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191A -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191A
KR20060041191A KR1020060027416A KR20060027416A KR20060041191A KR 20060041191 A KR20060041191 A KR 20060041191A KR 1020060027416 A KR1020060027416 A KR 1020060027416A KR 20060027416 A KR20060027416 A KR 20060027416A KR 20060041191 A KR20060041191 A KR 2006004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gear
skateboard
torsion b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연
Original Assignee
최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연 filed Critical 최종연
Priority to KR102006002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1191A/ko
Publication of KR2006004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여가 선용의 목적으로 스케이트 보드를 즐기기 위하여, 전, 후방 이격되는 앞뒤 보드; 상기 앞보드 바닥면의 전방측 및 뒷보드 바닥면의 후방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체; 상기 앞보드 바닥면의 후방측 및 뒷보드 바닥면의 전방측에 좌우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앞뒤 보드의 고정체와 양단이 면접촉 결합되며 상기 앞뒤 보드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고정체와 연결수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앞뒤 보드 상부면으로부터의 수직 하중에 의하여 상기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는 토션바; 상기 연결수단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 각각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앞뒤 보드와 지면과의 평형 유지를 위하여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과 연동하는 조향수단; 및 상기 조향수단에 결합되는 방향성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초심자도 쉽게 평형을 유지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 보드, 고정체, 홀더, 연결수단, 토션바, 조향수단

Description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
도 1 및 도 2는 종래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조향수단의 제1, 2 기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일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다른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앞뒤 보드 200...고정체
210...체결공 220...고정홈
300...홀더 310...수용홈
400...연결수단 410...몸체
412...결합공 414...고정홈
420...연결판 422...회동공
500...토션바 600...조향수단
610...회전축 620...제1 기어
630...제2 기어 700...방향성캐스터
710...브라켓 720...휠조립체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앞뒤 보드와 비틀림을 허용하는 토션바를 통해 연결수단으로 결합시키고 토션바와 연동하는 조향수단에 의하여 평형 유지되는 구조에 의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초심자도 쉽게 평형을 유지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주행과 더불어 주행의 묘미를 배가시킬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 선용의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스케이트 보드가 출시되어 많은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다양한 스케이트 보드 중에 등록특허 10-0394848 호의 '방향성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앞, 뒤보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레이트(11, 21)의 저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방향성캐스터(13, 2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요소는 비틀림 또는 굽힘시 탄성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체가 구비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선행기술의 앞, 뒤보드(10, 20) 각각을 이용한 주행 및 회전의 모든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앞, 뒤보드(10, 20) 공히 방향성캐스터(13, 23)가 각각 하나씩 장착되는 구성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앞, 뒤보드(10, 20) 각각에 복수개의 방향성캐스터(13, 23)를 장착할 경우, 회전동작이 불가하므로 주행의 묘미가 극히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숙련에 상당한 시간을 요할 뿐 아니라, 초심자가 상기 앞, 뒤보드(10, 20) 상에 발을 올려놓고 중심을 잡아 주행하는 것 자체 또한 어려워 쉽게 즐길 수 없다는 큰 취약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비틀림파이프(40) 및 탄성체(미도시)를 구비한 연결요소는 지면상 돌출물에 충격을 받을 때 쉽게 파손되어 상기 연결요소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 출원 제 10-2006-0021387 호의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것이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크게, 보드(10) 바닥면의 전후방측에 각각 하나 이상 장착되는 고정체(20)와, 상기 고정체(20)과 결합되는 탄성 복원수단(미도시) 및 상기 탄성 복원수단에 결합되는 방향성캐스터(40)로 구성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탄성 복원 수단의 비틀림을 일정 범위 내에서만 허용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주행 중 회전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많은 숙련도가 필요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초심자도 쉽게 평형을 유지하면서 방향전환 및 짧은 회전 반경으로도 안정적인 주행과 더불어 주행의 묘미를 배가시킬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땅을 지치는 번거로운 동작이 필요없이 추진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전, 후방 이격되는 앞뒤 보드; 상기 앞보드 바닥면의 전방측 및 뒷보드 바닥면의 후방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체; 상기 앞보드 바닥면의 후방측 및 뒷보드 바닥면의 전방측에 좌우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앞뒤 보드의 고정체와 양단이 면접촉 결합되며 상기 앞뒤 보드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고정체와 연결수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앞뒤 보드 상부면으로부터의 수직 하중에 의하여 상기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는 토션바; 상기 연결수단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 각각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앞뒤 보드와 지면과의 평형 유지를 위하여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과 연동하는 조향수단; 및 상기 조향수단에 결합되는 방향성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연결수단의 양단과 면접촉 결합하는 것으로, 전방이 밀폐되고 후방에 원형 형상의 체결공이 구비되어 개방되며, 전방 내측의 단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상기 조향수단이 장착되는 수용홈이 상호 대향되게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용홈은 상기 홀더 외측면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양단 내측에 상기 고정체의 체결공이 형성된 측 단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지닌 원형 형상의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와 면접촉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의 내측 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양단 외측에서부터 상기 홀더까지 상기 앞뒤 보드 좌우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연장형성된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앞뒤 보드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회동공이 관통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션바는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고정홈과 연결수단의 고정홈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각 고정홈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회동공에 면접촉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후방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홀더의 수용홈 형상에 대응되며 각각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토션바의 움 직임과 연동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기어는 제2 기어에 내접하여 회동하는 내접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성캐스터는 상기 회전축의 전방측 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성캐스터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과 연동하며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휠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는 크게, 앞뒤 보드(100, 100'), 고정체(200), 홀더(300), 연결수단(400), 토션바(미도시), 조향수단(600) 및 방향성캐스터(7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앞뒤 보드(100, 100') 각각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체(200) 사이에 상기 연결수단(400)이 면접촉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체(200)와 연결수단(400) 사이에는 토션바가 장착되어 비틀림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수단(600)은 상기 연결수단(400)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홀더(300)와 결합되어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과 연동 동작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주요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앞뒤 보드(100, 100')는 주행시 발을 올려놓았을 때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넓이와 형상을 지니며 전, 후방 이격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앞뒤 보드(100, 100')는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마찰력이 큰 재질로 마감처리를 하고, 좌우 양측의 테두리를 상향경사지게 제작하여 사용자의 발이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앞뒤 보드(100, 100')는 바닥면에 구비된 후술할 홀더(300)가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게 되는 것이며, 이하 설명하는 고정체(200), 홀더(300), 연결수단(400), 토션바(500), 조향수단(600) 및 방향성캐스터(700)의 결합 구조를 앞보드(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뒷보드(100')의 경우는 상기 앞보드(100)와 반대로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체(200)는 앞보드(100) 바닥면의 전방측과 뒷보드(100') 바닥면의 후방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연결수단(400)의 양단과 면접촉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200)는 전방이 밀폐되고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것으로, 개방된 후방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원형 형상의 체결공(210)이 구비되며, 밀폐된 전방 내측의 단부에는 고정홈(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체(200) 외주면 상에는 후술할 토션바(500)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230)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홀더(300)는 상기 앞보드(100) 바닥면의 후방측 및 뒷보드(100') 바닥면의 전방측에 좌우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조향수단(600)이 장착되는 수용홈(310)이 상호 대향되게 관통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310)의 외측면 형상은 원호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는 곧 상기 홀더(300) 외측면을 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게 된다.
이는 도 5와 같이 큰 원에 내접하는 작은 원의 형상으로, 후술할 조향수단(600)의 제1, 2 기어(620, 630)의 결합 관계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홈(310)은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전, 후방 이격 배치된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400)은 양단이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고정체(200)와 면접촉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앞뒤 보드(100, 100')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크게, 원통 형상의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 양단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연결판(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410)는 양단 내측에 상기 고정체(200)의 체결공(210)이 형성된 측의 단부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지닌 원형 형상의 결합공(41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200)와 면접촉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412)의 내측 단부에 고정홈(414)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410)의 결합공(412)과 결합되는 고정체(200)의 단부 사이에는 일정범위의 회동 운동, 더욱 자세히는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상부면으로부터의 수직외력에 대한 수평 내, 외측으로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면접촉 또는 구름 베어링 등을 개재시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420)은 상기 몸체(410) 양단 외측에서부터 상기 홀더(300)까지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좌우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연결판(420)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앞뒤 보드(100, 100') 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회동공(422)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공(422)은 상기 홀더(300)의 수용홈(310)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션바(500)는 고정체(200)와 연결수단(4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상부면으로부터의 수직 하중에 의하여 상기 연결수단(400)을 중심, 즉 회전축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며 비틀림과 복원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바(500)는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체(200)의 고정홈(220)과 연결수단(400)의 고정홈(414) 사이에 장착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각 고정홈(220, 414)은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션바(500)의 양단부 상에는 상기 고정체(200) 및 연결수단 (400)과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공(51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공(510)은 상기 고정체(200) 외주면 상의 고정공(230) 및 상기 연결수단(400) 몸체(410) 외주면 상의 고정공(416)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별도의 나사와 같은 고정구(미도시)로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토션바(500)의 양단은 일직선 상에 위치한 고정체(200)의 고정홈(220)과 연결수단(400)의 고정홈(414)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각 고정홈(220, 414)에 토션바(5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고정공(230, 416)과 토션바(500)의 고정공(510)을 통하여 고정구(미도시)로 최종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토션바(500)는 상기 토션바(5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면이 지면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비틀림을 허용 가능한 구조라면 상기 플레이트면이 지면과 수직하게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토션바(500)는 적층 형성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수를 적절히 가감하여 비틀림을 용이하게 혹은 어렵게 하는 등의 변형으로써, 대인과 소인용 또는 초심자와 숙련자용 등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에 대응하여 제작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향수단(600)은 연결수단(400)의 양단, 즉 상기 몸체(410)의 양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판(420)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300) 각각의 수용홈(3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토션바(500)의 비틀림과 연동 동작을 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향수단(600)은 상기 토션바(500)의 비틀림과 연동함과 동시에 상기 앞뒤 보드(100, 100')와 지면과의 평형 유지를 지속하는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향수단(600)은 크게 회전축(610)과, 제1 기어(620) 및 상기 제1 기어(620)와 맞물려 결합되는 제2 기어(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연결수단(400)의 회동공(422)에 면접촉 결합되어 일정범위의 회동 운동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며, 후방측 단부에 제1 기어(620)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기어(6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앞보드(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610)의 후방측 단부와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1 기어(620)와 상기 회전축(610) 후방측 단부와의 결합은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뒷보드(100')측의 회전축(610)과 제1 기어(620)와의 결합은 상기 회전축(610)의 전방측 단부와 제1 기어(620)가 회동공(422)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즉, 뒷보드(100')측에서는 상기 앞보드(100)측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축(610)의 후방측 단부와 제1 기어(620)를 결합되도록 하여 장착하되 상기 뒷보드(100')의 형상, 즉 홀더(300)의 위치를 상기 뒷보드(100')의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든가 하는 변형으로 얼마든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630)는 상기 홀더(300)의 수용홈(310)에 각각 상호대향되게 장착되는 원호 형상의 것으로 상기 회전축(610)의 제1 기어(620)와 결합되어 상기 토션바(500)의 움직임과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원호 형상인 상기 제2 기어(630) 상, 하측 단부에는 상기 연결수단(400)의 결합공(412)측으로 각각 지지편(622)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622)과 수용홈(310) 내측면과의 용접 결합 등으로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조향수단(600)은 제1 기어(610)가 제2 기어(630)가 이루는 가상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원에 내접하는 결합 구조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310)의 형상이 홀더(300) 외측면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며, 상기 수용홈(310)에 대응되는 외측면을 지닌 상기 제2 기어(630)의 형상에 기인한다.
한편, 상기 방향성캐스터(700)는 크게 브라켓(710)과 휠조립체(7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610)의 전방측 단부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710)은 상기 회전축(61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10)의 움직임과 연동하는 것으로, 하부면이 상기 앞뒤 보드(100, 100') 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휠조립체(720)는 상기 브라켓(710)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710) 하부측이 이루는 경사면은 상기 앞뒤 보드(100, 100') 공히 같은 방향을 지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710)은 회전축(61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수평 내, 외측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의 회동 동작을 함께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주요부인 조향수단(60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조향수단의 제1, 2 기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0) 내에 장착된 제2 기어(630)의 외측면을 연장하면 상기 연결수단(300)을 중심으로 하는 원(C)이 형성되며 상기 가상의 원(C)에 제1 기어(620)가 각각 내접하여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기어(620, 630)는 상기 원(C) 중심에 위치한 토션바(500)의 비틀림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의 범위 내에서 상기 토션바(500)의 동작과 연동함과 동시에 상기 각도(α)를 벗어남으로 인한 쓰러짐과 불균형을 제한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토션바(500)의 경우 도 6과 같이 다양한 응용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6(a)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토션바(500)를 고정체(200) 및 연결수단(400, 도 3 및 도 4 참고) 사이에 장착하여 비틀림을 허용할 수 있으며, 도 6(b)와 같이 토션바(500)를 연결수단(400)의 연결판(420)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조향수단(600, 도 4 참고)의 회전축(610)을 대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b)의 경우 도 6(a) 상의 토션바(500)를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하여 적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토션바(500)에 국한되지 않고 도 6(c) 및 도 6(d)와 같이 상기 앞뒤 보드(100, 100')와 연결판(420) 사이에 각각 코일 스프링(S) 또는 판 스프링(P)을 적용하는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c) 및 도 6(d)의 경우는 코일 또는 판 스프링(S, P)이 토션바의 비틀림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앞뒤 보드(100, 100')와 지면과의 평형 유지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다양한 작동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7(a) 및 도 7(b) 각각의 상부측 도면은 앞뒤 보드(100, 100') 배치 방향에 대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시점을, 하부측 도면은 위에서 바라본 시점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도면상의 보드는 전부 앞보드(100)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 각각의 상부측 도면 우측을 앞보드(100) 좌측이라, 하부측 도면의 하방을 앞보드(100)의 전방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우선, 도 7(a)와 같이 앞보드(100) 상부면의 좌측에서 수직하중(F)이 가해지면 토션바(500)는 좌측으로 하향경사지며 비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앞보드(100) 상부면 좌측 하부의 제2 기어(630)는 하강하며 반대측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앞보드(100) 하부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앞보드(100) 상부면의 우측에서 수직하중(F)이 가해 지면 토션바(500)는 우측으로 하향경사지며 비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앞보드(100) 상부면 우측 하부의 제2 기어(630)는 하강하며 반대측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앞보드(100) 하부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앞보드(100) 및 뒷보드(100')는 도 5에 도시된 소정 각도(α)만큼의 범위 내에서 상기 토션바(500)의 비틀림에 따른 롤링 동작을 수행하며 방향성캐스터(700)의 조향을 보조하게 되며, 상기 각도(α)를 벗어난 비틀림 동작으로 인한 평형 상실 또는 쓰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α)가 커짐에 따라 상기 방향성캐스터(700)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원활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다양한 작동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일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상에 올려진 양 발(미도시) 중 도면상의 앞보드(100)측을 좌측발, 그 반대측을 우측발로 정의하기로 하며,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화살표가 표시된 측을 전방측, 그 반대측을 후방측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앞보드(100) 전방측에 도시된 앞보드(100), 토션바(500) 및 제 1, 2 기어(620, 630)의 상태는 도면상 화살표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뒷보드(100') 후방측에 도시된 뒷보드(100'), 토션바(500) 및 제1, 2 기어(620, 630)의 상태는 도면상 화살표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배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내용은 도 9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양 발을 앞뒤 보드(100, 100') 상에 각각 올려 놓은 상태에서 도 8(a)와 같이 좌측발의 후방측으로 몸을 틀면서 힘을 주어 체중(F)을 싣게 되면, 즉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힘을 실으면 상기 앞보드(100)측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며 전진하게 된다.
이때, 앞보드(100)의 토션바(500)는 상기 회전축(6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 앞보드(100) 바닥면 좌우측의 제1 기어(620)와 각각 결합된 제2 기어(6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앞보드(100) 좌측의 제2 기어(630)는 하강하게 되며,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좌측발의 전방측으로 몸을 틀어 체중(F)을 반대로 실으면, 도 8(a)의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앞보드(100)측의 토션바(500)는 사용자의 체중(F)이 반대로 실림 에 따라 일시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룬 다음, 곧이어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앞보드(100) 양측의 제2 기어(630)는 일시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룬 다음, 우측의 제2 기어(630)는 하강을,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 8(b)와 같이 우측발의 후방측으로 몸을 틀면서 힘을 주어 체중(F)을 싣게 되면, 즉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힘을 실으면 상기 뒷보드(100')측의 방향성캐스터(700)는 상기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며 전진하게 된다.
이때, 뒷보드(100')의 토션바(500)는 상기 회전축(6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 뒷보드(100') 바닥면 좌우측의 제1 기어(620)와 각각 결합된 제2 기어(6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뒷보드(100') 좌측의 제2 기어(630)는 하강하게 되며,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우측발의 전방측으로 몸을 틀어 체중(F)을 반대로 실으면, 도 8(b)의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뒷보드(100')측의 토션바(500)는 사용자의 체중(F)이 반대로 실림에 따라 일시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룬 다음, 곧이어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뒷보드(100') 양측의 제2 기어(630)는 일시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룬 다음, 우측의 제2 기어(630)는 하강을,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 8(c)와 같이 좌측발의 후방측과 우측발의 전방측에 동시에 힘을 주면서 몸을 비틀어 체중(F)을 실으면서 화살표 방향으로의 주행을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좌측발은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우측발은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힘을 실으면, 상기 앞보드(100)측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상기 뒷보드(100')측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며 전진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앞보드(100)측의 토션바(500)는 상기 회전축(6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며, 동시에 뒷보드(100')측의 토션바(500)는 상기 회전축(6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앞뒤 보드(100, 100') 바닥면 좌우측의 제1 기어(620)와 각각 결합된 제2 기어(6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앞보드(100) 좌측의 제2 기어(630)는 하강하게 되며,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되고,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뒷보드(100') 좌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되며, 반대측의 제2 기 어(630)는 하강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좌측발을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우측발을 상기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힘을 실으면서 주행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토션바(500)는 일시적으로 지면과 수직을 이룬 다음, 곧이어 앞보드(100)측 토션바(500)는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상기 뒷보드(100')측 토션바(500)는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양측의 제2 기어(630)는 일시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룬 다음, 좌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되며,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하게 되고,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뒷보드(100') 좌측의 제2 기어(630)는 하강을, 반대측의 제2 기어(63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뒤 보드(100, 100') 각각에 놓인 양발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하중(F)을 번갈아 주면서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사용자의 발을 나타낸다.
참고로, 도 9(a)는 양발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동시에 하중(F)을 주는 상태를, 도 9(b)는 양발의 전방측과 후방측의 하중(F)을 교차시켜 주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우선, 사용자가 도 9(a)의 상부측 도면과 같이 상기 앞보드(100) 상에 좌측발(f)을 뒷보드(100') 상에 우측발(f')을 각각 올려놓고 좌우측 발(f, f')의 전방측으로 힘을 주어 체중(F)을 실으면, 상기 앞보드(100)측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 상기 뒷보드(100')측의 방향성캐스터(7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회전하며 전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토션바(500)는 공히 상기 회전축(61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좌우 양측의 제1 기어(620)와 결합된 제2 기어(630)중 우측의 것은 공히 하강하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도 9(a)의 하부측 도면과 같이 상기 좌우측 발(f, f')의 후방측으로 힘을 주어 체중(F)을 실으면 도 9(a) 상부측 도면의 반대 원리로 상기 앞뒤 보드(100, 100') 각각에 장착된 방향성캐스터(700)의 회전으로 주행이 지속된다.
이때, 상기 앞뒤 보드(100, 100')의 토션바(500)는 공히 일시적으로 지면과 평행을 이룬 다음, 곧이어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비틀림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앞뒤 보드(100, 100') 좌우 양측의 제1 기어(620)와 결합된 제2 기어(630) 중 좌측의 것은 공히 하강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좌측발(f)의 전방측과 우측발(f')의 후방측 또는 좌측발(f)의 후방측과 우측발(f')의 전방측으로 힘을 주어 체중(F)을 실음으로써 도 9(b)의 상, 하부측 도면과 같이 도면상 화살표의 진행방향에 대해 각각 우측 또는 좌측으로의 회전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9(b)의 상, 하부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S'자 곡선을 그리며 도면상 화살표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는 사행(蛇行)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9(b)의 상, 하부측 도면상의 어느 한 동작의 실시로써 원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앞뒤 보드(100, 100') 바닥면 좌우 양측의 제2 기어(630)의 외측면 높이, 즉 도 5의 각도(α)를 크게 할수록 회전반경을 줄이며 급격한 방향전환이 가능한 응용 동작의 실시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토션바(500) 및 제1, 2 기어(620, 630)의 상세한 구동 메커니즘은 도 8 및 도 9(a)의 내용을 참고하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은 숙련도에 관계없이 초심자도 쉽게 평형을 유지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땅을 지치는 번거로운 동작이 필요없이 추진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앞뒤 보드 바닥면과 토션바로써 면접촉 결합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에 연동하며 조향을 강제적으로 수행하는 조향수단이 장착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땅을 발로 지치며 주행할 필요없이 몸을 비틀거나 보드 상에 올려진 발의 전, 후방측 체중 이동만으로도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숙련도에 관계없이 초심자도 쉽게 접근가능하여 흥미 유발을 높일 수 있는 매력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제2 기어에 제1 기어가 내접하는 조향수단의 구조를 채택하여 고정체 및 연결수단에 내장된 토션바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비틀림을 허용하므로 과도한 토션바의 비틀림으로 인한 쓰러짐이나 균형 상실의 우려가 없이 쉽게 지면과 평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기어 외측면의 상하부 길이를 조정함에 따라 회전 반경의 조정 또한 가능하게 되어 유연한 회전 동작과 주행이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응용 동작에 의한 묘기를 폭넓게 연출할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전, 후방 이격되는 앞뒤 보드;
    상기 앞보드 바닥면의 전방측 및 뒷보드 바닥면의 후방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체;
    상기 앞보드 바닥면의 후방측 및 뒷보드 바닥면의 전방측에 좌우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앞뒤 보드의 고정체와 양단이 면접촉 결합되며 상기 앞뒤 보드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고정체와 연결수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앞뒤 보드 상부면으로부터의 수직 하중에 의하여 상기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는 토션바;
    상기 연결수단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 각각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앞뒤 보드와 지면과의 평형 유지를 위하여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과 연동하는 조향수단; 및
    상기 조향수단에 결합되는 방향성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연결수단의 양단과 면접촉 결합하는 것으로,
    전방이 밀폐되고 후방에 원형 형상의 체결공이 구비되어 개방되며, 전방 내측의 단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조향수단이 장착되는 수용홈이 상호 대향되게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용홈은 상기 홀더 외측면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양단 내측에 상기 고정체의 체결공이 형성된 측 단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지닌 원형 형상의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와 면접촉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의 내측 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양단 외측에서부터 상기 홀더까지 상기 앞뒤 보드 좌우 양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연장형성된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앞뒤 보드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회동공이 관통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는,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고정홈과 연결수단의 고정홈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각 고정홈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회동공에 면접촉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후방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홀더의 수용홈 형상에 대응되며 각각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토션바의 움직임과 연동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기어는 제2 기어에 내접하여 회동하는 내접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캐스터는,
    상기 회전축의 전방측 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캐스터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과 연동하며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휠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KR1020060027416A 2006-03-27 2006-03-27 스케이트 보드 KR20060041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416A KR20060041191A (ko) 2006-03-27 2006-03-27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416A KR20060041191A (ko) 2006-03-27 2006-03-27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191A true KR20060041191A (ko) 2006-05-11

Family

ID=3714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416A KR20060041191A (ko) 2006-03-27 2006-03-27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1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18B1 (ko) * 2006-05-30 2007-02-06 신경남 놀이용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18B1 (ko) * 2006-05-30 2007-02-06 신경남 놀이용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742B2 (en) Caster skate apparatus
JP4411200B2 (ja) スケートボード
CN101309730B (zh) 单片式可弯折滑板
CN101171059A (zh) 能够全向行进的滑板
KR101194699B1 (ko) 곡선트랙 시뮬레이션 장치
JP6706782B2 (ja) 自体推進力の提供が可能なスケートボード
WO2007102645A1 (en) Skate board
KR100714176B1 (ko) 비전동식 런닝 머신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80004092A (ko) 스케이트보드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KR20060041191A (ko) 스케이트 보드
KR100883343B1 (ko) 롤링에 의해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다중 방향성 캐스터를갖춘 보드
KR20050088978A (ko) 스케이트 보드
KR101243264B1 (ko) 유희용 운동기구
KR200384634Y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420320Y1 (ko)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KR200437499Y1 (ko) 다인승 연동형 시소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JP6141752B2 (ja) スキー練習装置
KR200421949Y1 (ko) 스케이트보드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KR100539412B1 (ko) 캐스터 스케이트
KR200420911Y1 (ko) 방향성 캐스터 및 그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
KR200230077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