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364A -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364A
KR20060045364A KR1020050027113A KR20050027113A KR20060045364A KR 20060045364 A KR20060045364 A KR 20060045364A KR 1020050027113 A KR1020050027113 A KR 1020050027113A KR 20050027113 A KR20050027113 A KR 20050027113A KR 20060045364 A KR20060045364 A KR 2006004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sheet
containing polypropylene
laminated member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토시 오가타
도시오 스즈키
구니오 조
릭 세레노
존 프레드릭
김일현
Original Assignee
오지 인터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인터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인터팩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6Live wall, e.g. interlaced tw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Abstract

성막성이 좋고, 경량이며 강성이 높고, 가열 가압시의 성형성이 우수하여 주름 등의 결함이 없고, 성형 후의 제품(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내열성도 우수하고, 또 성형 후의 치수 오차와 흡음성도 개선된 신규의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를 제공한다.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의 표리 양면에 웹 형상 핫멜트재(접착층)(2, 3)를 개재시켜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의 외표면에 내장재(8)를 붙이기 위한 웹 형상 핫멜트재(접착층)(6)를 적층하고, 다른쪽의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5)의 외표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처리재(7)를 붙여서 이루어지는 7층 구조의 적층부재(A)로 하였다.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로서 직경 0.5~5㎜, 피치 3~20㎜, 개구율 5~20%가 되도록 다수의 흡음공(10)이 뚫린 다공 시트(4, 5)를 이용하였다.
폴리우레탄 시트,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 천정재용 적층부재

Description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Laminated Member for Automobile Interior Ceiling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부재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다공 형상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확대사시도이다.
* 부호의 설명
A : 적층부재
1 :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2, 3, 6 : 접착층(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의 핫멜트재)
4, 5 : 운모를 함유하는 다공 형상의 폴리프로필렌 시트
7 : 백처리재(부직포)
8 : 통기성을 갖춘 내장재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의 내장 천정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基材)가 되는 다 층구조의 적층부재와, 그 적층부재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내장 천정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부착되어 내장 천정을 구성하기 위한 천정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유리섬유를 혼련한 것,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마 등의 천연섬유에 유리섬유를 섞어 니들펀치 가공으로 적층한 것, 혹은 폴리우레탄폼의 양면에 유리섬유 시트를 맞붙인 것 등 유리섬유를 주체로 한 부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리 섬유를 사용한 부재는 치수 안정성, 강성이나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성형 작업성이나 환경면, 재활용면 등의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앞으로의 경향으로서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는 부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나 약전(弱電) 공업재료로서, 강성,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유리섬유, 탈크나 운모 등의 무기재료를 혼입한 사출성형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출성형으로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기재를 제조한 경우, 기재의 중량이 무거워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운모를 혼련하여 압출성형한 박물(薄物)의 플라스틱 시트와 발포 폴리프로필렌과의 조합을 검토하였으나, 폴리프로필렌과 운모의 혼련수지의 압출성형품의 경우, 목표로 하는 300㎛ 이하의 박물 시트의 성막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원 출원인은 적어도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와, 이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표리 양면에 적층되는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가져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의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기재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일본특허공개 2002-12093호 (미국특허 6,655,730호) 참조).
그러나, 선(先)제안의 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기술내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검토한 바, 이하의 점에 대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선제안의 기술은 심재인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성형 후의 수축율이 크기 때문에, 이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표리 양면에 필러 함유 폴리프로피렌 시트를 붙인 적층부재를 기재로 하여 이것을 예비가열 후, 냉간압착하고,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자동차 내장 천정재를 얻은 후의 방랭(放冷)에 의한 수축 오차가 커서,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대한 부착 오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성형 후의 수축율을 미리 고려하여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대한 부착 구멍을 뚫거나, 기재를 예비가열 후, 냉간압착 성형하여 소정 시간 냉각한 후에 부착 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어, 생산효율 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또, 선제안의 기술은 플라스틱 적층재로서의 성막성, 강성, 성형성 등에 대해서 개선이 이루어져 있지만, 성형 후의 제품(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치수 안정성, 내열성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원 발명자들은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의 표리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시켜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외표면에 내장재를 붙이기 위한 접착층을 적층하고, 다른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외표면에 백처리재를 적층하여, 적어도 7층 구조로 한 적층부재를 개발하였다. 이 적층부재는 성막성, 강성, 성형성, 성형 후의 치수 안정성,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했지만, 자동차 실내의 흡음성의 점에 더욱더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성형 작업성이나 환경면, 재활용성 등을 고려하여, 발포 수지제 심재의 표리 양면에 필러 함유 수지 시트를 라미네이팅한 자동차 내장 천정용 기재를 얻을 시에,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성막성이 좋고, 경량이며 강성이 높고, 성형성이 우수하여 주름 등의 결함이 없다는 등의 선제안 기술에 따른 이점은 그대로 가지면서, 성형 후의 치수 오차나 내열성에 더하여, 흡음성도 개선된 신규의 적층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부재는 적어도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와, 이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의 표리 양면에 접착층(2, 3)을 개재시켜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대신하여, 심재로서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를 이용함으로써, 성막성이 좋고, 경량이며 강성이 높고, 예비가열 후의 냉간압착시의 성형성이 우수하여 주름 등의 결함이 없고, 성형 후의 제품(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수축성이나 내열성이 개선되어, 성형 후의 치수 오차가 적은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특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상기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가 발포 배율 15~40배, 밀도 0.067~0.025g/㎤의 반경질의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2~20㎜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가 필러를 15~40중량% 함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300㎛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함유하는 필러로서, 운모, 탈크, 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 규산나트륨, 규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세라믹화이버, 황산마그네슘, 조노틀라이트, 셀룰로오스, 우드팁, 석영, 카본블랙, 금속가루, 리그닌, 티타늄화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위스커, 아라미드섬유, 인공목재,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탄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일산화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원의 과제달성을 위해서는, 입자 지름 10~700㎛의 운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러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시험온도 230℃, 시험하중 21.18N에서의 용융유량(melt-flow-rate)이 3~40g/10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부재의 보다 바람직한 구성은,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1)의 표리 양면에 접착층(2, 3)을 개재시켜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의 표면에 내장재(8)를 붙이기 위한 접착층(6)을 적층하고, 다른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5)의 표면에 백처리재(7)를 붙여서 이루어지는 7층 구조의 적층체로서, 각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다수의 흡음공(10)을 뚫은 다공 시트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성막성, 강성, 성형성, 성형 후의 치수 오차나 내열성에 더하여, 흡음성도 개선된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로 할 수 있었다.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 뚫은 각 흡음공(10)의 직경은 0.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직경은 0.5㎜ 미만이면 흡음성의 향상효과를 얻지 못하고, 5㎜를 넘으면 적층부재의 강성이 저하되는 등의 결함이 생긴다.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 있어서, 인접하는 흡음공(10, 10) 간의 피치(P)는 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치가 3㎜ 미만이면 개구가공이 어려워지고, 20㎜를 넘으면 흡음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서의 전체 흡음공(10)의 개구율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개구율이 5% 미만이면 흡음성의 향상효과를 얻지 못하고, 20%를 넘으면 적층부재의 강성이 저하되는 등의 결함이 생긴다.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 뚫은 각 흡음공(10)의 직경, 피치, 개구율을 상술한 범위로 하면서, 적층부재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흡음성을 얻으려면, 각 흡음공(10)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층부재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흡음성을 얻으려면, 상기 각 접착층(2, 3, 6)이 웹 형상 또는 파우더 형상의 핫멜트(hot-melt)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웹 형상의 핫멜트재란, 거미줄 형상, 메쉬(mesh) 형상의 다수의 개구를 갖는 웹 시트 형상의 핫멜트재이다.
각 접착층(2, 3, 6)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중의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위면적 당의 중량 7~100g/㎡의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처리재(7)란 자동차 주행중의 진동에 따른 마찰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붙이는 재료이다. 백처리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위면적 당의 중량이 14~100g/㎡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부재는 자동차 실내측에 면하는 면의 접착층(6)의 외표면에 내장재(8)를 겹친 8층 구조의 적층체로 하고, 이 8층 구조의 적층체를 예비가열 후, 냉간압착하여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상기 7층 구조의 적층체를 예비가열하고, 그 직후에 자동차 실내측에 면하는 면의 접착층(6)의 외표면에 내장재(8)를 겹쳐 냉간압착하여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 면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품으로서의 자동차 내장 천정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내장재(8)는 부직포, 폴리우레탄 백킹(backing)재가 달린 트리코(tricot)재와 같은 통기성이 있는 내장재인 것이 흡음성 향상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부재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적층부재(A)는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의 표리 양면에 접착층(2, 3)이 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의 핫멜트재를 겹치고, 또 그 외표면에 운모를 함유한 다공 형상의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의 외표면에, 나중에 내장재(8)를 붙이기 위한 접착층(6)이 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의 핫멜트재를 적층하고, 다른쪽의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5)의 외표면에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처리재(7)를 붙여서 이루어지는 7층 구조의 적층체이다.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로서는 경질폼, 반경질폼, 연질폼이 존재하는데, 경질폼으로는 너무 단단하여 성형시에 금이 생기고, 연질폼으로는 자동차 내장 천정재로서의 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강성과 경량화의 균형을 위해서 발포배율 15~40배, 밀도 0.067~0.025g/㎤, 두께 2~20㎜로 설정된 반경질폼의 것으로 하였다.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는 시험온도 230℃, 시험하중 21.78N에서의 용융유량이 3~40g/10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입자 지름 10~700㎛의 운모를 15~40중량% 함유한 두께 100~300㎛의 다공 형상의 시트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적층부재(A)에 원하는 흡음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직경 0.5~5㎜의 다수의 흡음공(10)이 피치(P) 3~20㎜, 개구율 5~20%가 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설된 다공 시트로 함과 동시에, 접착층(2, 3)으로서 웹 형상의 핫멜트재를 이용하고, 또 내장재(8)로서 통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자동차 실내에서의 엔진음, 진동음, 그 밖의 잡음이 되는 주파수 500~6300㎐의 소리를 흡수하여, 고요한 실내환경을 얻을 수 있는 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의 적층부재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강성과 신축성 및 경량성에 의해서 적층구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20㎜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를 심재로 하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의 핫멜트재(접착층)(6)/운모를 함유한 다공 형상의 폴리프로필렌 시트(4)/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의 핫멜트재(접착층)(2)/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의 핫멜트재(접착층)(3)/운모를 함유한 다공 형상의 폴리프로필렌 시트(5)/백처리재(부직포)(7)로 이루어지는 7층 구조로 함으로써, 자동차 내장 천정재로서 요구되는 특성을 갖춘 적층체로 하였다.
이 적층체의 두께는 그 강성과 경량화의 목표에 의해서 결정된다. 통상, 상기 7층 구조의 적층부재(A)의 경우, 그 두께는 심재가 되는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의 두께에 의존하여 대략 2~20㎜가 된다. 이 두께가 2㎜ 미만이면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20㎜를 넘는 두께로 하여도 특단의 특성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본 예에 관련된 적층부재(A)는 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기재이므로, 통상, 적층부재(A)의 상태, 혹은 적층부재(A)로부터 자동차 내장 천정재를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표면측(자동차 천정의 실내측)의 최외층에 미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장재(8)가 붙여진 8층 구조의 적층체가 된다. 내장재(8)로서는 폴리에스테르제의 부직포, 폴리우레탄 백킹재가 달린 트리코재와 같은 통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적층부재(A)의 이면측(裏面側)(자동차 천정에 대한 부착면측)의 최외층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에 따른 마찰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백처리재(7)가 붙여진다. 백처리재(7)로서는 각종 제법으로 얻어진 부직포 등이 주로 채용되는데,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위면적 당의 중량이 14~100g/㎡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들 백처리재(7), 내장재(8) 이외에, 강도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등의 목적으로 별도의 보조층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적층부재(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측에 면하는 면에 핫멜트재(접착층)(6)를 개재시키고 내장재(8)가 붙여진다. 내장재(8)의 부착은 적층부재(A)를 자동차 내장 천정재로 성형할 때에 동시에 행하는 것이 효율적이 다.
즉, 내장재(8)가 없는 상태의 7층 구조의 적층부재(A)를 먼저 가열로에 넣고, 내장재(8)를 붙이는 측의 핫멜트재(6)의 표면온도가 170℃ 이상이 될 때까지 예비가열하고, 그 직후에 냉각형으로 이동시켜 내장재(8)를 적재하여 동시에 압착하여, 약 30초~50초간의 가압성형을 행하고,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의 자동차 내장 천정재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내장재(8)가 없는 상태의 7층 구조의 적층부재(A)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8)를 붙이는 측의 핫멜트재(6)의 외표면에 내장재(8)를 겹쳐 8층 구조로 하고, 핫멜트재(6)의 표면온도가 170℃ 이상이 될 때까지 가열로에서 예비가열하고, 그 직후에 냉각형으로 이동시켜 약 30초~50초간의 가압성형을 행하여, 자동차 천정판의 실내면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의 자동차 내장 천정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시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우위성을 확인한 결과에 대해서 서술한다.
(시험예 1)
두께 7㎜, 중량 240g/㎡의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를 심재로 하고, 그 표리 양면에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 핫멜트재(중량 35g/㎡)를 개재시켜 두께 250㎛의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적층하고, 자동차 천정측의 최외층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량 14g/㎡의 백처리재를 적층한 7층 구조의 적층부재를 얻었다. 이 적층부재에 대해서, 성형 후의 수축율과 내열성(내열변형량)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성형 후의 수축율)
상기 적층부재를 250㎜×250㎜로 재단하고, 이것을 예비가열용 오븐에 넣어 표면온도가 170℃가 될 때까지 약 40초 가열하고, 오븐에서 꺼내어 상하의 형(型)이 평평한 냉각형에 넣고 30초간 가압하여 시료로 하였다.
상기 냉각형의 상형 또는 하형에는 이간(離間) 치수를 200㎜로 하여 2개소에 돌기를 설치해두고, 이 냉각형으로 가압한 시료의 표면에 이들 돌기에 의한 흔적(오목부)을 2개소에 형성하였다. 이들 2개소의 흔적 위치의 시료 폭 방향과 길이 방향에 대한 변화를 가압 직후부터 소정 시간마다 측정하고, 형에 설치된 돌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료의 수축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열성)
내부온도를 100℃로 한 예비가열용 오븐 안에 좌우 2개소의 지주(支柱)를 이간 치수 245㎜로 토대 상에 세워올린 지그를 세팅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 걸쳐서 상기 적층부재를 폭 100㎜, 길이 380㎜로 재단한 시료를 좌우 균등하게 위치하도록 적재하였다. 또한, 상기 시료에서의 길이 방향 중간위치(상기 좌우 지주의 중간위치) 상에 길이 100㎜, 무게 100g의 각재(角材)로 이루어지는 추를 시료의 폭 방향에 따라 적재하고, 그 상태에서 추를 적재한 시료 중간위치부터 지그의 토대까지의 높이 치수(H)를 측정하여 기준치(H1)로 하였다.
그 후, 오븐 내의 온도를 100℃까지 높여서 방치하고, 1시간 경과 후의 상기 높이 치수(H)를 측정하여 상기 기준치와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2)
두께 4㎜, 중량 245g/㎡의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심재로 하고, 그 표리 양면에 두께 250㎛의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적층하고, 자동차 천정측의 최외층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량 14g/㎡의 백처리재를 적층한 4층 구조의 적층부재를 얻었다. 이 적층부재에 대해서, 성형 후의 수축율과 내열성(내열변형량)을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시료 측정방향 성형 직후 10분 후 1시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시험예 1 폭 방향 길이 방향 0.27% 0.25% 0.37% 0.35% 0.39% 0.37% 0.40% 0.39% 0.40% 0.39%
시험예 2 폭 방향 길이 방향 0.52% 0.52% 0.56% 0.57% 0.62% 0.61% 0.68% 0.68% 0.69% 0.69%
시료 100℃×1시간 후
시험예 1 2.5~3㎜
시험예 2 4.5~6㎜
이상의 결과에서,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의 표리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시켜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외표면에 내장재를 붙이기 위한 접착층을 적층하고, 다른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외표면에 백처리재를 적층하여, 적어도 7층 구조로 한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에 있어서의 성형 후의 수축율과 내열성의 우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ASTM E-1050에 규정된 수직입사법에 근거하여 하기 시료와 배면판과의 사이의 공기층의 틈을 0으로 하고, 내장재를 겹치는 측의 접착층측으로부터 소리를 입사하여 각 시료에서의 흡음율을 측정함과 동시에, 시험예 5에 대한 시험예 3, 4의 흡음율의 향상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3)
두께 7㎜, 중량 240g/㎡의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를 심재로 하고, 그 표리 양면에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제의 웹 형상 핫멜트재(중량 35g/㎡)를 개재시켜 두께 250㎛의 운모 함유 다공 형상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적층하고, 자동차 천정측의 최외층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중량 14g/㎡의 백처리재를 적층한 7층 구조의 적층부재를 얻었다.
운모 함유 다공 형상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 직경 1.6㎜의 흡음공을 피치 5㎜로 다수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뚫은 것을 이용하였다.
(시험예 4)
운모 함유 다공 형상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서의 흡음공의 피치가 4㎜인 것 이외에는 시험예 3과 동일한 구조의 적층부재를 이용하였다.
(시험예 5)
운모 함유 다공 형상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대신하여, 흡음공이 없는 운모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3, 4와 동일한 구조의 적층부재를 이용하였다.
시료 시험예 3 시험예 4 시험예 5
흡음공 있음 있음 없음
흡음공 직경 1.6㎜ 1.6㎜ -
흡음공 피치 5㎜ 4㎜ -
흡음공 개구율 8.0% 12.5% 0
주파수(㎐) 500 630 1000 1250 1600 2000 2500 4000 5000 6300 (흡음율) 16.6% 19.0% 31.6% 40.0% 51.4% 55.5% 54.6% 66.6% 49.7% 38.8% (향상률) 35.0% 42.9% 102.6% 121.0% 127.4% 138.2% 137.4% 228.1% 107.1% 63.0% (흡음율) 15.3% 17.9% 28.6% 44.5% 52.3% 63.2% 65.9% 73.6% 56.8% 44.3% (향상률) 24.4% 34.6% 83.3% 145.9% 131.4% 171.2% 186.5% 262.6% 136.7% 86.1% (흡음율) 12.3% 13.3% 15.6% 18.1% 22.6% 23.3% 23.0% 20.3% 24.0% 23.8%
이상의 결과에서,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의 표리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시켜 필러 함유 다공 형상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외표면에 내장재를 붙이기 위한 접착층을 적층하고, 다른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외표면에 백처리재를 적층하여, 적어도 7층 구조로 하고, 또 각각의 접착층을 웹 형상 또는 파우더 형상의 핫멜트재로 한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에서의 흡음성 개선의 우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부재는 이상 설명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박물 시트로서의 성막성이 좋고, 경량이며, 또 충분한 강성을 갖고, 예비가열 후의 냉간압착시의 성형성이 우수하여 주름 등의 결함이없고, 성형 후의 제품(자동차 내장 천정재)의 수축성이나 내열성이 개선되어, 성형 후의 치수 오차가 적은 제품(자동차 내장 천정재)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 다수의 흡음공을 뚫은 다공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흡음성도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고, 자동차 실내의 환경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의 표리(表裏) 양면에 접착층(2, 3)을 개재시켜 필러(filler)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를 적층함과 동시에, 한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의 외표면에 내장재(8)를 붙이기 위한 접착층(6)을 적층하고, 다른쪽의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5)의 외표면에 백(back)처리재(7)를 적층하여, 적어도 7층 구조로 한 적층부재로서,
    상기 각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가 다수의 흡음공(吸音孔)(10)을 뚫은 다공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 뚫은 각 흡음공(10)의 직경이 0.5~5㎜임과 동시에, 인접하는 흡음공(10, 10) 간의 피치(P)가 8~20㎜,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서의 전체 흡음공(10)의 개구율이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러 함유 폴리프로필렌 시트(4, 5)에 뚫은 각 흡음공(10)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1)가 발포배율 15~40배, 밀도 0.067~0.025g/㎤의 반경질의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2~20㎜의 시트 인 적층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6)의 외표면에 내장재(8)를 겹쳐 8층 구조로 한 적층부재.
  6. 제1항에 기재된 적층부재를 자동차 천정판(天井板)의 실내면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내장 천정재.
KR1020050027113A 2004-09-17 2005-03-31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KR20060045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70810 2004-09-17
JP2004270810A JP4384573B2 (ja) 2004-09-17 2004-09-17 自動車内装天井材用の積層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64A true KR20060045364A (ko) 2006-05-17

Family

ID=3616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113A KR20060045364A (ko) 2004-09-17 2005-03-31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84573B2 (ko)
KR (1) KR200600453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6B1 (ko) * 2006-08-23 2007-11-29 한양소재 주식회사 경량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8117B1 (ko) * 2007-07-16 2008-02-2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천정재 펠트의 제조방법
KR101283015B1 (ko) * 2010-08-23 2013-07-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KR20150081233A (ko) 2014-01-03 2015-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고내열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633A (ko) 2015-07-03 2017-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고내열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1030A (ko) * 2017-04-28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성과 강성이 우수한 자동차 언더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227A (ja) * 2008-03-25 2009-10-08 Kumi Kasei Kk 吸音材および車両の吸音構造
CN103538329B (zh) * 2013-08-26 2015-08-19 张家港长泰汽车饰件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顶篷用聚氨酯多层复合板的生产方法
JP6464412B2 (ja) * 2015-04-08 2019-02-06 平岡織染株式会社 吸音不燃シート
CN106394424A (zh) * 2016-11-03 2017-02-15 江苏昊晟塑业科技有限公司 汽车顶棚吸声板
JP6581230B2 (ja) * 2018-03-08 2019-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組付け体
KR102629416B1 (ko) * 2023-01-19 2024-01-26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난연성 및 자기소화성 폴리우레탄 폼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6B1 (ko) * 2006-08-23 2007-11-29 한양소재 주식회사 경량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8117B1 (ko) * 2007-07-16 2008-02-2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천정재 펠트의 제조방법
KR101283015B1 (ko) * 2010-08-23 2013-07-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KR20150081233A (ko) 2014-01-03 2015-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고내열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E112014006101B4 (de) 2014-01-03 2023-06-22 Automobile Industrial Ace Heckverkleidung für ein Fahrzeug enthaltend ein sehr wärmebeständiges Verbundmaterial mit ausgezeichneter Formbarkei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KR20170004633A (ko) 2015-07-03 2017-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고내열성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1030A (ko) * 2017-04-28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성과 강성이 우수한 자동차 언더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82456A (ja) 2006-03-30
JP4384573B2 (ja)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5364A (ko)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KR20060045363A (ko)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US7410030B2 (en) Soundproofing material for vehicle
CN102164778B (zh) 汽车用前隔板绝缘体及其制造方法
US7857934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structural polymer core assembly
CN101784418B (zh) 具有改进的声学性能的复合顶蓬
KR20110039216A (ko) 흡음 재료 및 흡음 재료 제조 방법
WO1996013377A1 (en) Self-supporting impact resistant laminate
US20060013996A1 (en) Laminated surface skin material and laminate for interior material
KR101655615B1 (ko)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JP2010036675A (ja) 車両用軽量多層構造防音材
WO2020194788A1 (ja) 積層吸音材
JP3247629B2 (ja) 自動車用内装材
KR102228540B1 (ko)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7655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68824B1 (ko) 기능성 다층 압출시이트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기능성 다층 압출시이트
KR101980336B1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복합소재
KR20140131120A (ko) 방수기능을 갖는 고강성 자동차용 루프 패널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10153B1 (ko) 자동차 엔진커버 또는 엔진언더플로어용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9859A (ko) 저중량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차음코팅을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및 그 제조방법
JP7467038B2 (ja) 車両用天井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3169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車両用内装品及び車両用内装品の製造方法
KR101293470B1 (ko) 차량용 방음재
KR20180060700A (ko) 흡음 성능이 개선되고 경량화된 패키지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42042A (ko) 단일소재를 이용한 전기차량용 트렁크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