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459A -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459A
KR20060083459A KR1020050004034A KR20050004034A KR20060083459A KR 20060083459 A KR20060083459 A KR 20060083459A KR 1020050004034 A KR1020050004034 A KR 1020050004034A KR 20050004034 A KR20050004034 A KR 20050004034A KR 20060083459 A KR20060083459 A KR 20060083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construction
unit
moving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욱 filed Critical 김지욱
Priority to KR102005000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3459A/ko
Priority to PCT/KR2005/002857 priority patent/WO2006025679A1/en
Publication of KR2006008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에 있어 종래 많은 인력, 비용, 시간을 필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며 이에 따른 장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100: 철골부, 조정부: 210, 컨트롤장치: 220, 단말장치: 230, 작업부: 300, 이동부: 400, 510: out slip from, 520: in slip from, 530: up slip from, up slip from 지지부: 600, up slip from 지지구조: 700

Description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building, construction, equipment, method}
도 3은 철골부의 제작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고정부 및 이의 적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out slip from, in slip from, up slip from 및 이의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up slip from 지지부 및 이의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16은 본 발명의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건설, 건축은 시공에 있어 많은 인력, 비용, 시간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한 시공에 있어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의 경우 좌, 우 대칭인 경향이 있다. 상기 좌, 우 대칭인 구조에 있어 좌측에 해당하는 공간을 '공간A', 우측에 해당하는 공간을 '공간B'라 지칭한다. 좌, 우 대칭인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 상기 공간A, B를 동시 또는 각기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에 있어 상기 공간A, B를 각기 시공할 경우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작업에 있어 상기 작업부(300)를 가진 철골부(100, 도 8)가 지상 또는 콘크리트 구조에 이동부(400)의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도 9).
2.작업부를 사용, 공간A에 out slip from(510), 철근 및 이에 대응하는 in slip from(520)을 설치한다(도 10).
3.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콘크리트가 굳으면 상기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을 분리하여 공간B로 이동, 상기 2단계와 동일한 절차, 방법를 따라 거푸집, 철근을 설치한다(도 11, 이에 있어 불필요한 in slip from이 있을 경우 이임부를 축으로 in slip from를 축회전시켜 구조를 접은 후 공간B의 적절한 장소에 적재, 보관한다).
5.공간A에 up slip from 지지부(600)를 부착하고 이에 up slip from 지지구조(700), 써포트(support), up slip from(530) 및 천정면에 해당하는 철근을 설치한다(도 12).
6.공간A의 천정면, 공간B의 측벽에 대응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7.콘크리트가 굳으면 공간B에서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을 분리하여(도 13) 한 층 위의 공간A에 상기 2단계와 동일한 절차, 방법을 따라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를 설치하고 공간B에 상기 5단계와 동일한 절차, 방법을 따라 up slip from(530), 철근을 설치한다.
8.상기 7단계에서 설치된 상층 공간A의 측벽 및 상기 공간B의 천정면에 해당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9.콘크리트가 굳으면 이동부(400)의 고정부를 상층으로 이동 해당 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철골부(100)를 상층으로 견인한다(상기고정부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에 있어 다수개의 고정부를 를 필요에 따른 순서를 따라 이동시킨다).
10.상기 7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1.최상층까지의 시공이 완료되면 작업부, 조정부 및 실행부를 분리, 제거하고(타워 크레인, 화물 엘리베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해당 층의 미장, 도장 등 외벽 작업을 수행한다.
12.상기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견인의 역순으로 철골부(100)를 한층 아래로 이동시키고 다시 상기 10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3.상기 철골부(100)가 최하층까지 이동,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철골부(100)를 제거한다.
상기 공간A, B를 동시에 시공할 경우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작업에 있어 상기 작업부(300), 이동부(400)를 가진 철골부(100)가 지상 또는 고정부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에 고정된다(도 9).
2.작업부를 사용, 해당 층에 out slip from(510, 두개 층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진다), 철근(두개 층에 해당하는 높이로 설치된다) 및 이에 대응하는 in slip from(520)을 설치한다(도 14).
3.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콘크리트가 굳으면 in slip from(520)을 분리, 견인하여 한 층 위에 해당하는 높이로 out slip from(510)에 고정시킨다.
5.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층의 천정면 작업을 위해 해당 층에 up slip from 지지부(600), up slip from 지지구조(700), 써포트(support), up slip from(530)를 설치하고(도 15) 천정면에 해당하는 철근을 설치한다.
6.상기 천정면에 해당하는 거푸집 및 한층 위의 측벽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도 16).
7.콘크리트가 굳으면 철골부(100), out slip from(510)을 두층 위에 해당하는 층으로 견인하고, 상기 5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1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8.최상층까지의 시공이 완료되면 작업부, 조정부 및 실행부를 분리, 제거하고(타워 크레인, 화물 엘리베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해당 층의 미장, 도장 등 외벽 작업을 수행한다.
9.상기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견인의 역순으로 철골부(100)를 한층 아래로 이동시키고 다시 상기 7단계 이하를 반복한다.
10.상기 철골부(100)가 최하층까지 하강,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철골부(100)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천정 및 벽면에 해당하는 구조를 따로 시공한다. 이에 있어 시공 절차, 방법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시공에 있어 해당 자재는 타워크레인, 화물 엘레베이트 등을 이용 종래와 같이 독립된 형태로 공수받을 수 있으며, 지상에서 일체화된 형태로 필요에 따라 가공된 후 공수받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철근 작업의 경우 지상에서 시공 상의 해당 형태로 가공된 철근을 공수받아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골부(100), 작업부(300), 이동부(400), 실행부를 가질 수 있다(도 2). 상기 각 구조는 필요에 따라 위치, 크기, 형태, 개수, 구조, 소재를 각기 달리 할 수 있으며 일부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철골부(100)는 상기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로 다수개의 철근 구조가 용접 또는 볼트, 너트 등의 원리에 의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도 3). 철골부(100)는 이동부(40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에 고정, 견인, 하강될 수 있으며 고정 및 작업공간(150) 확보를 목적으로 브라켓(bracket), 비계(scaffolding system), 클램프(clamp), 철골작업대(SB-1T), 안전발판(safety temporary equipment), 합판(pay wood & wood) 또는 이의 응용된 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작업부(300), 이동부(400)는 크레인의 원리, 구조 및 이의 응용된 원리, 구조로 당업자에 있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작업부(300)는 자재 운반, 이동부(400)는 철골부(100)의 고정, 견인, 하강에 사용된다. 작업부(300)는 고정 및 이동(전, 후, 좌, 우)이 가능하며 이동에 필요한 레일, 체인, 톱니, 바퀴 등의 해당 구조, 이의 원리가 응용된 구조 및 고정에 필요한 해당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400)는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에 필요한 레일, 체인, 톱니, 바퀴 등의 해당 구조, 이의 원리가 응용된 구조 및 고정에 필요한 해당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작업부(300)는 와이어(301), 고리(302) 등 자재 운반에 필요한 해당 구조를 가진다. 상기 작업부(30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로 구성될 경우 연동 또는 각기 동작할 수 있다.
이동부(400)는 철골부(100)의 고정 및 견인, 하강 등의 이동에 사용된다(상기 견인의 역순으로 동작해 철골부(100)를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를 가질 경우 상기 다수개의 이동부(400)가 필요에 따라 연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른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400)는 와이어(450)를 가진다. 와이어의 끝에는 고정부(460)가 결합된다. 고정부(도 4)는 'ㄱ자형', 'ㄷ자형' 등 당업자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는 해당 층 콘크리트 구조의 상면 또는 바닥면에 볼트, 너트 등의 구조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있어 다수개의 고정부가 사용될 경우 이의 위치를 각기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0)가 크레인의 원리, 구조로 제작된 경우 고정된 고정부에 기초해 와이어를 감아 철골부(100)를 견인, 풀어 철골부(100)를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동작은 실행부에 의해 제어된다. 실행부는 조정부(210), 컨트롤장치(220), 단말장치(2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정부(210)는 상기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수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타워 크레인의 조정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이와 유사하게 기능,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있어 레일, 체인, 톱니, 바퀴 또는 이의 응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조를 사용, 이동 및 360회전 등이 가능한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정부(210)의 이동이 작업부(300)와 연동되어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장치(220)는 상기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수동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 종래 모터, 이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진 장치를 조정하는 기계장치(도 5)와 유사 또는 동일하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필요에 따른 해당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며 내, 외장 또는 독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장치(230)는 노트북, PDA, 휴대폰 등 유, 무선을 통해 상기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수동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해당된다.
단말장치(230)는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체계
유,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등의 장치
해당 구조의 위치, 상태를 영상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카메라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키보드 및 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
입력받은 데이터 및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동작 내용 등의 데이터를 영상데이터로 변환, 출력하는 액정화면,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출력장치는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정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일례로 작업부(300)를 통해 해당 자재를 이동시킬 경우 해당 자재의 당 위치 및 해당 자재가 설치되어야할 위치 등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데이터로 확인, 비교, 분석할 수 있다);
HDD. CD-ROM 등의 저장장치
유, 무선으로 작업부(300), 이동부(400)에 해당 제어 내용을 출력하는 출력부
센서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는 좌표처리장치(해당 자재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해당 자재의 x, y, z 축 상의 좌표값을 분석, 처리하여 해당 자재의 위치를 평가하고, 제어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이하 '제어데이터'라 지칭한다. 시공 절차 및 방법,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동작, 이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해당된다. 일례로 작동부에 의한 자재 운반에 있어 해당 자재가 설치될 해당 위치 등의 데이터가 해당된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데이터의 입, 출력을 명령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동작을 목적으로 Programing된 Program으로 CD롬 등의 저장장치 또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데이터의 수정이 가능한 제어프로그램 관리부(상기 동작을 목적으로 Programing된 Program이다);
를 가질 수 있다.
상, 하기 작업부(300), 이동부(400)의 동작이 단말장치(230)에 의해 제어될 경우 작업부(300), 이동부(400)는 해당 명령을 유, 무선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수신부를 가지며 해당 동작에 필요한 장치 및 Program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제어데이터를 가지며 이에 입각해 동작한다. 작업부(300), 이동부(400)는 단말장치(230)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상기 자동 및 수동 제어 내용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수동으로 작업부(300), 이동부(400)가 제어될 경우
단말장치(23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작업부(300), 이동부(400)에 해당 동작을 명령한다.
유, 무선을 통해 상기 명령이 작업부(300), 이동부(400)로 출력된다.
상기 입력받은 명령에 입각해 작업부(300), 이동부(400)가 동작한다.
상기 자동으로 작업부(300), 이동부(400)가 제어될 경우 작업부(300), 이동부(400) 및 이의 대상이 되는 해당 자재, 콘크리트 구조 및 철골부(100)는 해당 위치를 좌표제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센서를 가진다.
제어프로그램에 Programing된 Program에 의해 상기 작업부(300), 이동부(400)가 동작한다.
이에 있어 작동부, 이동부(400) 및 해당 자재에 부착된 센서가 해당 구조의 위치를 좌표처리장치로 출력한다.
좌표처리장치는 상기 철골부(100)에 부착, 고정된 센서와 상기 해당 구조의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장치 및 자재의 위치를 추적, 평가한다.
상기 평가된 장치 및 자재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장치 및 자재를 제어프로그램 상에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작업자는 이동된 자재를 볼트, 너트, 이의 응용된 구조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른 해당 구조에 고정시킨다.
하기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 up slip from(530) 등 필요에 따른 해당 자재 및 철골부(100)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센서들의 z, y, z축 상의 좌표값은 상기 좌표처리장치로 입력된다. 좌표처리장치는 철골부(100)에 위치된 센서와 상기 해당 자재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좌표값을 비교, 분석하여 해당 자재의 위치를 추적, 평가한다.
본 발명을 사용한 시공은 종래 철근 구조를 가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과 원리가 동일하다. 시공에 있어 해당 작업에 필요한 거푸집을 필요로 한다. 이에 있어 측벽(55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out slip from(510)', 내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in slip from(520)'으로 지칭하고 천정면(560)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up slip from(530)'이라 지칭한다. 상기in slip from(520), out slip from(510), up slip from(530)은 목재, 철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 up slip from(510)은 종래 slip from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있어 상기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 up slip from(510)의 각 slip from은 각기 다수개의 slip from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 slip from의 결합으로 하나의 slip from를 구성한 경우 상기 결합에 있어 해당 slip from이 결합에 이음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slip from은 상기 이음부를 축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도 6). 상기 축회전은 상기 각 slip from의 설치, 해체 및 이동, 적재에 용이한 수단을 제공한다.
up slip from(530)에는 종래 주로 사용되던 합판(pay wood & wood), DP Series 및 상, 하기 해당 기능이 가능한 다양한 소재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은 상기 작업부(300)의 고리 또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해당 구조를 가지며 거푸집 작업에 있어 프렛타이(flat tie), 훅크(hook), 세파볼트(sepa bolt) 및 이의 응용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out slip from(510), in slip from(520)은 콘크리트 타설 이후 측벽에 up slip from 지지부(600)가 고정될 다수개의 구멍이 생성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up slip from 지지부(600)는 'L자형', 'U자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 구조로 응용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up slip from 지지구조(700)가 고정될 수 있는 해당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7).
up slip from 지지부(600)는 홈(610), 구멍(620, 필요에 따른 개수를 가질 수 있다)을 가진다. up slip from 지지부(600)는 up slip from(530) 및 up slip from 지지구조(700)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up slip from 지지부(600)는 상기 up slip from 지지부(600)의 구멍과 이에 대응하는 측벽의 구멍에 볼트를 삽입, 너트(이의 원리가 응용된 다양한 구조가 해당할 수 있다)를 조임으로써 고정된다(도 7).
up slip from 지지구조(700)는 목재 또는 해당 철재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up slip from 지지부(600)의 홈(610)에 위치, 고정되며 하면에 써포트(support)가 지지될 수 있다.
종래 많은 인력, 비용, 시간을 필요로 하던 절차, 방법 및 장치 상의 문제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건설, 건축에 있어 활발한 공급 및 수요 창출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고용 창출, 물가 안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건설, 건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원리, 구조를 가지며 자재의 운반이 가능한 작업부, 크레인의 원리,구조를 가지며 철골부의 고정, 견인, 하강이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지면 및 콘크리트 구조에 고정될 수 있는 철골부, 상기 작업부, 이동부의 동작을 명령할 수 있는 조정부, 콘트롤 장치, 단말장치 등의 실행부, 해당 구조의 결합에 사용된 이음새를 기준으로 축회전할 수 있는 out slip from, in slip from, up slip from, 콘크리트 구조에 고정되어 천정면 거푸집 작업을 목적으로 상기 up slip from를 지지할 수 있는 up slip fro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2. 제 1항에 있어 벽면 및 천정에 해당 하는 구조의 시공에 있어 상기 구조를 각기 구분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3. 제 1항에 있어 작업부, 이동부는 레일, 체인, 톱니, 바퀴 등의 구조 및 이의 응용된 구조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4. 제 1항에 있어 작업부, 이동부는 조정부, 콘트롤 장치에 의해 수동 조작될 수 있으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KR1020050004034A 2004-08-28 2005-01-17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60083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34A KR20060083459A (ko) 2005-01-17 2005-01-17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PCT/KR2005/002857 WO2006025679A1 (en) 2004-08-28 2005-08-29 Construc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34A KR20060083459A (ko) 2005-01-17 2005-01-17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459A true KR20060083459A (ko) 2006-07-21

Family

ID=3717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034A KR20060083459A (ko) 2004-08-28 2005-01-17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34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9429A (ko) 다층 건물의 건축 시스템 및 방법
RU2616306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ног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из объемных блоков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KR102102441B1 (ko) 조립식 케이지
KR20060083459A (ko) 건설,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104429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80099685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JPH0754491A (ja) 建物の外装カーテンウォール組立装置
KR20080100002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387937Y1 (ko) 건축 장치
DK202200622A1 (en) A lifting yoke for lifting a heavy element
JP3220397B2 (ja) 昇降式足場
KR20090102047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210068283A (ko) 공동주택 엘리베이터 기계실 바닥 골조공사 방법 및 장치
KR20050058314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20060044727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5773343B2 (ja) 複層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連層足場用の揚重装置
KR20080099758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70032601A (ko) 건축 장치 및 방법
KR20060136019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H10292619A (ja) 大空間対応吊り足場構築システムに用いるセルフクライミング吊り足場ユニット
KR20070000049A (ko) 건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6953655B1 (ja) 足場を構成する一組の箱
JPH1018598A (ja) ハウスアップ装置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