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015B1 -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015B1
KR101283015B1 KR20100081475A KR20100081475A KR101283015B1 KR 101283015 B1 KR101283015 B1 KR 101283015B1 KR 20100081475 A KR20100081475 A KR 20100081475A KR 20100081475 A KR20100081475 A KR 20100081475A KR 101283015 B1 KR101283015 B1 KR 10128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ayer
sound insulation
absorbing layer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553A (ko
Inventor
최재영
이기동
이원구
조진호
유종남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2010008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0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01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흡음층, 전술한 제1흡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필름층, 전술한 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차음층 및 전술한 차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흡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는 차음층을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차음효과가 우수하며, 차음재의 중량이 줄어들고, 제조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SOUND-INSULATION FOR VEHICLE INTERIOR}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자동차의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 내장용 차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자동차의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 내장용 차음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주행하는 도중 엔진으로부터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음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침투하게 되거나, 차체나 차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소음은 운전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본네트의 내측면 또는 차량의 내장재에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차음재가 적용된다.
종래에 차음재는 폴리우레탄의 일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나 열가소성플라스틱엘라스토머를 적용한후에 폴리에스터 계열의 펠트를 추가로 적층하여 형성된 차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차음재는 열가소성플라스틱엘라스토머가 차음재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떨어지고, 차음재의 흡음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음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중량이 가벼우며, 작업효율성이 높은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음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 흡음층의 상부면에 차음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흡음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흡음층, 상기 제1흡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필름층, 상기 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차음층 및 상기 차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흡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음층은 상기 필름층의 상부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차음층의 면적은 상기 필름층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흡음층은 폴리우레탄 또는 잡섬유 펠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흡음층은 10 내지 20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900 내지 2200g/m2의 면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4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음층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1500 내지 35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흡음층은 잡섬유펠트, 레진펠트 및 폴리에스테 계열 펠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흡음층은 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500 내지 12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는 차음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중량이 가벼우며,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흡음성이 우수한 재료의 상부면에 차음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흡음성이 우수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구성하는 차음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는 제1흡음층(10), 전술한 제1흡음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필름층(20), 전술한 필름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차음층(30) 및 전술한 차음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흡음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흡음층(10)은 폴리우레탄 또는 잡섬유 펠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900 내지 2200g/m2의 면밀도를 나타내고, 10 내지 20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잡섬유 펠트는 모섬유, 마섬유, 면섬유 및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펠트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전술한 필름층(20)은 전술한 제1흡음층(10)의 상부면에 4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필름층(20)은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의 차음효과를 증대시키며, 전술한 차음층(30)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 성형성을 향상시키며 성형과정에서 전술한 제1흡음층(10)을 구성하는 소재로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폴리우레탄이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차음층(30)은 전술한 제1흡음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전술한 차음층(30)의 면적은 전술한 필름층(2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차음층(30)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1500 내지 35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차음층(30)은 전술한 제1흡음층(10)을 통과한 소음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때, 전술한 차음층(30)을 구성하는 소재중 하나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나, 폴리우레탄 기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기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흡음층(40)은 전술한 차음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잡섬유 펠트, 레진펠트 및 폴리에스터 계열 펠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제1흡음층(10)을 통과한 소음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제2흡음층(40)은 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500 내지 12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는데, 이때, 전술한 잡섬유는 모섬유, 마섬유, 면섬유 및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펠트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의 흡음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가 20 밀리미터이며, 면밀도가 1700g/m2인 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 50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의 폴리아마이드 필름을 형성하고, 폴리아마이드 필름의 상부면에 폴리아마이드필름 면적에 80% 크기를 가지며, 면밀도가 2300g/m2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1.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하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상부면에 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800g/m2의 면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트를 형성하여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폴리아마이드 필름의 상부면에 폴리아마이드 필름 면적에 70% 크기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형성하여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폴리아마이드 필름의 상부면에 폴리아마이드 필름 면적에 60% 크기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형성하여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면밀도가 1700g/m2인 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 50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의 폴리아마이드 필름을 형성하고, 폴리아마이드 필름의 상부면에 폴리아마이드 필름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면밀도가 2300g/m2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1.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하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상부면에 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800g/m2의 면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트를 형성하여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의 감음계수(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감음계수는 1/3 옥타브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Hz, 500Hz, 1000Hz, 2000Hz에서의 흠음률 산술평균치이다. 감음계수=1/4(α25050010002000)}
<표 1>
Figure 112012044602058-pat00005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차음층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의 감음계수는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의 주파수에 따른 흡음성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는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에 비해 대부분의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흡음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제1흡음층
20 ; 필름층
30 ; 차음층
40 ; 제2흡음층

Claims (8)

  1. 잡섬유 펠트로 이루어진 제1흡음층;
    상기 제1흡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필름층;
    상기 필름층의 상부면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1500 내지 35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는 차음층; 및
    상기 차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흡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음층은 상기 필름층의 상부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차음층의 면적은 상기 필름층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필름층은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4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2흡음층은 5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500 내지 1200g/m2의 면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흡음층은 10 내지 20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900 내지 2200g/m2의 면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흡음층은 잡섬유펠트, 레진펠트 및 폴리에스테 계열 펠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8. 삭제
KR20100081475A 2010-08-23 2010-08-23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KR10128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475A KR101283015B1 (ko) 2010-08-23 2010-08-23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475A KR101283015B1 (ko) 2010-08-23 2010-08-23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3A KR20120018553A (ko) 2012-03-05
KR101283015B1 true KR101283015B1 (ko) 2013-07-05

Family

ID=4612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1475A KR101283015B1 (ko) 2010-08-23 2010-08-23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320B1 (ko) * 2013-07-16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재,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364A (ko) * 2004-09-17 2006-05-17 오지 인터팩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KR20090073718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펠저 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364A (ko) * 2004-09-17 2006-05-17 오지 인터팩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KR20090073718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펠저 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3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214C1 (ru) Деталь отделки салона автомобиля, ослабляющая шум
US7690480B2 (en) Soundproof material
RU2606651C2 (ru) Система звукоизоляци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767209B2 (ja) 防音カバー
KR101550234B1 (ko) 차음 및 흡음을 위한 자동차 트림 부품
KR101624256B1 (ko) 자동차 방음 트림 부품
WO2015198586A1 (ja) 防音材、及び防音カバーの製造方法
JP2010076756A (ja) 自動車用の薄膜を有する防音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自動車
KR20180003659A (ko) 자동차용 대시 인슐레이션 패드
KR20140131630A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3015B1 (ko)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KR20030008138A (ko) 자동차용 흡음타입 방음재
US20110285178A1 (en) Acoustically absorptive vehicle headliner
US7931951B2 (en) Carpe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60159295A1 (en) Hood insulator including a non-woven fabric and a fine resonance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012561A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
JP3701010B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
KR100916279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0889848B1 (ko) 자동차용 차음재
KR20140001104U (ko) 자동차용 대쉬 패널의 대쉬 인슐레이션 패드
KR101205092B1 (ko) 차량용 휠가드의 제조방법
US20070154682A1 (en) Molded sound absorber with increased surface area
KR20210099703A (ko) 적층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흡음재
KR100989171B1 (ko) 차량용 방진방음재
Lee et al. A study for improving the acoustic performance of dash isolation pad using hollow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