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275A - 케이블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케이블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275A
KR20060041275A KR1020067001576A KR20067001576A KR20060041275A KR 20060041275 A KR20060041275 A KR 20060041275A KR 1020067001576 A KR1020067001576 A KR 1020067001576A KR 20067001576 A KR20067001576 A KR 20067001576A KR 20060041275 A KR20060041275 A KR 2006004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rake
brake shoe
linear drive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692B1 (ko
Inventor
군터 로이터
발터 뉘브링
볼프강 메이스너
헬무트 슈렉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06004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에 결합된 로프(18)를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비용 로프 브레이크(10; 60)로서, 로프(18)의 종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정지부(16)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를 갖고, 로프(18)가 정지부(16)와 브레이크 슈(28) 사이를 통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브레이크 슈(28)가 정지부(16)에 대해 로프(18)를 가압하는 제동 위치와 로프(18)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로프(18)를 해제하기 위해 브레이크 슈(28)에 결합된 드라이브(30)를 갖는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더 간단한 구조를 갖고 그에 의해 로프(18)가 짧은 시간 내에 제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프 브레이크를 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브가 선형 드라이브(30)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는 제동 위치에서 그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그의 해제 위치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유형의 로프 브레이크(10; 60)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안된다.

Description

로프 브레이크{ROPE BRAKE}
본 발명은 카(car)에 결합된 로프를 제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용 로프 브레이크로서, 로프의 종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정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를 갖고, 로프가 정지부와 브레이크 슈 사이를 통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브레이크 슈가 정지부에 대해 로프를 가압하는 제동 위치와 로프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로프를 해제하기 위해 브레이크 슈에 결합된 드라이브(drive)를 갖는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이 유형의 로프 브레이크는 EP 0708 051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브레이크 슈가 그의 제동 위치를 취하고 이에 의해 로프가 정지부에 대해 가압되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균형추(counterweight)에 결합되고 이동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카에 유지되는 로프를 신뢰적으로 제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크 슈를 그의 해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전기 모터가 EP 0708 051 A1호로부터 공지된 로프 브레이크의 경우에 사용되고, 이 모터는 다른 단부에 고정 유지되는 나선형 스프링인 그 일단부에 고정되어 변위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가동 브레이크 슈가 유지되도록 유지되어 있는 피스톤을 갖는 나사산에 의해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에 자기 커플링 및 체인 연결에 의해 결합된다. 전기 모터는 샤프트를 회전 상태로 설정하는 회전 드라이브를 제공하여, 나선형 스프링이 긴장되는 동시에 브레이크 슈가 그의 해제 위치로 이송된다. 로프가 제동되어야 하면, 자기 커플링이 해제되고, 그 결과 회전 드라이브와 샤프트 사이의 작동식 연결이 중단된다. 다음, 이는 나선형 스프링이 이완되고 샤프트가 회전 상태로 설정되고 그 결과 브레이크 슈가 정지부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로프가 정지부에 대해 가압되는 결과를 갖는다. 실제 제동력은 로프의 종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지만 로프의 횡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한 정지부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생성된다. 가동 브레이크 슈에서, 이는 로프의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정지부가 제동력이 생성될 때까지 붕괴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되어야 하는 부가의 거리를 필요로 한다.
EP 0 708 051 A1호로부터 공지된 로프 브레이크는 다수의 부품을 갖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로프 브레이크가 고장에 민감하게 한다. 더욱이, 로프 브레이크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제동 프로세스는, 로프 브레이크가 작동된 후에 나사산에서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효과적으로 제동되도록 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비교적 느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간단한 구조를 갖고 그에 의해 로프가 더 짧은 시간 내에 제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로프 브레이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선형 드라이브로서 구성된 드라이브 및 제동 위치에서 그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그의 해제 위치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이송될 수 있는 브레이크 슈에 의해 일반적인 유형의 로프 브레이크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브레이크 슈는 그의 제동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제동력을 받게 되고, 브레이크 슈는 제동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그의 해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는 로프 브레이크의 작동 후에 브레이크 슈가 로프가 정지부에 대해 가압되는 그의 제동 위치를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점유하여, 로프가 짧은 시간 이내에 제동될 수 있는 결과를 갖는다. 로프를 해제하기 위해, 그에 작용하는 제동력에 부가하여, 브레이크 슈는 제동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선형 드라이브의 작동력을 받게 되어, 작동력의 작용 하에서 그의 해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선형 드라이브의 사용은 본원에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설비의 현수 로프를 제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로프 브레이크의 간단한 구조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유형의 로프 브레이크에 의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속도 제한기에 결합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로프를 제동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또한 예를 들면 카가 정지할 때마다 로프 브레이크의 기능이 자동으로 시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해 필요한 것은 카가 고정되어 있는 동안 차례로 그의 두 개의 단부 위치, 즉 그의 제동 위치 및 그의 해제 위치로 브레이크 슈를 이송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를 시험하는 것이고, 스위칭 위치는 브레이크 슈의 단부 위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 시험 방법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가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그의 제동 위치와 그의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면 특히 장점이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 슈가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그의 제동 위치로부터 그의 해제 위치로 이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슈는 선형 드라이브의 작용 하에서 그의 해제 위치로부터 그의 제동 위치로 제어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선형 드라이브는 광범위한 구조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는 전기, 유압 또는 공압 드라이브, 특히 선형 모터 또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선형 드라이브가 나사산 형성 스핀들 또는 스크류 드라이브로서 구성되면 장점이 있다. 이는 특히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프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피벗 레버에 의해 선형 드라이브에 결합된다. 1-아암 피벗 레버 또는 2-아암 피벗 레버가 본원에 제공될 수 있다. 피벗 레버의 사용은 브레이크 슈가 그의 제동 위치에서 큰 제동력을 받게 될 수 있는 종류의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단지 비교적 작은 작동력이 유효 제동력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슈를 그의 해제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로프 브레이크가 그의 제동 위치에서 제동력을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에 인가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면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특성을 갖는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편위에 비례하는 제동력을 브레이크 슈에 인가한다.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면 컵 스프링 또는 헬리컬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스프링 요소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피벗 레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와 상호 작용한다. 스프링 요소와 브레이크 슈 사이에 배치된 1-아암 또는 2-아암 피벗 레버의 사용은 비교적 작은 스프링력이 제공될 때에도 매우 높은 제동력이 브레이크 슈 상에 작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고정된 및 항복하지 않은 정지부는 제동될 로프의 편향 변위가 작게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정지부 측이 아니라 브레이크 슈 측에 생성되는 것이 본원에서 또한 장점이 있다.
특히 간단한 구조의 구성의 경우에, 스프링 요소 및 선형 드라이브 모두가 피벗 레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에 결합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피벗 레버가 사용되고, 그에 의해 브레이크 슈는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제공된 작동력 및 스프링 요소에 의해 제공된 스프링력 모두를 받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요소 및 선형 드라이브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면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 요소가 예를 들면 선형 드라이브와 나란히 배열된 로드와 같은 힘 전달 요소에 의해 피벗 레버에 결합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힘 전달 요소는 이 경우에 피벗 레버 상에 관절 연결될 수 있다.
부가로 본 발명에 따라 로프 브레이크의 작동을 가속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가 전자석 및 그와 관련된 아마추어에 의해 선형 드라이브에 결합되면 장점이 있다. 로프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해, 이는 이어서 선형 드라이브로부터 브레이크 슈를 분리하기 위해 전자석의 여기 전류를 스위칭 오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제공된 작동력이 단속되고, 브레이크 슈는 그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기인하여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그이 제동 위치로 이송된다.
전자석 및 아마추어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에 결합된 피벗 레버와 선형 드라이브 사이에 배치되면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대안적으로, 전기 모터 및 아마추어가 가동 브레이크 슈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아마추어 또는 전자석이 피벗 레버 상에 관절 연결되면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로프 브레이크는 특히 원활한 동작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별 부품들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전자석 및/또는 아마추어는 선형 변위 불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전자석 및/또는 아마추어는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아마추어 및/또는 전자석을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자석과 아마추어 사이의 거리가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자석 및/또는 아마추어는 이들이 선형 모터 및 스프링 요소가 배치되는 고정 스탠드 상에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탠드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또는 그의 기계실에 고정될 수 있는 로프 브레이크의 베이스일 수 있고, 선형 모터 및 스프링 요소를 지탱하고 전자석을 이동 가능하게 또는 아마추어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갖는다.
관련 아마추어를 갖는 전자석을 사용하는 대신에, 선형 드라이브 자체가 예를 들면 클러치와 같은 해제 가능 연결 요소를 갖고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요소가 선형 드라이브와 전자석 또는 아마추어 사이에 배열되면 장점이 있다. 이는 전자석 또는 아마추어가 탄성 중간 구역에 의해 선형 드라이브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로프가 더 얇아지거나 또는 정지부의 제동면이 시간 경과에 따라 마모될 때에도, 선형 드라이브가 조정될 필요 없이 선형 드라이브의 작동 이동 없이 동일한 장소로 항상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요소에 의해, 선형 드라이브는 전자석 및 아마추어를 함께 압박할 수 있고, 선형 드라이브는 이어서 왜곡의 발생 없이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피벗 레버가 스탠드 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의 특히 바람직한 경우에, 선형 드라이브의 작동 요소의 위치, 스프링 요소의 힘 전달 요소의 위치 및/또는 피벗 레버의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리드 접점(reed contact) 또는 홀 센서(Hall sensor)와 같은 무접촉 센서일 수 있지만, 접촉부를 갖는 센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전기, 공압 또는 유압 위치 센서로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압박 로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전기 스위칭 접점이 예를 들면 위치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작동 요소, 힘 전달 요소 또는 피벗 레버가 브레이크 슈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점유하면, 관련 스위칭 접점의 제어 압박 로드는 작동 요소, 힘 전달 요소 또는 피벗 레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스위칭 접점의 점유된 스위칭 위치는 그 후에, 관련 작동 요소, 힘 전달 요소 또는 피벗 레버의 위치를 이 방식으로 결정하기 위해 임의의 시간에 전기적으로 시험될 수 있다.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로프 브레이크를 기능적으로 시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카가 정지하는 동안 차례로 그의 두 개의 단부 위치로 유도되어 전기적으로 시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구별되고, 스위칭 위치는 브레이크 슈의 단부 위치에 대응한다. 이 유형의 기능 시험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설비의 카가 정지될 때마다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는 브레이크 슈와 직접 상호 작용할 수 있지만, 위치 스위치가 브레이크 슈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로프 브레이크의 부품, 예를 들면 스프링 요소의 힘 전달 요소 또는 피벗 레버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로프 브레이크를 기능적으로 시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가 그의 두 개의 단부 위치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브레이크 슈는 카가 정지되는 동안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제어된 이동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이는 차례로 그의 두 개의 단부 위치를 점유한다. 브레이크 슈의 단부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의 각각의 스위칭 위치는 다음에 전기적으로 시험될 수 있다.
피벗 레버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가 전기적으로 시험되고 스위칭 위치가 브레이크 슈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면 장점이 있다. 이 방식으로, 예를 들면 카가 정지될 때 피벗 레버가 브레이크 슈의 단부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그의 단부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짧은 시간 내에 시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피벗 레버의 기계적 차단이 즉시 검출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석의 전원 라인 내에 접속된 차단기 유닛의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의 제동 위치에서 시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카가 정지되어 있고 일단 브레이크 슈의 적절한 제동 위치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시험되어 있는 동안 전자석의 여기 전류의 스위칭 오프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한데, 즉 엘리베이터 설비의 고장시에 전자석이 즉시 로프를 제동하기 위해 스위칭 오프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할 수 있다.
일단 그의 여기 전류가 스위칭 오프되어 있으면, 전자석이 브레이크 슈의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위치로 선형 모터에 의해 이동되도록 이루어지고 피벗 레버 또는 브레이크 슈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가 전기적으로 시험되면 특히 장점이 있다. 이 방식으로, 카가 정지될 때 스위칭 오프된 전자석이 선형 모터에 의해 변위되면 브레이크 슈의 위치 또는 피벗 레버의 위치가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프 브레이크가 적절하게 기능하면, 스위칭 오프된 전자석의 변위는 브레이크 슈 및 피벗 레버의 위치에 임의의 변경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이 유형의 위치의 변경이 관련 위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로부터 검출되면, 로프 브레이크는 고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일단 전자석이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변위되어 있으면, 이는 이어서 브레이크 슈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위치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복귀되도록 이루어지고, 이어서 전자석은 여기 전류를 재차 받게 되고 그 후에 이는 브레이크 슈의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위치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되도록 재차 이루어지고 피벗 레버 및/또는 브레이크 슈와 관련된 위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가 전기적으로 시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방법의 이 유리한 실시예의 경우, 여기된 전자석은 따라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변위되고 이어서 브레이크 슈 및/또는 피벗 레버의 위치가 변경되는지 여부가 시험된다. 로프 브레이크가 적절하게 작동하면, 브레이크 슈의 위치 및 피벗 레버의 위치의 변경이 이 경우에 검출될 수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고장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더 상세한 설명을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슈가 그의 해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브레이크 슈가 그의 제동 위치에 있는 도 1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3은 브레이크 슈가 그의 해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로프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브레이크 슈가 그의 제동 위치에 있는 도 3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고 참조 부호 10으로 전체적으로 제공된다. 이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기계실(machine room)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적소에 고정 유지되고 제1 레그(13) 및 제2 레그(14)를 갖는 실질적으로 L-형 스탠드(stand)(12)를 포함한다. 제1 레그(13)의 자유 단부에 고정된 정지부(16)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동을 위해 로프(18)와 평행하게 정렬되고 로프(18)에 대면하는 그의 전방측면에 브레이크 라이닝(20)을 지지한다. 정지부(16)로부터, 로프(18)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피벗축(26)에 대해 피벗 가능한 피벗 레버(25)가 베어링(23)에 의해 그 상부에 관절 연결된 연장 아암(22)이 연장된다. 베어링(27)에 의해 피벗 레버(25) 상에 관절 연결된 가동 브레이크 슈(28)는 정지부(16)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로프(18)는 정지부(16)와 가동 브레이크 슈(28) 사이를 통해 유도되고 도 1에 도시된 그의 해제 위치로부터 브레이크 슈(28)가 정지부(16)의 브레이크 라이닝(20)에 대해 로프(18)를 가압하는 도 2에 도시된 그의 제동 위치로 피벗 레버(25)에 의해 이동되는 브레이크 슈(28)에 의해 제동될 수 있다.
스탠드(12)의 제2 레그(14)는 선형 드라이브(30)를 그의 자유 단부의 구역에서 지지한다. 이는 예를 들면 전기 선형 모터 또는 유압 또는 공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일 수 있다. 선형 드라이브(30)는 제2 레그(14)에 평행한 직선 라인에서 그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작동 요소(32)를 갖는다. 작동 요소(32)는 예를 들면 피스톤 로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작동 요소(32)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것은 탄성 요소(33)이며, 이 탄성 요소에 의해 작동 요소(32)가 전기 전원 라인(35, 36)을 거쳐 전압원(38)에 접속된 전자석(34)에 결합된다. 전원 라인(35) 내에 배열된 것 은 차단기 유닛(40)이고, 이 차단기 유닛에 의해 전압원(38)과 전자석(34)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설립되고 요구될 때 차단될 수 있다.
전자석(34)은 베어링(43)에 의해 피벗 레버(25)의 자유 단부에 관절 연결되어 있는 아마추어(42)와 상호 작용한다. 아마추어(42)에 부가하여, 베어링(43)에 의해 피벗 레버(25)에 관절 연결된 브레이크 스프링 로드(45)의 형태의 힘 전달 요소가, 헬리컬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스탠드(12) 상에 적소에 고정 유지되는 브레이크 스프링(47)에 베어링(43)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선형 모터(30) 및 브레이크 스프링 로드(45)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브레이크 스프링(47)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47)에 대해 작용하고 따라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작동력이 작동 요소(32), 탄성 요소(33), 전자석(34) 및 아마추어(42)를 경유하여 선형 모터(30)에 의해 피벗 레버(25) 상에 작용되는 동안 피벗 레버(25)가 브레이크 스프링 로드(45)를 경유하여 선형 모터(30)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력을 받게 된다.
브레이크 슈(28)의 해제 위치와 제동 위치에서 피벗 레버(25)에 의해 점유되는 피벗 위치는 각각의 경우에 전기적 위치 스위치(49, 51) 각각에 의해 검출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위치 스위치(49, 51)는 각각의 경우에 그에 대해 피벗 레버(25)가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위치 스위치(49 또는 51)가 그의 스위칭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각각 스위칭 캠(52, 53)을 갖는다. 위치 스위치(49, 51)의 스위칭 위치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 따라서 더 양호한 개요를 성취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신호 라인에 의해 통상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전자석(34)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 따라서 단지 도면에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안내 디바이스(55)에 의해 제2 레그(14)의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스탠드(12)의 제2 레그(14) 상에 유지된다.
로프(18)가 제동되어야 하면, 이를 위해 전기 공급 라인(35)이 차단 유닛(4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데, 즉 전자석(34)의 여기 전류가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이는 전자석(34)이 아마추어 플레이트(42)를 해제하는 결과를 갖고, 이는 이어서 가동 브레이크 슈(28)가 정지부(16)의 브레이크 라이닝(20)에 대해 로프(18)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스프링(47)에 의해 그에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기인하여 피벗 레버(25)가 피벗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가동 브레이크 슈(28)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피벗 레버(25)의 피벗 위치는 전기 위치 스위치(51)에 의해 점검될 수 있다.
제동된 로프(18)가 이어서 재차 해제되어야 하면, 이를 위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전자석(34)이 작동 요소(32)에 의해 아마추어(42)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동시에 전자석(34)의 여기 전류가 차단 유닛(40)에 의해 재차 스위칭 온될 수 있어, 아마추어(42)에 유도된 전자석(34)이 아마추어(42)에 자기 보유력을 인가한다. 그 후에, 전자석(34)은 작동 요소(32)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작동력을 받게되고 이를 초과할 수 있어, 전자석(34)은 안내 디바이스(55)를 따라 후방으로 변위되는 동시에 가동 브레이크 슈(28)가 그의 해제 위치를 점유하는 방식으로 피벗 레버(25)가 피벗된다.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레버(28)의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피벗 레버(25)의 피벗 위치는 전기 위치 스위치(49)에 의해 점검될 수 있다.
로프 브레이크(10)의 기능 시험은 예를 들면 카가 정지될 때, 전기 위치 스위치(51)가 작동되고 따라서 피벗 레버(25)가 브레이크 슈(28)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피벗 위치를 점유할 때까지 선형 드라이브(30)가 브레이크 스프링(47)의 방향으로 전자석(34)을 변위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에, 전자석(34)은 차단 유닛(40)에 의해 탈여기되고 점검된 무전류 상태일 수 있다. 부가의 시험 단계에서, 무전류 전자석(34)은 브레이크 스프링(47)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변위될 수 있고 다음에 전기 위치 스위치(51)가 그의 스위칭 위치를 변경하는지 여부가 시험될 수 있다. 이는 전자석(34)이 탈여기될 때 그의 위치의 변경이 피벗 레버(25)의 피벗된 위치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기 때문에 로프 브레이크(10)의 오작동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가의 시험 단계에서, 여전히 탈여기된 전자석(34)은 브레이크 스프링(47)의 방향으로 재차 이동하게 되고 그 후에 차단 유닛(40)에 의해 여기 전류를 받게 될 수 있어, 아마추어(42) 상에 자기 보유력을 인가한다. 부가의 시험 단계에서, 여기 전류를 받게된 전자석(34)은 브레이크 스프링(47)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재차 변위될 수 있고, 전기 위치 스위치(51, 49)가 피벗 레버(25)의 피벗 이동에 기인하여 이들의 스위칭 위치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위치 스위치(49)가, 피벗 레버(25)가 브레이크 슈(28)의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피벗된 위치를 점유하는 것을 지시하면, 엘리베이터 설비의 정상 작동이 재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60으로 나타낸다. 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된 로프 브레이크(10)와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 3 및 도 4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에 사용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된 설명의 전체 내용을 이러한 관점에서 참조한다.
로프 브레이크(60)는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L-형 방식으로 구성되고 제1 레그(13) 및 제2 레그(14)를 포함하는 적소 고정 스탠드(12)를 갖는다. 제동될 로프(18)는 로프(18)의 종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제1 레그(13) 상에 유지되고 브레이크 라이닝(20)을 갖는 정지부(16)와 가동 브레이크 슈(28) 사이를 통해 재차 유도된다. 그 상부에서 가동 브레이크 슈(28)가 베어링(23, 43) 사이에 관절 연결되는 1-아암식 피벗 아암(25)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프 브레이크10)의 경우에 사용되었지만, 대략 L-형 방식으로 구성되고 기다란 제1 레버 아암(64) 및 짧은 제2 레버 아암(63)을 포함하는 2-아암식 피벗 레버(62)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로프 브레이크(60)의 경우에 사용된다. 스탠드(12) 상에 피벗 레버(62)를 장착하기 위해, 정지부(16)로부터 돌출되고 베어링(23)을 지지하는 연장 아암(22)이 재차 사용된다. 가동 브레이크 슈(28)가 베어링(66)에 의해 제2 레버 아암(63)의 자유 단부에 유지되고, 로프 브레이크(60)의 아마추어(42)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스프링 로드(45)의 자유 단부가 제1 레버 아암(64)의 자유 단부에서 베어링(67)에 의해 관절 연결된다.
아마추어(42)는 안내 디바이스(55)를 경유하여 로프(18)의 종방향에 평행한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전자석(34)과 상호 작용한다. 피벗 레버(62)는 가동 브레이크 슈(28)의 해제 위치에서 전자석(34) 및 아마추어(42)를 경유하여 피벗 레버(62) 상에 선형 모터(30)에 의해 인가된 작동력에 대향하여 지향되는 스프링력을 브레이크 스프링(47)에 의해 영구적으로 받게 된다. 로프 브레이크(6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선형 모터(30) 브레이크 스프링 로드(45) 및 브레이크 스프링(47)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러나, 로프 브레이크(10)와의 차이점으로서, 이들은 로프(18)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로프 브레이크(60)는 특히 좁은 구조 형태를 갖고, 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프 브레이크(10)는 넓지만, 로프(18)의 종방향에 대해 짧은 구조 형태를 갖는다.
로프 브레이크(60)의 기능은 예를 들어 카가 정지될 때 자석(34)이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전후방으로 변위되고 피벗 레버(62)에 의해 점유된 각각의 피벗된 위치가 전기 위치 스위치(49, 51)에 의해 시험되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시험될 수 있다.

Claims (27)

  1. 카(car)에 결합된 로프(18)를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비용 로프 브레이크(10; 60)로서, 상기 로프(18)의 종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정지부(16)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28)를 갖고, 상기 로프(18)가 상기 정지부(16)와 상기 브레이크 슈(28) 사이를 통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크 슈(28)가 상기 정지부(16)에 대해 상기 로프(18)를 가압하는 제동 위치와 상기 로프(18)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로프(18)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슈(28)에 결합된 드라이브(30)를 갖는 로프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는 선형 드라이브(30)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는 제동 위치에서 그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그의 해제 위치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는 그의 제동 위치와 그의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는 전기, 유압 또는 공압 드라이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는 나사산 형성 스핀들 또는 스크류 드라이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피벗 레버(25; 62)에 의해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브레이크(10; 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가 그의 제동 위치에서 제동력을 받게 하는 스프링 요소(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7)는 선형 특성을 갖는 스프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7)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피벗 레버(25; 6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7) 및 선형 드라이브(30) 모두는 상기 피벗 레버(25; 6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7) 및 선형 드라이브(30)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7)는 상기 선형 드라이브와 나란히 배치된 힘 전달 요소(45)에 의해 상기 피벗 레버(25; 6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28)는 전자석(34) 및 그와 결합된 아마추어(42)에 의해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4) 및 아마추어(42)는 상기 브레이크 슈(28)에 결합된 피벗 레버(25; 62)와 상기 선형 드라이브(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42) 또는 전자석(34)은 상기 피벗 레버(25; 62) 상에 관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5. 제12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4) 및/또는 아마추어(42)는 선형 변위 불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4) 및/또는 아마추어(42)는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선형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7. 제12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와 전자석(34) 또는 아마추어(42) 사이에는 탄성 요소(3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4) 및/또는 아마추어(42)는, 이들이 상기 선형 모터(30) 및 스프링 요소(47)가 배치되어 있는 고정 스탠드(12) 상에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레버(25; 62)는 상기 스탠드(12) 상에 피벗식 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20.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의 작동 요소(32)의 위치, 상기 스프링 요소(47)의 힘 전달 요소(45)의 위치 및/또는 상기 피벗 레버(25; 62)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49, 51)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전기 위치 스위치(49, 51)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브레이크.
  22.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10; 60)를 기능적으로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동 브레이크 슈(28)는 카가 고정되어 있는 동안 차례로 그의 두 개의 단부 위치로 유도되어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49, 51)의 스위칭 위치가 시험되고, 상기 스위칭 위치는 상기 브레이크 슈(28)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28)는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차례로 그의 두 개의 단부 위치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 항 또는 제23 항에 있어서, 피벗 레버(25; 62)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스위치(49, 61)의 스위칭 위치가 전기적으로 시험되고, 상기 스위칭 위치는 상기 브레이크 슈(28)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34)의 전원 라인(35)에 접속된 차단 유닛(40)의 기능이 상기 브레이크 슈(28)의 제동 위치에서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그의 여기 회로가 스위칭 오프되면, 상기 전자석(34)은 상기 브레이크 슈(28)의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위치로 상기 선형 모터(30)에 의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피벗 레버(25; 62) 또는 브레이크 슈(28)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위치가 전기적으로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34)은 그 후에 상기 브레이크 슈(28)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위치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복귀되도록 이루어지고, 다음에 상기 전자석(34)은 재차 여기 전류를 받게 되고, 그 후에 이는 상기 브레이크 슈(28)의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그의 위치로 상기 선형 드라이브(30)에 의해 재차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피벗 레버(25; 62) 및/또는 브레이크 슈(28)와 관련된 위치 스위치(49, 51)의 스위칭 위치가 전기적으로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01576A 2003-07-22 2004-07-17 케이블 브레이크 KR100744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4654.6 2003-07-22
DE10334654A DE10334654A1 (de) 2003-07-22 2003-07-22 Seil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275A true KR20060041275A (ko) 2006-05-11
KR100744692B1 KR100744692B1 (ko) 2007-08-01

Family

ID=3404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576A KR100744692B1 (ko) 2003-07-22 2004-07-17 케이블 브레이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377371B2 (ko)
EP (1) EP1646575B1 (ko)
JP (1) JP4284359B2 (ko)
KR (1) KR100744692B1 (ko)
CN (1) CN1826279B (ko)
AT (1) ATE532734T1 (ko)
DE (1) DE10334654A1 (ko)
ES (1) ES2373041T3 (ko)
WO (1) WO2005009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9300A (zh) * 2006-02-14 2009-11-25 奥蒂斯电梯公司 电梯制动器状态测试
JP2009220931A (ja) * 2008-03-14 2009-10-0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ブレーキ装置
WO2010107408A1 (en) * 2009-03-16 2010-09-23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safety trigger
EP2349900A1 (de) * 2008-10-24 2011-08-03 Inventio AG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einen aufzug
KR100936493B1 (ko) * 2009-05-15 2010-01-13 (주)금영제너럴 제동성능시험장치 및 방법
EP2920101B1 (de) * 2012-11-13 2017-01-11 Inventio AG Aufzug mit einer sicherheitsbremse
EP3235775A4 (en) * 2014-12-17 2018-12-12 Hangzhou Huning Elevator Parts Co., Ltd. Power-losing trigger device
US11066274B2 (en) * 2015-06-30 2021-07-20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safety trigger
CN105293247B (zh) * 2015-11-26 2017-11-17 上海乐天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限速器及其使用方法
CN105480810A (zh) * 2016-01-26 2016-04-13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轿厢上行超速保护系统
CN107792747B (zh) * 2016-08-30 2021-06-29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轿厢的稳定装置
EP3538468B1 (de) * 2016-11-10 2020-10-07 Inventio AG Seilbremse, aufzugskabine und aufzugsanlage
DE102017129372A1 (de) 2017-12-11 2019-06-13 Wobben Properties Gmbh Aufstiegshilfe für eine Windenergieanlage und Windenergieanlage
JP6909755B2 (ja) * 2018-04-06 2021-07-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019221B (zh) * 2018-08-21 2019-12-10 苏州理合文科技有限公司 一种矿用提升罐笼安全防护方法
DE102019104339A1 (de) 2019-02-20 2020-08-20 Thyssenkrupp Ag Auslösesystem für eine Fangvorrichtun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US11952117B1 (en) 2020-01-29 2024-04-09 U.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justable helical capstan rope brake
JP7292230B2 (ja) * 2020-02-20 2023-06-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3228A (en) * 1927-08-31 1929-05-14 Gen Electric Control of braking effect
CN1024337C (zh) * 1990-01-18 1994-04-27 中国矿业大学 提升机摩擦制动装置
JP2529771B2 (ja) * 1990-11-06 1996-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プレスリニアモ―タエレベ―タ―
US5197571A (en) * 1991-06-03 1993-03-30 Burrell Michael P Self centering elevator cable safety brake
US5228540A (en) * 1992-07-24 1993-07-20 Hollister-Whitney Elevator Corp.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FI96838C (fi) * 1994-10-21 1996-09-10 Kone Oy Hissin turvajarru
KR200221450Y1 (ko) * 2000-10-21 2001-04-16 편준기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DE10127664C1 (de) * 2001-06-07 2003-04-17 Kendrion Binder Magnete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 Bremsvorrichtung
CN2517718Y (zh) * 2001-11-23 2002-10-23 中国建筑科学研究院建筑机械化研究分院 电梯曳引绳制动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77371B2 (en) 2008-05-27
JP4284359B2 (ja) 2009-06-24
US20080168832A1 (en) 2008-07-17
DE10334654A1 (de) 2005-02-10
EP1646575A1 (de) 2006-04-19
KR100744692B1 (ko) 2007-08-01
ATE532734T1 (de) 2011-11-15
US7510059B2 (en) 2009-03-31
ES2373041T3 (es) 2012-01-30
WO2005009883A1 (de) 2005-02-03
CN1826279B (zh) 2012-01-04
US20060157306A1 (en) 2006-07-20
CN1826279A (zh) 2006-08-30
EP1646575B1 (de) 2011-11-09
JP2006528117A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371B2 (en) Rope brake
US525576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ignaling the function and status of an elevator safety brake
CN109963805B (zh) 线缆制动器、电梯轿厢和电梯系统
KR101997300B1 (ko) 전기기계식 작동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US9919899B2 (en) Actuation of a safety brake
CN106395544A (zh) 电磁安全触发器
WO2005102899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システム
KR20140042771A (ko)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US20170291794A1 (en) Elevator brake
US8302739B2 (en) Brake device for a lift car
KR20080111408A (ko)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구동기 및 방법
CN109019229B (zh) 电梯制动控制装置及电梯
US11840425B2 (en)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EP1731469B1 (en) Method for inspecting operation of actuator and actuator operation inspector
CN111366476B (zh) 一种高可靠常闭式全自动释放装置
JP5429808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ブレーキ
CN114599599B (zh) 电梯装置
JP2010508161A (ja) 工作機械、生産機械ないしメンテナンス機械
WO2022224351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7940361A (zh) 电梯装置
CN116419904A (zh) 电梯装置
GB19140379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inting Pr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