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653A - 기판 - Google Patents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653A
KR20060043653A KR1020050021467A KR20050021467A KR20060043653A KR 20060043653 A KR20060043653 A KR 20060043653A KR 1020050021467 A KR1020050021467 A KR 1020050021467A KR 20050021467 A KR20050021467 A KR 20050021467A KR 20060043653 A KR20060043653 A KR 2006004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oard
connector
contact
spir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595B1 (ko
Inventor
다이지 오카모토
가오루 소에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고주파 특성이 양호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기판 (3) 에는, 제 1 면인 상면 (3a) 에 복수의 스파이럴 접촉자 (20) 와, 제 2 면인 하면 (3b) 에 복수의 접속용 단자 (40)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와 상기 접속용 단자 (40)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상기 제 1 면인 상면 (3a) 에 평면 매트릭스형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판에는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커넥터 (1) 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파이럴 접촉자 (20) 에 의해 고주파 특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A SUBSTRATE}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기판을 도 1 에 나타내는 Ⅱ-Ⅱ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의 접촉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배선판을 이면에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기판을 사용한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커넥터 2 : 하우징
2a : 상면 2b : 하면
2c : 끼워맞춤부 3 : 기판
3a : 상면 3b : 하면
3c : 구멍 4 :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a1 : 상면 4a2 : 하면
4c : 끼워맞춤 부재 4e : 외부접속부
5 : 제 1 걸림돌기 6 : 제 2 걸림돌기
7 : 제 3 걸림돌기 8 : 제 4 걸림돌기
10 : 끼워맞춤 부재 20, 120 : 스파이럴 접촉자
30 : 도전부 40 : 접속용 단자
50 : 충전재료 50a : 상면
50b : 하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의 회로기판을 다른 전기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장착되는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선로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35342호 (특허문헌 1) 의 도 1 내지 도 7 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의 플렉시블 도체와, 회로기판인 프린트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 넥터는 대략 U 자형인 컨택트 핀과, 상기 회로기판인 프린트기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컨택트 핀이 장착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컨택트 핀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컨택트 핀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는 프린트기판의 회로면에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부에 차양 모양의 하우징 수용부가 형성된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도체의 선단에는 보강판이 부착된 삽입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단부의 이면에는 도체 선로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도체의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에 끼워져 맞춰지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삽입단부의 상면을 누른다. 이 때, 상기 삽입구의 측방에 형성된 접촉 돌출부가 상기 삽입단부 위를 덮어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삽입구 내에 걸린다.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삽입구에 끼워 맞춰져 걸렸을 때, 상기 하우징 수용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삽입단부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삽입단부가 상기 삽입구에 확실하게 걸림과 함께 상기 컨택트 핀에 형성된 접점이 상기 삽입단부의 이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도체 노선에 압접되어, 상기 플렉시블 도체와 상기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도체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면, 상기 플렉시블 도 체로부터 상기 컨택트 핀의 상기 접점 및 단자부를 통과하여 상기 프린트기판의 회로면에 걸쳐서 전로(電路)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플렉시블 도체나 회로기판의 접속용 단자가 되는 상기 컨택트 핀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일렬로만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트 핀을 다수 형성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자체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 상태로 접속용 단자 (컨택트 핀) 을 증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도체의 선단부, 즉 삽입단부가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눌리지만,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삽입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두께 치수만큼 상기 커넥터의 두께 치수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접속용 단자가 되는 상기 컨택트 핀의 수량을 늘림과 함께 플렉시블 도체를 하우징에 확실하게 걸고, 또한 상기 플렉시블 도체와 접속용 단자가 되는 컨택트 핀의 접속을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로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컨택트 핀은 약 U 자형 구조이며, 상기 플렉시블 도체와의 접속점인 상기 접점에서 상기 회로기판과의 접점인 상기 단자부까지의 거리가 길다. 그 때문에, 커넥터에서의 선로길이가 길어져 고주파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고주파 특성이 양호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판은, 배선판과 회로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 내에 장착되는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제 1 면에 평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스파이럴 접촉자가 형성됨과 함께 제 2 면에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용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접속용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판은, 커넥터의 외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용의 기판이며,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배선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판은, 제 1 면인 상면에 복수의 스파이럴 접촉자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용 단자가 제 2 면인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가 상기 배선판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접속용 단자가 커넥터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배선판과 회로기판이 상기 기판을 갖는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기판에 형성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접속용 단자는 함께 평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자 및 상기 접속용 단자를 다수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원발명의 기판을 장착한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기판에서는, 상기 배선판에서 공급된 전류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로부터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용 단자로 흐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상면과 동일면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에서 흘러나오는 전류를 안내하기 위한 도전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락을 쉽게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가 용이해진다.
이 경우, 상기 접속용 단자는 상기 제 2 면에 평면 매트릭스형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상기 접속용 단자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제 2 면에 연이어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상단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하단에 상기 접속용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멍의 내측면에 도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접속용 단자가 상기 도전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는, 상방향을 향해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원추형 상인 것으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가 상방향을 향해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원추형상인 것으로 하여 구성하면, 상기 배선판에 형성된 외부접속부의 표면이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외부접속부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는 평면형상인 것으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가 평면형상인 것으로 하여 구성하면, 상기 배선판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의 표면이 하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용 단자는 도금 형성된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용 단자는 도금 형성된 것으로 하여 구성하면, 상기 접속용 단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멍의 내측에는 충전재료가 충전되고, 상기 충전재료의 하면과 상기 기판의 제 2 면에서 동일한 평탄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동일한 평탄화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접속용 단자를 형성하기 쉽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기판을 사용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는, 배선판의 외부 접속부 형성면과 후기하는 기판의 접촉자 형성면이 서로 대향함으로써 상기 배선판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접촉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대면(對面)형 커넥터이다.
상기 커넥터 (1) 는, 하우징 (2) 과, 본 발명인 기판 (3) 과, 본 발명의 배선판인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고정되는 끼워맞춤 부재 (10) 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2) 에는 제 1 면인 상면 (도시 Z1 방향측의 면 ; 2a) 과, 하면 (도시 Z2 측의 면 ; 2b) 을 연이어 통과하는 끼워맞춤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 (3) 은, 제 1 면인 상면 (3a) 과 제 2 면인 하면 (3b) 을 갖고 있다. 도 2 는 상기 기판 (3) 을 도 1 에 나타내는 Ⅱ-Ⅱ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 (3) 의 상기 상면 (3a) 에는 본 발명의 접촉자인 복수의 스파이럴 접촉자 (2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의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기대 (11) 의 상면 (11b) 에 도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접촉자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면 (3a) 에 도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면 매트릭스형 (격자형 또는 바둑판 모양) 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대 (11) 에는 상면 (11b) 및 하면 (11c) 을 연이어 통하는 구멍부 (스루 홀 ; 11a)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부 (11a) 의 내측면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도전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대 (11) 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에 유리 섬유가 혼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기부 (21) 를 구비하며,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의 감기 개시단 (22) 이 상기 기부 (21) 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기 개시단 (22) 으로부터 소용돌이 모양으로 연장되어 감기 종료단 (2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각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그 감기 종료단 (23) 부근이 가장 높게 돌출되도록 상방향 (도시 Z1 방향) 을 향해 입체적으로 돌출하는 원추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예를 들어 Cu, Ni, Au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재질에 의해 단층으로 구성된 것 외에 Cu 와 Ni 의 적층, 또는 Ni 와 Au 의 적층 등 상기 각 재질을 복수 적층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상기 각 재질을 도금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각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각각의 기부 (21) 사이가 접합부재 (3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재 (32) 에는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보다도 큰 구멍부 (3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 (32a) 와 스파이럴 접촉자 (20) 가 위치정합되어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의 기부 (21) 상에 상기 접합부 재 (32) 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재 (32) 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전부 (30) 의 상단 (30a) 과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의 상기 기부 (21) 가 도전성 접착재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멍부 (11a) 와 상기 구멍부 (32a) 가 대향하도록 접합되어 상기 구멍부 (11a) 와 구멍부 (32a) 에 의해 구멍 (3c) 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기 종료단 (23) 이 상기 구멍부 (11a) 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구멍부 (11a) 하방의 하단은 상기 도전부 (30) 에 접속된 접속용 단자 (40) 로 막혀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용 단자 (40) 는 상기 구멍부 (11a) 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와 개개로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면 (3b) 에 도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면 매트릭스형 (격자형 또는 바둑판 모양) 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접속용 단자 (40) 는, 예를 들어 Cu, Ni, Au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재질에 의해 단층으로 구성된 것 외에 Cu 와 Ni 의 적층, 또는 Ni 와 Au 의 적층 등 상기 각 재질을 복수 적층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접속용 단자 (40) 는 상기 각 재질을 상기 기대 (11) 의 하면 (11c) 에 직접 도금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단, 상기 접속용 단자 (40) 만 미리 만들고 두고 상기 기대 (11) 의 하면 (11c) 에 접속용 단자 (40) 를 부착하여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전부 (30) 의 상단 (30a) 은 상기 기판 (3) 의 상기 상면 (3a) 을 구성하며, 상기 하단 (30b) 은 상기 기판 (3) 의 상기 하면 (3b) 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멍부 (11a) 내에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 등의 충전재료 (50) 를 충전하고, 도전부 (30) 의 하단 (30b) 과 상기 충전재료 (50) 의 하면 (50b) 이 동일한 평탄화면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구멍부 (11a) 내가 충전재료 (50) 로 충전되어 상기 평탄화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접속용 단자 (40) 를 상기 도전부 (30) 의 하단 (30b) 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대 (11) 의 하면 (11c) 에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도전부 (30) 의 상단 (30a) 과 상기 충전재료 (50) 의 상면 (50a) 이 동일한 평탄화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도전부 (30) 의 상단 (30a) 과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의 상기 기부 (21) 를 쉽게 접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은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시트 (4a) 를 갖고 있다. 상기 가요성 시트 (4a) 는 제 1 면인 상면 (4a1) 에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체선 (도시 생략) 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 (4a1) 의 선단 영역이 끼워맞춤 부재 (10) 에 고정되어 있다. 도 1 에서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은 상기 가요성 시트 (4a) 의 상기 상면 (4a1) 측에서 본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는 이 상면 (4a1) 측에 대하여 상기 가요성 시트 (4a) 의 하면 (4a2) 측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 (4a2) 에는 상기 도체선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 복수의 외부 접속부 (4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접속부 (4e) 는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에 유리 섬유가 혼입된 것으로 형성되며, 200∼800㎛ 의 두께 치수를 갖고, 예를 들어 500㎛ 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 상기 가요성 시트 (4a) 의 두께 치수는 예를 들어 0.1∼0.2㎛ 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접속부 (4e) 는 상기 가요성 시트 (4a) 의 상기 하면 (4a2) 에 도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면 매트릭스형 (격자형 또는 바둑판 모양) 으로 배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1) 는,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끼워맞춤부 (2c) 에 상기 기판 (3) 이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고, 그리고 상기 기판 (3) 위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탑재되어 상기 끼워맞춤부 (2c) 에 끼워 맞춰져 상기 하우징 (2) 내에 끼워맞춰지고 걸려 사용된다. 이하에, 이 상태를 도 5 내지 도 7 에 의해 설명한다. 또, 도 5 내지 도 7 은 상기 커넥터 (1) 를 도 1 에 나타내는 Ⅴ-Ⅴ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2) 에 형성된 상기 끼워맞춤부 (2c) 내에 상기 기판 (3) 의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가 상방향 (도시 Z1 방향) 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 (3) 을 삽입하여 끼워맞춘다.
여기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워맞춤부 (2c) 내에는 제 1 걸림수단인 제 1 걸림돌기 (5), 제 2 걸림수단인 제 2 걸림돌기 (6) 및 제 3 걸림수단인 제 3 걸림돌기 (7)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 (3) 을 상기 끼워맞춤부 (2c) 내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기판 (3) 의 하면 (3b) 이 상기 제 2 걸림돌기 (6) 의 걸림면 (6a) 과 상기 제 3 걸림돌기 (7) 의 걸림면 (7a) 에 접하는 상태로, 상기 기판 (3) 이 상기 제 2 걸림돌기 및 제 3 걸림돌기에 탑재된다. 한편, 상기 기판 (3) 의 상면 (3a) 이 상기 제 1 걸림돌기 (5) 의 걸림면 (5a) 에 접하고, 상기 기판 (3) 의 상면 (3a) 이 상기 제 1 걸림돌기 (5) 의 걸림면 (5a) 에 의해 눌려 상기 하우징 (2) 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기판 (3) 은 상기 끼워맞춤부 (2c) 내에서 위치가 어긋나는 일없이 상기 하우징 (2) 에 확실하게 걸린다.
이 때, 상기 기판 (3) 의 평면형상은 상기 끼워맞춤부 (2c) 의 평면형상과 상사형이기 때문에, 상기 기판 (3) 은 상기 끼워맞춤부 (2c) 에 끼워맞춰졌을 때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끼워맞춰진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2) 에 상기 기판 (3) 이 걸렸을 때, 상기 기판 (3) 에 형성된 접속용 단자 (40) 는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하면 (2b) 보다도 하방 (도시 Z2 방향) 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및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를, 상기 외부 접속부 (4e) 가 하방향 (도시 Z2 방향) 을 향하도록 그 선단 (4d 및 10a) 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끼워맞춤부 (2c)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에 고정된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를 상기 끼워맞춤부 (2c) 내에 끼워 맞춰 걸려 있는 상기 기판 (3) 상에 탑재하여 상기 끼워맞춤부 (2c) 에 끼워맞춘다. 이 때, 상기 플렉시 블 프린트 배선판 (4) 의 하면 (4c) 이 상기 하우징 (2) 에 형성된 제 4 걸림수단인 제 4 걸림돌기 (8) 에 충돌하지만, 그대로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를 하방향 (도시 Z2 방향) 으로 눌러 가면, 상기 제 4 걸림돌기 (8) 가 탄성변형에 의해 외측으로 눌려 퍼져,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가 상기 제 4 걸림돌기 (8) 의 하방향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외측으로 눌려 퍼진 상기 제 4 걸림돌기 (8) 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의 상면 (10b) 은 상기 제 4 걸림돌기 (8) 의 걸림면 (8a) 에 의해 눌린다. 이로써,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상기 하우징 (2) 에 걸린다. 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7 이고, 도 7 의 상태를 경사 상방에서 본 것이 도 8 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끼워맞춤부 (2c) 에 상기 기판 (3) 및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기판 (3) 에 형성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의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에 형성된 상기 외부 접속부 (4e) 에 개개로 대향하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해진다. 이 때,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산형 형상으로 입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상기 외부 접속부 (4e) 에 접촉하였을 때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감기 종료단 (23) 이 도시 Z2 방향으로 밀려내려가 평면적 형상이 된다.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상기 외부 접속부 (4e) 에 탄성적으로 눌린 상태로 압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와 상기 외부 접속부 (4e) 를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의 상기 상면 (10b) 은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상면 (2a) 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은 높이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 (3) 의 하면 (3b) 에 형성된 접속용 단자 (40) 는, 상기 하우징 (2) 의 하면 (2b) 에서 돌출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용 단자 (40) 는 상기 하우징 (2) 의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전기회로 등의 외부 부재 (도시 생략) 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접속용 단자 (40) 가 상기 외부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상기 기판 (3) 을 통하여 상기 외부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 (1) 에서는, 상기 기판 (3) 의 상기 상면 (3a) 에 복수의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가 매트릭스형으로 평면 배열되어 있다. 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의 상기 가요성 시트 (4a) 의 상기 하면 (4a2) 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외부 접속부 (4e) 도 상기 하면 (4a2) 에 매트릭스형으로 평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 (1) 에서는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및 이 스파이럴 접촉자 (20) 와 대향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는 상기 외부 접속부 (4e) 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실질적으로 커넥터 (1) 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용 단자 (40) 도 상기 하면 (3b) 에 매트릭스형 (격자형 또 는 바둑판 모양) 으로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부재 (도시 생략) 에 접속되는 접속용 단자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 (1) 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에서 공급된 전류는 상기 기판 (3) 의 상면 (3a) 에 형성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로부터 상기 도전부 (30) 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 (3) 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용 단자 (40) 로 흐른다. 즉, 상기 상면 (3a) 에 형성된 스파이럴 접촉자 (20) 에서 흐르는 전류는 반대측의 면인 하면 (3b) 측을 향해 흐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가 형성되어 있는 면 (상기 상면 (3a)) 과 동일면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에서 흘러나오는 전류를 안내하기 위한 도전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락을 쉽게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은,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끼워맞춤부 (2c) 에 대하여 상방향에서 삽입되며,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고정된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가 상기 하우징 (2) 의 끼워맞춤부 (2c) 내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졌을 때, 상기 끼워맞춤 부재 (10) 의 상기 상면 (10b) 은 상기 하우징 (2) 의 상기 상면 (2a) 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은 높이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1) 의 전체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는, 상기 외부 접속부 (4e) 에 눌려 탄성 변형하였을 때, 돌출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때, 상기 외부 접속부 (4e) 는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20) 의 감기 종료단 (23) 보다도 감기 개시단 (22) 측, 즉 기부 (21) 측인 외측 부분에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과 상기 기판 (3)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는 선로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기저항을 감소시켜 고주파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101) 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커넥터 (101) 는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상기 커넥터 (1) 와 동일한 요소를 갖고 있지만, 도 9 에서는 상기 커넥터 (101) 가 상기 커넥터 (1) 와 다른 부분을 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101) 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이 고정된 끼워맞춤 부재 (10) 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 (104e) 가 하방향 (도시 Z2 방향) 으로 돌출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 (101) 에서는 상기 커넥터 (1) 에 사용되는 상기 기판 (3) 과 달리 본 발명인 기판 (103) 의 상면 (103a) 에 형성된 스파이럴 접촉자 (120) 가 입체적인 돌출 형상으로는 형성되지 않아, 감기 개시단 (122) 에서 감기 종료단 (123) 까지 동일한 높이로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101) 에서는, 상기 외부 접속부 (104e) 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 (3) 의 상면 (3a) 에 형성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120) 가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상기 외부 접속부 (104e) 가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120) 와 밀착하기 쉬워,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기판 (103) 에서도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 (120) 가 상기 커넥터 (1) 와 마찬가지로 상방향 (도시 Z1 방향) 으로 돌출되는 산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해도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접촉자 (120) 가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 (3, 103) 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4) 대신에 예를 들어 가요성 시트 (4a) 등의 가요성 부분을 갖지 않는 플랫 케이블 등의 회로기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판에서는, 상면 (제 1 면) 에 복수의 접촉자가 매트릭스형으로 평면 배열되어 있다. 또한 하면 (제 2 면) 에도 복수의 접속용 단자가 매트릭스형으로 평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기판에서는 상기 접촉자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실장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기판을 사용한 커넥터를 실질적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에서는, 상기 배선판에서 공급된 전류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접촉자로부터 도전부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접속용 단자로 흐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접촉자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상면과 동일면에 상기 접촉자에서 흘러나오는 전류를 안내하기 위한 도체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락을 쉽게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가 용이해진다.

Claims (8)

  1. 배선판과 회로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 내에 장착되는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제 1 면에 평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스파이럴 접촉자가 형성됨과 함께, 제 2 면에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용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접속용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단자는 상기 제 2 면에 평면적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에 연이어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상단에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하단에 상기 접속용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측면에 도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와 상기 접속용 단자가 상기 도전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는 상방향을 향해 입체적으로 돌출하는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접촉자는 평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단자는 도금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측에는 충전재료가 충전되고, 상기 충전재료의 하면과 상기 기판의 제 2 면에서, 동일한 평탄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KR1020050021467A 2004-03-16 2005-03-15 기판 KR10070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3781 2004-03-16
JP2004073781 2004-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53A true KR20060043653A (ko) 2006-05-15
KR100706595B1 KR100706595B1 (ko) 2007-04-11

Family

ID=349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467A KR100706595B1 (ko) 2004-03-16 2005-03-15 기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7831B2 (ko)
KR (1) KR100706595B1 (ko)
CN (1) CN100388470C (ko)
TW (1) TWI2544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0707B2 (ja) * 2005-03-18 2010-09-0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および回路基板
US20110059661A1 (en) * 2009-09-08 2011-03-10 Dens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component, and electric device
TWI543451B (zh) * 2013-07-30 2016-07-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組合
DE102016205476B4 (de) * 2016-04-01 2019-08-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ckeraufnahme und Stecker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20030918A (ja) 2018-08-21 2020-02-27 東芝デバイス&ストレージ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積層基板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699A (en) * 1994-06-07 1998-09-08 Tessera, Inc. Methods of assembling microelectronic assembly with socket for engaging bump leads
JP2822146B2 (ja) 1994-06-13 1998-1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の接続構造
US6200143B1 (en) * 1998-01-09 2001-03-13 Tessera, Inc.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microelectronic elements
US6504223B1 (en) * 1998-11-30 2003-01-07 Advantest Corp.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US6437591B1 (en) * 1999-03-25 2002-08-20 Micron Technology, Inc. Test interconnect for bumped semiconductor components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440243B2 (ja) * 2000-09-26 2003-08-25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システムズジャパン スパイラルコンタクタ
US20030022532A1 (en) 2001-07-27 2003-01-30 Clements Bradley E. Electrical contact
US6627092B2 (en) * 2001-07-27 2003-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electrical contacts
JP4210049B2 (ja) * 2001-09-04 2009-01-14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システムズジャパン スパイラル状接触子
US6551112B1 (en) * 2002-03-18 2003-04-22 High Connection Density, Inc. Test and burn-in connector
JP3814231B2 (ja) * 2002-06-10 2006-08-23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システムズジャパン スパイラルコンタ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半導体検査装置、及び電子部品
JP3950799B2 (ja) * 2003-01-28 2007-08-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595B1 (ko) 2007-04-11
TWI254431B (en) 2006-05-01
US20050208811A1 (en) 2005-09-22
TW200534450A (en) 2005-10-16
CN100388470C (zh) 2008-05-14
US7137831B2 (en) 2006-11-21
CN1670949A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4558C (zh) 印刷布线板的连接装置
US7497695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printed wiring board
US9252510B2 (en) Soldering structure for mounting connector on flexible circuit board
CN101682136B (zh) 板卡边缘电缆连接器
WO2004098249A1 (ja) 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KR100706595B1 (ko) 기판
US20060046533A1 (en) Substrate for connector
JP5175535B2 (ja) 接触バネを有する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
US7118393B1 (en) Bonded elastomeric connector
EP2913897B1 (en) Connector structure,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JP2005302705A (ja) 基板
EP1174311A1 (en) Junction box
EP2705576B1 (en) High-voltage resistance and retention of printed flex circuits
EP2942837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flexible circuit board
JP4430487B2 (ja) 対面型コネクタ
US5964594A (en) Electrical connector
US7686620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unit section
US6428359B2 (en)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a shielding and at least one connector module in the housing
JP5114297B2 (ja) グランドバー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US20200075270A1 (en) Membrane switch device and keyboard device
EP3683895B1 (en) Connector, circuit board assembly and connection structure
JP5693387B2 (ja) コネクタ
US6270366B1 (en) Adaptable high integrated electric interconnecting system
JPH1032062A (ja) 電気コネクタ
US6186823B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