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718A - 자동차용 흡차음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차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718A
KR20090073718A KR1020070141739A KR20070141739A KR20090073718A KR 20090073718 A KR20090073718 A KR 20090073718A KR 1020070141739 A KR1020070141739 A KR 1020070141739A KR 20070141739 A KR20070141739 A KR 20070141739A KR 20090073718 A KR20090073718 A KR 2009007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urface layer
layer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279B1 (ko
Inventor
강병하
Original Assignee
한국펠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펠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펠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2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하는 흡차음재의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음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흡차음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상기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과; 상기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흡차음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차음층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진다.
자동차, 흡차음재

Description

자동차용 흡차음재 { A SOUND ABSORBING AND INSULATING MATERIAL FOR AUTOMOBILE }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하는 도중 엔진으로부터 소음, 진동 및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특히 소음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하여 내부로 침투하는 한편, 차체나 차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된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은 차량의 실내로 침투한 소음으로부터 피해를 받게 되고, 차량의 외부의 사람 또한 엔진으로부터 누출된 소음에 의해 피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후드의 내측면 또는 차량의 내부 패널에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하는 흡차음재를 부착한다.
이러한 흡차음재는 비중이 무거운 고무종류인 헤비레이어(HEAVY LAYER)를 재료로 한 제품이나, 비중이 가볍고 내부에 많은 기포구멍을 함유하도록 제조된 폴리 우레탄폼(POLYURETAHNE FORM)이 주로 사용된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제 1 표면층(10), 흡차음층(20) 및 제 2 표면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표면층(10) 및 상기 제 2 표면층(30)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표면층(10)과 상기 제 2 표면층(30) 사이에 형성된 상기 흡차음층(20)은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시킨 형태로 형성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자동차 후드의 내측면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자동차 내부의 패널에 접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차음재는 자동차 엔진과 같은 소음원으로부터 전달된 소음의 일부를 반사시켜 외부로 보내고, 일부는 감쇄 소멸시켜 방음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종래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비중이 낮아 연비에는 좋지만 강도가 낮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음성은 좋으나 차음기능이 낮아 전체적인 방음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되어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하는 흡차음재의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음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흡차음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과; 상기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흡차음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차음층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표면층 및 상기 제 2 표면층의 밀도는 상기 흡차음층의 밀도보다 크다.
상기 제 1 표면층과 흡차음층 및 상기 제 2 표면층과 흡차음층은 니들펀칭 결합 된다.
상기 제 1 표면층 또는 제 2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 사이에는 접착필름이 배치된다.
상기 접착필름의 녹는점은 상기 제 1 표면층, 제 2 표면층 및 흡차음층의 녹는점보다 낮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표면층과 상기 제 2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흡차음층을 폴리에스테르섬유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차음재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이고 방음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표면층 및 상기 제 2 표면층을 상기 흡차음층보다 밀도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차음기능을 향상시키고, 분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 또는 상기 제 2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을 니들펀칭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의 결합력을 항상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 사이에 접착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2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이 결합되게 한다.
상기 접착필름의 녹는점이 낮아 상기 제 1 표면층 또는 상기 제 2 표면층이 상기 흡차음층에 쉽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단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제 1 표면층(100), 흡차음층(200), 접착필름(300) 및 제 2 표면층(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상기 제 1 표면층(100)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며, 300g/㎡의 단위중량을 갖는다.
상기 제 1 표면층(100)은 폴리에스테르섬유를 높은 밀도로 압축하여 단단하게 형성되지만 두께는 상기 흡차음층(200) 보다 얇게 형성된다.
위와 같이 단단하게 형성된 제 1 표면층(100)은 흡음기능보다는 차음기능이 더 강하다.
또한, 밀도가 높은 상기 제 1 표면층(100)은 상기 흡차음층(2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제 1 표면층(100)의 하단에는 상기 흡차음층(200)이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흡차음층(200)은 상기 제 1 표면층(100)과 같이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제 1 표면층(100)보다 밀도는 낮다.
흡차음층(200)의 단위중량은 약 600g/㎡ 정도이며, 상기 제 1 표면층(10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표면층(100)보다 밀도가 낮은 상기 흡차음층(200)은 스폰지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많이 함유되어있어 차음기능 보다는 흡읍기능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진 상기 흡차음층(200) 및 상기 제 1 표면층(100)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니들펀칭결합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흡차음층(200)과 상기 제 1 표면층(100)을 같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니들펀칭결함은 고리형상의 바늘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섬유사를 서로 엉키게 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 1 표면층(100)과 상기 흡차음층(200) 사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차음층(200)의 하단에는 상기 접착필름(300)과 상기 제 2 표면층(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제 2 표면층(400)은 상기 제 1 표면층(100)과 같이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사용되며, 약 300g/㎡의 단위중량을 갖는다.
상기 제 2 표면층(400)은 폴리에스테르섬유를 높은 밀도로 압축하여 단단하게 형성되지만 두께는 상기 흡차음층(200)보다 얇다.
위와 같이 단단하게 형성된 제 2 표면층(400)은 흡음기능보다는 차음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밀도가 높은 상기 제 2 표면층(400)은 폴리에스테르섬유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기능도 한다.
한편, 상기 접착필름(300)은 상기 흡차음재와 상기 제 2 표면층(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필름(300) 가열시 융해되어 상기 흡차음층(200)과 상기 제 2 표면층(400)이 접착되게 한다.
물론 상기 흡차음층(200)과 상기 제 2 표면층(400)을 니들펀칭결합 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필름(300)으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접착필름(300)은 상기 제 1 표면층(100)과 상기 흡차음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 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필름(300)이 삽입된 상기 흡차음층(200)과 상기 제 2 표면층(400)은 가열된 롤러를 통과하면서 접착된다.
위와 같이 롤러를 사용하면 골고루 열이 잘 전달될 뿐만 아니라 두께조절도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접착필름(300)은 상기 제 1 표면층(100), 상기 흡차음재 및 상기 제 2 표면층(400)보다 녹는점을 낮게 구성하여 상기 접착필름(300)의 가열시 상기 제 1 표면층(100), 상기 흡차음재 및 상기 제 2 표면층(4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자동차 후드 등에 부착되어 엔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표면층(100) 및 상기 제 2 표면층(400)은 일차적으로 소음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 1 표면층(100)에서 차단되지 못한 소음은 상기 흡차음재를 통과하면서 흡수된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섬유로 형성된 상기 흡차음재는 차음과 흡음 기능을 같이 수행하여 기존대비 약 20%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인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상기 제 1 표면층(100)과 상기 제2 표면층을 비롯하여 상기 흡차음재를 모두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설치 부분에 따라 여러 윤곽형태로 형성되는데, 강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상기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그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진 상기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거의 100% 재활용이 가능하며, 환경유해 물질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자동차용 흡차음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흡차음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표면층, 200 : 흡차음층,
300 : 접착필름, 400 : 제 2 표면층,

Claims (5)

  1.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과;
    상기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흡차음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차음층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층과 제 2 표면층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표면층 및 제 2 표면층의 밀도는 상기 흡차음층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층과 흡차음층 및 상기 제 2 표면층과 흡차음층은 니들펀칭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층 또는 제 2 표면층과 상기 흡차음층 사이에는 접착필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의 녹는점은 상기 제 1 표면층, 제 2 표면층 및 흡차음층의 녹는점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20070141739A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091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39A KR100916279B1 (ko)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39A KR100916279B1 (ko)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718A true KR20090073718A (ko) 2009-07-03
KR100916279B1 KR100916279B1 (ko) 2009-09-10

Family

ID=4133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739A KR100916279B1 (ko) 2007-12-31 2007-12-31 자동차용 흡차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15B1 (ko) * 2010-08-23 2013-07-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KR20160076205A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자동차 내장 트림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56B1 (ko) 2014-09-18 2016-07-1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흡차음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570A (ja) 1997-07-03 1999-01-2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内装材
KR200251584Y1 (ko) * 2001-07-11 2001-11-17 주식회사 만호 차량용 인슐레이션의 복합재료
KR100588757B1 (ko) * 2004-05-25 2006-06-14 (주) 화인테크놀리지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의 폴리에스터 섬유 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677B1 (ko) * 2006-10-12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직 배열 구조를 가진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15B1 (ko) * 2010-08-23 2013-07-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차음재
KR20160076205A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자동차 내장 트림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279B1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622B1 (ko) 방음 커버, 그 제조 방법 및 방음 방법
RU2606651C2 (ru) Система звукоизоляци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60201741A1 (en) Ultralight soundproof material
ZA200507678B (en) Ultra-light sound insulator
KR20050018664A (ko) 밀도구배 패딩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383135A (zh) 具有透气性的多层吸音隔音材料
EP2484826A1 (en)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vehic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07515339A (ja) 特に自動車用の多層音波吸収軽量部材
JP2010234991A (ja) 車両用防音材
JP2004528222A (ja) ボンネットライナ、ダッシュボードライナ、防火壁ライナ又はエンジンカバーライナ
KR100916279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0874262B1 (ko) 잡사 펠트를 이용한 pet 흡음재
CN202115033U (zh) 一种隔音无纺布复合材料
JP2007176474A (ja) 外装材
KR20110129040A (ko) 자동차의 대쉬 판넬 흡차음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8138A (ko) 자동차용 흡음타입 방음재
JP2000238157A (ja) 吸音体構造
JP2014006297A (ja) 遮音吸着材料
JP3264230B2 (ja) 車両用内装材
KR20190073714A (ko)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JP2008184078A (ja) 車両用吸音・遮音カーペット
JP2019207274A (ja) 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01010B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
KR100889853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