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899A - 미네랄 제제, 이의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 제제, 이의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899A
KR20060042899A KR1020050008548A KR20050008548A KR20060042899A KR 20060042899 A KR20060042899 A KR 20060042899A KR 1020050008548 A KR1020050008548 A KR 1020050008548A KR 20050008548 A KR20050008548 A KR 20050008548A KR 20060042899 A KR20060042899 A KR 20060042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raw material
sesame
preparation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이노우에
신사쿠 다카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닛폰세이부쓰카가쿠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닛폰세이부쓰카가쿠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닛폰세이부쓰카가쿠겐큐쇼
Publication of KR20060042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0Sack-filling devices; Counting or weig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참기름 제조의 부산물인 탈지 참깨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갖는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는 탈지 참깨를 소성함으로써 수득되며 이러한 미네랄 제제용 원료로부터 미네랄을 회수함으로써 체내 흡수성이 양호한 미네랄 제제가 수득된다.
탈지 참깨, 소성, 미네랄 제제용 원료

Description

미네랄 제제, 이의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Mineral preparation, raw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mineral preparation and the raw material}
본 발명은 미네랄 제제 및 미네랄 제제용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탈지 참깨로부터 미네랄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깨 종자는 약 50질량%의 지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참기름의 원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참기름을 착유한 나머지 성분, 즉 참깨 종자의 약 50질량%에 상당하는 탈지 참깨는 대부분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탈지 참깨는 참기름의 착유공정에서 상당한 열을 받으므로 단백질 분해물 등에 기인하여 암갈색을 나타내며 이상한 맛과 냄새를 갖는다. 따라서, 그대로 음식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의 대부분이 산업 폐기물로서 처리되고 있다.
최근, 탈지 참깨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에 착안한 이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탈지 참깨 중에 지질이 적으며 단백질 및 세사민올 3배당체가 많은 것을 이용하여, 콩가루, 곡류, 토란 가루, 각종 전분 등의 식용 분말류와 소정의 비 율로 혼합한 혼합 식용 분말류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탈지 참깨로부터 추출된 메탄올 가용이고, 1-부탄올 가용의 분획이 세사민 또는 세사몰을 함유하고, 당 및 지질대사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2).
한편, 참깨 종자에는 일반적으로 35mg/100g 이상의 옥살산 및 5000mg/100g 이상의 옥살산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 옥살산 및 피트산은 미네랄 대사를 억제하여, 미네랄의 유효성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참깨 종자, 특히 참깨의 종자 껍질에는 칼슘이 많이 함유되지만, 이의 대부분이 옥살산칼슘으로서 존재하고 있으므로 참깨의 종자 껍질 유래의 칼슘은 흡수율이 나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참깨의 종자 껍질을 소성함으로써 체내로의 칼슘의 흡수성이 양호한 칼슘을 수득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특허 문헌3). 그러나, 본 방법으로 수득되는 미네랄은 칼슘 함량이 높은 미네랄 제제이며, 칼슘 이외에도 마그네슘 등의 다른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균형잡힌 미네랄 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76662호
[특허 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46427호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제31890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참기름의 제조의 부산물인 탈지 참깨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갖는 식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탈지 참깨를 소성함으로써 옥살산 및 피트산이 제거된 미네랄 제제용 원료가 수득되고, 이러한 미네랄 제제용 원료에는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이 많이 함유되며 특히 마그네슘이 높은 비율로 함유되고, 산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당해 미네랄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네랄이 체내에 흡수되기 쉽다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는 탈지 참깨를 소성함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의 제조방법은 탈지 참깨를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로부터 회수한 미네랄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함유하며, 당해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전체 질량 중에 차지하는 당해 마그네슘의 비율이 20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의 제조방법은 미네랄 제제용 원료와 산성 수용액을 혼합하는 공정 및 수용액 상을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탈지 참깨로부터의 미네랄의 회수방법은 탈지 참깨를 소성하여 미네랄 제제용 원료를 수득하는 공정, 미네랄 제제용 원료와 산성 수용액을 혼합하는 공정 및 수용액 상을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탈지 참깨로부터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이 적으며, 체내로의 미네랄의 흡수성이 양호한 미네랄 제제, 특히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많이 함유하며, 이중에서도 특히 마그네슘을 높은 비율로 함유하는 미네랄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를 섭취함으로써 미네랄을 균형적이면서, 또한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는 탈지 참깨를 소성함으로써 미네랄 제제용 원료가 수득되며, 이러한 미네랄 제제용 원료로부터 미네랄을 회수함으로써 미네랄 제제가 수득된다. 이하, 탈지 참깨, 미네랄 제제용 원료 및 미네랄 제제에 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탈지 참깨)
본 발명에서 탈지 참깨란 참깨로부터 공업적으로 참기름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잔사를 말한다. 이러한 탈지 참깨는 구체적으로는 참깨를 압착함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탈지 참깨의 원료인 참깨는 참깨과에 속하는 1년초의 종자이며, 식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참깨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색의 검정 참깨, 백색의 흰색 참깨, 황색의 노란 참깨, 황금색의 금 참깨 등 의 품종을 들 수 있다. 참깨는 미리 전처리된 참깨, 예를 들면, 탈피 참깨, 볶은 참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탈피 참깨는, 예를 들면, 로타리 시프터, 로타리 스크린, 비중 분리기(풍력 선별기) 등을 사용하여, 참깨의 종자 껍질을 박리함으로써 수득된다. 볶은 참깨는, 예를 들면, 참깨를 비교적 고온에서 볶음으로써 수득된다.
(미네랄 제제용 원료)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는 탈지 참깨를 소성함으로써 수득된다. 소성함으로써, 소성물, 즉 미네랄 제제용 원료중의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을 감소시켜 미네랄 함유량을 높일 수 있으며 미네랄이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다. 소성도가 낮은 경우, 약간의 옥살산 및 피트산을 함유하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가 수득되지만, 실질적으로 옥살산 및 피트산을 함유하지 않은 미네랄 제제용 원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는 각종 미네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중의 미네랄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8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이다. 미네랄로서는 주로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함유한다(이하, 이들을 주요 미네랄이라고 한다). 이들 주요한 미네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마그네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g/100g 정도이며, 칼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30g/100g 이상이며, 칼륨 함유량은 바 람직하게는 8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g/100g 정도이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를 수득하기 위한 소성온도 및 소성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탈지 참깨를 300℃ 이상에서 30분(바람직하게는 60분 동안)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에서 30분(바람직하게는 60분 동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에서 30분(바람직하게는 60분 동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에서 30분(바람직하게는 60분 동안) 이상이다.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이 적으며 미네랄 함유량이 높은 미네랄 제제용 원료가 수득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200℃에서 2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소성한다. 실질적으로 옥살산 및 피트산을 함유하지 않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가 수득되는 점에서 800℃ 내지 1200℃에서 3시간 이상 소성하는 것이 특히 적절하다.
탈지 참깨를 소성할 때의 분위기에 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면, 탈지 참깨를 공기중에서 소성함으로써 미네랄 제제용 원료를 수득할 수 있다. 탈지 참깨는, 예를 들면, 간접적으로 가온하거나 직접적으로 연소시키는 등에 따라 소성할 수 있다. 소성장치에 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면, 소성로, 전기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용 원료는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이 적으며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며, 주요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균형적으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미네랄로서 유용하다.
(미네랄 제제)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로부터 회수한 미네랄을 함유한다. 미네랄의 회수는 구체적으로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에 산성 수용액을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실시된다. 이러한 추출에 의해 미네랄 제제용 원료중의 미네랄이 수용액 상으로 용출된다.
추출에 사용하는 산성 수용액으로서는 pH가 7.0미만의 수용액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pH가 4 내지 6의 수용액이다. 산성 수용액은,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 또는 락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등의 유기산 등의 수용액을 들 수 있다. 특히 락트산 또는 아세트산의 산성 수용액 또는 발효에 의해 수득되는 락트산, 양조 식초, 목초액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수용액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미네랄 제제용 원료에 함유되는 미네랄이 산성 용액 중의 산과 충분하게 반응하도록 과잉량의 산성 수용액이 첨가된다. 산성 수용액의 첨가량의 목표로서는 산과 미네랄 제제용 원료(재)가 반응됨으로써 생기는 가스(탄산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될 때까지 산성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면 양호하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가스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을 목표로 적절하게 설정하면 양호하다.
이와 동일하게 하여 추출된 미네랄은 수용액 또는 침전물로서 회수된다. 회수는 데칸테이션,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의 방법에 따라 액상과 고상을 분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이러한 미네랄 제제는 다음에, 예를 들면, 동결건조, 스프레이 건 조, 증발 건고(乾固) 등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건조방법에 따라 분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 유래의 각종 미네랄을 함유한다. 이들 미네랄 중에서도 주요한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주요한 미네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마그네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g/100g 정도이며, 칼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g/100g 이상이며, 칼륨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g/100g 정도이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에 함유되는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함유 비율은 임의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주요한 미네랄, 즉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 중에 차지하는 마그네슘의 비율이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8질량% 이상이다. 칼슘에 관해서는 주요한 미네랄 중에 차지하는 칼슘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이다. 칼륨에 관해서는 주요한 미네랄 중에 차지하는 칼륨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함유되는 주요한 미네랄 중에 차지하는 마그네슘의 비율이 25 내지 35질량%, 칼슘의 비율이 20 내지 35질량%, 또한 칼륨의 비율이 40 내지 5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타 미네랄로서는, 예를 들면, 철, 구리, 아연, 망간, 셀레늄, 나트륨, 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함유량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철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g/10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g/100g 이하이다. 구리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mg/100g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mg/100g 정도이다. 셀레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O.01 내지 100mg/1OOg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mg/100g 정도이다. 나트륨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mg 내지 5g/100g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g 내지 1g/100g 정도이다. 아연 및 망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0.01 내지 20mg/100g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mg/100g 정도이다. 인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mg 내지 10g/10Og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g 내지 1g/100g 정도이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옥살산 및 피트산의 함유량이 적으며 체내로의 흡수성이 양호한 미네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의 제형에 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필요에 따라 부형제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분말, 과립 또는 펠릿으로서, 또는 식용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액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균형적으로 함유하므로 체내에 흡수되는 경우에 여러가지 우수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서는, 예를 들면, 골다공증의 예방효과, 순환기계 질환 예방효과; 고지혈증 예방효과;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및 LDL-콜레스테롤의 증가 억제효과; HDL-콜레스테롤의 저하 억제효과; 혈압 상승 억제효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미네랄 제제는 특히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그네슘이 과잉인 칼슘의 체내 로부터의 배설에 기여하므로 칼슘의 과잉 섭취를 억제하면서,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미네랄 제제용 원료의 조제)
탈지 참깨(Lot No.1)를 전기로에 투입하여, 800℃까지 승온한 다음, 1시간 동안 소성을 실시하여, 소성물(소성물 1)을 수득한다. 소성시간을 2시간 또는 3시간으로 설정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소성하여, 소성물 2 및 3을 수득한다.
수득된 각 소성물의 회분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우선, 550℃로 조절한 전기로에 니켈제의 도가니를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데시케이터로 옮기고 30분 동안 방냉하여 칭량한다. 이러한 건조, 방냉 및 칭량을 반복하며, 칭량할 때의 질량이 이전의 칭량할 때의 질량과 비교하여 1mg 이하의 차이로 될 때의 질량을 도가니의 항량(恒量)으로 하여 측정한다(WOg). 이어서, 이러한 도가니에 소성물을 투입하여, 소성물의 질량을 정확하게 칭량한다(W1g). 소성물이 투입된 도가니를 가스 버너로 가열하여, 수분을 완전하게 제거한 다음, 전기로에 도가니의 뚜껑을 비스듬히 올려 놓고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건조한다. 전기로 속에서 도가니에 뚜껑을 덮고 데시케이터에 옮기며 30분 동안 방냉하여 칭량한다. 다시 1시간 동안 건조, 방냉 및 칭량의 조작을 항량(W2g)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실시한다. 수득 된 WO(도가니의 질량), W1(소성물의 질량) 및 W2(재로 변한후의 소성물 및 도가니의 질량)를 사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로부터 소성물의 회분을 구한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소성물의 회분)= {(W2-WO)/W1} ×100(%)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사용하는 소성전의 탈지 참깨의 회분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다(비소성물).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기재한다.
소성시간(h) 회분(%)
실시예 1 1 88.1
실시예 2 2 95.3
실시예 3 3 99.9
비교예 1 0 12.7
표 1의 결과에서 탈지 참깨를 800℃에서 장시간 동안 소성할수록 수득되는 소성물의 회분(灰分)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특히 온도 800℃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함으로써 소성물 중의 회분 함량이 99.9%로 되며, 실질적으로 옥살산 및 피트산을 함유하지 않는 소성물이 수득된다.
(실시예 4: 미네랄 제제용 원료의 조제)
탈지 참깨(Lot No.2)를 전기로에 투입하여, 800℃까지 승온한 다음, 3시간 동안 소성을 실시하여, 소성물(소성물 4)를 수득한다.
(미네랄 제제용 원료중의 미네랄의 측정).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소성물 3 및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소성물 4중의 각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및 기타 미네랄 성분)의 함유량을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분석방법
마그네슘 원자흡광 광도법
칼슘 ICP 발광 분석법
칼륨 원자흡광 광도법
o-페난트롤린 흡광 광도법
구리 원자흡광 광도법
아연 원자흡광 광도법
망간 원자흡광 광도법
셀레늄 형광 광도법
나트륨 원자흡광 광도법
바나도몰리브덴산 흡광 광도법
실시예 3 실시예 4
탈지 참깨 (Lot No.1) 탈지 참깨 (Lot No.2)
소성 전 소성물 3 소성물 4
주요 미네랄 마그네슘 0.75 x 103 (16.9)*1 7.09 x 103 (17.3)*1 5.77 x 103 (15.2)*1
칼슘 2.55 x 103 (57.3)*1 23.7 x 103 (57.7)*1 23.8 x 103 (63.0)*1
칼륨 1.15 x 103 (25.8)*1 10.3 x 103 (25.1)*1 8.23 x 103 (21.8)*1
기타 미네랄 44.1 - 858
구리 3.78 - 25.4
아연 11.3 - 60.4
망간 5.52 - 52.7
셀레늄 91 x 10-3 - 0.33
나트륨 23.3 - 138
1.26 x 103 13.2 x 103 10.4 x 103
단위는 mg/100g
*1… 주요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전체 질량 중에 차지하는 각 미네랄의 비율(질량%)
*2… 표중의 「-」는 측정되지 않음
표 3의 결과로부터 탈지 참깨 소성물(소성물 3 및 4)은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것을 알았다. 특히, 마그네슘의 함유량은 5g/100g 이상, 칼슘의 함유량은 20g/100g 이상 및 칼륨의 함유량은 8g/100g 이상이다. 표 1 및 3의 결과로부터 이들 소성물은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이 적으며, 주요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구성 비율을 고려하면 이들 소성물로부터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미네랄 제제가 수득되는 것이 기대된다.
(실시예 5 내지 7: 미네랄 제제의 조제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소성물(소성물 1 내지 3)을 각각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이들 소성물(소성물 1 내지 3)에 산성 수용액(5 내지 20%의 염산 수용액, 황산 수용액, 락트산 수용액, 락트산 발효액, 아세트산 수용액 또는 아세트산 발효액(양조 식초))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다. 산과 소성물이 반응하여 가스(탄산가스)가 발생하며, 동시에 소성물 중의 미네랄 성분이 용액 중에 용출된다. 산성 수용액은 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될 때까지 첨가한다. 이와 같이 반응을 종료시켜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고, 이러한 여액을 스프레이 건조함으로써 미네랄 제제를 수득한다.
(실시예 8: 미네랄 제제의 조제 2)
전기로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탈지 참깨를 800℃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함으로써 재로 변하게 하여 회분 99.9%의 소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소성물 425g을 반응조에 옮기며 교반하면서 천연 양조 식초(15% 아세트산 용액) 3ℓ를 서서히 가하여 혼합한다. 혼합액의 pH는 4.38이다. 다시 교반하면서 밤새 방치하여 미네랄 성분을 완전하게 용액상으로 용출시킨다. 다음에 여과하여 여액를 회수하고, 145 내지 150℃에서 스프레이 건조를 실시하여, 미네랄을 함유하는 고형물(탈지 참깨 소성물의 아세트산 처리물) 약 400g을 수득한다.
이와는 별도로 소성물 405g을 반응조에 옮기며 교반하면서 락트산 발효액(L형 락트산을 50질량% 함유) 630g 및 물 3.6ℓ를 서서히 가하여 혼합한다. 혼합액 의 pH는 4.98이다. 다시 교반하면서 60℃에서 하루밤 방치하여 미네랄 성분을 완전하게 용액상으로 용출시킨다. 다음에 여과하여 여액를 회수하고, 145 내지 150℃에서 스프레이 건조를 실시하여, 미네랄을 함유하는 고형물(탈지 참깨 소성물의 락트산 처리물) 약 400g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탈지 참깨(소성전), 아세트산 처리물 및 락트산 처리물 중의 각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철, 구리, 아연, 망간, 셀레늄, 나트륨 및 인)의 함유량을 상기 표 2에 기재된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비교예 2)
탈지 참깨 대신에 참깨 표피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참깨 표피 소성물의 아세트산 처리물 및 락트산 처리물을 수득하며 이들 처리물 중의 각 미네랄 함유량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4에 아울러 기재한다.
탈지 참깨(실시예 8) 참깨 표피(비교예 2)
소성 전 아세트산 처리물 락트산 처리물 아세트산 처리물 락트산 처리물
주요 미네랄 마그네슘 0.75 x 103 (16.9)*1 5.75 x 103 (30.5)*1 4.83 x 103 (27.8)*1 1.12 x 103 (5.5)*1 0.91 x 103 (5.4)*1
칼슘 2.55 x 103 (57.3)*1 4.77 x 103 (25.3)*1 5.41 x 103 (31.1)*1 18.1 x 103 (89.1)*1 14.8 x 103 (88.2)*1
칼륨 1.15 x 103 (25.8)*1 8.36 x 103 (44.3)*1 7.13 x 103 (41.0)*1 1.10 x 103 (5.4)*1 1.07 x 103 (6.4)*1
기타 미네랄 44.1 0 10.2 1.20 4.31
구리 3.78 9.47 11.1 1.52 0.49
아연 11.3 9.65 12.9 2.91 0.29
망간 5.52 0.09 17.3 -*2 -*2
셀레늄 91 x 10-3 0.24 0.22 -*2 8 x 103
나트륨 23.3 113 105 22.9 56.3
1.26 x 103 668 462 -*2 -*2
단위는 mg/100g
*1… 주요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전체 질량 중에 차지하는 각 미네랄의 비율(질량%)
*2… 표중의 「-」는 검출 한계 이하
표 4의 결과로부터 탈지 참깨 소성물의 아세트산 처리물 및 락트산 처리물은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균형적으로, 또한 높은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알았다. 특히 탈지 참깨의 처리물에 함유되는 주요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 중에 차지하는 마그네슘의 비율은 20질량% 이상으로 높은 값이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참깨 표피 소성물의 아세트산 처리물 및 락트산 처리물에 함유되는 주요한 미네랄 중에 차지하는 마그네슘의 비율은 5.5질량% 이하이다. 또한, 탈지 참깨의 처리물에 함유되는 주요한 미네랄 중에 차지하는 칼슘의 비율은 25질량% 이상이며, 칼 륨의 비율은 40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 폐기물인 탈지 참깨로부터 옥살산 및/또는 피트산의 함유량이 작으며 체내로의 미네랄의 흡수성이 양호한 미네랄 제제가 수득된다. 특히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많이 함유하며, 이중에서도 특히 마그네슘을 높은 비율로 함유하는 미네랄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를 섭취함으로써 미네랄을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참기름 제조의 부산물인 탈지 참깨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네랄 제제는 식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 이용된다.

Claims (6)

  1. 탈지 참깨를 소성함으로써 수득되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
  2. 탈지 참깨를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미네랄 제제용 원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따른 미네랄 제제용 원료로부터 회수한 미네랄을 함유하는 미네랄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을 함유하며, 당해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전체 질량 중에 차지하는 마그네슘의 비율이 20질량% 이상인 미네랄 제제.
  5. 제1항에 따른 미네랄 제제용 원료와 산성 수용액을 혼합하는 공정 및
    수용액 상을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미네랄 제제의 제조방법.
  6. 탈지 참깨를 소성하여 미네랄 제제용 원료를 수득하는 공정,
    미네랄 제제용 원료와 산성 수용액을 혼합하는 공정 및
    수용액 상을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탈지 참깨로부터의 미네랄의 회수방법.
KR1020050008548A 2004-08-27 2005-01-31 미네랄 제제, 이의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60042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8417 2004-08-27
JP2004248417 2004-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899A true KR20060042899A (ko) 2006-05-15

Family

ID=3594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548A KR20060042899A (ko) 2004-08-27 2005-01-31 미네랄 제제, 이의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45950A1 (ko)
KR (1) KR20060042899A (ko)
CN (1) CN1739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98B1 (ko) * 2013-10-08 2015-01-15 (주)수미바이오 미강 발효를 이용한 미네랄 결정체 제조방법
KR20160116647A (ko) 2015-03-31 2016-10-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생물학적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7858B2 (ja) * 2009-12-24 2014-04-09 有限会社サニーヘルツジャパン 食肉加工食品の品質改良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7670B (en) * 1997-05-21 2005-02-11 Fujix Inc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alcium antagonist
JP3189044B2 (ja) * 1997-10-27 2001-07-16 株式会社大阪富士甚 カルシウム製剤及びそのための原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98B1 (ko) * 2013-10-08 2015-01-15 (주)수미바이오 미강 발효를 이용한 미네랄 결정체 제조방법
KR20160116647A (ko) 2015-03-31 2016-10-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생물학적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9390A (zh) 2006-03-01
US20060045950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0019A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foods and drinks containing the same
KR100242860B1 (ko) 칼슘제제및그것을위한원료및이들의제조방법
KR20060042899A (ko) 미네랄 제제, 이의 원료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3559487B2 (ja) ミネラル高含有牡蠣エ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77932B1 (ko) 수용성 법제유황 분말의 제조방법
JPH11308978A (ja) 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予防飲食品
CN108378203A (zh) 一种富硒南美白对虾饲料及其制备方法
WO2008018139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KR101969692B1 (ko) 2가 철 공급제
KR20050090041A (ko) 녹용 또는 녹각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JP2006089453A (ja) ミネラル製剤およびその原料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l-Mahdy et al. Changes in phytate and minerals during germination and cooking of fenugreek seeds
KR20140072595A (ko) 모시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0478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녹골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녹골 추출물, 그리고 이를 함유하는 식품
KR100647437B1 (ko) 유탕 제품용 수용성 항산화제
JP4939781B2 (ja) ニンニク成分を含有する高血圧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10066047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녹용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된 녹용 추출물, 그리고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의약품
CN1203770C (zh) 一种蟹油及其制备
KR101404204B1 (ko) 오디 뽕소금의 제조방법
RU2132622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бурых водорослей
CN1395849A (zh) 低氟砖茶粉的制备方法
JP2001149038A (ja) サラシア食品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食品素材を含有する食品。
Kalpana Devi et al. Determination and isolation of protein from different fractions of defatted groundnut oil cake
KR102522279B1 (ko) 호두 과립 제조 방법
KR100365964B1 (ko) 패각류 껍질을 이용한 젖산칼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