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394A -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394A
KR20060042394A KR20050016082A KR20050016082A KR20060042394A KR 20060042394 A KR20060042394 A KR 20060042394A KR 20050016082 A KR20050016082 A KR 20050016082A KR 20050016082 A KR20050016082 A KR 20050016082A KR 20060042394 A KR20060042394 A KR 2006004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criber unit
s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세끼네
마사시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기판 상에 복수 채널분의 가입자 회선을 각각 종단한 제1∼제11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112-1∼112-11)에 대하여, 기판 상에 동일한 개수의 가입자 회선을 종단한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112-12)이 구비되어 있다. 임의의 채널들에 대응한 장애가 발생하면, 용장 제어반(114)은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대응하는 채널로의 전환을 구현한다. 이러한 전환에 의해, 패킷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가 변한다. 그러나, 프로텍션 제어부(215)의 제어 하에서 매핑 테이블(212)을 사용하기 전과 동일한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대처할 수 있다.
가입자 회선 종단 시스템, 현용 가입자 유닛, 예비용 가입자 유닛

Description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SUBSCRIBER UNIT REDUNDANT SYSTEM AND SUBSCRIBER UNIT REDUNDANT METHOD}
도 1은 ADSL을 사용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장애 대책을 위해 종래 일반적으로 실시된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의 주요부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합 중계(integrated gateway)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합 중계 유닛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변환을 수행하는 회로와, 그의 주변 구성을 도시한 원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기입 전의 매핑(mapping) 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기입 후의 매핑 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장애 발생 시의 본 발명의 장치 제어부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신 시스템
101: ADSL 모뎀
102: DSL 가입자 회선
103: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
104: 분할기 유닛
111: 수납 래크
112-1∼112-11: 제1∼제11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
112-12: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
114: 용장 제어반
115: 예비용 스루 카드
116: 업 링크 회선
118: 브릿지 포워더
121: 전환 스위치
122: 릴레이 접점 선택 회로
124: 릴레이 여기 제어 회로
127: 점퍼 회로
129: 백 플레인 버스
131: 복합 중계 유닛
132: 장치 제어부
211: 주신호 제어부
212: 매핑 테이블
214: 입출력 기기
215: 프로텍션 제어부
216: 전환 검출부
[문헌 1] JP-A-2003-061118
본 발명은, 복수의 가입자 회선을 종단한 가입자 유닛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구제를 행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대칭 디지탈 가입자 전송 시스템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항시 접속의 보급에 수반하여, 기존의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비교 적 대용량의 데이터를 염가인 통신료로 수신할 수 있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을 사용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ADSL을 사용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ADSL 모뎀(501-1∼501-M)은, 각각 가입자들의 댁(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되어 있고, 컴퓨터나 인터넷 텔레비전 등의 인터넷 접속 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이들 ADSL 모뎀(501-1∼501-M)은, 사용자 분할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가입자 교환국(502)에 접속되어 있다. 가입자 교환국(502) 내에는, ADSL 모뎀(501-1∼501-M)의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분할기 유닛(511-1∼511-M)이 구비되고 있다. 가입자 교환국(502)는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하에서는 "LTU"라 지칭함)(514-1~514-J)을 더 포함한다.
분할기 유닛들(511-1∼511-M) 중에서 분할기 유닛(511-1)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분할기 유닛(511-1)은, DSL 가입자 회선(503-1)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504-1)를, 음성 주파수 대역의 전화 신호(512-1)와, 이 음성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ADSL 신호(513-1)로 분리한다. 전화 신호(512-1)는, 회선 교환용의 교환기(515)에 보내어지게 된다. 분할기 유닛(511-1)에 의해 분리된 ADSL 신호(513-1)는, 대응하는 DSL LTU(514-1)의 초기 단계에서(도시되지 않음) 변조/복조되고, ATM 셀이 추출되어, 백플레인 버스(516)를 통하여 복합 중계 유닛(integrated gateway unit; IGU)(517)에 입력된다. 복합 중계 유닛(517)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분할기 유닛(511-1)처럼, 분할기 유닛들(511-2~511-M)은 각각 DSL 가입자 회선들(503-2~503-M)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504-2~504-M)을 음성 신호 대역의 전화 신호 및 ADSL 신호들( 513-2~513-L)로 분할한다.
LTU(514-1~514-J)의 각각은 소정 개수의 회선들(예를 들어, 최대 32개 회선들)에 대응하는 DSL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한다. DSL 트랜시버 모듈은 예를 들면,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된다. DSL 가입자 회선(503-1∼503-M) 중에 대응하는 회선을 사용하여, 인터넷(519)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업 링크 회선(521)을 통하여 업링크 방향으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조하여, DSL 가입자 회선(503-1∼503-M) 중에 대응하는 회선에 이 변조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출한다. 업링크 방향은 인터넷을 향한 방향이고, 다운링크 방향은 업링크 방향의 반대 방향임을 유의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ADSL 모뎀(501-1∼501-M)의 보급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32 회선분씩 접속하는 LTU(514-1∼514-J)의 개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가입자 교환국(502)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임의의 LTU(514-1∼514-J)에서의 장애 발생 시의 대처가 중요하게 된다.
도 2는, 그러한 장애 대책을 위해 종래 일반적으로 실시된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복합 중계 유닛(517)은 필요한 패킷만을 네트워크(523)로부터 취득하기 위해 설치된 브릿지(531)를 포함한다. 복합 중계 유닛(517)에는, 도 1에 도시한 LTU(514-1∼514-J)에 각각 대응하는 현용(current-use)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하에서는 "현용 LTU"라 칭함)(532-1∼532-J)과, 이것에 추가하여 현용 LTU(514-1∼514-J)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예비용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하에서는 "예비용 LTU"라 칭함)(533-1∼533-J)가 접속되어 있다. 이 중, 현용 LTU(532-1∼532-J) 및 예비용 LTU(533-1∼533-J)에서의 브릿지(531)측에는 제1 전환 스위치(534-1∼534-J)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환 스위치(534-1∼534-J)는 각각, 현용 LTU(532-1∼532-J) 측에 항상 접속되어 있는 접점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용 LTU(532-1∼532-J) 및 ADSL 모뎀(501-1∼501-M)(도 1) 측의 예비용 LTU(533-1~533-J)에는 제2 전환 스위치(535-1∼535-J)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제2 전환 스위치(535-1∼535-J)는 각각, 현용 LTU(532-1∼532-J) 측에 항상 접속되어 있는 접점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에서는, 항상은 현용 LTU(532-1∼532-J)가 브릿지(531)와 접속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서 패킷이 교환된다. 현용 LTU(532-1∼532-J) 중 임의의 것에 장애 혹은 고장(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장애"라고 칭함)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전환 스위치(534-1∼534-J, 535-1∼535-J) 중 대응하는 것이 현용으로부터 예비용으로, 자동적으로 혹은 수동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현용 LTU(532-1)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현용 LTU(532-1) 대신에 예비용 LTU(533-1)가 그 자신과 브릿지(531) 사이에서 패킷을 교환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현용 LTU(532-1)의 해당하는 32 회선분의 신호 처리가 복구되어, 가입자로의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다.
그런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비대칭 디지탈 가입자 회선을 사용한 통신 시스템의 보급에 수반하여,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사용 개수가 급속히 증대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은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개수를 실질적으로 배증시키는 설비를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이하의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이 JP-A-2003-061118에 제안되고 있다. 이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에 대해서, 오직 하나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만이 추가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으로서 여분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각각을 여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에 접속하는 공통 접속용 보드가 제공된다.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어느 것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에, 공통 접속용 보드를 제어함으로써 추가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으로의 전환이 수행된다.
상술한 제안에 의한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에서는, 각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에 장애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릴레이 회로가 제공된다. 릴레이 회로는, 검지 수단이 장애를 검지했을 때에, 그 장애의 발생한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에 대응하는 포트를 공통 접속용 보드에 접속한다. 그리고, 이 릴레이 회로의 전환에 의해, 여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에 제공되어 있는 릴레이 회로를 구동하여, 여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을 공통선을 사용하여 공통 접속용 보드에 접속한다. 그 결과 장애의 발생한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 여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 여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을 사용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에서는, 전체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단위로 장애 시의 교환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을, 각각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 복수의 DSL 가입자 회선을 종단하여, 이들 회선 혹은 채널마다의 처리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처리 회로들의 일부분에만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여분 DSL 가입자 회 선 종단 유닛으로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한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 내의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처리 회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채널에 대해 각각 동일한 처리 회로를 갖는 복수의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어느 것에 장애를 발생시킨 경우에도, 장애의 발생한 채널/채널들의 처리 회로/회로들만을 대응하는 예비의 것/것들로 전환하는 용장 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은, 각각이 기판 상에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된 처리 회로를 복수 채널분 구비하고, 각각이 상기 복수의 채널 수 만큼의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 및 처리 회로를 복수 채널분 가진 예비용 가입자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들의 각각은 현용 가입자 유닛의 처리 회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은,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서의 처리 회로들 중 어느 것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그 장애가 발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처리 회로와 가입자 회선 사이를 접속하는 경로를, 예비용 가입자 유닛에서의 동일 채널의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경로로 전환하는 채널별 전환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이 제공된다.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은,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 및 예비용 가입자 유닛을 제공하 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용 가입자 유닛들 각각 및 예비용 가입자 유닛은 복수의 가입자 회선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제공된 처리 회로들과 동일한 개수를 갖는다. 처리 회로들은 채널당 처리 회로들로서 기능한다.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은,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서의 상기 처리 회로들 중 어느 것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그 장애가 발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처리 회로와 가입자 회선 사이를 접속하는 경로를, 예비용 가입자 유닛에서의 동일 채널의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애 발생 시에는 채널별로의 처리 회로를 예비용 가입자 유닛의 대응하는 채널의 처리 회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하나의 현용 가입자 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채널의 처리 회로들이 한번에 장애를 발생시킨 경우에도, 이 처리 회로들에 대해 예비용 가입자 유닛으로 대용할 수가 있어, 신뢰성이 높은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의 개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이 통신 시스템(100)은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를 포함하며,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을 사용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각각의 가입자댁에 1대씩, 컴퓨터나 인터넷 텔레비 전 등의 통신 기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한 ADSL 모뎀(105-1∼105-M)이 배치되어 있다.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는 분할기 유닛(104-1∼104-M)을 포함한다. 이 ADSL 모뎀(101-1∼101-M)은, DSL 가입자 회선(102-1∼102-M)을 통하여 분할기 유닛(104-1∼104-M)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들(105-1~105-M)은 각각 DSL 가입자 회선(102-1∼102-M)을 통해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분할기 유닛(104-1∼104-M) 중에서 분할기 유닛(104-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분할기 유닛(104-1)은, DSL 가입자 회선(102-1)을 통해 수신된 신호(105-1)를, 음성 주파수 대역의 전화 신호(106-1)와, 이 음성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ADSL 신호(107-1)로 분리한다. 전화 신호(106-1)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08)과 접속된 회선 교환용의 교환기(109)에 보내여지게 된다.
분할기 유닛(104-1∼104-M)에 의해 분리된 ADSL 신호(107-1∼107-M)는,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 내에 제공된 수납 래크(accommodation rack)(111)로 출력된다. 이 수납 래크(111)에는, 제1∼제11 LTU(현용 가입자 유닛; 이하에서는 "LTU"로 지칭함)(112-1∼112-11)가, 제1∼제11 슬롯에 순서대로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배치된다. 제1~제11 LTU(112-1∼112-11)의 각각은 최대로 32 회선에 대응하는 DSL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한다. 수납 래크(111)에는, 제12번째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예비용 가입자 유닛; 이하에서는 "예비용 LTU"라 지칭함)(112-12)으로서 제12 슬롯에 역시 착탈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제1∼제11 LTU(112-1∼112-11)에 대한 용장 제어를 행하는 용장 제어반(114)이 제13 슬롯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예비 LTU(112-12)는, 제1∼제11 LTU(112-1∼112-11)의 각각과 완전히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예비 LTU(112-12)를 이용한 용장 구성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 예비 LTU(113)를 제12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112-12)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용장 구성을 채용하지 않고 제1∼제12 LTU(112-1∼112-12)가 사용되면, 최대로 384개의 DSL 가입자 회선(102-1∼102-384)을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에 수용할 수 있다. 수납 래크(111)를 더 증설할 수 있으면, 수용하는 DSL 가입자 회선(102)의 수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수납 래크(111)에는, 업 링크 회선(116)을 통하여 인터넷(117)과 접속된 브릿지 포워더(118)가, 도시되지 않은 회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물론, 브릿지 포워더(118)도 수납 래크(11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브릿지 포워더(118)는, 층2의 전송을 행하여,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es)에 기초하여 패킷을 분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제1∼제11 LTU(112-1∼112-11)의 각각은, 32 회선분, 즉 도 3에서 원안의 숫자로 도시한 바와 같이 1번째로부터 32번째까지의 DSL 트랜시버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M"이 "352"인 경우에는, 제1~제11 LTU(112-1∼112-11)는 DSL 가입자 회선(102-1∼102-352)을 사용하여, 인터넷(117)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업링크 회선(116)을 통하여 업링크 방향으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한편,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조하여, DSL 가입자 회선(102-1∼102-352)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업링크 방향은 인터넷(117)으로의 방향임을 유의한다.
용장 구성을 채용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11 LTU(112-1∼112-11)의 각각 동일한 채널 번호의 DSL 트랜시버 모듈이, 예비 LTU(113)의 동일한 채널 번호의 DSL 트랜시버 모듈과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제1∼제11 LTU(112-1∼112-11)의 DSL 트랜시버 모듈 중 어느 것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용장 제어반(114)의 제어 하에서, 장애가 발생한 DSL 트랜시버 모듈의 것과 동일한 채널 개수를 갖는 예비 LTU(112-12)의 DSL 트랜시버 모듈이 그것 대신에 동작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제11 LTU(112-1∼112-11)는, 제1∼제11 분할기 유닛(104-1∼104-11)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용장 제어반(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예비 LTU(112-12)는, 예비용 스루 카드(auxiliary through card)(115)에 접속되어 있다. 예비용 스루 카드(115)는 제1∼제11 LTU(112-1∼112-11)와 접속되어 있으며, 장애 발생 시에 제1∼제11 LTU(112-1∼112-11) 중 장애가 발생한 회로 부분을 예비용 스루 카드(115)의 대체 회로 부분으로 전환하는 경로 설정을 수행한다.
제1 분할기 유닛(104-1)은, 제1∼제32 DSL 가입자 회선(102-1∼102-32)을 통하여 제1∼제32 ADSL 모뎀(101-1∼101-32)에의 접속용의 제1∼제32 전환 스위치(121-1∼121-32)를 포함한다. 제1 분할기 유닛은 장애가 발생한 제1 LTU(112-1)의 회로 부분에 대응하는 전환 스위치(121-1∼121-32)의 각각의 접점을 전환하는 제1 릴레이 접점 선택 회로(RLSEL)(122-1)를 더 포함한다. 제2∼제11 LTU(112-2∼112-11)에 접속된 제2∼제11 분할기 유닛(104-2∼104-11) 각각도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장 제어반(114)은 제1∼제11 분할기 유닛(104-1∼104-11)의 릴레이 접점 선택 회로(122-1∼122-11)(제1 분할기 유닛(104-1)의 릴레이 접점 선택 회로(122-1)에 대해서만 도시함)를 개별로 제어하는 릴레이 여기 제어 회로(12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LTU(112-1)에서의 제1 DSL 가입자 회선(102-1)에 대응하는 제1 DSL 트랜시버 모듈(125-1)에 장애가 발생하여 그 교환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용장 제어반(114) 내의 릴레이 여기 제어 회로(124)는, 제1 분할기 유닛(104-1)의 대응하는 제1 릴레이 접점 선택 회로(122-1)에 신호를 보내어, 해당의 제1 전환 스위치(121-1)의 접점을 평상시 개방 접점측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제1∼제32 전환 스위치(121-1∼121-32)는, 도시된 접점 상태의 평상시 폐쇄 접점측이, 제1 LTU(112-1)에서의 제1∼제32 DSL 트랜시버 모듈(125-1∼125-3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제32 전환 스위치(121-1∼121-32)의 평상시 개방 접점측은, 예비용 스루 카드(115)의 제1∼제32 점퍼 회로(127-1∼127-32)의 입력측 단자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제32 점퍼 회로(127-1∼127-32)의 출력측 단자는, 예비 LTU(112-12)에 배치된 제353∼제384 DSL 트랜시버 모듈(125-353∼125-38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제32 점퍼 회로(127-1∼127-32)의 입력측 단자와 출력측 단자는, 제12 LTU이기도 한 예비 LTU(112-12)가 "예비용"으로 설정된 시 점에, 물리적 혹은 전자적인 점퍼선(128-1∼128-32)에 의해, 각각 대응하는 쌍으로 그 사이에 단락되어 있다.
도 4는 제1 LTU(112-1) 및 이것에 관련하는 제1 분할기 유닛(104-1)의 회로 부분만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2∼제11분할기 유닛(104-2∼104-11)에 배치된 제33∼제352 전환 스위치(121-33∼121-352)(도시되지 않음)에 대해서, 도 3에서 원안의 숫자로 나타낸 32개 채널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분할기 유닛(104)의 전환 스위치(121)는 제1∼제32 점퍼 회로(127-1∼127-32)의 대응하는 입력측 단자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일례를 들면, 제33, 제65, 제97,...의 전환 스위치(121-33, 121-65, 121-97,...)는, 모두 도 3에서 원안의 숫자로 나타낸 DSL 트랜시버 모듈(125)의 채널에 대응하므로, 예비용 스루 카드(115)의 제1 점퍼 회로(127-1)의 입력측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 결과, 제1 LTU(112-1)에서의 제1 DSL 가입자 회선(102-1)에 대응하는 제1 DSL 트랜시버 모듈(125-1)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환 스위치(121-1)가 평상시 개방 접점측으로 전환된다. 그럼으로써, 예비 LTU(112-12)의 제353 DSL 트랜시버 모듈(125-353)이 제1 DSL 트랜시버 모듈(125-1)의 대신으로 동작 된다. 마찬가지로, 제1 LTU(112-1)에서의 제32 DSL 가입자 회선(102-32)에 대응한 제32 DSL 트랜시버 모듈(125-3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32 전환 스위치(121-32)가 평상시 개방 접점측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예비 LTU(112-12)의 제384 DSL 트랜시버 모듈(125-384)이 제32 DSL 트랜시버 모듈(125-32) 대신에 동작하게 된다.
도 4에 있어서, 분할기 유닛(104-1~104-M), 용장 제어반(114), 및 예비용 스루 카드(115)는 집합적으로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채널별 회로로서 기능한다. 특히, 용장 제어반(114)은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전환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도 5는,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의 주요부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는, 도 4에서 설명한 LTU(112-1∼112-12)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은 백플레인 버스(backplane bus)(129)를 통해 복합 중계 유닛(131)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복합 중계 유닛(131)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고 있고, 그 타단측에는, 업 링크 회선(116)이 접속되어 있다.
복합 중계 유닛(131)은,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의 전체적인 제어와 감시를 행하는 장치 제어부(132)와, 백플레인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백플레인 버스 IF(인터페이스) 회로(133)를 포함한다. 복합 중계 유닛(131)은 또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셀의 조립과 분해를 수행하는 ATM SAR(Asynchronous Transfer Mode Segmentation and Reassembly)(134), 및 층2(L2) 프레임의 전송을 행하여,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패킷을 분류하는 브릿지 포워더(118)를 더 포함한다. ATM 셀은, ATM SAR(134)과 LTU(112-1∼112-12) 사이에서 전송되어, 업 링크 회선(116)의 입력 및 출력 부분에서는 이더넷(등록상표) 프레임이 전송된다.
도 6은, 복합 중계 유닛(131)의 회로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복합 중계 유닛(131)은, 장치 제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141)과 네트워크 프로 세서(142)의 2개의 프로세서와,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143),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144), 및 불휘발성 RAM(Random Access Memory)(145)를 갖는 메모리군을 포함한다. 복합 중계 유닛(131)은, 특정 용도를 향한 집적 회로로서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이루어지는 백플레인 버스 IF 회로(133), 및 LSI(Large Scale Integration) 칩(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는 GbE(Gigabit Ethernet(등록 상표)) IF(Interface) 회로(14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장치 제어 CPU(141)는, 장치의 관리, 통신, 및 구성의 설정에 관한 제어를 실행한다. 네트워크 프로세서(142)는, 내장 CPU(151) 및 ATM SAR(134)를 구비한 고속의 통신용 프로세서이다. 이 네트워크 프로세서(142)를 사용하여, 도 5에 나타낸 브릿지 포워더(194)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고, 이것에 의한 프레임의 수신, 수신처의 판별, 수신처에의 송신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백플레인 버스 IF 회로(133)는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 회선에 대한 버스의 제어와 같은 회선에 관한 각종 제어를, 기가 비트 속도로 전송되는 프레임의 고속 처리를 실행한다. 백플레인 버스 IF 회로(133)는, LTU(112-1∼112-12)를 폴링에 의해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도 7은, 복합 중계 유닛(131)의 주요한 기능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복합 중계 유닛(131)은, 도 6에서의 장치 제어 CPU(141)와 그의 관련된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본 기능부(161)과, 신호 처리부(162)를 포함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162)는, 도 6에서의 네트워크 프로세서(142)와 그의 관련된 하드웨어, 및 제어 용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 있다. 물론, 신호 처리부(162)를 하드웨어에 의해서만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 기능부(161)는, 호스트(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을 행하여 콘솔(도시 생략)을 조작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 소프트웨어부(171)와, 그 기능 소프트웨어부(171)와의 패킷 통신을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1)부(172)와, MAC(Media Access Control)의 관리를 행하는 MAC 부(173)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 소프트웨어부(171)는 멀티캐스트에 의한 통신을 스누프(snoop)하는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스누프부(171A), 및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로 재이용 가능한 IP 어드레스의 동적 할당과 각종 설정을 자동으로 행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171B)를 포함한다. 또한, 기능 소프트웨어부(171)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1) 클라이언트(171C), 기기의 감시를 위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에이전트(171D), 및 시스템 제어 어플리케이션(APL)(171E)을 더 포함한다. 또한, 기능 소프트웨어부(171)는, CLI(Command Line Interface)부(171F), 가상 단말기 프로토콜(TELNET) 서버(171G), 및 시리얼(serial) 드라이버(171H)를 더 포함한다. 이 컴포넌트들 중에서, 본 발명의 설명으로 특히 필요하게 되는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신호 처리부(162)는, 그 자신과 GbEIF 회로(147) 사이에서 이더넷(등록 상표)에 의한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하는 Ether 송수신 제어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Ether 송수신 제어부(182), 및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업 링크 회선(116)을 통하여 프로그램 분배용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수신한 패킷, 및 백플레인 버스 IF 회로(133), ATM SAR(134)를 통하여 도 6의 LTU(112-1∼112-12)로부터 수신된 패킷은, 검지부(183)에 전송되고, 여기서 MAC 부(173) 혹은 입력 필터부(184)로 각 패킷의 송출처를 분류하게 된다. IGMP 제어 메시지를 수송하는 패킷, DHCP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송하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 및 기본 기능부(161)의 IP 어드레스를 향한 IP 패킷이, MAC 부(173) 방향으로 송출된다.
입력 필터부(184)는, 예를 들면 부정 액세스된 2층(L2)의 프레임 및 3층(L3)의 패킷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입력 필터부(184)는, 보내여져 온 패킷을 미리 등록한 조건과 비교하여, 일치한 패킷을 폐기하거나, 또는 일치한 패킷만을 통과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입력 필터부(184)를 통과한 패킷이 MAC 학습부(185)에 전달된다. MAC 학습부(185)는, 수신된 각각의 패킷의 송신원 MAC 어드레스 및 그 패킷을 수신한 논리 포트 번호를 학습하여, 이들의 결과를, MAC 테이블(186)에 등록한다. 그 다음에 패킷은 브릿지 포워더(118)에 전달된다. 브릿지 포워더(118)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를 패킷으로부터 추출하여 MAC 테이블(186)을 검색하고, 그 추출된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어떤 논리 포트에 연결되는지 검색한다. 원래는, 중계할 패킷의 전송처를 알지 못함에 따라, 패킷을 수신한 논리 포트 이외의 모든 논리 포트에 패킷을 송신하였다고 해도, 이러한 전송처의 학습에 의해, 송신원의 정보를 키로서 사용하여 수신처에 대응하는 논리 포트에만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MAC 테이블(186)에는 MAC 에이징부(188)가 접속되어 있다. MAC 에이징부(188)는, 학습의 결과로 MAC 테이블(186)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인 경우에도,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어드레스가 재학습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 마감 시간으로서 MAC 테이블(186)로부터 삭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L2 포워더(Forwarder)로서 구성되는 브릿지 포워더(118)는, MAC 학습부(185), MAC 테이블(186), 출력 필터부(191) 및 MAC 부(17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필터부(191)는, 입력 필터부(184)에 대응한다. 수신처에 대응한 출력 논리 포트를 식별한 후에, 식별된 출력 논리 포트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맞는 프레임의 폐기나 통과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부적절한 패킷을 송출하지 않고 폐기한다. 출력 필터부(191)에 의해 사용된, 이러한 필터링을 행하는 조건은,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및 입력/출력 논리 포트에 의해서,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출력 필터부(191)의 출력측에는, 제1 우선 제어부(192A)와 제2 우선 제어부(192B)를 포함하는 우선 제어부(192)가 배치되어 있다. 우선 제어부(192)는, 실시간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음성 등의 특정한 패킷을, 그외의 패킷들에 우선적으로 송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는, 특정한 프로토콜에 우선권을 주는 우선 제어와 특정한 수신처의 어드레스에 우선권을 주는 우선 제어가 존재한다. 제1 우선 제어부(192A)를 거쳐 LTU(112-1∼112-12)(도 4)를 향하는 프레임은, ATM SAR(134)에 보내여진다. ATM SAR(134)은 이더넷(등록상표) 상의 프레임을 ATM 셀로 변환하고, 그것을 백플레인 버스 IF 회로(133)를 통하여, LTU(112-1∼112-12)에 송출한 다. 또한, 제2 우선 제어부(192B)를 거친 업 링크 회선(116)(도 4)를 향하는 프레임은, Ether 송신/수신 제어부(182)에 보내어진다. Ether 송신/수신 제어부(182)에 입력된 프레임은 GbE IF 회로(147)에 그 자체로서, 즉 프레임의 형태로 입력된다.
<복합 중계 유닛의 수신 시의 처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제11 LTU(112-1∼112-11) 내의 회로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하면, 채널 기반, 즉 "1" 내지 "32"까지의 원안의 숫자의 각각으로 나타낸 채널 단위로, 예비 LTU(112-12)의 DSL 트랜시버 모듈(125-353∼125-384)의 대응하는 것이 치환된다. 그러나, 이 제어만을 단순하게 행하는 것뿐이면, 치환 후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가 변화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1번째(제1 채널)의 회로 부분, 즉 제1 LTU(112-1) 내의 제1 DSL 트랜시버 모듈(125-1)에 장애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그것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1/1"(슬롯 번호/채널 번호)라고 표기하면, 이것이 "12/1"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백플레인 버스(129)는, 그것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에 따라 신호를 브릿지 포워더(118)(도 5)로 전달된다. 따라서, 예비 LTU(112-12)의 전환된 DSL 트랜시버 모듈(125)로부터 오는 신호가 그대로 브릿지 포워더(118)에 제공되면, 장애가 발생할 때마다 브릿지 포워더(118)에 설정된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재기입해야만 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1/1"로부터 "12/1"로 재기입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후에서의 구성의 설정이나, 또 는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의 상태 감시를 행할 때에는, 장애가 발생한 회로 부분에 대하여 예비 LTU(112-12)에서의 전환 후의 회선 번호를 사용할 필요가 발생하여, 처리가 번잡하게 된다. 또한, 브릿지의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설정을 행하고 있는 기능이나, 서비스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서는, 인터페이스 전환 시에, 스위칭 후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판독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폐쇄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종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물리적인 회선 전환 시간 이상으로 서비스의 차단이 발생하게 된다. 일례를 들면 DHCP 서버(171B)에 의한 어드레스 할당은 인터페이스 단위로 관리된다. DHCP 서버(171B)가, 인터페이스가 다를 때는 부정한 액세스라고 간주하여, 차단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 전환을 고려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DB)(도시되지 않음) 또는 시큐러티 체크의 기능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에서는, 제1∼제11 LTU(112-1∼112-11)의 설정에 대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구성에 관한 설정은, 예비 LTU(112-12)의 존재를 무시하고 장애 발생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는 것이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변환 테이블로서의 매핑 테이블이 제공된다. 이 매핑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대응하는 식별자의 변환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8은, 인터페이스의 변환을 행하는 회로와 그의 주변 구성을 원리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복합 중계 유닛(131) 내에 배치된 ATM SAR(134)과 백플레인 버스 (129)의 사이에는, ASIC으로 구성되는 주신호 제어부(211)가 설치된다. 주신호 제어부(211)는, 장치 제어부(132) 내의 메모리 영역에 형성되는 매핑 테이블(212)을 참조하여,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의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로의 변환을 수행한다. 장치 제어부(132), 사용자 인터페이스(UI)(213)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입출력 기기(214)와 접속되어 있다. 장치 제어부(132)에 접속된 전환 검출부(216)는, 에러 감시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제11 LTU(112-1∼112-11) 중 어느 것에 장애가 검출될 때, 혹은 입출력 기기(214)로부터 오퍼레이터가 전환을 위한 지시를 입력했을 때에, 해당하는 회로 부분에 대하여 예비 LTU(112-12)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검출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주신호 제어부(211)는 용장 제어반(114)에 해당 회로 부분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통지한다. 장치 제어부(132) 내에는, 용장 제어를 행하는 부분으로서 프로텍션 제어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서, 장치 제어부(132)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식별 정보 부여부 및 장애시 식별 정보 변경부 둘다로서 기능한다. 매핑 테이블(212)은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대응 테이블로서 기능한다. 주신호 제어부(211)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패킷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3)는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장애시 전환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도 9는, 매핑 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매핑 테이블(212)에는, 각각 슬롯 번호와 채널 번호로 이루어지는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와,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다. 매핑 테이블(212)은, 도 3에 나타내는 DSL 가 입자 회선(102-1∼102-M) 중 어느 것이 링크 업하는 경우에, 프로텍션 제어부(215)가 해당 물리 회선을 나타내는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에 대하여, 고유한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할당하는 것에 의해 작성된다.
DSL 가입자 회선(102-1∼102-M)을 통하여 ADSL 모뎀(101) 측으로부터 패킷이 보내여져 오면, 제1∼제11 LTU(112-1∼112-11)는 이 패킷들에 물리 인터페이스의 식별자를 할당하고, 이들을 백플레인 버스(129)로 송출한다. 주신호 제어부(211)는 이들 패킷을 백플레인 버스(129)를 통하여 수신하면, 매핑 테이블(212)을 참조함으로써, 각각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에 대응하는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주신호 제어부(211)는 패킷 상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취득된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로 재기입한다. 다음으로, 주신호 제어부(211)는 이들 패킷을 ATM SAR(134)을 통하여 브릿지 포워더(118)에 건네 준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은,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 "0003"의 패킷으로서 브릿지 포워더(118)로 인식된다.
한편, 주신호 제어부(211)에 의해 브릿지 포워더(118)로부터 수취한 패킷에는, 이 브릿지 포워더(118)에 의해서 출력처의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가 부여된다. 주신호 제어부(211)는 이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키로서 사용하여 매핑 테이블(212)을 검색한다. 주신호 제어부(211)는 그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대응하는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로 변환한다. 이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에 기초하여, 제1∼제11 LTU(112-1∼112-11) 중 대응하는 LTU에 패킷이 전달된다. 예를 들면, 논리 인터페 이스 번호 "0003"의 패킷은,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의 패킷으로 변환되어 백플레인 버스(129)에 송출된다.
이상의 설명은, 제1∼제11 LTU(112-1∼112-11)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인터페이스 번호의 변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서, 제1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제1 LTU(112-1)에서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의 회선에 대응하는 DSL 트랜시버 모듈(125-3)(도시 생략)에 장애가 발생하여, 전환 검출부(216)가 전환의 지시를 검출했다고 가정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프로텍션 제어부(215)는, 용장 제어반(114)에게 장애 부분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을 통지한다.
용장 제어반(114)은, 이 통지에 기초하여 제12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예비 LTU(112-12)의 제3 채널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도 4에 나타낸 릴레이 여기 제어 회로(124)는 제1 분할기 유닛(104-1)의 제1 릴레이 접축 선택 회로(122-1)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제3 전환 스위치(121-1)(도시되지 않음)의 접점을 그것의 평상시 개방 접점측으로 전환하게 한다. 이에 의해,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의 회선에 대응하는 DSL 트랜시버 모듈(125-3)에 입력해야 하는 패킷은, 예비 LTU(112-12)의 제3 채널에 대응하는 DSL 트랜시버 모듈(125-355)(도시 생략)에 우회하여 입력된다.
이것과 동시에,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에 대응하는 DSL 트랜시버 모듈(125-3)에 설정되어 있었던, ADSL 접속 특성을 규정하는 설정 정보가 DSL 트랜시버 모듈(125-355)에 복사된다. 이러한 설정 정보로서는, 최대 접속 속도 및 최소 접속 속도의 범위, 노이즈 마진, 에러 복구의 강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정보 들은, 개개의 가입자 댁으로부터 DSL 가입자 회선(102-1∼102-M)을 따라 가입자 회선 수용 장치(103)(도 3)까지의 거리 등의 통신 환경에 따라, DSL 트랜시버의 트레이닝 시에 사용된다. "트레이닝(training)"이란 ADSL 회선의 양단에 설치된 ADSL 모뎀(트랜시버)이 회선의 상태를 판단하여 최적의 통신 파라미터를 협의하는 동작으로, 아날로그 모뎀이나 팩시밀리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의 원리와 동일한 원리에 기초한다. 따라서, 전환 전의 DSL 트랜시버 모듈(125-3)에 설정되어 있던 조건을 전환 후의 DSL 트랜시버 모듈(125-355)에 반영시킬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비 LTU(112-12)에 대하여 전환이 완료하면, 프로텍션 제어부(215)는,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이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2/3"으로 전환된 것, 즉 프로텍션이 행해진 사실을 장치 제어부(132) 내의 상술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것에 기초하여, 프로텍션 제어부(215)는 매핑 테이블(212)의 재기입을 행한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술한 예에 기초하여 재기입한 매핑 테이블의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변경 전의 매핑 테이블(212)과 대비하면, 도 10에 도시한 매핑 테이블(212)에서는,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3"은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 "12/3"으로 재기입되어 있다.
매핑 테이블(212)의 변경에 의해, 이후에는 예비 LTU(112-12)의 제3 채널의 DSL 트랜시버 모듈(125-355)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이,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 "0003"의 패킷으로서 브릿지 포워더(118)에 전달된다. 즉, 브릿지 포워더(118)는, 장애의 발생 전 및 후에도 동일한 논리 인터페이스 번호 "0003"의 패킷들을 수취하여 그 패킷들을 처리한다.
도 11은, 장애 발생 시의 장치 제어부(132)의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장치 제어부(132)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장치 제어부(132)는 전환 검출부(216)로부터 장애 발생에 기인하여 해당하는 회로 부분이 예비 LTU(112-12)로의 전환되는 것의 통지를 받으면(단계 S301:Y), 프로텍션 제어부(215)는 재기입의 대상으로 되는 장애 부분이 예비 LTU(112-12)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02). 장애가 제1∼제11 LTU(112-1∼112-11) 중 어느 것에서 발생하였던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3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3에서는, 매핑 테이블(212)의 해당 부분에 예비 LTU(112-12)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가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그 부분이 이미 예비 LTU(112-12)로 전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03).
단계 S303에서의 판단이 부정적이면, 즉, 예비 LTU(112-12)로 전환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매핑 테이블(212)의 재기입을 실행하는 단계 S304로 진행한다. 즉, 이 경우에는 제1∼제11 LTU(112-1∼112-11) 중 임의의 것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또한 그 장애에 예비 LTU(112-12)를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매핑 테이블(212)에서의 해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식별자를 예비 LTU(112-12)의 대응하는 채널의 식별자에 재기입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주신호 제어부(211)는 용장 제어반(114)에게 장애 부분의 물리 인터페이스 번호를 통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하는 회로 부분을 예비 LTU(112-12)로 전환시킨다(단계 S305). 그 다음에, 프 로텍션 제어부(2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3)를 통하여 입출력 기기(214)를 제어하여, 장애의 발생과 예비 LTU(112-12)로의 전환에 의한 복구를 표시한다(단계 S306).
한편, 단계 S302에서 장애가 예비 LTU(112-12) 내에서 발생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오직 하나의 예비 LTU(112)를 갖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으로서는 장애의 복구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에는, 프로텍션 제어부(215)는 입출력 기기(214)를 제어하여 긴급 장애를 복구시키기 위한 표시를 수행하여, 장애 복구를 지시한다(단계 S307). 그 취지의 통지가 보수 회사에 전자 메일 등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제11 LTU(112-1∼112-11) 내의 동일 채널에 연달아 장애가 발생하는 드문 케이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매핑 테이블(212)의 해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식별자가 예비 LTU(112-12)의 식별자로 이미 치환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도(단계 S303:Y), 예비 LTU(112-12)를 후에 발생한 장애에 대응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경우에도, 처리는 단계 S307으로 진행하여 장애의 조기 복구를 지시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11 LTU(112-1∼112-11) 각각에서의 각 채널에 일대일 대응하여 예비의 채널들이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의 LTU(112)의 복수의 채널에 장애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도, 예비 LTU(112-12)로의 동시 전환이 가능하여,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비 LTU(112-12)는, 제1∼제11 LTU(112-1∼112-11)와 그 구성이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인 회선의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비 LTU(112-12)를 통상의 LTU(112)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 인터페이스와 논리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관시킨 매핑 테이블(212)을 사용하여 브릿지가 취급하는 인터페이스를 논리 인터페이스로 가상화하였다. 따라서, 용장 전환 발생 시에 브릿지측의 설정을 일체 변경하지 않고 서비스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11개의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에 대하여 하나의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을 할당했다. 그러나, 이들의 개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에 대하여 하나의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을 제공하였지만, 하나의 시스템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예비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에 의해 전환을 행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제공하여, 매핑 테이블(212)을 사용하여 물리 인터페이스의 식별자를 동일한 방법으로 관리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매핑 테이블(212)을 장치 제어부(132)의 메모리 내에 설치했지만, 처리 고속화를 위해 주신호 제어부(211) 내에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용 가입자 유닛과 예비용 가입자 유닛을 물리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장애 발생 시에 대응한 용장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비용 가 입자 유닛을 현용 가입자 유닛에 추가함으로써, 시스템 전체로 처리가 가능한 가입자 회선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 회선의 증가가 설비의 증설에 일시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도, 가입자 회선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8)

  1.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기판 상에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된 처리 회로를 복수 채널분 구비하고, 각각이 상기 복수의 채널 수 만큼의 가입자 회선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
    기판 상에 처리 회로를 상기 복수 채널분 가진 예비용 가입자 유닛 - 상기 처리 회로들은 각각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의 상기 처리 회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짐 -; 및
    상기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서의 상기 처리 회로들 중 임의의 것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그 장애가 발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회로와 상기 가입자 회선 사이를 접속하는 경로를,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에서의 동일 채널의 상기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경로로 전환하는 채널별 전환 회로
    를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 접속되는 상기 가입자 회선들의 각각의 물리적인 식별 정보들에 대하여, 상호 상이한 논리적인 식별 정보들을 부여하는 식별 정보 부여부;
    상기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에서의 상기 처리 회로 중 임의의 것에 상기 장애가 발생했을 때, 상기 장애가 발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가입자 회선의 상기 물리적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를,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의 상기 동일 채널의 물리적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논리적인 식별 정보로서 할당하는 장애시 식별 정보 변경부;
    상기 식별 정보 부여부에 의해서 부여된, 상기 물리적인 식별 정보들과 상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들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장애시 식별 정보 변경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물리적인 식별 정보와 상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반영시킨 대응 테이블; 및
    상기 각각의 가입자 회선들에 입출력하는 패킷들을, 상기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들에 따라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들 각각 및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은 DSL 가입자 회선 종단 유닛이고, 상기 각각의 처리 회로들은 DSL 트랜시버 모듈인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전환 회로가 상기 장애가 발생한 채널의 상기 처리 회로를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의 상기 동일 채널의 상기 처리 회로로 전환했을 때, 이것을 외 부에 표시하는 장애시 전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전환 회로는,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채널별로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의 상기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것과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에서의 상기 동일 채널의 상기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것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 및
    상기 전환 스위치들 중 상기 장애가 발생한 상기 처리 회로에 대응하는 전환 스위치로 하여금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으로 전환하게 하는 전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전환 회로의 상기 전환 스위치들은,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분할기 유닛들에 배치되며 상기 분할기 유닛들의 각각은 상기 가입자 회선으로부터의 신호를 음성 주파수 대역의 전화 신호와 상기 음성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ADSL 신호로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7.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에 있어서,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 및 예비용 가입자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현용 가입자 유닛들 각각 및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은 복수의 가입자 회선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제공된 동일한 개수의 처리 회로들을 가지며, 상기 처리 회로들은 채널당 처리 회로들로 기능함 - ; 및
    상기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서의 상기 처리 회로들 중 임의의 것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상기 장애가 발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회로와 상기 가입자 회선 사이를 접속하는 경로를,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에서의 동일 채널의 상기 처리 회로에 접속하는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 접속되는 상기 가입자 회선들의 각각의 물리적인 식별 정보들에 대하여, 고유한 논리적인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식별 정보 부여 단계;
    상기 소정 개수의 현용 가입자 유닛들에서의 상기 처리 회로 중 임의의 것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상기 장애가 발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가입자 회선의 상기 물리적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를,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의 상기 동일 채널의 물리적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논리적인 식별 정보로서 할당하는 장애시 식별 정보 변경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 부여 단계에 의해 부여된, 상기 물리적인 식별 정보들과 상 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들의 대응 관계를 상기 장애시 식별 정보 변경 단계에 의해 변경하고, 상기 각 가입자 회선들에 입출력하는 패킷들을, 상기 장애 발생 시에 상기 예비용 가입자 유닛의 상기 대응하는 처리 회로를 사용하면서 상기 논리적인 식별 정보들에 따라 처리하는 패킷 처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KR20050016082A 2004-02-26 2005-02-25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KR20060042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1746 2004-02-26
JP2004051746A JP4320602B2 (ja) 2004-02-26 2004-02-26 加入者ユニット冗長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ユニット冗長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94A true KR20060042394A (ko) 2006-05-12

Family

ID=3491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6082A KR20060042394A (ko) 2004-02-26 2005-02-25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201410A1 (ko)
JP (1) JP4320602B2 (ko)
KR (1) KR20060042394A (ko)
CN (1) CN100411353C (ko)
BR (1) BRPI0500686A (ko)
HK (1) HK1087263A1 (ko)
MY (1) MY145057A (ko)
SG (1) SG114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603B2 (ja) * 2004-02-26 2009-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加入者回線収容装置およびパケットフィルタリング方法
EP1830506A1 (en) 2006-03-02 2007-09-05 Dibcom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over several channels and corresponding device
WO2007108067A1 (ja) * 2006-03-17 2007-09-27 Fujitsu Limited 回線レート切り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CA2630014C (en) 2007-05-18 2014-05-27 Nec Infrontia Corporation Main device redundancy configuration and main device replacing method
JP5196547B2 (ja) * 2007-05-21 2013-05-1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主装置、該主装置への多機能ユニットの実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064794B1 (ko) * 2009-12-15 2011-09-1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스위치 구조
JP2013153308A (ja) * 2012-01-25 2013-08-08 Ricoh Co Ltd 通信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CN107422635A (zh) * 2017-09-18 2017-12-01 东莞市正旭新能源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热泵冗余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1037A (ja) * 1984-11-05 1986-05-29 Nec Corp 回線切替方式
JPS62253231A (ja) * 1986-01-07 1987-11-05 Fujitsu Ltd 現用予備切換システム
US5321394A (en) * 1992-04-10 1994-06-14 Alcatel Network Systems, Inc. Spare card connection circuitry for high-speed telecommunications transmitters/receivers and methods
JPH05300112A (ja) * 1992-04-22 1993-11-12 Fujitsu Ltd 通信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ユニット
JP2826468B2 (ja) * 1994-04-27 1998-11-18 日本電気 株式会社 回線切替え装置
US5822420A (en) * 1996-08-30 1998-10-13 Digital Technics, Inc. Signaling protocol for multilink access network-local exchange interfaces
JP3147801B2 (ja) * 1997-02-05 2001-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交換機システム
US6314102B1 (en) * 1997-07-10 2001-11-06 Alcatel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providing both narrowband and broadband services to subscribers
US5991312A (en) * 1997-11-03 1999-11-23 Carrier Access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multiplexer
JPH11355435A (ja) * 1998-06-11 1999-12-24 Fujitsu Ltd 高速通信システム、加入者伝送装置、加入者装置及び通信サービス設定方法
US6847702B1 (en) * 1999-05-28 2005-01-25 Alcatel Usa Sourcing, L.P.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reliabi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687231B1 (en) * 1999-05-28 2004-02-03 Alcatel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operations of redundant signal path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67952B1 (en) * 2000-02-02 2005-11-22 Godigital Network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 capacity, long loop broadband ADSL service
JP2001217844A (ja) * 2000-02-03 2001-08-10 Fujitsu Ltd 交換機の冗長構成制御装置
US6636478B1 (en) * 2000-05-03 2003-10-21 Metro Optix, Inc. Configurable scalable communications equipment protection method system
US6332198B1 (en) * 2000-05-20 2001-12-18 Equi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Network device for supporting multiple redundancy schemes
US7167923B2 (en) * 2000-08-24 2007-01-23 2W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bridging and routing data packets between multiple networks
US7085224B1 (en) * 2001-06-14 2006-08-0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failure detection in switched LAN networks
US20030026294A1 (en) * 2001-07-20 2003-02-06 Chul-Hee Lee Subscribers-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s
JP2003318948A (ja) * 2002-04-19 2003-11-07 Fujitsu Ltd パケット中継装置
CN1410907A (zh) * 2002-10-14 2003-04-16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核心逻辑芯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1353C (zh) 2008-08-13
US20050201410A1 (en) 2005-09-15
SG114772A1 (en) 2005-09-28
JP2005244602A (ja) 2005-09-08
BRPI0500686A (pt) 2007-07-10
MY145057A (en) 2011-12-15
CN1738258A (zh) 2006-02-22
JP4320602B2 (ja) 2009-08-26
HK1087263A1 (en) 200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5265B2 (en) High availability Ethernet backplane architecture
US6906998B1 (en) Switching device interfaces
CN102088411B (zh) 集成交换机
KR20060042394A (ko)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US7394825B2 (en) 10-gigabit Ethernet lin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716498B1 (en) Restoration mechanism for network topologies
US200301379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agement of fabric links for a network element
US20080068985A1 (en) Network redundancy method and middle switch apparatus
US200201967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ralized maintenance system within a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s architecture
JP2003188986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US9384102B2 (en) Redundant, fault-tolerant management fabric for multipartition servers
US88375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bonding engines in network communications
CN101964719A (zh) 基于主控板倒换的数据处理方法、线卡及主控板
WO2003061218A2 (en) Lan-based switching fabric for inter-unit communication
JP2010141845A (ja) 複数のサーバ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0.3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0.3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0.3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0.3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0.3
Cisco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1.1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1.0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1.0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1.0
Cisco Router Products Release Notes for Cisco IOS Release 11.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