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532A -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532A
KR20060045532A KR1020050028580A KR20050028580A KR20060045532A KR 20060045532 A KR20060045532 A KR 20060045532A KR 1020050028580 A KR1020050028580 A KR 1020050028580A KR 20050028580 A KR20050028580 A KR 20050028580A KR 20060045532 A KR20060045532 A KR 2006004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fuel supply
fuel
housing
suppl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568B1 (ko
Inventor
시게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쥬오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오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오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르는 연료용기에 적합하고,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 전달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연료용기에 적절한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연료공급 펌프(13)를 둘러싸며 흡인구(16)보다 하방 부위에 내측 유통 구멍(17)이 형성된 내측 하우징(14)과, 내측 유통 구멍(17)과 대향하는 동시에 흡인구(16)보다 상방이 되는 부위에 외측 유통 구멍(18)이 형성된 외측 하우징(15)을 대략 동심형으로 설치하여 연료용기(1) 내에 구비되고, 배치 중심선(L)이 수직선(P)에 대하여 기울어진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측 유통 구멍(17)과 외측 유통 구멍(18)을 양쪽에 배치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자동차에 탑재되어 전후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13)가 액화 가스를 엔진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의 이중 구조에 의해 펌프 작동소음이 차내에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화 가스, 연료공급, 하우징, 펌프, 작동소음, 연료용기

Description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LIQUIFIED GAS FUEL SUPPLY DEVICE}
도 1은 자동차 트렁크에 가로로 탑재된 상태의 연료용기(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연료용기(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연료공급 장치(12)로서, (A)는 종단면도이고, (B)는 도 2에서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연료용기(1)가 용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A)는 내측 유통 구멍(17)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외측 유통 구멍(18)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연료용기(1)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수직선(P)으로부터 배치중심선(L)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배치중심선(L)으로부터 수직선(P)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액화 석유가스(LPG) 등의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연료용기에 설치되어, 그 연료 용기 내의 액화 가스를 소정의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액화 가스용 연 료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연료에 사용되는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연료용기는 자동차 트렁크 등에 가로로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연료용기에는 액화 가스를 충전하는 충전 밸브, 그 용기 내의 액화 가스를 엔진에 공급하는 공급 관로가 접속된 배출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 밸브는 액화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나 자동차에 장착할 때 및 분리할 때 폐쇄되는 것으로, 그 외의 경우에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액화 가스를 공급 관로에 유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출 밸브는 탑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개폐 작업을 하기 쉽도록 예를 들면, 연료용기의 경사진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솔린이 연료인 자동차에 있어서는 엄격한 배기 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엔진의 연료 공급량을 엄밀히 제어하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솔린 탱크 내에는 소정량의 가솔린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 펌프가 설치되고 그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소정량이 엔진으로 통하는 공급 관로에 흐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료공급 펌프에 있어서는, 가솔린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솔린이 항상 상기 연료공급 펌프에 공급되도록, 상기 가솔린 탱크 내에 서브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 탱크 내에 배치되도록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0-301958호 공보). 이와 같이, 서브 탱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주행 중 선회하는 등으로 자동차가 기울거나, 해당 경사 방향으로 가솔린이 치우쳤을 경우에도, 서브 탱크 내에서 연료공급 펌프에 가솔린이 공급 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 펌프는 가솔린을 안정되게 엔진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액화 가스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라도 가솔린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엄격한 배기 가스 규제를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가솔린 자동차와 같이 연료 용기 내에 연료공급 펌프를 설치해 항상 소정량의 액화 가스를 엔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가솔린 자동차에서는 가솔린 탱크의 설계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대략 평면 형상의 탱크 저면을 설치하고 그 저면에 연료공급 펌프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액화 가스 연료 용기는 고압 가스 보안법에 근거해 설계된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양단 개구를 폐쇄하는 대략 반구형의 측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연료공급 펌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용기의 경사진 하부에 설치된 배출 밸브에 접속되도록 그 용기의 경사진 하부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종래의 가솔린 자동차에 적합한 서브 탱크 내에 연료공급 펌프를 배치한 구성과 같이 탱크 저부에 연료공급 펌프를 설치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가솔린 자동차용 구성을 단순히 액화 가스 연료용기에 경사지게 설치했을 경우에는 서브 탱크 내에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유입 구멍이 배치된 위치에 의해 연료 용기 내의 최소 가스량이 정해지고, 더욱이 자동차의 전후 좌우의 경사에 따라서 상기 서브 탱크 내에 잔류 가능한 액화 가스량이 크게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항상 액화 가스를 상기 연료공급 펌프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액화 가스 연료용기에 적합한 연료공급 펌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액화 가스 연료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와 대략 반구형의 측부로 구성되어 있어, 용기 내에서 발생한 소리가 비교적 공명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펌프 작동 시에 발생한 작동소음이 용기 내에서의 공명 작용에 의해 증폭되어 차내에 울리게 된다. 여기서, 액화 가스(액화 석유가스)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의 주류는 택시이며, 연료용기는 이 택시의 트렁크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런 택시에서는 뒷좌석에 탑승하는 승객에게 트렁크에 배치한 연료용기로부터 울리는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이 들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액화 가스 연료용기에 적합하고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을 충분히 소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화 가스를 흡인구로부터 흡인하여 소정의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 펌프, 상기 연료 공급 펌프를 둘러싸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보다 아래쪽 부위에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는 내측 유통 구멍이 형성된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을 둘러싸며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과 대향하며 또한 연료 공급 펌프 흡인구보다 위쪽 부위에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는 외측 유통 구멍이 형성된 외측 하우징을, 상기 내측 하우징 및 외측 하우징이 대략 동심형이 되도록 배치하여,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연료 용기 내에 구비되도록 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배치 중심선이 연료용기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직경 방향으로 배치하고,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 및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을 배치 중심선의 용기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용기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었을 경우에 연료공급 펌프를 이중으로 둘러싸는 내측 하우징 및 외측 하우징을, 외측 유통 구멍을 내측 유통 구멍에 비해 상방이 되도록 하고, 또한 외측 유통 구멍 및 내측 유통 구멍을 서로 용기 길이 방향에서 배치 중심선의 양측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외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유입된 액화 가스가 내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내측 하우징 내로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자동차가 가속 또는 감속할 경우나 선회할 경우, 또는 언덕길을 주행할 경우 등에서는 연료가 용기 내에서 전후 좌우로 이동하여 치우치거나, 차체가 전후 좌우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 내부 및 외측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액화 가스가 외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유출 될 수 있지만, 만약 유출 된다해도 내측 하우징 내의 액화 가스량이 한꺼번에 다량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 중에 차체가 기울어지거나, 연료가 용기 내에서 치우쳐도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경사 하부에 설치된 내측 하우징 내에 충분한 양의 액화 가스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액화 가스를 연료공급 펌프에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료공급 펌프가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기울어진 하부에 설치된 연료 용기라도, 상기 연료공급 펌프에 의해 액화 가스를 소정의 구동장치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연료공급 펌프를 외측 하우징 및 내측 하우징에 의해 이중으로 둘러싸고 있어,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이 연료용기 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라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로 구성된, 소리의 공명작용이 비교적 높은 연료용기라도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이 자동차의 좌석 등에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에 비해서, 내측 유통 구멍이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외측 유통 구멍이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료용기 내의 액화 가스량이 감소했을 경우, 차체가 전후 좌우로 기울었을 경우, 또는 연료가 용기 내의 전후 좌우로 치우쳤을 경우 등, 외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액화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흡인구에 내측 하우징 및 외측 하우징 내에 체류하는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유통 구멍이 흡인구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체가 전후 좌우로 비교적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에도, 해당 흡인구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유입된 액화 가스가 내측 하우징 내에 유입되기 용이하여, 흡인구에 보다 많은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나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에 비해,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외측 유통 구멍의 배치 높이에 의해, 상기 연료 용기 내의 최소 가스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 최소 가스량이 될 수 있는 한 소량이 되도록, 연료용기의 형상이나 배치 조건 등에 따라, 외측 유통 구멍과 흡인구 및 내측 유통구멍의 설치 부위를 적절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최소 가스량이 소량이 되도록 설계한 경우에도 연료 용기 내의 액화 가스를 연료공 급 펌프에 항상 공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트렁크 등에 가로로 탑재되는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와 대략 반구형의 측부로 이루어지는 연료용기에 있어서, 차체가 전후 좌우로 기울었을 경우나 연료가 용기 내의 전후 좌우로 치우친 경우(이른바,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좌우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에 의해 연료 용기 내의 액화 가스를 안정되게 소정의 구동장치(엔진)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른 형상으로 구성되는 연료용기라도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을 이중 하우징 구조에 의해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택시에 설치되었을 경우, 해당 작동소음이 차내에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는 연료공급 펌프를 액화 가스 연료용기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각각 배치 중심선보다 수직선 쪽으로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흡인구, 내측 유통 구멍, 외측 유통 구멍을 각각 보다 하방에 배치 할 수 있다. 또, 평상시의 자동차 주행보다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선방향으로부터 배치 중심선을 향하는 쪽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흡인구가 외측 유통 구멍에 비해 하방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내측 유통 구멍이 흡인구에 비해 하방에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인구는 내측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액화 가스를 보다 많이 이 용할 수 있어, 연료가 연료 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배치 중심선을 향하는 쪽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흡인구에 안정되게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상술한 작용 효과가 한층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유통 구멍에 배치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연료 용기 내의 최소 가스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자동차 트렁크에 가로로 탑재되는 연료용기는 일반적으로 트렁크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배출 밸브에 접속되는 연료공급 펌프는 자동차의 후방 하부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자동차의 발진 시나 가속 시 등과 같이 연료를 비교적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연료가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배치 중심선을 향해, 자동차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여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연료를 비교적 다량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구 내측 유통 구멍, 외측 유통 구멍의 상하 관계가 적정하게 유지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 펌프에 안정되게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구성은 자동차에 대한 적응성이 한층 뛰어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연료 공급 펌프의 흡인구를 통해서 배치 중심선에 평행한 선분보다, 그 배치 중심선 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통상 자동차 주행에 의해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 중심선으로부터 수직선 방향을 향하는 쪽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흡인구를 외측 유통 구멍에 비해 하방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용기를 트렁크에 탑재한 자동차가 감속 등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에 안정되게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 로 본 구성에 따르면, 구동장치에 대한 액화 가스의 공급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내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보다 수직선 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연료용기가 내측 유통 구멍 쪽 또는 외측 유통 구멍 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나 연료가 연료 용기 내의 좌우로 치우친 경우(소위,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측 유통 구멍 쪽 또는 외측 유통 구멍 쪽으로 이동한 경우)에 내측 하우징 내의 액화 가스를 될 수 있는 한 다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용기를 트렁크에 탑재한 자동차가 선회하여 기울어진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에 안정되게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구성에 따르면, 구동장치에 대한 액화 가스의 공급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이러한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가 배치 중심선보다,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배치된 쪽에 배치되도록 한 구성이 제안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연료용기가 외측 유통 구멍 쪽으로 비교적 심하게 기울어져 내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액화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될 수 있는 한 많은 액화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연료용기가 내측 유통 구멍 쪽으로 비교적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에는 외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액화 가스도 비교적 적고 내측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액화 가스량도 상기 외측 유통 구멍 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비해 많아지기 때문에 액화 가스의 이용량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자동차의 선회에 따라 좌우로 비교적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라도, 연료공급 펌프에 안 정적으로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트렁크의 앞 부분 위치에 가로로 탑재되는 연료용기(1)에 대해 예시한다. 이 연료용기(1)는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와, 이 몸통부(2)의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용접된 측부(3, 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이 연료용기(1)를 자동차 트렁크에 배치했을 경우에 해당 자동차 후방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2는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의 종단면도이다. 한편, 연료용기(1)에서는 액화 석유가스(LPG)를 충전 저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연료용기(1)의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에는 그 하부에 도시하지 않는 연료 충전 밸브로부터 액화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에 개방되는 충전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충전 밸브(6)는 액화 가스 충전 시를 제외하고는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이 충전 밸브(6)와 나란히,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의 하부에는 그 연료용기(1) 내에 저장된 액화 가스를 엔진(도시하지 않고)에 공급하는 공급 관(11)이 접속된 배출 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 밸브(10)는 액화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나 연료용기(1)를 자동차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등에 폐쇄되고, 그 이외에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출 밸브(10)의 연료용기(1)의 내측에는 도 2와 같이 배출 밸브(10)에 접속된 연료공급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료공급 장치(12)는 본 발명의 주요부로서, 이후에 상술한다. 또한,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의 상부에는 연료용기(1) 내에 저장되는 액화 가스량을 표시하는 액면계(7) 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연료용기(1)에는 자동차 트렁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레그(5)도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료공급 장치(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연료공급 장치(12)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화 가스를 흡인구(16)로부터 흡인하여 상기 공급관(11)에 소정량을 유출하는 연료공급 펌프(13), 이 연료공급 펌프(13)를 둘러싸는 내측 하우징(14), 이 내측 하우징(14)을 둘러싸는 외측 하우징(15)으로 구성되고,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은 대략 동심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연료공급 장치(12)는 연료공급 펌프(13)를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에 의해 이중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내측 하우징(14)에 있어서는, 표면에 연료공급 펌프(13)를 볼트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원반형의 펌프 배치 좌부(21), 연료공급 펌프(13)를 둘러싸는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측방 둘레부(22), 측방 둘레부(22)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천정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측방 둘레부(22)와 천정부(23)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있어, 측방 둘레부(22)가 이 측방 둘레부(22)의 하부 개구를 전술한 펌프 배치 좌부(21)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연료공급 펌프(13)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외측 하우징(15)에 있어서는, 연료용기(1)의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의 소정 경사 하부 위치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 대략 원환형의 설치 좌부(25), 연료용기(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 좌부(25)에 하부 개구가 접합된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측방 둘레부(26), 측방 둘레부(26)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천정 부(27), 설치 좌부(25)에 볼트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배치 좌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펌프 배치 좌부(21)는, 상기와 같이 연료공급 펌프(13)를 둘러싸는 내측 하우징(14)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로, 내측 하우징(14)의 측방 둘레부(22)를 전술한 외측 하우징(15)의 측방 둘레부(26)의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설치 좌부(25)와 밀착되게 결합된다. 즉, 펌프 배치 좌부(21)는 내측 하우징(14)의 측방 둘레부(22)의 외측에서, 외측 하우징(15)의 설치 좌부(25)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펌프 배치 좌부(21)가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의 양쪽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이 외측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측방 둘레부(26), 천정부(27), 설치 좌부(25)는 일체로 형성되어 연료용기(1)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 좌부(25)에 내측 하우징(14)을 구성한 펌프 배치 좌부(21)를 착탈 가능하며, 설치 좌부(25)와 연료 공급 펌프(13)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료공급 펌프(13)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공급 장치(12)는, 도 2와 같이 연료 용기(1)의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의 하부에 대략 동심형으로 배치된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의 배치 중심선(L)이 몸통부(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P)으로부터 약 20도 기울어진 직경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배치 중심선(L)이 기울어진 방향은 자동차 탑재 시에 후방이 되는 방향이다. 그리고, 이 연료공급 장치(12)에는 상기 배출 밸브(10)가 설치 좌부(25) 및 펌프 배치 좌부(21)를 통해 연료공급 펌프(13)와 접속되어 있어, 연료공급 펌프(13)에 의해 흡인구(16)로부터 흡인한 액화 가스를 공급관(11)에 소정 유량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공급 장치(12)의 내측 하우징(14)에는 내측 하우징(14)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내측 유통 구멍(17)이 그 측방 둘레부(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외측 하우징(15)의 측방 둘레부(26)의 하부에는 해당 하우징(15)의 내외를 연통 하는 외측 유통 구멍(1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측 유통 구멍(17)과 외측 유통 구멍(18)은 연료용기(1)의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배치 중심선(L)에 대하여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 배치되도록,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내측 유통 구멍(17)은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 방향에 대해 수직선(P) 쪽으로 약 40도로 편위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외측 유통 구멍(18)은 수직선(P) 쪽으로 약 10도 편위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공급 펌프(13)의 흡인구(16)는 배치 중심선(L)보다 수직선(P) 쪽에, 그리고 외측 유통구멍(18) 쪽이 되는 연료공급 펌프(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흡인구(16)는 수직선(P)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한편, 이 흡인구(16)를 될 수 있는 한 연료용기(1) 내의 저부 측에 배치함으로써, 내측 하우징(14)내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이용량을 늘릴 수 있다. 그리고 이 흡인구(16)에 대하여, 상기 내측 유통 구멍(17)은 하방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측 유통 구멍(18)은 상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연료공급 장치(12)에서, 흡인구(16)가 가장 수직선(P) 쪽에 있고, 내측 유통 구멍(17), 외측 유통 구멍(18)의 순서로 배치 중심선(L) 쪽이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 유통 구멍(18)의 용기 하부에 대한 높이 위치가 해당 연료용기(1)의 최소 가스량이 된다.
또, 이 연료공급 장치(12)는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한 쪽에 설치되어 있고, 외측 하우징(15)의 외측 유통 구멍(18)이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의 중심 쪽이 되도록 연료용기(1)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료공급 장치(12)는, 연료용기(1) 내에 설치됨으로써, 연료공급 펌프(13)를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에 의해 외측 하우징(15)의 외측과 구획되도록 되어 있어, 내측 유통 구멍(17) 및 외측 유통 구멍(18)을 통해 액화 가스가 유입 및 유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 장치(12)가 설치된 연료용기(1)가 전후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액화 가스(X)가 연료용기(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좌우로 이동했을 경우)에 대해, 액화 가스(X)의 상태를 도 4 및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서는, 연료용기(1) 내에 잔류하는 액화 가스(X)가 비교적 소량인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 4는 연료용기(1)를 자동차 전방(도 1의 뒤쪽 방향)으로부터 본 것이다. 한편, 자동차가 가속 또는 감속했을 때나 선회했을 때에 액화 가스(X)가 연료용기(1)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기울어지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우선, 도 4와 같이 자동차가 선회했을 때 연료용기(1)가 용기의 길이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4(A)와 같이 연료 용기(1)가 내측 유통 구멍(17)이 배치된 쪽(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액면 높이가 외측 유통 구멍(18)에 비해서 하방으로 되었을 경우에도, 내측 하우징(14) 내에 체류하는 액화 가스(X)1(및 외측 하우징(15) 내의 액화 가스(X2))의 액면 높이가 흡인구(16)보다도 높아진다. 이 때문 에, 연료공급 펌프(13)에는 충분한 액화 가스(X1)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4(B)와 같이 연료용기(1)가 외측 유통 구멍(18)이 배치된 쪽(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액면 높이가 연료공급 장치(12)에 비해서 하방으로 되었을 경우에도, 내측 하우징(14)과 외측 하우징(15) 사이의 액화 가스(X2)는 외측 유통 구멍(18)으로부터 유출된다. 그러나, 내측 하우징(14) 내의 액화 가스(X1)는 내측 유통 구멍(17)보다 하방에 존재하는 만큼 잔류하기 때문에, 내측 유통 구멍(17)에 비해서 하방으로 되는 흡인구(16)에는 액화 가스(X1)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연료용기(1)의 좌측 방향으로의 경사각이 비교적 작을 경우(도시 생략)에는 연료용기(1) 내에 있는 액화 가스(X)의 액면 높이가 외측 유통 구멍(18)보다 높아져 내측 하우징(14) 내의 액화 가스(X1)(및 외측 하우징(15) 내의 액화 가스(X2))가 충분히 유지되기 때문에, 액화 가스(X1)의 액면 높이는 흡인구(16)에 비해서 높아진다.
또한, 자동차가 언덕길을 오르는 등에 있어서, 연료용기(1)가 자동차의 후방(수직선(P)에 대하여 배치 중심선(L) 쪽)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도 5(A) 참조)에 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와 액화 가스(X)의 잔량이 대략 동일하다고 하면, 액화 가스(X)의 액면 높이가 외측 유통 구멍(18)에 비해서 높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14) 내의 액화 가스(X1)의 액면 높이는 흡인구(16)보다 높아져 있다(도시 생략). 이 때문에, 연료공급 펌프(13)에는 충분한 액화 가스(X1)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잔량이 외측 유통 구멍(18)과 대략 동일해진 경우에, 도 5(A)와 같이 연료용기(1)가 후방에 기 울어진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액면 높이가 외측 유통 구멍(18)에 대하여 약간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액화 가스(X)가 외측 유통 구멍(18)으로부터 외측 하우징(15) 내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내측 하우징(14) 내의 액화 가스(X1)(및 외측 하우징(15) 내의 액화 가스(X2))의 액면 높이가 흡인구(16)에 비해서 상방으로 된다. 따라서,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잔량이 최소 가스량에 가까운 상태에서도, 자동차가 후방에 기울어진 경우에, 발진 및 가속에 필요한 액화 가스(X)를 엔진에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자동차가 언덕길을 내려가는 등, 연료 용기(1)가 자동차의 전방(배치 중심선(L)에 대하여 수직선(P) 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도 5(B) 참조)에 있어서, 상기 좌우 경사의 경우와 액화 가스(X)의 잔량이 대략 동일하다고 하면, 경사각이 비교적 크고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액면 높이가 외측 유통 구멍(18)에 비해서 낮아졌다고 해도, 내측 하우징(14) 내의 액화 가스(X1)의 액면 높이가 흡인구(16)에 비해서 높아진다(도시 생략). 이 때문에, 연료공급 펌프(13)에는 충분한 액화 가스(X1)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B)와 같이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잔량이 외측 유통 구멍(18)과 대략 동일해졌을 경우에 연료용기(1)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도, 외측 유통 구멍(18)이 흡인구(16)를 통하여 배치 중심선(L)과 평행한 선분(도시 생략)보다 배치 중심선(L) 쪽에 있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14) 내의 액화 가스(X1)를 충분히 유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액화 가스(X1)의 액면 높이가 흡인구(16)에 비해 상방으로 된다. 따라서,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X)의 잔량이 최소 가스량에 가까운 상태에서도 자동차가 언덕길을 내려가는 등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에 발진 또는 가속 시에 필요한 액화 가스(X)를 엔진에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 장치(12)에서는, 자동차에 가로로 탑재되는 연료용기(1)에 설치된 경우에 해당 자동차가 주행 중에 전후 좌우로 기울어졌을 경우에도 해당 연료용기(1) 내의 액화 가스를 안정되게 엔진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구성은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라 설계된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2)와 측부(3, 3)로 이루어지는 연료용기(1)에 연료공급 펌프(13)를 가장 적절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 장치(12)에서는, 연료공급 펌프(13)를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에 의해 이중으로 둘러싸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료공급 펌프(13)의 작동소음이 연료용기(1) 내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라 설계된 소리의 공명 작용이 비교적 높은 액화 가스용의 연료용기(1)라도 연료공급 펌프(13)의 작동소음이 차내에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택시에서 뒷좌석에 탑승하는 승객에게 이러한 작동소음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액화 가스(X)의 연료용기(1) 내의 상태에 있어서, 연료용기(1)가 전후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를 예시로 설명했지만, 이것은 자동차가 가속 또는 감속했을 때나 선회했을 때에 액화 가스(X)가 연료용기(1) 내의 전후 좌우로 이동하여 치우친 경우에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가속 또는 감속 시나 선회 시에도 상기 본 발명의 연료공급 장치(12)에 의한 작용 효과가 적절히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공급 장치(12)에 따르면, 엔진에 대한 액화 가스의 공급량을 엄밀히 제어할 수 있는 연료공급 펌프(13)가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른 연료용기(1)에 적절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액화 석유가스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에 대해 요구되는 배기 가스 규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연료공급 장치(12)에 있어서, 내측 하우징(14) 및 외측 하우징(15)을 제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연료공급 펌프(13)에서 발생하는 작동소음의 방음성을 더욱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액화 가스를 흡인구로부터 흡인하여 소정의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연료공급 펌프, 상기 연료 공급 펌프를 둘러싸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보다 하방이 되는 부위에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내측 유통 구멍이 형성된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을 둘러싸고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과 대향하며 연료 공급 펌프 흡인구보다 상방이 되는 부위에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외측 유통 구멍이 형성된 외측 하우징을, 상기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이 대략 동심형이 되도록 배치하여,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연료용기 내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배치 중심선이 연료용기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대략 원통형인 몸통부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 측 유통 구멍과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을 배치 중심선의,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하도록 한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이기 때문에, 상기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가 설치된 연료용기가 트렁크 등에 가로로 탑재되어 있는 자동차가 주행 중에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좌우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에 의해 연료 용기 내의 액화 가스를 소정의 구동장치(엔진)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고압 가스 보안법에 따른 형상으로 구성되는 연료용기에 있어도 연료공급 펌프의 작동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이중 하우징 구조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택시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해당 작동소음이 차내에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는 연료공급 펌프를 액화 가스 연료용기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각각 배치 중심선보다 수직선 쪽으로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는, 흡인구, 내측 유통 구멍, 외측 유통 구멍을 각각 보다 하방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액화 가스의 이용 가능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좌우로 이동했을 경우에 흡인구에 안정적으로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상기 작용 효과도 한층 적절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연료용기 내의 최소 가스량을 줄일 수 있다. 또, 트렁크의 앞쪽 부위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연료용기에 있어서 자동차의 발진 또는 가속 시와 같이 연료를 비교적 다량 필요로 하는 경우( 수직선 방향으로부터 배치 중심선을 향해서 연료가 이동했을 경우)에도 본 구성에 따르면, 연료공급 펌프에 안정적으로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대한 적합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를 통해 배치 중심선과 평행한 선분보다 상기 배치 중심선 쪽으로 배치한 구성에서는,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 중심선으로부터 수직선 방향을 향해 이동한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에 안정적으로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구동장치에 대한 액화 가스 공급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이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보다 수직선 쪽으로 배치된 구성에서는, 연료가 연료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측 유통 구멍 쪽 또는 외측 유통 구멍 쪽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연료공급 펌프에 안정적으로 액화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구동장치에 대한 액화 가스공급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상기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가 배치 중심선보다,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배치된 쪽에 배치되도록 한 구성에서는, 연료용기가 외측 유통 구멍 쪽으로 비교적 심하게 기울어져 내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액화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될 수 있는 한 많은 액화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유통 구멍 쪽으로 비교적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에는, 외측 유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액화 가스도 비교적 적고, 내측 하우징 내에서 이용 가능한 액화 가스량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가 좌우로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에도, 액화 가스 연료공급 펌프에 대한 공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액화 가스를 흡인구로부터 흡인하여 소정의 구동장치에 공급하는 연료공급 펌프,
    상기 연료공급 펌프를 둘러싸며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보다 하방이 되는 부위에 상기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내측 유통 구멍이 형성된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을 둘러싸며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과 대향하는 한편,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보다 상방이 되는 부위에 상기 액화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외측 유통 구멍이 형성된 외측 하우징
    을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동심형이 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연료 용기 내에 구비하고,
    상기 내측 하우징 및 외측 하우징의 배치 중심선이 상기 연료용기를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몸통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몸통부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 및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을 상기 배치 중심선의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각각 상기 배치 중심선보다 수직선 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를 통과하여 상기 배치 중심선과 평행한 선분보다 상기 배치 중심선 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측 유통 구멍이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보다 수직선 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 펌프의 흡인구가 상기 배치 중심선보다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 유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KR1020050028580A 2004-05-28 2005-04-06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KR100682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8603 2004-05-28
JP2004158603A JP4272590B2 (ja) 2004-05-28 2004-05-28 液化ガス用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532A true KR20060045532A (ko) 2006-05-17
KR100682568B1 KR100682568B1 (ko) 2007-02-15

Family

ID=3549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580A KR100682568B1 (ko) 2004-05-28 2005-04-06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72590B2 (ko)
KR (1) KR100682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42B1 (ko) * 2007-10-18 2011-01-06 도요타 지도샤(주) 연료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341A (ja) * 1994-05-10 1995-11-21 Aichi Mach Ind Co Ltd 燃料タンクの旋回槽構造
KR0140341Y1 (ko) * 1996-09-18 1999-03-20 정몽규 연료안정공급장치
KR19980050530A (ko) * 1996-12-21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연료탱크
KR200352160Y1 (ko) 2004-03-05 2004-06-04 주식회사 위너 차량용 엘피지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42B1 (ko) * 2007-10-18 2011-01-06 도요타 지도샤(주) 연료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568B1 (ko) 2007-02-15
JP2005337147A (ja) 2005-12-08
JP4272590B2 (ja)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6433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US9102231B2 (en) Wave suppression structure for fuel tank
JP3924535B2 (ja) 燃料タンクを車両座席の間に配置した乗用車
KR100682568B1 (ko) 액화 가스용 연료공급 장치
JPS61150828A (ja)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US7100645B2 (en) Filler pipe structure
KR20060044560A (ko) 액화가스연료 저장용기
JP4589173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8261293A (ja) 自動二輪車用の下付け燃料ポンプユニット装置
JP4130033B2 (ja) 燃料供給装置のリザーブ構造
KR20100019617A (ko) 경차용 lpg 봄베
KR102586336B1 (ko) 자동차용 lpg 연료탱크의 리저버 컵 어셈블리
KR100717313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JP2006177164A (ja) 満タン規制バルブ
JP6668882B2 (ja) 添加剤容器
JP4602730B2 (ja) 車両用リザーバ装置
WO2020241231A1 (ja) 車体構造
JP5394097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および車両用燃料タンクの製造方法
JP3828103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5344719A (ja) 自動車用lpg燃料タンクの騒音防止構造
JP2003206810A (ja) 自動車用液化ガス供給装置
JP2008221913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9137454A (ja) 作業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US10161367B2 (en) Fuel shutoff structure
KR100706451B1 (ko) 자동차용 lpg 봄베시스템의 무효잔량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