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262A - 촬상렌즈 - Google Patents

촬상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262A
KR20060047262A KR1020050032684A KR20050032684A KR20060047262A KR 20060047262 A KR20060047262 A KR 20060047262A KR 1020050032684 A KR1020050032684 A KR 1020050032684A KR 20050032684 A KR20050032684 A KR 20050032684A KR 20060047262 A KR20060047262 A KR 20060047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refractive power
imaging lens
len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나가이
야스히코 아베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in conjunction with image converters or intensifiers, or for use with projectors, e.g. objectives for projection TV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휴대 전화기, PDA 등에 탑재되는 모바일 카메라에 적합한 소형으로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를 제공한다.
물체측으로부터 상면(像面)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소정의 구경(口徑)을 이루는 개구 조리개(1), 물체측 및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양볼록형상의 제 1 렌즈(2),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향해 음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2 렌즈(3),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3 렌즈(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렌즈(2) 및 제 3 렌즈(4)에 양의 굴절력, 제 2 렌즈(3)에 음의 굴절력을 갖게 함으로써, 적절한 백포커스를 확보하면서,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고, 원하는 광학 특성을 확보하면서, 소형이며 박형인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렌즈{Imaging len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의 일 실시예(실시예 1)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촬상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 배율색 수차의 각 수차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관한 촬상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 배율색 수차의 각 수차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3)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관한 촬상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 배율색 수차의 각 수차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4)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관한 촬상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 배율색 수차의 각 수차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구 조리개
2 : 제 1 렌즈
3 : 제 2 렌즈
4 : 제 3 렌즈
5, 6 : 유리 필터
D1~D10 : 광축상의 면 간격
D3 :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의 광축방향의 간격
D5 : 제 2 렌즈와 제 3 렌즈의 광축방향의 간격
P : 촬상면
R1~R11 : 곡률반경
S1~S11 : 면
f : 렌즈계의 초점거리
TL : 렌즈계의 전체길이(공기환산거리)
BF : 백포커스
본 발명은, CCD, CMOS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촬상장치에 적용되는 촬상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등에 탑재되는 소형의모바일 카메라에 매우 적합한 촬상렌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 CCD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한 전자촬상장치로서, 감시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이 알려져 있고, 이들은 주로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CCD 및 촬상렌즈로서는, 그만큼 높은 성능이 요구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보급에 따라, 고체촬상소자 및 촬상렌즈의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그 결과로서, CCD 등의 고체촬상소자의 현저한 기술진보에 의해, 필름식 카메라의 화상에 가까운 것이 얻어지게 되고, 동시에 CCD 등의 소형화, 고화소수화가 달성되었기 때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촬상렌즈로서는, 고성능인 것과 함께 소형화, 박형화, 저비용화 등이 강하게 요구되어 왔다.
그런데, CCD 등의 고체촬상소자는, 빛을 효율적으로 입사시키기 위해 그 표면에 마이크로 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체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선의 각도가 너무 크면 「비네팅 현상」을 일으켜 빛이 고체촬상소자에 입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촬상렌즈의 사출동(射出瞳)은 촬상면으로부터 가능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촬상렌즈와 고체촬상소자의 사이에는 색 모아레(moire) 방지용의 로우 패스 필터, 고체촬상소자의 분광감도를 보정하기 위한 적외선 컷트 필터 등을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백 포커스를 어느 정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트리플렛(triplet)형의 촬상렌즈는 렌즈 매수가 적고 비교적 양호한 광학 성능이 얻어지며, 또한 소형화도 용이하기 때문에, 종래부터 많은 카메라에 이용되고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07-16809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10-4851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08-23409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07-32525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11-52227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 트리플렛형의 촬상렌즈에서는 백포커스를 비교적 길게 확보하고 사출동을 상(像)면으로부터 떼어 놓으며 광화각이므로, 초소형의 것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3군 3매 구성이라는 매우 심플한 구성이고,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등을 도모하면서도, 100만 화소 이상의 고체촬상소자에도 대응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에 탑재되기에 적합한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像)면측을 향해 순서대로, 소정의 구경을 이루는 개구 조리개와, 물체측 및 상면(像面)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양볼록형상의 제 1 렌즈와,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향해 음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2 렌즈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3 렌즈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렌즈 및 제 3 렌즈에 양의 굴절력, 제 2 렌즈에 음 의 굴절력을 갖게 함으로써, 적절한 백포커스를 확보하면서,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광학 특성을 확보하면서, 소형이며 박형인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는 각각 물체측 및 상면측의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고밀도의 고체촬상소자에 적합한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3 렌즈는 상면측의 비구면에서의 유효직경의 범위내에서, 곡률의 방향이 변화하는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수차, 특히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면서, 사출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2 렌즈는 물체측의 비구면이 주변 영역으로 향함에 따라 굴절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수차, 특히 비점수차, 코마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는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리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 비해, 렌즈계의 경량화,저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고, 특히 비구면 혹은 변곡점을 가진 면을 용이하게 성형(몰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개구 조리개의 전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TL(공기 환산 거리)이라고 할 때, 다음 식(1)
(1) TL/f<1.8
를 만족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소형화,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렌즈의 아베수를 ν1로 할 때, 다음 식(2)
(2) ν1>45
를 만족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배율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고, 바람직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간격을 D3, 제 2 렌즈와 제 3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간격을 D5로 할 때, 다음 식(3)
(3) 0.05≤(D3+D5)/f≤0.25
를 만족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면서, 적절한 초점거리, 적절한 백포커스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렌즈계의 기본 구성도이다.
이 촬상렌즈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 L에 있어서,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해 소정의 구경을 이루는 개구 조리개(1), 물체측 및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양볼록형상의 제 1 렌즈(2),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향해 음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2 렌즈(3),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3 렌즈(4)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 상기 배열 구성에 있어서, 제 3 렌즈(4)의 후방에는 적외선 컷트 필터, 로우 패스 필터 등의 유리 필터(5) 및 유리 필터(6)가 배치되고, 그 후방에 CCD 등의 상면(P)이 배치된다.
즉, 제 1 렌즈(2)에 의해 제 1 렌즈군이 형성되고, 제 2 렌즈(3)에 의해 제 2 렌즈군이 형성되고, 제 3 렌즈(4)에 의해 제 3 렌즈군이 형성된 3군 3매 구성의 촬상렌즈이다.
여기서, 개구 조리개(1), 제 1 렌즈(2), 제 2 렌즈(3), 제 3 렌즈(4), 유리 필터(5) 및 유리 필터(6)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면을 Si(i=1∼11), 각각의 면(Si)의 곡률반경을 Ri(i=1∼11), 제 1 렌즈(2), 제 2 렌즈(3), 제 3 렌즈(4), 유리 필터(5, 6)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Ni 및 아베수를 νi(i=1∼5)로 나타낸다. 또, 개구 조리개(1)∼유리 필터(6)의 각각의 광축 방향(L)에서의 간격(두께, 공기 간격)을 Di(i=1∼10), 유리 필터(6)∼상면(P)의 백포커스 를 BF로 나타낸다.
또, 상기 구성을 이루는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개구 조리개(1)의 전면(물체측의 면(S1)으로부터 상면(P)까지의 렌즈계의 광축 방향(L)에서의 전체 길이를 TL(공기 환산 거리), 제 1 렌즈(2)와 제 2 렌즈(3)의 광축 방향(L)에서의 간격을 D3, 제 2 렌즈(3)와 제 3 렌즈(4)의 광축 방향(L)에서의 간격을 D5로 나타낸다.
제 1 렌즈(1)는 유리 재료 또는 수지 재료(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양의 굴절력을 갖도록 물체측의 면(S2)이 볼록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면측의 면(S3)이 볼록면으로 형성된 양볼록형상의 렌즈이다.
제 2 렌즈(3)는 유리 재료 또는 수지 재료(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물체측의 면(S4)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면측의 면(S5)이 볼록면으로 형성된 메니스커스형상의 렌즈이다. 그리고, 물체측의 면(S4) 및 상면측의 면(S5)은 함께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물체측의 면(S4)은 주변 영역으로 향함에 따라 굴절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면(S4, S5)에 비구면을 채용함으로써, 제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고, 또 물체측의 면(S4)을 주변 영역으로 향함에 따라 굴절률이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비점수차 및 코마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렌즈(3)를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 3 렌즈(4)는 유리 재료 또는 수지 재료(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물체측의 면(S6)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면측의 면(S7)이 오목면으로 형성된 메니스커스형상의 렌즈이다. 그리고, 물체측의 면(S6) 및 상면측의 면(S7)은 함께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측의 면(S7)은 유효직경의 범위내에서, 곡률의 방향이 변화하는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면(S6, S7)에 비구면을 채용함으로써, 제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고, 또 상면측의 면(S7)을 유효직경의 범위내에서 곡률의 방향이 변화하는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제수차, 특히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사출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렌즈(4)를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렌즈(3) 및 제 3 렌즈(4)의 비구면을 나타내는 식은 다음의 식으로 규정된다.
Z= Cy2/[1+(1-εC2y2)1/2]+Dy4+Ey6+Fy8+Gy10
단, Z:비구면의 정점에서의 접평면으로부터, 광축(L)으로부터의 높이가 y인 비구면 상(上)의 점까지의 거리, y:광축으로부터의 높이, C:비구면의 정점에서의 곡률(1/R), ε:원추 정수, D, E, F, G:비구면 계수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렌즈계의 초점거리(f)와 렌즈계의 전체 길이(TL)(공기 환산 거리)가 다음의 식(1)
(1) TL/f<1.8
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식은, 렌즈계의 광축 방향(L)에서의 치수와 렌즈계 전체의 적절한 초점거리의 비를 정한 것으로, 렌즈계의 박형화에 관한 것이다. 즉, 이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렌즈계를 박형화,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렌즈(2)의 아베수(ν1)가 다음의 식(2)
(2) ν1>45
를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식은, 제 1 렌즈(2)의 적절한 아베수의 범위를 정한 것으로, 이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제수차, 특히 배율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렌즈(2)와 제 2 렌즈(3)의 광축 방향(L)에서의 간격(D3)과, 제 2 렌즈(3)와 제 3 렌즈(4)의 광축 방향(L)에서의 간격(D5)이 다음의 식(3)
(3) 0.05≤(D3+D5)/f≤0.25
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식은, 렌즈계에서의 제 2 렌즈(3)의 위치를 정한 것이다. 즉, (D3+D5)/f의 값이 0.05보다도 작으면 화각이 좁아지고 혹은 렌즈의 엣지가 간섭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한편, (D3+D5)/f의 값이 0.25보다도 커지면 렌즈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면서, 적절한 초점거리, 적절한 백포커스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의 구체적인 수치에 의한 실시예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로서 이하에 나타낸다. 또,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distortion), 배율색수차에 관한 수차선도는 실시예 1의 결과를 도 2에, 실시예 2의 결과를 도 4에, 실시예 3의 결과를 도 6에, 실시예 4의 결과를 도 8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2, 도 4, 도 6 및 도 8의 수차선도에 있어서, d는 d선에 의한 수차, g는 g선에 의한 수차, c는 c선에 의한 수차를 각각 나타내고, 또, SC는 정현조건의 불만족량을 나타내며, DS는 시상평면(矢狀平面, sagittal plane)에서의 수차, DT는 자오평면(子午平面, meridional plan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7은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관한 각각의 기본 구성도이고, 실시예에 따른 수치 데이터(설정값) 등이 다를 뿐이므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렌즈계의 기본 구성은 도 1에 나타내고, 주요 사양제원은 표 1에, 여러 가지의 수치 데이터(설정값)는 표 2에, 비구면에 관한 수치 데이터는 표 3에 각각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각 조건식의 수치 데이터는 (1) TL/f=5.79/4.10=1.41, (2) ν1=70.4, (3) (D3+D5)/f=(0.41+0.13)/4.1=0.13이 된다.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1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2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3
이상의 실시예 1에서는, 렌즈계의 전체 길이(개구 조리개(1)의 전면(S1)∼상 면(P))가 5.79mm(공기환산거리), 백포커스(공기 환산)가 1.41mm, F번호가 4.0, 화각(2ω)이 58°가 되고, 박형이며, 전체 길이가 짧고,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렌즈계의 기본 구성은 도 3에 나타내고, 주요 사양제원은 표 4에, 여러가지의 수치 데이터(설정값)는 표 5에, 비구면에 관한 수치 데이터는 표 6에 각각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각 조건식의 수치 데이터는 (1) TL/f=6.05/4.30=1.41, (2) ν1=70.4, (3) (D3+D5)/f=(0.43+0.10)/4.3=0.12가 된다.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4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5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6
이상의 실시예 2에서는, 렌즈계의 전체 길이(개구 조리개(1)의 전면(S1)∼상 면(P))가 6.05mm(공기환산거리), 백포커스(공기 환산)가 1.64mm, F번호가 4.0, 화각(2ω)이 58°가 되고, 박형이며, 전체 길이가 짧고,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렌즈계의 기본 구성은 도 5에 나타내고, 주요 사양제원은 표 7에, 여러가지의 수치 데이터(설정값)는 표 8에, 비구면에 관한 수치 데이터는 표 9에 각각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각 조건식의 수치 데이터는, (1) TL/f=5.44/3.75=1.45, (2) ν1=70.4, (3) (D3+D5)/f=(0.49+0.10)/3.75=0.16이 된다.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7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8
Figure 112005020497393-PAT00009
이상의 실시예 3에서는, 렌즈계의 전체 길이(개구 조리개(1)의 전면(S1)∼상 면(P))가 5.44mm(공기환산거리), 백포커스(공기 환산)가 1.70mm, F번호가 2.8, 화각(2ω)이 65°가 되고, 박형이며, 전체 길이가 짧고,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렌즈계의 기본 구성은 도 7에 나타내고, 주요 사양제원은 표 10에, 여러가지의 수치 데이터(설정값)는 표 11에, 비구면에 관한 수치 데이터는 표 12에 각각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각 조건식의 수치 데이터는 (1) TL/f=5.37/380=1.41, (2) ν1=56.4, (3) (D3+D5)/f=(0.44+010)/3.80=0.14가 된다.
Figure 112005020497393-PAT00010
Figure 112005020497393-PAT00011
Figure 112005020497393-PAT00012
이상의 실시예 4에서는, 렌즈계의 전체 길이(개구 조리개(1)의 전면(S1)∼상면(P))가 5.37mm(공기환산거리), 백포커스(공기 환산)가 1.76mm, F번호가 2.85, 화각(2ω)이 62°가 되고, 박형이며, 전체 길이가 짧고,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저비 용화 등을 행할 수 있고,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에 탑재되는 모바일 스틸 카메라에 매우 적합한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소형이고 박형이며,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고, 100만 화소 이상의 CCD 등의 촬상소자에도 적용할 수 있는 광학 성능이 높은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CCD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구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촬상장치의 촬상렌즈로서 적용되는 것은 물론, 특히 휴대 전화기,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에 탑재되는 소형의 모바일 카메라의 촬상 렌즈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8)

  1. 물체측으로부터 상(像)면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소정의 구경을 이루는 개구 조리개와,
    물체측 및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양볼록형상의 제 1 렌즈와,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향해 음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2 렌즈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해 양의 굴절력을 가진 메니스커스형상의 제 3 렌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는 각각 물체측 및 상면측의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는, 상면측의 비구면에서의 유효직경의 범위내에서, 곡률의 방향이 변화하는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는, 물체측의 비구면이 주변 영역으로 향함에 따라 굴절력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상기 개구 조리개의 전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TL(공기환산거리)이라고 할 때, 하기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1) TL/f<1.8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아베수를 ν1이라고 할 때, 하기 조건식(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2) ν1>45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상기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간 격을 D3, 상기 제 2 렌즈와 제 3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간격을 D5로 할 때, 하기 조건식(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3) 0.05≤(D3+D5)/f≤0.25
KR1020050032684A 2004-04-27 2005-04-20 촬상렌즈 KR20060047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1934 2004-04-27
JP2004131934A JP2005316010A (ja) 2004-04-27 2004-04-27 撮像レン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262A true KR20060047262A (ko) 2006-05-18

Family

ID=349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84A KR20060047262A (ko) 2004-04-27 2005-04-20 촬상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35024B2 (ko)
EP (1) EP1591820A1 (ko)
JP (1) JP2005316010A (ko)
KR (1) KR20060047262A (ko)
CN (1) CN16907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52B1 (ko) * 2006-10-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09251B1 (ko) * 2006-10-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956211B1 (ko) * 2008-06-27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366B2 (ja) * 2004-04-23 2010-10-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CN100516964C (zh) * 2004-12-30 2009-07-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镜头
JP4856987B2 (ja) * 2006-03-09 2012-01-1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CN101038413B (zh) * 2006-03-14 2011-04-13 富士能株式会社 摄像透镜
JP4890943B2 (ja) 2006-05-26 2012-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010032636A (ja) * 2008-07-25 2010-02-12 Suwa Optronics:Kk 投射レンズおよび携帯電話
JP5324183B2 (ja) * 2008-10-23 2013-10-2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5316968B2 (ja) * 2011-03-28 2013-10-16 株式会社ニコン 投映レンズ及びこれを搭載する光学機器
TWM466269U (zh) * 2013-06-20 2013-11-21 Ability Opto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廣角三片式成像鏡頭組
CN103605200B (zh) * 2013-10-30 2016-03-30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
CN104181673B (zh) * 2014-08-20 2017-01-18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大光圈镜头
US9804360B2 (en) 2014-10-17 2017-10-31 Zhejiang Sunny Optics Co., Ltd. Lens assembly
CN106154496B (zh) * 2016-04-27 2018-09-25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便携式电子装置
CN109581626A (zh) * 2018-12-21 2019-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镜头及终端设备
CN110531504A (zh) * 2019-10-11 2019-12-03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095A (ja) 1993-12-16 1995-07-04 Olympus Optical Co Ltd トリプレットレンズ
JPH08234097A (ja) 1995-02-28 1996-09-13 Copal Co Ltd 光学レンズ系
JPH1048516A (ja) 1996-08-06 1998-02-20 Hinode:Kk Ccd用レンズ
JP3983855B2 (ja) 1997-07-31 2007-09-2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撮影レンズ
US6441971B2 (en) 1999-09-27 2002-08-27 Alex Ning Compact lens with external aperture stop
JP4506083B2 (ja) 2002-03-25 2010-07-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端末
EP1348990B1 (en) 2002-03-25 2006-01-11 Konica Corporation Objective composed of three lenses
US7035023B2 (en) * 2003-04-24 2006-04-25 Canon Kabushiki Kaisha Lens system
JP2005084479A (ja) 2003-09-10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ユニットおよび光学機器
JP2005084478A (ja) 2003-09-10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レンズおよび光学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52B1 (ko) * 2006-10-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09251B1 (ko) * 2006-10-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956211B1 (ko) * 2008-06-27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37633A1 (en) 2005-10-27
US7035024B2 (en) 2006-04-25
CN1690733A (zh) 2005-11-02
EP1591820A1 (en) 2005-11-02
JP2005316010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262A (ko) 촬상렌즈
CN211478747U (zh) 摄像镜头
KR100757157B1 (ko) 소형 촬상 렌즈 및 촬상 장치
CN106918893B (zh) 摄像镜头
JP5052144B2 (ja) 撮像レンズ
KR20060043736A (ko) 촬상 렌즈
US20140293445A1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lens
KR100973290B1 (ko)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CN101114045A (zh) 超小型光学系统
KR10096699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060107913A (ko)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JP6732411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0759152B1 (ko) 촬영 렌즈 시스템
US7064905B2 (en) Imaging lens
JP2008064884A (ja) 撮像レンズ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US6980369B2 (en) Zoom lens
KR20040049794A (ko) 촬상렌즈
JP2004252312A (ja) 撮像レンズ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KR10171032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US9851583B2 (en) Single focus lens and photograph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5173319A (ja) 撮像レンズ
KR20100002623A (ko) 이미지 렌즈
KR20090079635A (ko)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통신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