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411A -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411A
KR20060046411A KR1020050049676A KR20050049676A KR20060046411A KR 20060046411 A KR20060046411 A KR 20060046411A KR 1020050049676 A KR1020050049676 A KR 1020050049676A KR 20050049676 A KR20050049676 A KR 20050049676A KR 20060046411 A KR20060046411 A KR 2006004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image
image data
new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397B1 (ko
Inventor
마사히코 수기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필요한 경우에, 보다 최신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행한다.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지고 있던 경우에는, 어느 버전의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지가 화상 파일에 기록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보다 새로운 버전에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실행가능한 경우에는,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정처리회로(9)에 있어서 행해진다. 새로운 버전에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Description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도 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메모리 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화상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도 8은 적목화상이 수정된 피사체상을 표시하는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도 14는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화상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인물을 스트로보 촬영한 경우에는, 인물상의 눈이 빨갛게 되어 버리는, 소위 적목(赤目)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적목현상이 일어난 화상에 대해서는 스트로보를 사용해서 촬영하였는지의 여부, 촬상렌즈의 초점거리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적목의 화상부분을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1).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5-224271호 공보
또한, 적목의 수정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적목의 수정을 행한 경우에는 적목의 수정처리를 다시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도 있다(특허문헌2).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평11-127371호 공보
그러나, 한번 적목수정처리가 행해진 경우이여도 적목수정처리회로(프로그램)의 버전 업 등이 행해진 경우에는, 한번 행해진 적목수정처리보다 새로운 적목수정처리에 의해 더욱 좋은 적목 수정을 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적목 수정에 대표되는 화상처리에 있어서 보다 좋은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 및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의해, 상기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처리수단을 제어하는 화상처리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상처리시스템에 적합한 방법도 제공하고 있다. 즉, 이 방법은,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갱신, 개정되어 있는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의해, 상기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화상처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처리시스템에는,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화상데이터가 주어지면, 그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화상처리수단에 있어서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화상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화상처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상처리수단에 있어서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다.
이미 행해진 화상처리보다 새로운(갱신, 개정, 버전 업된)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경우에 화상처리가 행해지므로, 보다 좋은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처리가 행해지면 오래된(낮은 버전에서의) 화상처리로 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그 화상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에 화상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불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 및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새로운 화상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제어처리를 정지하도록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높은 버전에서의 화상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화상처리를 정지할 수 있게 된다.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판정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 기록 지령의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기록 지령이 입력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될 것이다.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고,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화상처리 후의 화상이 마음에 들면, 그 새로운 화상처리 후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새로운 화상처리 후의 화상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하기 전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남겨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이,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 터에 대해서 상기 판정처리를 행하는 것일 경우에, 오버라이트 모드 또는 신규보존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오버라이트 모드가 선택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영역에 오버라이트하고,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신규보존모드가 선택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하는 제 2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오버라이트 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새로운 화상처리 후의 화상데이터를, 그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기 전에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오버라이트할 수 있다. 신규보존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 및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 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제어를 정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화상처리 후의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경우에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이,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판정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신규보존모드를 설정하는 신규보존모드 설정수단, 상기 신규보존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4 판정수단, 상기 제 4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 하에 제어되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3 기록제어수단, 오버라이트 모드를 설정하는 오버라이트 모드 설정수단, 및 상기 제 4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오버라이트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오버라이트 모드가 설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영역에 오버라이트하는 제 4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기록매체에 빈 영역이 있으면, 새로운 화상처리 후의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기록매체에 빈 영역이 없으면, 오버라이트 모드가 설정됨으로써,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는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영역에,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가 오버라이트된다. 빈 영역의 유무에 관계없이,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주어지는 화상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5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판정수단이, 상기 제 5 판정수단에 의해, 주어지는 화상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될 것이다.
화상처리대상의 화상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나서 소정의 화상처리가 새로운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화상처리대상 외의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버전을 확인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는, 예컨대, 적목화상 수정처리이다. 이 경우, 상기 제 5 판정수단이,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에 대한 스트로보 촬영정보 또는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 한다.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예컨대,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가 어느 버전에서 행해지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화상처리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화상처리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화상처리의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될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는 적목화상수정, 자동계조보정,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여러가지의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는, 특히, 이들의 화상처리의 버전이 기억되어 있고, 처리대상의 화상에 대해서 동일한 화상처리가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 동일한 화상처리가 행해지고 있다고 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행할 수 있는 화상처리의 버전보다 낮은 버전에서 화상처리가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낮은 버전에서 화상처리가 행해지고 있을 경우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보다 높은 버전에서의 화상처리가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체의 동작은, 제어회로(20)에 의해 통괄된다.
제어회로(20)에는, 서로 버스 접속되어 있는 CPU(21), ROM(22) 및 RAM(23)이 포함되어 있다. ROM(22)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행해지는 화상처리의 처리내용(처리명), 그 화상처리의 버전, 그 외 필요한 데이터, 화상처리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23)은, 필요한 데이터, 메모리 카드(11)로부터 판독된 화 상 파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 모드 설정 다이얼(모드 설정 다이얼에 의해 촬영모드, 재생모드, 수정 모드 등의 각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OK버튼, 취소, 버튼, 프레임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기(13)가 포함되어 있다. 조작기(13)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는, 제어회로(20)에 입력한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인터페이스(12)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렌즈(1), 조리개(2) 및 CCD 등의 촬상소자(3)가 포함되어 있다. 렌즈 구동회로(16)에 의해 촬상렌즈(1)의 렌즈 위치가 제어된다. 또한, 조리개 구동회로(17)에 의해 조리개(2)의 개구가 제어된다. 촬상렌즈(1)에 의해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광선이 집광되고, 조리개(2)를 통해서 CCD와 같은 촬상소자(3)에 입사한다. 촬상소자 제어회로(18)에 의해 제어되는 촬상소자(3)의 수광면 상에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광상이 결상된다. 이들 렌즈 구동회로(16), 조리개 구동회로(17) 및 촬상소자 제어회로(18)는, 촬상계 제어회로(24)에 의해 제어된다.
모드 설정 다이얼(20)에 의해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촬상소자 제어회로(18)에 의해 촬상소자(3)가 제어되어,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영상신호가 촬상소자(3)로부터 출력된다. 영상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처리회로(4)에 있어서 상관 2중 샘플링 등의 아날로그 신호처리가 행해진다. 아날로그 신호처리회로(4)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5)에 있어서 디지털 화상데이터로 변환되어, 디 지털 신호처리회로(6)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처리회로(6)에 있어서, 감마 보정, 자동계조보정,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처리가 행해진다.
디지털 신호처리회로(6)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는, 메모리(7)를 통해서 표시장치(15)에 주어진다.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 상에 피사체상이 표시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이 눌려지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피사체가 다시 촬상되어,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가 얻어진다. 화상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처리회로(6)로부터 메모리(7)에 주어져,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화상데이터는, 메모리(7)로부터 판독되고, 기록/판독제어회로(14)에 의해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0)에 접속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9)에 기록된다. 필요에 따라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압축이 행해지고, 압축된 화상데이터가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모드 설정 다이얼에 의해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기록/판독제어회로(14)에 의해 메모리 카드(9)로부터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가 판독된다. 판독된 화상데이터는, 메모리(7)에 주어져,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화상데이터는, 메모리(7)로부터 판독되어, 표시장치(15)에 주어진다.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 상에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이 표시된다.
모드 설정 다이얼에 의해 수정 모드가 설정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목화상의 수정이 행해진다(물론, 얼굴화상검출 그 외의 화상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메모리 카드(11)로부터 화상데이터(화상 파일)가 판독되면, 그 화상데이터가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지고 있 을 경우에는 어느 버전에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검출처리회로(8)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이 비교되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쪽이 메모리 카드(11)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보다 높으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정처리회로(9)에 있어서 적목화상 수정처리(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다. 반대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쪽이 메모리 카드(11)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보다 낮으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정처리회로(9)에 있어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는, 표시장치(15)에 주어져,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도 2는, 메모리 카드(11)의 데이터구조의 일례이다.
메모리 카드(11)에는, 헤더 영역과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헤더 영역에는, 메모리 카드(11)에 대한 관리정보 외에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 기록되는 화상데이터의 패스,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의 빈 용량(잔여 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도 3은,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파일 구조(데이터구조)의 일례이다.
화상 파일에는, 헤더 기록영역과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는, 화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헤더 기록영역에는, 화상 파일 전체를 관리 등을 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헤더 기록영역에는, 관리정보, 수정 프로텍트, 촬영정보, 검출처리명, 수정처리명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관리정보는, 화상 파일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전에 따라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화상 파일)에 대한 적목화상수정이 행해지는 경우와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버전에 관계없이 적목화상수정을 금지한다는 취지를 설정하는 것이 수정 프로텍트이다. 수정 프로텍트가 온이면 적목화상수정은 금지되고, 수정 프로텍트가 오프이면 버전에 따라 적목화상수정이 행해지거나, 또는 행해지지 않는다. 수정 프로텍트의 초기값(적목화상수정이 한번도 행해지지 않은 경우)은, 오프로 설정되어 있다. 촬영정보는,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가 얻었을 때의 촬영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스트로보를 발광시켜 얻어진 화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스트로보 온/오프,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의 피사체 휘도, 조리개(값), 셔터 스피드, ISO 감도 등이 촬영정보에 포함된다.
검출처리명은,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진 검출처리의 명칭 및 그 검출처리의 버전이 저장되어 있다. 복수 종류의 검출처리(적목화상 검출처리, 얼굴화상 검출처리 등)가 행해지고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검출처리명이 저장된다. 동일한 종류의 검출처리가 복수회 행해지고 있을 경 우에는, 그 복수회의 검출처리의 이력이 저장되게 하여도 된다. 수정처리명은,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진 검출처리의 명칭 및 그 검출처리의 버전이 저장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수정처리(적목화상 수정처리, 자동계조보정처리,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 처리 등)이 행해지고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수정처리명이 저장된다. 동일한 종류의 수정처리가 복수회 행해지고 있을 경우에는, 그 복수회의 수정처리의 이력이 저장되게 해도 된다. 검출처리 또는 수정처리가 한번도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빈 칸으로 된다.
도 4 및 도 5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메모리 카드(11)로부터 원하는 화상 파일이 판독되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RAM(23)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RAM(23)에 기억된 화상 파일의 헤더 기록영역으로부터 수정 프로텍트가 판독되고, 수정 프로텍트가 온(적목화상수정의 금지)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수정 프로텍트가 온으로 되어 있으면(스텝31에서 예), 그 화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에 대해서는 적목화상수정은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그 후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건너뛴다. 수정 프로텍트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스텝31에서 아니오), 이제부터 행해지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파일을, 그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화상 파일에 오버라이트하는 오버라이트 모드[이 모드는,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에 각종 설정메뉴를 표시시켜, 그 각종 설정메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가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메모리 카드의 빈 영역에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32). 단, 신규보존모드의 설정을 할 수 없을 경우이여도, 오버라이트 모드가 설정되지 않는 것에 따라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다.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32), 메모리 카드(11)에 충분한 빈 용량이 없으면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 파일을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 파일을 기록할 수 있을 만큼의 빈 용량이 메모리 카드에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33). 기록할 수 있을 만큼의 빈 용량이 없을 경우에는(스텝33에서 아니오),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 파일을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오버라이트 모드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34). 물론, 메모리 카드(11)에 빈 용량이 적기 때문에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 파일을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할 수 없고, 오버라이트 모드로 변경시키는 지시가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 표시를 봄으로써, 유저는 필요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오버라이트 모드로 설정한다. 오버라이트 모드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34에서 아니오),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 파일을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할 수 없으므로,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건너뛰게 된다.
이제부터 행해지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파일을, 그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화상 파일에 오버라이트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거나(스텝32 또는 스텝34에서 예) 혹은,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 파일을 기록할 수 있을 만큼 메모리 카드(11)에 빈 용량이 있는(스텝33에서 예) 경우에는, RAM(2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헤더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정보가 판독된다. 판독된 촬영정보에 기초하여, 그 화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가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행해야 할 화상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35). 예컨대, 스트로보 온이고, 또한 피사체 휘도가 낮은 경우에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스트로보 온이더라도 피사체 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촬영정보에 기억되어 있는 피사체 휘도는, BV값이 기억되어 있으면, 그 BV값을 이용할 수 있고, 조리개(AV값), 셔터 스피드(TV값), ISO 감도(SV값) 등으로부터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노출량(EV값)=AV값+TV값=BV값+SV값].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35에서 아니오), 그 후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건너뛰게 된다.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해야 할 것으로 판정되면(스텝35에서 예), 화상 파일의 헤더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적목검출처리(검출처리명)의 버전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수정처리명)의 버전과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적목검출 처리회로(8)에 있어서 행해지는 적목검출처리의 버전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회로(9)에 있어서 행해지는 적목화상 수정처리의 버전[ROM(22)에 기억되어 있는]이 비교된다.
화상 파일에 기억되어 있는 버전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ROM(22)에 기억되어 있는 버전쪽이 낮으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행할 수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보다 새로운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이미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스텝36에서 예). 이미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보다 더욱 좋은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실행할 수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디지 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건너뛰기 된다. 화상 파일에 기억되어 있는 버전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ROM(22)에 기억되어 있는 버전쪽이 높으면(적목화상 검출처리 또는 적목화상 수정처리 중 어느 한쪽의 버전에서도 높으면), 이미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보다 새로운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스텝36에서 아니오). 이미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수정처리보다, 더욱 좋은 새로운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로 이행한다.
우선, 화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가 적목화상 검출처리회로(8)에 주어져, 보다 새로운 적목화상 검출처리가 행해진다(스텝37). 적목화상 검출처리는, 적목화상으로 상정되는 샘플 화상과 적목화상 수정처리대상의 화상의 매칭 처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지만, 어떤 검출처리로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적목화상 검출처리회로(8)에 있어서 적목화상이 검출되면, 화상데이터는 적목화상 수정처리회로(9)에 주어져, 검출된 적목화상에 대해서, 보다 최신의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진다(스텝38).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검출된 적목화상의 부분에 대해서 색보정, 휘도보정 등을 행함으로써 실현되지만, 어떠한 수정처리로도 좋다.
적목화상 수정처리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는, 메모리(7)에 주어져,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메모리(7)로부터 적목화상 수정처리 후의 화상데이터가 읽어 내져, 표시장치(15)에 주어짐으로써,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상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이 표시된다(스텝39). 메모리(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가 판독되고, RAM(2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화상데이터 기록영역에 오버라이트된다.
표시된 화상을 봐서,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을 유저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유저에 의해 취소 버튼이 눌려진다(스텝40에서 아니오).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가, 유저의 마음에 들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새롭게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이미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가 그대로 보존되게 된다.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해 OK버튼이 눌려진다(기록 지령의 입력)(스텝40에서 예).
이 이상의 적목화상 수정처리는 불필요한 것으로 유저가 생각하면, 조작기(13)로부터 수정 프로텍트가 입력된다(스텝41에서 아니오). 입력된 수정 프로텍트는, RAM(2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에 주어지고, 그 화상 파일의 헤더 기록영역의 수정 프로텍트가 온으로 된다(스텝42).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검출처리회로(8)의 버전 및 수정처리회로(9)의 버전도 화상 파일의 검출처리명 및 수정처리명에 각각 기록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적목화상 수정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새로운 화상 파일이 RAM(23)로부터 판독되고,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된다(스텝43). 오버라이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판독된 화상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새로운 화상 파일이 오버라이트되고, 오버라이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메모리 카드(11)의 빈 영역에 기록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처리의 일례로서 적목화상 수정처리에 대해 서 예를 들었지만, 얼굴검출처리, 검출된 얼굴화상에 대한 자동계조보정처리 등 그 외의 검출처리 및 보정처리 등의 화상처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검출처리와 수정처리를 각각의 처리로서 취급하고 있지만, 이들 처리와 일괄 처리로서 취급하게 해도 된다. 또한, 수정 프로텍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조작기(13)에 의해 오프할 수 있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버전을 이용해서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적목화상 검출처리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지만,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적목화상 검출처리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보다 새로운 적목화상 검출처리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면 좋다. 버전 대신에, 예컨대, 적목화상 검출처리회로(8)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회로(9)의 동작 프로그램의 갱신 날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도 8은,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의 표시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9~도 12는,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는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이 단지 표시되는 것에 대해 서(도 5 스텝39),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는 수정된 적목화상의 부분, 수정해야 할 적목화상의 부분을 프레임(프레임이 아니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 다)에서 유저에게 알리는 것이다. 어느 부분이 수정되었는지, 어느 부분이 수정될지를 한번 보고 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목화상의 검출처리(도 5 스텝37) 및 적목화상 수정처리(도 5 스텝38)가 행해지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정된 적목화상의 부분이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진 피사체상이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다(스텝51).
도 9를 참조하여, 표시화면(6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62)은 적목이 수정된 부분(63)이 포함되어 있다. 적목이 수정된 부분(63)은, 프레임(64)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적목 수정된 부분(63)이 프레임(64)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어느 부분이 적목 수정되었는지를 한번 보고 안다.
표시화면(60)의 오른쪽 위에는, 조작 윈도우(71)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 윈도우(71)에는, 「프레임: 프레임 없음」 및 「전: 수정전」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 조작 윈도우(71)로부터, 프레임(64)이 소거된 피사체상(62)을 표시화면(60)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 및 적목 수정 전의 피사체상(62)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전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을 안다. OK 버튼이 눌려짐으로써, 적목화상처리가 행해진 피사체상(62)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가 메모리 카드(11)에 기록된다. 취소 버튼이 눌려짐으로써, 새롭게 적목화상처리가 행해진 피사체상(62)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의 메모리 카드(11)에의 기록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적목화상의 수정처리가 행해진 피사체상(62)이 표시화면 (60) 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느 버튼이 눌렸는지가 확인된다(스텝52). OK 버튼이 눌려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도 5 스텝41~43) 수정 프로텍트의 입력의 확인, 수정 프로텍트의 온, 적목화상의 수정 후의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의 메모리 카드(11)에의 기록 처리가 행해진다[프레임(63) 자체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는 기록되지 않다].
이전버튼이 눌려지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목화상부분(63)이 적목 수정되기 이전의 피사체상(62)이 표시화면(60) 상에, 프레임(63)이 닿은 상태에서 표시된다(스텝53).
도 10을 참조하여, 표시화면(6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62)은 적목이 수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65)이 포함되어 있다. 적목이 수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65)은, 프레임(64)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적목화상의 부분(65)이 프레임(64)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어느 부분이 적목 수정될지를 한번 보고 안다. 표시화면(60)의 오른쪽 위에는, 조작 윈도우(72)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 윈도우(72)에는, 「프레임: 프레임 없음」 및 「다음: 수정후」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 윈도우(72)의 문자를 봄으로써, 프레임이 소거된 피사체상(62)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프레임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 적목화상의 수정 후의 피사체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다음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을 안다.
적목 수정 전의 화상이 프레임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어느 버튼이 눌렸는지가 다시 확인된다(스텝54). OK 버튼이 눌려지면, 적목화상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으로 충분한 것으로 유저가 판단했다고 생각되므로, 새로운 적목 수 정 후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는 메모리 카드(11)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메모리 카드(11)에는, 새로운 적목 수정 전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가 남아 있다. 다음 버튼이 눌려지면, 다시 적목 수정 후의 화상이 프레임과 함께 표시화면(60) 상에 표시된다(스텝51). 프레임 버튼이 눌려지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목화상수정 전의 화상이 프레임 없이 표시된다(스텝55).
프레임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목화상의 부분(65)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66)이 프레임 없이 표시화면(60) 상에 표시된다(스텝55). 표시화면(60)의 오른쪽 위에는, 조작 윈도우(73)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 윈도우(73)에는, 「프레임: 프레임 있음」 및 「다음: 수정후」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 윈도우(73)의 문자를 봄으로써, 적목화상부분(65)의 주위에 프레임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프레임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 적목화상의 수정 후의 피사체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다음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을 안다.
도 11에 나타내는 피사체상(66)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어떠한 버튼이 눌려지면, 어느 버튼이 눌려졌는지가 다시 판정된다(스텝56). OK 버튼이 눌려지면, 새로운 적목 수정 후의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목 수정 후의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하는 처리는 건너뛰게 된다. 프레임 버튼이 눌려지면, 적목 수정 전의 피사체상이 프레임과 함께 표시화면(60) 상에 다시 표시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목 수정 전의 피사체상(66)이 프레임 없이 표 시화면(60) 상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다음 버튼이 눌려졌을 때,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목 수정 후의 피사체상(62)을 프레임(64)화하여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 버튼이 눌려졌을 때에는,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목 수정 후의 피사체상이 프레임 없이 표시화면(60) 상에 표시된다(스텝57).
도 12를 참조하여, 표시화면(60)의 오른쪽 위에는 조작 윈도우(74)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 윈도우(74)에는, 「프레임: 프레임 있음」 및 「이전: 수정전」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프레임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정 후의 적목화상부분(63)의 주위에 프레임이 표시되는 것, 수정전 버튼을 누름으로써, 적목 수정 전의 피사체상이 표시화면(60)에 표시되는 것을 안다.
어느 버튼이 밀렸는지가 다시 판단된다(스텝58). OK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적목 수정 후의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메모리 카드(11)에 기록할 의사가 있으므로, 상술한 수정 프로텍트의 입력 등이 확인된다(스텝40~42). 수정전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적목화상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이 표시화면(60) 상에 표시된다(스텝55). 프레임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적목화상의 수정 후의 피사체상이 프레임과 함께 표시화면(60) 상에 표시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화면(60)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의 일례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목화상을 수정한 피사체상과 적목화상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은 동시에 동일 화면 상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적목화상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과 적목화상의 수정 후의 피사체상이 동시에 동일한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이다.
표시장치(15)의 표시화면(60)에는, 우측에 수정화상 표시영역(92)이 규정되어 있다. 표시화면(60)에 있어서, 수정화상 표시영역(92)을 제외한 영역에, 적목화상(91)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92)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다.
수정화상 표시영역(92)에는,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부분(94)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의 일부분의 화상(93)이 표시되어 있다. 이 피사체상의 일부분의 화상(93)은, 적목화상(91)의 검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적목화상(94)의 부분을 대략 중심으로 생각하고, 그 주위의 화상부분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적목화상(91)의 수정 전의 피사체상(90)과 적목화상(91)의 수정 후의 부분(94)을 동시에 표시화면(60) 상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적목화상의 수정 전후를 비교하기 쉬워진다.
표시화면(60) 상에 수정화상 표시영역(92)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처리회로(6)에 있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합성처리를 이용하면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화면(60)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의 일례이다.
표시화면(60)은, 좌우의 거의 동일한 크기의 제 1 표시영역(101)과 제 2 표시영역(104)이 규정되어 있다.
제 1 표시영역(101)에는, 적목화상(103)이 수정되기 전의 피사체상(102)이 표시되어 있다. 제 2 표시영역(104)에는, 적목화상이 수정된 화상부분(106)을 갖는 피사체상(105)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적목화상의 수정 전후의 피사체상(102와 105)을 동일 표시화면(60)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고, 적목화상의 수정 전후의 피사체상(102와 105)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방법도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처리회로(6)에 있어서의 화상합성처리를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적목 수정에 대표되는 화상처리에 있어서 보다 좋은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1)

  1.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 및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의해, 상기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처리수단을 제어하는 화상처리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불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 및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새로운 화상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제어처리를 정지하도록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판정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
    기록 지령의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기록 지령이 입력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판정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오버라이트 모드 또는 신규보존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오버라이트 모드가 선택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영역에 오버라이트하고,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신규보존모드가 선택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하는 제 2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 및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제어를 정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판정처리를 행하는 것이고,
    신규보존모드를 설정하는 신규보존모드 설정수단;
    상기 신규보존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신규보존모드가 설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4 판정수단;
    상기 제 4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 하에 제어되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소정의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3 기록제어수단;
    오버라이트 모드를 설정하는 오버라이트 모드 설정수단; 및
    상기 제 4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의 빈 영역에 기록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오버라이트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오버라이트 모드가 설정된 것에 따라서, 상기 화상처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데이터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영역에 오버라이트하는 제 4 기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5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정수단이, 상기 제 5 판정수단에 의해, 주어지는 화상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따라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가 적목화상 수정처리이고,
    상기 제 5 판정수단은,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에 대한 스트로보 촬영정보 또는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수단이,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가 어느 버전에서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화상처리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화상처리의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됨으로써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시스템.
  10.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의해, 상기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1.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고,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보다 새로운 화상처리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시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것에 의해, 상기 주어지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새로운 화상처리가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프로그램.
KR1020050049676A 2004-06-14 2005-06-10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02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4879 2004-06-14
JPJP-P-2004-00174879 2004-06-14
JPJP-P-2005-00020508 2005-01-28
JP2005020508 2005-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411A true KR20060046411A (ko) 2006-05-17
KR100702397B1 KR100702397B1 (ko) 2007-04-02

Family

ID=3548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676A KR100702397B1 (ko) 2004-06-14 2005-06-10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280717A1 (ko)
KR (1) KR100702397B1 (ko)
TW (1) TWI280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8015B2 (en) 1997-10-09 2010-06-15 Fotonation Vision Limited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7630006B2 (en) 1997-10-09 2009-12-08 Fotonation Ireland Limited Detecting red eye filter and apparatus using meta-data
US7042505B1 (en) 1997-10-09 2006-05-09 Fotonation Ireland Ltd.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7574016B2 (en) 2003-06-26 2009-08-11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8254674B2 (en) 2004-10-28 2012-08-28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Analyzing partial face regions for red-eye detection in acquired digital images
US8170294B2 (en) 2006-11-10 2012-05-01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Method of detecting redeye in a digital image
US7792970B2 (en) 2005-06-17 2010-09-07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ired connection between media devices
US7970182B2 (en) 2005-11-18 2011-06-28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Two stage detection for photographic eye artifacts
US8036458B2 (en) 2007-11-08 2011-10-11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Detecting redeye defects in digital images
US7689009B2 (en) 2005-11-18 2010-03-30 Fotonation Vision Ltd. Two stage detection for photographic eye artifacts
US7920723B2 (en) 2005-11-18 2011-04-05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Two stage detection for photographic eye artifacts
US9412007B2 (en) 2003-08-05 2016-08-09 Fotonation Limited Partial face detector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8520093B2 (en) 2003-08-05 2013-08-27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Face tracker and partial face tracker for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JP4378258B2 (ja) * 2004-10-14 2009-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71660B2 (ja) * 2005-03-31 2012-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599577B2 (en) 2005-11-18 2009-10-06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of correcting hybrid flash artifacts in digital images
JP4643715B2 (ja) 2006-02-14 2011-03-02 テセラ テクノロジーズ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赤目ではない目の閃光による不良の自動的な検知および補正
US7792355B2 (en) * 2006-03-30 2010-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DE602007012246D1 (de) 2006-06-12 2011-03-10 Tessera Tech Ireland Ltd Fortschritte bei der erweiterung der aam-techniken aus grauskalen- zu farbbildern
US7893966B2 (en) * 2006-06-30 2011-02-22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diting and use of image processing parameters in image processing
JP4222388B2 (ja) * 2006-07-10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管理装置、画像記録装置、撮像装置、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解析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55067B2 (en) 2007-01-18 2011-11-08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Color segmentation
JP2010520567A (ja) 2007-03-05 2010-06-10 フォトネーション ビジョン リミテッド 顔の位置および向きを用いた赤目の誤検出フィルタリング
US7970181B1 (en) * 2007-08-10 2011-06-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xample-based image correction
US8503818B2 (en) 2007-09-25 2013-08-06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Eye defect detection in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mages
US8212864B2 (en) 2008-01-30 2012-07-03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image acquisition data to detect and correct image defects
US8081254B2 (en) 2008-08-14 2011-12-20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In-camera based method of detecting defect eye with high accuracy
US11366254B2 (en) 2010-01-29 2022-06-21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High-efficiency wide-angle beam steering system
JP5182312B2 (ja) * 2010-03-23 2013-04-17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114239B2 (en) 2010-04-21 2018-10-30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Waveplate lens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US10197715B1 (en) 2013-03-15 2019-02-05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Methods of diffractive lens and mirror fabrication
KR101948692B1 (ko) * 2012-10-09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US10107945B2 (en) 2013-03-01 2018-10-23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Vector vortex waveplates
US10185182B2 (en) * 2013-03-03 2019-01-22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Mechanical rubbing method for fabricating cycloidal diffractive waveplates
CA2946693A1 (en) 2014-04-16 2015-10-22 David E. Roberts Methods and apparatus for human vision correction using diffractive waveplate lenses
US10191296B1 (en) 2015-06-30 2019-01-29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Laser pointer with reduced risk of eye injury
US10436957B2 (en) 2015-10-27 2019-10-08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Broadband imaging with diffractive waveplate coated mirrors and diffractive waveplate objective lens
US10423045B2 (en) 2016-11-14 2019-09-24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Electro-optical diffractive waveplate beam shaping system
US10274805B2 (en) 2017-06-13 2019-04-30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Polarization-independent switchable lens system
US11175441B1 (en) 2018-03-05 2021-11-16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Polarization-independent diffractive optical structures
US11982906B1 (en) 2018-03-05 2024-05-14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Polarization-independent diffractive optical structures
US11294240B2 (en) 2019-08-10 2022-04-05 Beam Engineering For Advanced Measurements Co. Diffractive waveplate devices that operate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271A (ja) * 1992-02-13 1993-09-03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3968837B2 (ja) 1997-10-20 2007-08-29 株式会社ニコン 赤目修正機能付きカメラ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
KR100704763B1 (ko) * 2000-03-31 2007-04-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적목 감소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101377A (ja) * 2000-09-20 2002-04-05 Olympus Optical Co Ltd ハイブリッドカメラ
US6895112B2 (en) * 2001-02-13 2005-05-17 Microsoft Corporation Red-eye detection based on red region detection with eye confirmation
US7216289B2 (en) * 2001-03-16 2007-05-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multiple versions of digital data
US7116361B2 (en) * 2001-04-30 2006-10-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Image storage queue adapted to store images according to archival status
JP4382314B2 (ja) * 2001-09-27 2009-1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007052B2 (ja) * 2002-05-07 2007-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制御データ更新装置
US7035462B2 (en) * 2002-08-29 2006-04-25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s having eye color defects
JP4298365B2 (ja) * 2003-04-25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80717A1 (en) 2005-12-22
TWI280785B (en) 2007-05-01
KR100702397B1 (ko) 2007-04-02
TW200605645A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397B1 (ko) 화상처리시스템, 그 방법 및 화상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7646415B2 (en) Image correction apparatus correcting and displaying corrected area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6906746B2 (en) Image sens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4760742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900097B1 (ko) 이미지 캡처 방법 및 이미지 캡처 장치
US20040233301A1 (en) Digital camera
US7129980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utomatic exposure control correcting method
US20080036882A1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373769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1809020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754952B2 (en) Digital camera
JP480193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60318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8970736B2 (en) Digital camera
CN102082909B (zh) 数字拍摄设备以及控制该数字拍摄设备的方法
US1180024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idle capacity from running short during consecutive photographing without increasing storage capacity of storage device that temporarily retains data, control method for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719505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11336802B2 (en) Imaging apparatus
JP4307061B2 (ja) 撮像装置
JP2005236511A (ja) 電子カメラ
US11659303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0413322C (zh) 图像处理系统及其方法
JP6604822B2 (ja) 動画処理装置
JP200712438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6127191A (ja) 画像データ補正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