 값의 품질(위상지터의 양)은 루르필터부(623)의 대역폭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대역폭이 좁을수록 위상지터의 양이 줄 어들어 주파수 값의 품질이 높아진다.
한편, 타이밍 복원부(630)는 동작 후 일정시간이 지나 타이밍 획득 과정이 완료되면 타이밍 주파수 및 위상 오차를 보상한다. 즉, 타이밍 오차 검출부(632)는 오차 검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 입력 수신신호로부터 타이밍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루프필터부(633)는 타이밍 오차 검출부(632)에서 검출된 타이밍 위상 오차를 누적하여 평균적으로 일정한 오차 값을 출력하며, 수치제어발진기(634)는 누적된 오차 값을 샘플율로 변환한다. 그리고, 재샘플부(631)는 변환된 샘플율에 따라 입력 수신신호를 재샘플링한다. 이 때, 샘플율의 품질(위상지터의 양)은 루프필터부(633)의 대역폭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대역폭이 좁을수록 위상지터의 양이 줄어들어 샘플율의 품질이 높아진다.
도 8은 도 6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의 상세한 일실시예 구성도로, 도 8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는 도 7의 반송파 복원부(620) 및 타이밍 복원부(630)의 루프필터부(623, 633)에서 출력되는 오차 값을 이용하여 송신신호에 반송파 주파수 오차 및 타이밍 오차를 반영한다.
반송파 복원부(620)의 주파수 변환기(621)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이론적인 중심 주파수가 fc이고 실제 중심 주파수가 (fc+Δfc)이며 주파수 변환기(621) 출력 신호의 이론적 주파수가 0이라면, 반송파 복원부(620)의 주파수 변환기(621)는 +Δ fc만큼의 주파수 오차를 상쇄하기 위해 중심 주파수를 (fc+Δfc)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에 입력되는 송신신호의 이론적인 중심 주파수가 0이고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이론적인 중심 주파수가 ft라면, 수신신호에서의 주파수 오차 +Δfc를 송신신호에 반영하기 위해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는 반송파 복원부(620)와는 반대로 중심 주파수를 (ft+Δfc)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 8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는 저역통과필터부(671), 수치제어발진기(672), 주파수 반전기(673) 및 주파수 변환기(674)를 포함한다. 수치제어발진기(672)는 반송파 복원부(620)의 루프필터부(622)에서 출력된 오차 값을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고, 주파수 반전기(673)는 상기 수치제어발진기(672)의 출력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며, 주파수 변환기(674)는 반전된 주파수 값을 반영하여 송신신호를 이동시킨다. 이 때, 주파수 값의 부호 반전은 수치제어발진기(672)의 출력이 코사인(cosine)과 사인(sine) 값으로 출력될 경우 사인(sine) 쪽에 -1을 곱하는 것이며, 저역통과필터부(671)는 송신신호에 추가되는 위상지터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한편, 타이밍 복원부(630)의 재샘플부(631)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이론적인 샘플링 주파수가 fi이고 실제 샘플링 주파수가 (fi+Δfi)이며 재샘플부(631) 출력신호의 이론적인 샘플링 주파수가 fs라면, 타이밍 복원부(630)의 수치제어발진기(634) 출력은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1
이어야 한다. 재샘플부(631)가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2
의 비율로 수신신호를 재샘플링하면 재샘플부(631) 출력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fs를 갖게 되어 Δfi가 상쇄된다.
그리고,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샘플링 주파수가 타이밍 복원부(630)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fi+Δfi)와 같아지기 위해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는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3
의 비율로 송신신호를 재샘플링 해야한다.
즉, 도 8의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는 저역통과필터부(661), 수치제어발진기(662), 역변환부(663) 및 재샘플부(664)를 포함한다. 수치제어발진기(662)는 타이밍 복원부(630)의 루프필터부(632)에서 출력된 오차 값을 샘플율로 변환하고, 역변환부(663)는 상기 수치제어발진기(662)의 출력 샘플율을 역변환하며, 재샘플부(664)는 역변환된 샘플율 비율에 따라 송신신호를 재샘플링한다. 이 때, 역변환부(663)는 입력된 신호가 a라면 1/a를 출력하는 것이며, 저역통과필터부(661)는 송신신호에 추가되는 위상지터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도 9는 도 6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의 다른 상세한 일실시예 구성도로, 도 9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는 도 7의 반송파 복원부(620) 및 타이밍 복원부(630)의 수치제어발진기(624, 63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에 반송파 오차 및 타이밍 오차를 반영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의 수치제어발진기(672)의 구조 및 기본 주파수와 반송파 복원부(620)의 수치제어발진기(624)의 구조 및 기본 주파수가 같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반전기(673) 및 주파수 변환기(674)만을 이용하여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치제어발진기(624, 672)의 기본 주파수는 입력이 0일 경우 출력값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의 수치제어발진기(662)의 구조 및 기본 샘플율과 타이밍 복원부(630)의 수치제어발진기(634)의 구조 및 기본 샘플율이 같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변환부(663) 및 재샘플부(664)만을 이용하여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치제어발진기(634, 662)의 기본 샘플율은 입력이 0일 경우 출력값이다.
한편, 도 8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와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는 각각 반송파 복원부(620) 및 타이밍 복원부(630)의 루프필터부(623, 63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고, 도 9의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와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는 각각 반송파 복원부(620) 및 타이밍 복원부(630)의 수치제어발진기(624, 63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나, 도 8에 도시된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와 도 9의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의 구성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도 9에 도시된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와 도 8의 타이밍 오차 반영부(660)의 구성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 도 10에 도시된 반송파 복원부(620) 및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는 도 8에 도시된 반송파 복원부(620) 및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의 구성과 동일하나, 도 9에 도시된 반송파 복원부(620) 및 반송파 오차 반영부(670)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타이밍 복원부(710)는 타이밍 오차 검출부(711) 및 루프필터부(712)만을 포함하여, 입력 수신신호로부터 타이밍 오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타이밍 오차를 누적하여 평균적으로 일정한 오차 값을 전압제어발진기(720)로 제공한다. 전압제어발진기(720)는 루프필터부(712)로부터 입력된 타이밍 오차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610)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680)로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여, 수신신호의 타이밍 오차를 송신신호에 반영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 801)는 고정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VCO, 802)로부터 제공된 클럭(clock) 신호에 근거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반송파 복원부(80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I(In-phase)와 Q(Quadrature) 신호로 변환하고,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추출하여 I 및 Q 신호 각각의 중심 주파수를 영(0)으로 천이시킨다. 즉, 반송파 복원부(803)는 I 및 Q 신호 각각의 파일롯 성분을 -2.69MHz로 천이시킨다.
정합 필터(804)는 중심 주파수가 영(0)으로 천이된 I 및 Q 신호를 정합 필터링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화하고, 제 1 상향 변환부(805)는 필터링된 I 및 Q 신호 각각의 중심 주파수가 기저대역이 되도록 주파수 상향 변환한다. 즉, 제 1 상향 변환부(805)는 필터링된 I 및 Q 신호 각각의 파일롯 성분을 영(0) 주파수로 천이시킨다.
가산부(806)는 주파수 상향 변화된 I 및 Q 신호를 더하여 복원하고, 타이밍 복원부(807)는 복원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한다. 반송파 주파수 오차 및 타이밍 오차가 제거된 신호는 심볼 복원과 등화과정 등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타이밍 오차 반영부(808)는 신호처리된 신호에 상기 타이밍 복원부(807)에서 추출된 타이밍 오차를 반영한다. 즉, 타이밍 오차에 따른 샘플율에 따라 신호처리된 신호를 재샘플링한다.
제 1 하향 변환부(809)는 재샘플링되어 I(In-phase)와 Q(Quadrature) 신호로 변환된 I 및 Q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I 및 Q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영(0)으로 천이시킨다. 즉, 각각의 파일롯 성분을 -2.69MHz로 천이시킨다.
필터(810)는 주파수 하향 변환된 I 및 Q 신호를 필터링하고, 반송파 오차 반영부(811)는 반송파 복원부(803)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역으로 반영하여 상기 필터링된 I 및 Q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 812)는 고정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전압제어발 진기(VCO, 802)로부터 제공된 클럭(clock)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반송파 주파수 오차가 반영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반송파 복원부(803), 타이밍 복원부(807), 반송파 오차 반영부(811) 및 타이밍 오차 반영부(808)는 도 9의 구성을 이용였으나, 도 8의 구성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도 8 및 도 9의 구성을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아날로그 방식 주파수 일치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로, 도 11과는 달리 타이밍 복원부(910)는 타이밍 오차 검출부(911) 및 루프필터부(9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압제어발진기(920)는 타이밍 복원부(910)의 루프필터부(912)에서 출력된 타이밍 오차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930)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40)에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한편, 반송파 복원부(803) 및 반송파 오차 반영부(808)는 도 9의 구성과 같이 구현되었으나, 도 8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채널 중계기의 디지털 방식 주파수 일치 방법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송신기 또는 다른 동일채널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고(1310), 타이밍 오차를 보상한다(1320).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보상을 위한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파 오차 검출부(622)를 통해 입력 수신신호로부터 반송파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루프필터부(623)를 통해 상기 검출된 반송파 위상오차를 누적하여 평균적으로 일정한 오차 값으로 출력하며, 수치제어발진기(624)를 통해 그 오차 값을 주파수 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기(621)를 통해 상기 주파수 값만큼 입력 수신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시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한다.
즉, 반송파 복원부(620)의 주파수 변환기(621)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이론적인 중심 주파수가 fc이고 실제 중심 주파수가 (fc+Δfc)이며 주파수 변환기(621) 출력신호의 이론적 주파수가 0이라면, 반송파 복원부(620)의 주파수 변환기(621)는 +Δfc만큼의 주파수 오차를 상쇄하기 위해 중심 주파수를 (fc+Δfc)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타이밍 오차 보상을 위한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오차 검출부(632)를 통해 입력 수신신호로부터 타이밍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루프필터부(633)를 통해 상기 검출된 타이밍 위상 오차를 누적하여 평균적으로 일정한 오차 값으로 출력하며, 수치제어발진기(634)를 통해 그 오차 값을 샘플율로 변환한다. 그리고, 재샘플부(631)를 통해 상기 변환된 샘플율에 따라 입력 수신신호를 재샘플링하여 타이밍 오차를 보상한다.
즉, 타이밍 복원부(630)의 재샘플부(631)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이론적인 샘플링 주파수가 fi이고 실제 샘플링 주파수가 (fi+Δfi)이며 재샘플부(631) 출력신호의 이론적인 샘플링 주파수가 fs라면, 타이밍 복원부(630)의 수치제어발진기(634) 출력은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4
이어야 한다. 재샘플부(631)가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5
의 비율로 수신신호를 재샘플링하면 재샘플부(631) 출력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fs를 갖게 되어 Δfi가 상쇄된다.
이와 같은 과정 이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보상 과정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신호에 반영하고(1330), 상기 타이밍 오차 보상 과정에서 추출된 타이밍 오차를 송신신호에 반영한다(1340). 따라서, 주송신기 또는 다른 동일채널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그 신호를 중계하여 송신하는 신호는 주파수가 일치하게 된다.
도 14는 도 13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일실시예 흐름도로,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보상 과정 중 루프필터부(623)에서 누적 평균화되어 출력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이용하여 송신신호에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반영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루프필터부(623)에서 누적 평균화되어 출력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주파수 값으로 변화시키고(1410), 변화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킨다(1420). 그리고,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킨다(1430). 즉, 입력되는 송신신호의 이론적인 중심 주파수가 0이고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이론적인 중심 주파수가 ft라면,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주파수 오차 +Δfc를 송신신호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보상과는 반대로 중심 주파수를 (ft+Δfc)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루프필터부(623)에서 누적 평균화되어 출력된 반송파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기 위해 저역통과필터링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로,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보상 과정 중 수치제어발진기(623)에서 출력된 주파수 값을 이용하여 송신신호에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반영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치제어발진기(624)에서 출력된 반송파 위상 오차에 대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킨다(1510). 그리고,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킨다(1520).
도 16은 도 13의 타이밍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일실시예 흐름도로, 타이밍 오차 보상 과정 중 루프필터부(633)에서 누적 평균화되어 출력된 타이밍 위상 오차를 이용하여 송신신호에 타이밍 오차를 반영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루프필터부(633)에서 누적 평균화되어 출력된 타이밍 위상 오차를 샘플율로 변화시킨다(1610). 즉,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이론적인 샘플링 주파수가 fi이고 실제 샘플링 주파 수가 (fi+Δfi)이며 타이밍 오차가 보상된 샘플링 주파수가 fs라면, 변화된 샘플율은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6
이다.
이어서, 변화된 샘플율의 역수를 취한다(1620). 즉,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7
의 역수를 취하면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8
이 된다.
그리고, 그 역수의 비율로 송신신호를 재샘플링한다(1630). 즉, 타이밍 오차가 보상된 송신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fs이고 그 송신신호를
Figure 112005024997235-PAT00009
의 비율로 재샘플링하면,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fi+Δfi)와 같아진다.
한편, 루프필터부(633)에서 누적 평균화되어 출력된 타이밍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기 위해 저역통과필터링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3의 타이밍 오차 반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로, 타이밍 오차 보상 과정 중 수치제어발진기(634)에서 출력된 샘플율을 이용하여 송신신호에 타이밍 오차를 반영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치제어발진기(634)에서 출력된 샘플율의 역수값을 취하고(1710), 그 역수의 비율로 송신신호를 재샘플링한다(172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송신기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반송파 주파수 및 샘플링 타이밍 오차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신호의 변조 과정에 이용함으로써 외부의 기준 신호 없이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로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반송파 복원 수단;
    수신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타이밍 복원 수단;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 및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타이밍 오차 반영 수단
    을 포함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치제어발진기;
    변환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및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기 위한 저역통과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의 수치제어발진기에서 출력되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및
    부호 반전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위상 오차를 샘플율로 변환하기 위한 수치제어발진기;
    변환된 샘플율의 역수값을 취하는 역변환부;
    샘플율의 역수값에 따라 송신 신호를 재샘플링하기 위한 재샘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기 위한 저역통과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의 수치제어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샘플링 타이밍 위상 오차에 따른 샘플율의 역수값을 취하는 역변환부; 및
    샘플율의 역수값에 따라 송신 신호를 재샘플링하기 위한 재샘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8.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로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반송파 복원 수단;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타이밍 복원 수단;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기 위한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
    반송파 주파수 오차가 반영된 송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 및
    상기 타이밍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반영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으로 발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압제어발진기
    를 포함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주파수 값으로 변환 하기 위한 수치제어발진기;
    변환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및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에서 추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기 위한 저역통과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수단은,
    상기 반송파 복원 수단의 수치제어발진기에서 출력되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및
    부호 반전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12.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는 반송파 복원 단계;
    수신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타이밍 복원 단계;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는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 및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에서 추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는 타이밍 오차 반영 단계
    를 포함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는,
    수신 신호로부터 반송파 위상 오차를 검출하여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변환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샘플링 타이밍 위상 오차를 샘플율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샘플율의 역수값을 취하는 단계; 및
    샘플율의 역수값에 따라 송신 신호를 재샘플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샘플링 타이밍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는,
    수신 신호로부터 샘플링 타이밍 위상 오차를 검출하여 샘플율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변환된 샘플율의 역수값을 취하는 단계; 및
    샘플율의 역수값에 따라 송신 신호를 재샘플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19. 신호를 동일채널로 중계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으로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계;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상하는 반송파 복원 단계;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샘플링 타이밍 오차를 보상하는 타이밍 복원 단계;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송신 신호에 반영하는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 및
    반송파 주파수 오차가 반영된 송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밍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샘플링 타이밍 오차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단계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에서 검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검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의 위상지터를 줄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복원 단계는,
    수신 신호로부터 반송파 위상 오차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반송파 위상 오차를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파 오차 반영 단계는,
    상기 변환된 주파수 값의 부호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부호 반전된 주파수 값만큼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이동시키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방법.
KR1020050039874A 2004-05-12 2005-05-12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3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3656 2004-05-12
KR1020040033656 2004-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37A true KR20060047837A (ko) 2006-05-18
KR100613908B1 KR100613908B1 (ko) 2006-08-22

Family

ID=3545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874A KR100613908B1 (ko) 2004-05-12 2005-05-12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3665B2 (ko)
KR (1) KR100613908B1 (ko)
CN (1) CN100531357C (ko)
CA (1) CA2564044C (ko)
MX (1) MXPA06013059A (ko)
WO (1) WO20051174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15B1 (ko) 2006-12-08 200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US8306472B2 (en) 2007-11-21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pea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synchronous frequency thereof
KR101457268B1 (ko) * 2011-09-12 2014-10-31 엔엑스피 비 브이 용량성 통신 회로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70194A1 (it) 2007-03-15 2008-09-16 Prod El S P A Perfezionamenti nelle tecniche di sincronizzazione per reti di comunicazioni radio-mobili iso-frequenziali simulcast
US8279988B2 (en) * 2007-09-11 2012-10-02 Advanced Receiver Technologies, Llc Efficient channel estimate based timing recovery
KR100932279B1 (ko) * 2007-12-11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기 및 그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주파수 변환 방법
CA2729197C (en) 2008-06-24 2017-01-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requency selective repetition
TWI407785B (zh) * 2009-06-08 2013-09-01 Himax Media Solutions Inc 數位中頻解調器
US8451386B2 (en) * 2009-06-08 2013-05-28 Himax Media Solutions, Inc.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demodulator
US8831073B2 (en) 2009-08-31 2014-09-09 Sony Corporatio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1854497B (zh) * 2010-05-07 2013-04-03 深圳国微技术有限公司 数字电视接收机及其定时恢复方法
US20150285904A1 (en) 2014-04-04 2015-10-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ntenna configuration for parking assist radar
KR20160033916A (ko) 2014-09-19 2016-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샘플링 레이트 컨버터 및 그 방법
KR20170126174A (ko) 2016-05-09 2017-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분할다중화 방송 중계 장치 및 방법
DE102017207604B4 (de) * 2017-05-05 2019-11-2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Radarsystem mit Überwachung der Frequenzmodulation einer Folge von gleichartigen Sendesignalen
CN108847877A (zh) * 2018-08-02 2018-11-20 西安安源智造机电设备有限公司 无线通信同频转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5487D0 (en) 1994-03-21 1994-05-04 Rca Thomson Licensing Corp VSB demodulator
JPH0918532A (ja) * 1995-06-30 1997-01-17 Nec Corp バーストモード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5694419A (en) * 1995-11-07 1997-12-02 Hitachi America, Ltd. Shared resource modulator-demodulator circuits for use with vestigial sideband signals
ES2164313T3 (es) 1997-09-22 2002-02-16 Cit Alcatel Metodo y disposicion para determinar un error de temporizacion de reloj en un sistema de transmision de multiportadora.
US6549587B1 (en) * 1999-09-20 2003-04-15 Broadcom Corporation Voice and data exchange over a packet based network with timing recovery
US6697603B1 (en) 1999-12-13 2004-02-24 Andrew Corporation Digital repeater
KR100406970B1 (ko) * 2002-01-29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잔류측파대 방송신호 수신기의 반송파 복원장치 및 방법
EP1497977A4 (en) 2002-04-19 2008-07-02 Thomson Licensing CHANNEL ACQUISITION PROCESSING FOR A TELEVISION
KR100528581B1 (ko) 2003-02-05 2005-11-15 주식회사 매커스 디지털 무선 중계기의 클럭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540171B1 (ko) 2003-05-20 2006-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위한 동일채널중계장치 및 그 방법
CA2553753C (en) * 2004-01-19 2013-06-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of on-channel repe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15B1 (ko) 2006-12-08 200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US8306472B2 (en) 2007-11-21 2012-11-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pea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synchronous frequency thereof
KR101457268B1 (ko) * 2011-09-12 2014-10-31 엔엑스피 비 브이 용량성 통신 회로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908B1 (ko) 2006-08-22
CA2564044C (en) 2013-08-06
US20090129450A1 (en) 2009-05-21
MXPA06013059A (es) 2007-02-14
US7773665B2 (en) 2010-08-10
CA2564044A1 (en) 2005-12-08
WO2005117433A1 (en) 2005-12-08
CN1965580A (zh) 2007-05-16
CN100531357C (zh)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908B1 (ko) 동일채널 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3608B1 (ko)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에서 동일채널중계기의 시간지연을 줄이기 위한 복조 장치 및 그 방법
US75516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wireless digital receiver for use therein
KR100540171B1 (ko)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위한 동일채널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0717830B1 (ko) 동일채널 중계기 및 그 방법
EP27617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ynchronous re-modulation with adaptive i/q adjustment
CN101385300A (zh) 卫星无线电导航接收机
US66039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arrier frequency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64210B2 (en) Non-coherent synchronous direct-conversion receiv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fset
US8855692B2 (en) Signal cancellation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KR100868463B1 (ko) 시분할 복신 시스템에서 아이/큐 부정합 보상 장치 및 방법
EP2213035B1 (en) Repea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synchronous frequency thereof
US2010023253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065456B1 (ko) 중계 장치 및 그의 중계 방법
KR100805815B1 (ko) 분산중계기의 주파수 일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6726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JP2002290373A (ja) 遅延プロファイル測定回路とこの回路を用いたofdm中継装置、ofdm復調回路及びofdm送信モニタ回路
JP5705088B2 (ja) 伝送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局装置および伝送方法
EP3005573B1 (en) Distortion suppres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JP6053126B2 (ja) 周波数偏差抑圧支援装置
JPH05167463A (ja) 受信機
JP2006148734A (ja) 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