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019A -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019A
KR20060136019A KR1020050055452A KR20050055452A KR20060136019A KR 20060136019 A KR20060136019 A KR 20060136019A KR 1020050055452 A KR1020050055452 A KR 1020050055452A KR 20050055452 A KR20050055452 A KR 20050055452A KR 20060136019 A KR20060136019 A KR 2006013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ncrete
steel frame
horizontal moving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049A (ko
Inventor
김지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욱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욱 filed Critical 김지욱
Priority to KR102005005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6019A/ko
Priority to PCT/KR2005/002857 priority patent/WO2006025679A1/en
Publication of KR2007000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49A/ko
Publication of KR2006013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019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에 있어 인력, 비용, 시간 절감 등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좌, 우 대칭인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에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건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 수평 이동부, 수직 이동부,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Description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Construc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건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건축 장치를 각 방향에서 본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3은 도 1a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1a의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고정부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a의 건축 장치의 실행부의 일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b는 도 1a의 건축 장치에 이용되는 거푸집의 일실시례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및 사시도.
도 7의 a,b,c는 도 1a의 이용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상면 패널 지지부의 일실시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 내지 도 16은 도 1a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골구조200 : 수평 이동부
210 : 레일220 : 바퀴
240 : 윈치300 : 수평 이동부
310 : 고정부331 : 브라켓
333 : 체결부재336 : 걸림고리
510 : 천정면530 : 측벽
610 : 내측 패널630 : 외측 패널
650 : 상면 패널
본 발명은 건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및 조립식 구조물 등의 시공에 있어서 많은 인력, 비용, 시간이 소비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축에 있어 인력, 비용, 시간 등의 절감 및 공급, 수요 창출 등에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의 시공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 장치는 시공에 있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철골구조;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재 등을 상기 철골구조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철골구조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상기 철골구조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 상승, 하강, 또는 고정 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 상기 한쌍의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윈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윈치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걸림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 수직 이동부 및 본 발명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 크기, 형태, 개수, 구조, 소재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일부 구조가 생략,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건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의 건축 장치를 각 방향에서 본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 장치의 철골구조(100)에는 수평 이동부(200)와 수직 이동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철골구조(100)는 다수의 철근(110)이 용접으로 조립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11) 및 너트(112)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될 수 있으며,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5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구조이다. 상기 철골구조는 필요에 따른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시공에 있어 상기 철골구조(100)에는 작업 공간 확보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안정된 고정을 목적으로 브라켓(bracket), 비계(scaffolding system), 클램프(clamp), 철골작업대, 안전발판(safety temporary equipment), 합판(pay wood & wood), 안정망 등의 구조가 결합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200)는 철골구조(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재 등을 철골구조(1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역할을 하며, 레일(210)과 바퀴(220a)와 윈치(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철골구조의 상단에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210) 위를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220a)는 연결봉(230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230a)에는 필요에 따른 개수의 윈치(2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윈치(240)는,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해 연결봉(230a)상에서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크레인과 같은 윈치의 응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윈치(240)가 구비된 연결봉(230a,230c)은 필요에 따른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240) 및 연결봉(230a,230c)이 다수개로 구성될 경우 전체 또는 일부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에는 윈치(240)가 구비된 연결봉(230a)이 한개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윈치(240)에는 와이어(241)가 권취되어 있으며, 와이어(241)의 끝단에는 이동하고자 하는 해당 자재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걸고리(243) 등의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 이동부(200)은 실시례에 있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에 있어 상기 수평 이동부(200)는 필요에 따라 철골구조(100) 상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 모터 등의 동작에 의해 철골구조상에서 상, 하 이동이 가능한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수직 이동부(300)는 철골구조(100) 측면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대해 철골구조(100)를 상승, 하강, 또는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직 이동부(300)는 바람직하게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다수개로 구성될 경우 서로 연동 또는 각각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 이동부(300)는 윈치(310)이며, 윈치(310)에 권치된 와이어(311)의 끝단에는 고정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33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윈치(310)에 권치된 와이어(311)의 끝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일실시례로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331)과 체결부재(333)와 걸림고리(336)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4a 상에서는 브라켓(331)의 형상을 'ㄷ'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ㄱ' 형상, 'ㄴ' 형상 등 실시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라켓(331)은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천정면(510), 바닥면 또는 측벽에 부착되며, 삽입공(332)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332)에는 볼트(334) 등의 체결부재(333)가 체결된다. 이에 있어 볼트(334)가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천정면(510) 또는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하고, 볼트(334)의 일단에는 너트(355)가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331a)이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330)의 다른 실시례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331a)의 삽입공(332a)에 한쌍의 볼트(333a)를 체결하고, 한쌍의 볼트(333a) 하면이 천정면(510)의 상, 하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브라켓(331a)이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331,331a)에는 걸림고리(336,336a)가 구비되어, 윈치(310)의 와이어(311) 끝단이 걸림고리(336,336a)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 이동부(300)가 다수개 일 경우 다수개인 윈치(240)의 고정부(330,330a)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의 천정면(510) 또는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행부는 실시례에 따라 조정부, 컨트롤장치, 단말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실행부의 일실시례로서, 조정부는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수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 및 상기 제어에 필요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철골구조(100)상에서 좌, 우, 전, 후진, 360°회전 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행부의 다른 실시례로서, 컨트롤 장치(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수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내, 외장 또는 독립된 형태로 제작되어 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행부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단말장치는 유, 무선으로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수동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노트북, PDA, 휴대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유, 무선 통신 및 인터넷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는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체계, 유,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철골구조(100), 수평 이동부(200), 수직 이동부(300) 및 해당 자재 등의 위치, 상태 등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액정화면,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이에 있어 상기 영상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센서, 카메라 등의 영상장치가 철골구조(100), 수평 이동부(200), 수직 이동부(300) 및 해당 자재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 HDD, CD-ROM 등의 저장장치, 유, 무선으로 제어 내용을 해당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 센서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는 좌표처리장치,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데이터의 입, 출력을 명령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구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 제어프로그램 및 제어데이터의 편집, 수정, 복구 등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제어프로그램 관리부 등으로 구성된다.
출력장치는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정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일례로 수평 이동부(200)를 통해 해당 자재를 이동시킬 경우 해당 자재의 위치 및 해당 자재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 등을 영상데이터로 출력, 작업에 있어 필요한 내용을 확인,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있어 상, 하기 해당 구조 및 자재에 상기 필요에 따른 센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좌표처리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구조 및 자재의 x, y, z축 상의 좌표값을 분석, 처리하여 해당 자재의 위치를 평가하고, 제어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제어프로그램은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해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좌표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데이터는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시공 절차 및 방법,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 등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이다. 일례로 수평 이동부(200)에 의한 자재 운반에 있어서 해당 자재가 설치될 해당 위치 및 이의 이동 방법 등 작업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제어데이터에 해당된다.
제어프로그램 관리부, 제어프로그램, 제어데이터는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 제어를 목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및 이의 해당 데이터로 CD-ROM 등의 저장장치 또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의 동작이 단말장치에 의해 제어될 경우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는 해당 명령을 유, 무선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수신부를 가지며 해당 동작에 필요한 장치 및 프로그램 등을 가질 수 있다.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는 단말장치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또한 자동 및 수동 제어 내용이 연동될 수 있다).
수동으로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를 제어할 경우 단말장치의 입력장치를 통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에 해당 동작을 명령하면, 유, 무선을 통해 상기의 명령이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로 출력되고, 상기 명령에 입각하여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가 동작한다.
반면, 자동으로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를 제어할 경우 수평 이동부(200), 수직 이동부(300), 철골구조(100) 및 해당 자재, 콘크리트 구조물(500)에는 해당 위치, 상태를 좌표처리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센서가 각각 구비된다. 좌표처리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장치 및 자재의 위치, 상태를 추적, 평가하고 제어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좌표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및 제어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따라 수평 이동부(200) 및 수직 이동부(300)가 동작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이동된 해당 자재를 용접이나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른 해당 구조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건축장치를 이용한 시공에 있어서, 종래 철근 구조를 가진 콘크리트 구조물은 작업에 거푸집을 필요로 한다. 이에 있어 이하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 측벽(53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외측 패널(630)이라 하고, 측벽(5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내측 패널(610)이라 하고, 천정면(510)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상면 패널(650)이라 하기로 한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과 상면 패널(650)은 목재, 철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종래 거푸집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은 각각 다수 패널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 패널의 결합으로 하나의 패널을 구성할 경우 도 6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이음부(620)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하여 패널을 접을 수 있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에는 수평 이동부(200) 윈치(240)의 걸고리(243) 또는 와이어(241)가 연결될 수 있도록 걸림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측벽(530)에는 상면 패널(650)을 지지하기 위한 상면 패널 지지부(670)가 설치된다.
상면 패널 지지부(67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측벽(5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있어 측벽(530)에 홈 또는 관통된 구멍이 필요할 경우, 애초 측벽(530)상에 상기 홈 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해당 구조가 해당 패널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면 패널 지지부(670)는 도 7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측벽(530)에 볼트(672) 및 너트(673)로 고정되는 브라켓(671)과, 브라켓(671)에 안착되어 상면 패널(65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75) 등으로 구성된다.
한쌍의 브라켓(671)은 양측벽의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한쌍의 브라켓(671)에는 지지부재(675)의 양단이 각각 안착된다.
브라켓(671)은 본 명세서의 도면 상에서는 'U'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례에 따라 'L'형상, 'ㄷ'형상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재(675)는 목재 또는 철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675)의 하면에는 서포트(support)등의 구조가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의 경우 좌, 우 대칭인 경향이 있다. 좌, 우 대칭인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경우, 이의 시공에 있어 좌, 우 대칭인 부분을 동시 또는 각각 시공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편의상, 좌, 우 대칭인 콘크리트 구조물(500)에 있어 좌측 부분에 해당되는 공간을 'A'라 하고, 우측 부분에 해당되는 공간을 'B'라 하기로 한다.
먼저, 좌, 우 대칭인 부분을 각각 따로 시공할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철골구조(100)를 준비한다.
준비된 철골구조(100)를 지상에 고정시킨다. 기초 공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을 경우 상기 구조에 철골구조(100)의 안정된 고정의 목적으로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 등을 사용, 철골구조(1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2단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해당자재를 이동시켜, 좌측 부분에 해당되는 공간(A)에 철근(540)과 함께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을 설치한다.
3단계, 설치된 내, 외측 패널(610, 630)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내, 외측 패널(610, 630)을 분리한 후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우측 공간(B)로 이동시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단계와 동일, 유사한 절차와 방법을 따라 철근(540)과 함께 내, 외측 패널(610, 630)을 설치한다.
불필요한 내, 외측 패널(610, 630)이 있을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의 이음부(620)를 중심으로 일부분을 회전시켜 접은 다음, 철골구조(100)내의 적절한 공간에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필요한 타 구조의 패널이 있을 경우 해당 패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5단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공간(A)의 측벽(530a)에 상면 패널 지지부(670)를 설치하고, 상면 패널 지지부(670)의 지지부재(675)의 상면에 철근(540)과 함께 상면 패널(650)을 배치시킨다.
6단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공간(A)의 천정면에 대응하는 상면 패널(650)과, 우측 공간(B)의 측벽에 대응하는 내, 외측 패널(610, 6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7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우측 공간(B)의 내, 외측 패널(610, 630)을 분리한 후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해당 자재를 이동시켜, 한층 위 좌측 공간(A)에 상기 2단계와 동일, 유사한 절차와 방법을 따라 내, 외측 패널(610, 630)을 설치하고, 우측 공간(B)에 상기 5단계와 동일, 유사한 절차와 방법을 따라 철근(540)과 함께 상면 패널(650)을 설치한다.
8단계, 상기 7단계에서 설치된 좌측 공간(A)의 측벽에 대응하는 내, 외측 패널(610,630)과, 우측 공간(B)의 천정면에 대응하는 상면 패널(6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9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철골구조(100)를 상층으로 견인한다.
10단계, 상기 5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최상층까지 시공이 완료되면, 철골구조(100)를 한층 아래로 이동시키고, 미장, 도장 등의 외벽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타워 크레인 또는 화물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 필요에 따라 수평 이동부(200) 등의 일부 구조를 분리, 제거할 수 있다.
12단계, 상기 11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3단계, 철골구조(100)가 최하층까지 이동하여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철골구조(100)를 제거한다.
상기에 있어, 철골구조(100)의 견인, 하강에는 수직 이동부(300)가 사용된다. 이에 있어 고정부(33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좌, 우 대칭인 부분을 동시에 시공할 경우 본 발명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철골구조(100)를 준비한다.
준비된 철골구조(100)를 지상에 고정시킨다. 기초 공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을 경우 상기 구조에 철골구조(100)의 안정된 고정의 목적으로 수직 이동부(300)의 고정부(330) 등을 사용, 철골구조(1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2단계,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동시켜, 좌, 우측 공간(A,B)에 두개 층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철근(540) 및 외측 패널(630)과, 한개층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내측 패널(610)을 설치한다.
3단계, 설치된 외측 패널(630)과 내측 패널(610)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내측 패널(610)을 분리한 후 수평 이동부(200)의 윈치(240)를 이용하여, 한층 위의 외측 패널(630)에 대응되도록 설치한다.
5단계, 상기 3단계에서 콘트리트가 타설된 층의 천정면을 시공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된 측벽(530)에 상부패널 지지부(670)를 설치하고, 상면 패널 지지부(670)의 지지부재(675)의 상면에 상면 패널(650)과 철근(540)을 배치시킨다.
6단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4단계에서의 내, 외측 패널(610,630)과, 상기 5단계에서의 상면 패널(6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천정면, 측벽에 대응하는 패널에 콘크리트를 따로 타설할 수 있다.
7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철골구조(100)를 상층으로 견인한다.
8단계, 상기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상기 2단계와 같이 내, 외측 패널(610, 630) 및 해당 자재를 설치하고, 상기 6단계에서 시공한 측벽에 대응하도록, 5단계와 같이 상부패널 지지부(670), 상면 패널(650), 철근(540)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9단계, 콘크리트가 굳으면, 철골구조(100)를 상층으로 견인한다.
10단계, 상기 3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1단계,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최상층까지 시공이 완료되면, 철골구조(100)를 한층 아래로 이동시키고, 미장, 도장 등의 외벽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타워 크레인 또는 화물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 필요에 따라 수평 이동부(200) 등의 일부 구조를 분리, 제거할 수 있다.
12단계, 상기 11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3단계, 철골구조(100)가 최하층까지 이동하여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철골구조(100)를 제거한다.
상기에 있어, 철골구조(100)의 견인, 하강에는 수직 이동부(300)가 사용된다. 이에 있어 고정부(33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있어서, 천정면 및 측벽에 해당하는 구조를 따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절차 및 방법은 실시례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시공에 필요한 해당 자재는 타워 크레인, 화물 엘리베이트 등을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독립된 형태로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지상에서 일체화된 형태로 가공된 후 공급받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철근 작업의 경우 지상에서 해당 형태로 가공된 철근을 공급받아 시공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조립식 구조물 등의 시공 등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 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에 있어 인력, 비용,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급 및 수요 창출 등에 있어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철골구조;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재 등을 상기 철골구조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철골구조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상기 철골구조를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승, 하강, 또는 고정 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철골구조의 상단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한쌍의 바퀴;
    상기 한쌍의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윈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걸림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항의 건축 장치를 이용하여 천정면과 측벽을 따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0050055452A 2004-08-28 2005-06-27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60136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52A KR20060136019A (ko) 2005-06-27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PCT/KR2005/002857 WO2006025679A1 (en) 2004-08-28 2005-08-29 Construc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52A KR20060136019A (ko) 2005-06-27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049A KR20070000049A (ko) 2007-01-02
KR20060136019A true KR20060136019A (ko) 2007-01-0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6306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ног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из объемных блоков
JP6270692B2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KR200387937Y1 (ko) 건축 장치
KR20080099685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104429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100002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60136019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70000049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6646220B2 (ja) 吊り天井用の吊り鉄骨フレームの施工方法
KR20050058314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60044727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KR20090102047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70032601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JP2017031676A (ja) 既存建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装置
KR20080099758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JP2009030259A (ja) 立体駐車場鉄骨を利用した躯体構築方法
JP5150313B2 (ja) ボイド内立体駐車装置およびその建設方法
JP5166055B2 (ja) 立体駐車場の施工方法
KR20060083459A (ko)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JP4445366B2 (ja) タワークレーン架台設置部の補強方法
CN115162823B (zh) 尖顶钢构件的拼装方法
JP4191584B2 (ja) 多層建築構造物の構築装置及び構築方法
JPH10152981A (ja) 昇降式足場
WO2006025679A1 (en) Construc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