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727A -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727A
KR20060044727A KR1020050024791A KR20050024791A KR20060044727A KR 20060044727 A KR20060044727 A KR 20060044727A KR 1020050024791 A KR1020050024791 A KR 1020050024791A KR 20050024791 A KR20050024791 A KR 20050024791A KR 20060044727 A KR20060044727 A KR 2006004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oving unit
winch
concrete
horizonta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욱 filed Critical 김지욱
Priority to PCT/KR2005/00285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25679A1/en
Publication of KR2006004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2Self-hois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0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characterised by the in situ moulding of large parts of a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2001/3588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using special lifting or handling devices, e.g. gantries, overhead conveying rail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시공에 드는 인력, 비용, 시간을 절감하여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좌ㆍ우 대칭인 건축물의 시공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 수평 이동부, 수직 이동부,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Description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Construc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건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건축 장치를 각 방향에서 본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3은 도 1a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1a의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고정부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a의 건축 장치의 실행부의 일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b는 도 1a의 건축 장치에 이용되는 거푸집의 일실시례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및 사시도.
도 7의 a,b,c는 도 1a의 이용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상면 패널 지지부의 일실시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 내지 도 16은 도 1a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골구조 200 : 수평 이동부
210 : 레일 220 : 바퀴
240 : 윈치 300 : 수평 이동부
310 : 고정부 331 : 브라켓
333 : 체결부재 336 : 걸림고리
510 : 천정면 530 : 측벽
610 : 내측 패널 630 : 외측 패널
650 : 상면 패널
본 발명은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좌ㆍ우 대칭인 경향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및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종래에는 많은 인력, 비용, 시간이 소비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시공에 드는 인력, 비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급 및 수요 창출에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좌, 우 대칭인 콘크리트 및 조립식 구조물 등의 시공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는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철골구조;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재 등을 상기 철골구조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철골구조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상기 철골구조를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승, 하강, 또는 고정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 상기 한쌍의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윈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윈치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건축물에 부착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건축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걸림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 수직 이동부 및 상, 하기 본 발명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 크기, 형태, 개수, 구조, 소재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일부 구조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건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의 건축 장치를 각 방향에서 본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 장치의 철골구조(100)에는 수평 이동부(200)와 수직 이동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철골구조(100)는 다수의 철근(110)이 용접으로 조립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11) 및 너트(112)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며,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5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구조이다.
시공에 있어 상기 철골구조(100)에는 작업 공간 확보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 안정된 고정을 목적으로 브라켓(bracket), 비계(scaffolding system), 클램프(clamp), 철골작업대, 안전발판(safety temporary equipment), 합판(pay wood & woo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200)는 철골구조(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재 등을 철골구조(1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역할을 하며, 레일(210)과 바퀴(220a)와 윈치(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일(210)은 철골구조(100) 상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철골구조(100) 상단에 형성된다.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레일(210) 위를 각각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220a)는 연결봉(230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230a)에는 필요에 따른 개수의 윈치가 구비되며, 본 실시례에서는 한쌍의 윈치(240)가 구비되어 있다.
윈치(240)에는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해 연결봉(230a)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크레인과 같은 윈치의 응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윈치(240)에는 와이어(241)가 권취되어 있으며, 와이어(241)의 끝단에는 이동하고자 하는 해당 자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고리(243) 또는 해당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윈치(240)가 구비된 연결봉(230a,230c)은 필요에 따른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240) 및 연결봉(230a,230c)이 다수개로 구성될 경우 전체 또는 일부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의상 윈치(240)가 구비된 연결봉(230a)이 한개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철골구조(100)를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대해 상승, 하강, 또는 고정시키는 수직 이동부(300)는 철골구조(100) 측면에 설치된다.
수직 이동부(300)는 바람직하게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다수개로 구성될 경우 서로 연동하여 사용되거나 각각 동작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수직 이동부(300)는 윈치(310)이며, 윈치(310)에 권치된 와이어(311)의 끝단에는 고정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33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윈치(310)에 권취된 와이어(311)의 끝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실시례로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331)과 체결부재(333)와 걸림고리(336)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331)의 형상은 본 명세서의 도 4a 상에서는 'ㄷ'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ㄱ' 형상 등 실시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라켓(331)은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천정면(510) 또는 바닥면 또는 측벽에 부착되며, 삽입공(33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공(332)에는 볼트(334) 등의 체결부재(333)가 체결된다. 이에 있어 볼트(334)가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천정면(510) 또는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하고, 볼트(334)의 일단에는 너트(355)가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331a)이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330)의 다른 실시례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331a)의 삽입공(332a)에 한쌍의 볼트(333a)를 체결하고, 한쌍의 볼트(333a) 하면이 천정면(510)의 상·하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브라켓(331a)이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331,331a)에는 걸림고리(336,336a)가 구비되어, 윈치(310)의 와이어(311)의 끝단이 걸림고리(336,336a)에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수직 이동부(300)가 다수개 일 경우 다수개인 윈치(240)의 고정부(330,330a)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의 천정면(510) 또는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행부는 실시례에 따라 조정부, 컨트롤장치, 단말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실행부의 일실시례로서, 조정부는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수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 및 상기 제어에 필요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좌, 우, 전, 후진, 360°회전 등의 이동이 필요할 경우 이에 필요한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행부의 다른 실시례로서, 컨트롤 장치(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수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내, 외장 또는 독립된 형태로 제작되어 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행부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단말장치는 유, 무선으로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수동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노트북, PDA, 휴대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유, 무선 통신 및 인터넷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는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체계, 유ㆍ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철골구조(100),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 (300) 및 해당 자재의 위치,상태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액정화면ㆍ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이에 있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센서, 카메라 등의 영상장치가 철골구조(100), 수평 이동부(200), 수직 이동부(300) 및 해당 자재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마우스ㆍ키보드ㆍ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 HDDㆍCD-ROM 등의 저장장치, 유ㆍ무선으로 해당 제어 내용을 해당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 센서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좌표처리장치,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데이터의 입ㆍ출력을 명령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구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 제어데이터의 수정이 가능한 제어프로그램 관리부 등으로 구성된다.
출력장치는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정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일례로 수평 이동부(200)를 통해 해당 자재를 이동시킬 경우 해당 자재의 위치 및 해당 자재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 등을 영상데이터로 출력, 작업에 있어 필요한 내용을 확인,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있어 상, 하기 해당 구조 및 자재에 상기 필요에 따른 센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좌표처리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구조 및 자재의 x, y, z축 상의 좌표값을 분석ㆍ처리하여 해당 자재의 위치를 평가하고, 제어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제어프로그램은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으로 제어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 관리부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편집, 수정, 복구 등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다.
제어데이터는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시공 절차 및 방법,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 등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이다. 일례로 수평 이동부(200)에 의한 자재 운반에 있어서 해당 자재가 설치될 해당 위치 및 이의 이동 방법 등 작업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제어데이터에 해당된다.
제어데이터, 제어프로그램, 제어프로그램 관리부는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및 이의 해당 데이터로 CD-ROM 등의 저장장치 또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이 단말장치에 의해 제어될 경우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는 해당 명령을 유ㆍ무선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수신부를 가지며 해당 동작에 필요한 장치 및 프로그램 등을 가질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제어데이터를 가지며, 제어데이터에 입각하여 동작한다.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는 단말장치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또한 자동 및 수동 제어 내용이 연동될 수 있다).
수동으로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를 제어할 경우 단말장치의 입력장치를 통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에 해당 동작을 명령하면, 유ㆍ무선을 통해 상기의 명령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로 출력되고, 입력받은 명령에 입각하여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가 동작한다.
반면, 자동으로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를 제어할 경우 수평 이동부(200), 수직 이동부(300), 철골구조(100) 및 해당 자재, 콘크리트 구조물(500) 에는 해당 위치를 좌표제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센서가 각각 구비되며, 제어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가 동작한다.
이에 있어 수평 이동부(200), 수직 이동부(300), 철골구조(100) 및 해당 자재,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부착된 센서가 해당 구조의 위치 등의 좌표값을 좌표처리장치로 출력하고, 좌표처리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장치 및 자재의 위치를 추적, 평가하고 이를 참조하여,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 및 해당 자재를 제어프로그램 상에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이동된 해당 자재를 용접이나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른 해당 구조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건축장치를 이용한 시공에 있어서, 종래 철근 구조를 가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과 같이, 해당 작업에 필요한 거푸집을 필요로 한다. 이에 있어, 이하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 측벽(53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외측 패널(630)이라 하고, 측벽(5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내측 패 널(610)이라 하고, 천정면(510)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상면 패널(650)이라 하기로 한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과 상면 패널(650)은 목재, 철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종래 거푸집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특히, 상면 패널(65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판(pay wood & wood), DP Series등의 다양한 소재로 될 수 있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은 각각 다수 패널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 패널의 결합으로 하나의 패널을 구성할 경우 도 6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이음부(620)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하여 패널을 접을 수 있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에는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의 걸고리(243) 또는 와이어(241)가 연결될 수 있도록 걸림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수단은 플랫 타이(flat tie), 후크(hook), 세파 볼트(sepa bolt) 등의 구조 또는 상기 구조가 응용된 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측벽(530)에는 상면 패널(650)을 지지하기 위한 상면 패널 지지부(670)가 설치된다.
상면 패널 지지부(67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측벽(5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있어 측벽(530)에 홈 또는 관통된 구멍이 필요할 경우, 측벽(530)상에 상기 홈 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당 구조를 해당 패널에 둘 수 있다.
상면 패널 지지부(670)는 도 7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측벽(530)에 볼트(672) 및 너트(673)로 고정되는 브라켓(671)과, 브라켓(671)에 안착되어 상면 패널(65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75)로 구성된다.
한쌍의 브라켓(671)은 양측벽의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한쌍의 브라켓(671)에는 지지부재(675)의 양단이 각각 안착된다.
브라켓(671)은 본 명세서의 도면 상에서는 'ㄷ'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례에 따라 'L'형상, 'U'형상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재(675)는 목재 또는 철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675)의 하면에는 서포트(support)등의 구조가 지지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의 경우 좌ㆍ우 대칭인 경향이 있다. 이렇게 좌ㆍ우 대칭인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시공에 있어서, 좌ㆍ우 대칭인 부분을 동시에 시공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시공할 수도 있다.
먼저, 좌ㆍ우 대칭인 부분을 각각 따로 시공할 경우 본 발명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편의상, 본 명세서의 도면 상에서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좌측 부분에 해당되는 공간을 'A'라 하고, 우측 부분에 해당되는 공간을 'B'라 하기로 한다.
1단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철골구조(100)를 준비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철골구조(100)를 지상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천정면(510)에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2단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해당자재를 이동시켜, 좌측 부분에 해당되는 공간(A)에 철근(540)과 함께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을 설치한다.
3단계, 설치된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을 분리한 후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우측 공간(B)로 이동시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단계와 동일한 절차와 방법을 따라 철근(540)과 함께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을 설치한다.
불필요한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이 있을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의 이음부(620)를 중심으로 일부분을 회전시켜 접은 다음, 철골구조(100)내의 적절한 공간에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필요한 타 구조의 패널이 있을 경우 해당 패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5단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공간(A)의 측벽(530a)에 상면 패널 지지부(670)를 설치하고, 상면 패널 지지부(670)의 지지부재(675)의 상면에 철근(540)과 함께 상면 패널(650)을 배치시킨다.
6단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공간(A)의 천정면에 대응하는 상면 패널(650)과, 우측 공간(B)의 측벽에 대응하는 내ㆍ외측 패널(610,6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7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우측 공간(B)의 내ㆍ외측 패널(610,630)을 분리한 후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해당 자제를 이동시켜, 한층 위 좌측 공간(A)에는 상기 2단계와 동일한 절차와 방법을 따라 내ㆍ외측 패널(610,630)을 설치하고, 우측 공간(B)에 상기 5단계와 동일한 절차와 방법을 따라 철근(540)과 함께 상면 패널(650)을 설치한다.
8단계, 상기 7단계에서 설치된 한층 위 좌측 공간(A)의 측벽에 대응하는 내ㆍ외측 패널(610,630)과, 우측 공간(B)의 천정면에 대응하는 상면 패널(6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9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한층 위의 천정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켜, 철골구조(100)를 상층으로 견인한다.
10단계, 상기 7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최상층까지 시공이 완료되면,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한층 아래의 천정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켜, 철골구조(100)를 한층 아래로 이동시키고, 미장, 도장 등의 외벽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타워 크레인 또는 화물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수평 이동부(200)를 분리, 제거할 수 있다.
12단계, 상기 11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3단계, 철골구조(100)가 최하층까지 이동하여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철골 구조(100)를 제거한다.
한편, 좌ㆍ우 대칭인 부분을 동시에 시공할 경우 본 발명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철골구조(100)를 준비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철골구조(100)를 지상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2단계,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동시켜, 좌ㆍ우측 공간(A,B)에 두개 층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는 철근(540) 및 외측 패널(630)과, 한개층에 해당되는 외측 패널(630)에 대응되도록 내측 패널(610)을 설치한다.
3단계, 설치된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내측 패널(610)을 분리한 후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층 위의 외측 패널(630)에 대응되도록 설치한다.
5단계, 상기 3단계에서 콘트리트가 타설된 층의 천정면을 시공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된 측벽(530)에 상부패널 지지부(670)를 설치하고, 상면 패널 지지부(670)의 지지부재(675)의 상면에 철근(540)과 함께 상면 패널(650)을 배치시킨다.
6단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4단계에서의 한층 위에 해당되는 내ㆍ외측 패널(610,630)과, 상기 5단계에서의 상면 패널(650)에 콘트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천정면, 측벽에 대응하는 패널에 콘크리트를 따로 타설할 수 있다.
7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두층 위의 천정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켜, 철골구조(100)를 두층 위의 위치로 견인시킨다. 또한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해당 자제를 이동시켜, 외측 패널(630)을 두층 위에 해당하는 층에 설치한다. 상기 5단계와 같이, 천정면을 시공한 후 상기 1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콘크리트가 굳으면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상기 천정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8단계,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최상층까지 시공이 완료되면,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를 한층 아래의 천정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켜, 철골구조(100)를 한층 아래로 이동시키고, 미장, 도장 등의 외벽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타워 크레인 또는 화물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수평 이동부(200)를 분리, 제거할 수 있다.
9단계, 상기 8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0단계, 철골구조(100)가 최하층까지 이동하여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철골구조(100)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있어서, 천정면 및 측벽에 해당하는 구조를 따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절차 및 방법은 실시례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시공에 필요한 해당 자재는 타워 크레인, 화물 엘리베이트 등을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독립된 형태로 공수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지상에서 일체화된 형태로 가공된 후 공수받아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철근 작업의 경우 지상에서 해당 형태로 가공된 철근을 공수받아 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조립식 구조물 등의 시공 등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건축물의 시공에 드는 인력, 비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급 및 수요 창출에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좌, 우 대칭인 콘크리트 및 조립식 구조물 등의 시공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철골구조;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재 등을 상기 철골구조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철골구조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상기 철골구조를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승, 하강, 또는 고정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
    상기 한쌍의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윈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건축물에 부착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건축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걸림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0050024791A 2004-08-28 2005-03-25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60044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2857 WO2006025679A1 (en) 2004-08-28 2005-08-29 Construc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8298 2004-08-28
KR1020040068298 2004-08-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529U Division KR200387937Y1 (ko) 2004-08-28 2005-03-29 건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27A true KR20060044727A (ko) 2006-05-16

Family

ID=3714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91A KR20060044727A (ko) 2004-08-28 2005-03-25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47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86B1 (ko)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JP3196043B2 (ja)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JP2016088709A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JP3579816B2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KR200387937Y1 (ko) 건축 장치
KR20080104429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099685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100002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60044727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50058314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60136019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70000049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H0754491A (ja) 建物の外装カーテンウォール組立装置
JP3841499B2 (ja) 斜面作業用足場及び斜面作業用足場の架設方法
KR20090102047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70032601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099758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JP2017031676A (ja) 既存建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装置
JP5150313B2 (ja) ボイド内立体駐車装置およびその建設方法
JP2683171B2 (ja) 建設用搬送足場装置
KR20060083459A (ko)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CN115162823B (zh) 尖顶钢构件的拼装方法
JP4445366B2 (ja) タワークレーン架台設置部の補強方法
CN219011877U (zh) 一种可伸缩式楼梯间集成施工平台及装置
JP4065798B2 (ja) 支柱作業用足場および支柱作業用足場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