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978A -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978A
KR20050088978A KR1020050075098A KR20050075098A KR20050088978A KR 20050088978 A KR20050088978 A KR 20050088978A KR 1020050075098 A KR1020050075098 A KR 1020050075098A KR 20050075098 A KR20050075098 A KR 20050075098A KR 20050088978 A KR20050088978 A KR 2005008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earing
skateboard
coupled
rea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연
Original Assignee
최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연 filed Critical 최종연
Priority to KR102005007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978A/ko
Publication of KR2005008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5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행시 탑승자의 양발에 가해지는 앞뒤 보드 상의 교번하중을 이용하면서 지면과의 접촉마찰을 통한 지지점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시 뒤로 밀리거나 하는 문제점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이격되는 앞뒤 보드와, 상기 앞뒤 보드 하부측의 수직축과 결합되는 회전지지용 베어링과,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과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이 장착되는 휠조립체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앞보드가 결합되는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소정길이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로드로 구성된 왕복부와; 일측은 상기 로드 후방측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의 양측부와 힌지 결합되며, 내측으로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에 돌출 형성된 결합편을 수용하는 조인트와, 상기 결합편의 상면과 결합홈의 사이에 개재되어 뒤 보드를 탄력지지하는 탄력부재로 구성된 수평유지부; 및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의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힌지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일측에 휠이 장착되는 베어링 홀더로 구성된 주행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뒤 보드 후방측에 작용하는 교번하중에 따라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에 장착된 휠이 주행 방향으로 토 인 또는 평행상태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행시 탑승자의 양발에 가해지는 앞뒤 보드 상의 교번하중을 이용하면서 지면과의 접촉마찰을 통한 지지점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시 뒤로 밀리거나 하는 문제점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적이며 단순한 주행만을 추구하는 스케이트 보드 대신에 다양한 형태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스네이크 보드, 에스 보드 등과 같은 것들이 개발되어 레포츠 수요의 증가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드의 경우 단순히 지그재그나 상하반복 운동만으로 주행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지속적인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구나 운동의 폭이나 강도가 제한적이어서 짧은 시간에 큰 운동의 효과를 얻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이중출원) 제 20-384634 호의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크게 앞 보드(10a), 뒷 보드(10b), 휠(21)을 포함하는 휠 조립체(20) 및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앞 보드(10a)는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뒷 보드(10b)는 상기 프레임(30) 상에서 전후방으로 왕복하는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 후방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60)와, 지면과의 마찰을 유발하기 위한 스토퍼(70)가 각각 구비된다.
도 2는 종래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이송로(31)가 구비되며 상기 앞뒤 보드(10a, 10b)를 지지하는 프레임(30)과, 상기 앞뒤 보드(10a, 10b)의 하부측에서 연장형성된 수직축(1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직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앞뒤 보드(10a, 10b)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앞 보드(10a)에 대해 상기 뒷 보드(10b)는, 상기 이송로(31) 상에서 구름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름지지부(5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상기 앞뒤 보드(10a, 10b)에 놓여진 양발에 탑승자의 하중을 번갈아 가면서 체중이동을 이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기존의 스케이트 보드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구동방식으로 주행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휠과 지면사이의 구름마찰만이 존재하게 되므로 주행을 위한 지지점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르막 경사나, 특히 가속하고자 할 경우 원활한 주행이 힘들다.
즉, 보다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는 휠의 구름마찰이 아닌 지면과의 접촉마찰을 통한 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점을 이용하여 앞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행시 탑승자의 양발에 가해지는 앞뒤 보드 상의 교번하중을 이용하면서 지면과의 접촉마찰을 통한 지지점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시 뒤로 밀리거나 하는 문제점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많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초보자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는, 전후 이격되는 앞뒤 보드와, 상기 앞뒤 보드 하부측의 수직축과 결합되는 회전지지용 베어링과,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과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이 장착되는 휠조립체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앞보드가 결합되는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소정길이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로드로 구성된 왕복부와; 일측은 상기 로드 후방측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의 양측부와 힌지 결합되며, 내측으로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에 돌출 형성된 결합편을 수용하는 조인트와, 상기 결합편의 상면과 결합홈의 사이에 개재되어 뒤 보드를 탄력지지하는 탄력부재로 구성된 수평유지부; 및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의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힌지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일측에 휠이 장착되는 베어링 홀더로 구성된 주행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뒤 보드 후방측에 작용하는 교번하중에 따라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에 장착된 휠이 주행 방향으로 토 인 또는 평행상태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에는 상기 외통의 내경에 상당하는 직경의 끼움구가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장착시 상기 외통의 타측 내주면과 상호 고정되는 막음구가 구비되어 상기 로드와 면접촉 또는 구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구와 외통의 일측, 그리고 상기 끼움구와 막음구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베어링 홀더는, 전면 내측으로 상기 삽입홈과 면접촉을 하면서 전면 외측으로 소정 각도로 테이퍼지며, 후면이 상기 삽입홈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앞 보드의 상부면은 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고, 상기 뒤 보드의 상부면은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앞 보드(101), 뒤 보드(102),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141)을 포함하는 앞 보드측 휠조립체(131), 한 쌍의 휠(142)을 포함하는 뒤 보드측 휠조립체(132), 외통(210)과 로드(220)로 이루어진 왕복부(200), 그리고 조인트(310)를 포함하는 수평유지부(300)로 외관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앞 보드(101)는 밀폐된 상기 외통(21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뒤 보드(102)는 상기 로드(220)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조인트(31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220)는 상기 외통(210)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이와 결합되는 앞 보드(101)와 뒤 보드(102)는 상호간 간격이 가변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왕복부, 수평유지부 및 주행조정부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는 크게, 왕복부(200), 수평유지부(300) 및 주행조정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왕복부(200)는 크게 외통(210)과 로드(220)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210)은 상기 앞 보드(101)가 결합되는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소정길이의 원통형상으로,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로드(220)가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외통(210)의 밀폐된 일측 단부에는 베어링 홀더(211)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홀더(211)에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에 상기 앞 보드(101) 하부측에서 연장형성된 수직축(110)이 관통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앞 보드(101)는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에 의해 수직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축(110)은 앞 보드(101)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덧쇠(111)와 결합구(700)에 의해 상기 앞 보드(101)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축(110) 단부에는 휠(141)을 포함하는 앞 보드측 휠 조립체(131), 더욱 상세히는 상기 앞 보드측 휠 조립체(131)를 구성하는 앞 보드측 브라켓(133)이 장착된 후 너트(500)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앞 보드측 브라켓(133)은 결합구(700)에 의해 상기 앞 보드(101) 하부면과 결합되는 지지대(135)가 양측에 구비되며, 앞 보드(101)측의 휠(141)과 결합되는 축(137)이 양단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직축(110)이 관통결합되는 관통공(138)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축(137)에는 베어링(143) 및 와셔(145)가 개재된 휠(141)이 장착되고, 축(137) 단부의 나사산에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800)로 마감처리되게 된다.
상기 로드(220)에는 끼움구(221)와 막음구(223)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구(221)와 막음구(223)에 의하여 상기 로드(220)가 외통(210)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구(221)는 상기 로드(22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외통(210)의 내경에 상당하는 직경을 구비하여 외통(210) 내주면과 면접촉에 의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막음구(223)는 개방된 외통(210) 타측의 내주면과 상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220)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막음구(223)를 통해 로드(220)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막음구(223)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마찰력이 적은 소재를 채택하여 상기 로드(220)와 면접촉되도록 하거나, 상기 막음구(223)의 내주면에 구름베어링과 같은 부품이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로드(220)와 구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막음구(223)를 통해 로드(220)가 외통(210)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끼움구(221)와 외통(210)의 밀폐된 일측, 그리고 상기 끼움구(221)와 막음구(22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25)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225)은 상기 외통(210)과 로드(220) 사이에서 충격을 완화하고 원활한 주행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드(220)와 결합되는 수평유지부(300)는 도 4와 같이 크게, 조인트(310)와 탄력부재(330)로 구성되어 상기 뒤 보드(102)를 탄력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조인트(310)의 일측은 상기 로드(220)의 후방측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의 양측부와 힌지(900)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은 조인트(310)의 타측과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베어링 홀더(34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한 다음, 상기 조인트(310)의 타측과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에는 상기 뒤 보드(102) 하부측에 연장형성된 수직축(110)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수직축(110) 단부에는 휠(142)을 포함하는 뒤 보드측 휠 조립체(132), 더욱 상세히는 상기 뒤 보드측 휠 조립체(132)를 구성하는 뒤 보드측 브라켓(134)이 장착된 후 너트(500)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뒤 보드(102)는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120)에 의해 수직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된다.
상기 뒤 보드측 브라켓(134)은 결합구(700)에 의해 상기 뒤 보드(102) 하부면과 결합되는 지지대(136)가 양측에 구비되며, 후술할 삽입홈(150)이 양단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직축(110)이 관통결합되는 관통공(139)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축(110)은 뒤 보드(102)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덧쇠(111)와 결합구(700)에 의해 상기 뒤 보드(102)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인트(310)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15)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315) 내측으로 상기 베어링 홀더(340)에 돌출 형성된 결합편(320)이 수용된다.
상기 결합편(320)의 상부면과 결합홈(315)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며, 여기에 상기 뒤 보드(102)를 탄력지지하는 탄력부재(330)가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도 6은 뒤 보드의 후방측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뒤 보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하중이 작용되지 않는 평상시 상태이며, 도 6(b)는 하중이 작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a)와 같은 평상시 상태에서 출발을 위하여 가속하거나, 또는 주행중에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b)와 같이 탑승자의 발에 의해 뒤 보드(102)의 후방측(↓:하중작용점)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즉 탑승자의 발의 바깥쪽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뒤 보드(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90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해진 하중을 제거할 경우, 즉 탑승자의 발의 바깥쪽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기울어진 상기 뒤 보드(102)가 상기 탄력부재(330)에 의해 즉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력부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판 스프링 또는 고탄성 재질의 합성 고무 등과 같이 압축에 강하고 복원력이 뛰어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수평유지부(300)와 연동하며 주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주행조정부(400)는 도 4와 같이 크게, 베어링(410)과 베어링 홀더(430)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조정부(400)는 상기 수평유지부(300)와 함께 상호 연동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스케이트 보드의 가속 내지 정지를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410)은 뒤 보드측 휠조립체(132), 즉 뒤 보드측 브라켓(134)의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50)에 삽입되며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구(600)에 의하여 상하로 힌지 결합되며, 이때 상기 베어링(410)은 일측에 휠(142)이 결합되는 별도의 베어링 홀더(430)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430)는 삽입홈(150)에 상당하는 높이를 지니며, 전체적으로 반원기둥과 사각기둥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휠(142)과 결합되는 축(431)에는 베어링(144) 및 와셔(146)가 개재된 휠(142)이 장착되어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800)로 마감처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조정부(4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7(b)는 뒤 보드(102)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로서 하중이 작용되기 전과, 작용된 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이는 도 6(a) 및 도 6(b)에 각각 대응된다.
우선, 도 7(a)와 같이 삽입홈(150)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410)이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구(600)로 힌지결합된 상기 베어링 홀더(430)는 주행 방향, 즉 전면 내측이 상기 삽입홈(150)과 면접촉된 상태이다.
그리고, 면접촉된 상기 베어링 홀더(430)의 축(431, 도 4 참고) 형성 방향, 즉 전면 외측으로는 소정 각도(α)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홀더(430)의 후방측, 즉 후면은 상기 베어링 홀더(430)가 체결구(60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α) 만큼 회전되도록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삽입홈(15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각도(α)는 상기 뒤 보드(102)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상당하는 각도이며, 탑승자가 뒤 보드(102) 후방측에 하중을 가하며 무게중심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 탑승자가 평형유지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각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주행조정부(400)는 상기 뒤 보드(102) 후방측(●:하중작용점)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즉 탑승자의 발의 바깥쪽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뒤 보드(10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90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됨과 동시에 삽입홈(150)에 장착된 휠(142)은 베어링 홀더(430)가 체결구(60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α) 만큼 회전되므로 도 7(a)와 같은 평행상태에서 도 7(b)와 같은 토 인(toe-in) 상태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토 인이라 함은, 상기 뒤 보드 양측부에 평행하게 정렬된 휠(142)이 주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α)만큼 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이 내측으로 좁혀지고 후방측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정의한다.
앞 보드(101)상에 왼발을, 그리고 뒤 보드(102) 상에 오른발을 위치시킨 상태로 가정한 다음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양발에 균일한 하중을 가할 경우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132) 양측부의 휠(142)은 통상 도 7(a)와 같이 평행 상태로 정렬되어 있다.
도 7(a)와 같은 평상시 상태에서 출발을 위하여 가속하거나, 또는 주행중에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오른발의 바깥쪽으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즉 상기 뒤 보드(102) 후방측(●:하중작용점)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상기 뒤 보드(102)는 조인트(310, 도 6 참조)과 결합된 힌지(900, 도 6 참조) 및 삽입홈(150)의 상하로 힌지결합된 체결구(600)에 의해 소정 각도(α)로 테이퍼진 상기 베어링 홀더(430)가 상기 체결구(600)를 중심으로 회전이 허용되면서 상기 뒤 보드(102)는 기울어지고, 베어링 홀더(430)에 장착된 휠(142) 또한 도 7(b)와 같은 토 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휠(142)은 주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α)만큼 토 인되어 구름운동이 억제됨으로써 지면과 접촉마찰이 유발되고, 그 결과 스케이트 보드를 앞으로 밀고 나갈 수 있는 소위 '지지점'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점이 형성된 뒤 보드(102)는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상기 뒤 보드(102)에 대하여 앞 보드측으로 탑승자의 체중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앞보드를 전방측으로 길게 밀고 나갈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뒤 보드(102) 후방측에 가해진 하중, 즉 오른 발의 바깥쪽에 집중되는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탄력부재(330, 도 6(a) 참조)의 복원력으로 상기 뒤 보드(102)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뒤 보드 양측부의 휠(142) 또한 도 7(a)와 같은 평행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주행중에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하고자 할 경우 주행 상태에서 뒤 보드(102)에 놓여진 발의 바깥쪽, 즉 뒤 보드(102)의 후방측(●:하중작용점)을 지그시 눌러주기만 하면, 가속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뒤 보드의 양측부 휠은 즉시 토 인 상태로 되면서, 지면과의 접촉마찰이 유발되어 속도를 낮추어 정지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수평유지부 및 주행조정부에 의해 쉽게 가속 또는 정지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뒤 보드(102)의 상부면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앞 보드(101)의 상부면은 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도록 하여 탑승자의 평형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즉, 조인트(310)과 결합된 힌지(900)를 중심으로 상기 뒤 보드(102)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상기 뒤 보드(102) 상부면의 형상 때문에 탑승자는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태를 체감하며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방측 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상기 앞 보드(101)의 상부면은 후술할 구동방식에서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뒤 보드(102)측에서 앞 보드(101)측으로 이동시켜 앞 보드(101)측의 발로 지치며 주행방향으로의 가속력을 부여할 때 안정적인 자세유지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구동방식에 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경우 이격되어 장착되는 앞뒤 보드(101, 102)는 수직축(110, 도 4 참고) 및 회전지지용 베어링(120, 도 4 참고)을 중심으로 하여 소위 '트위스트'되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므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향해 양 발을 반복적으로 트위스트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즉, 뱀이 머리와 배 양측의 근육을 적절히 수축 이완시켜 몸을 비틀며 전진하는 원리와 유사한 사행(蛇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왕복부(200) 양단부에 결합된 앞뒤 보드(101, 102)에 교번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왕복부(200)의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앞뒤 보드(101, 102)에 양 발을 올려놓고 상기 뒤 보드(102)의 후방측에 하중을 가하여 뒤 보드(102)에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한 다음, 탑승자의 체중을 앞 보드(101)측으로 실리도록 하면서 상기 앞 보드(101)를 진행방향측으로 밀어내면, 상기 뒤 보드(102)에 가해진 하중은 제거되면서 휠(142)은 평행상태로 재정렬되게 된다.
계속하여 뒷 보드(102)를 앞 보드(101)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면서 다시 무게중심을 양 발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고, 또 다시 상기 뒤 보드(102) 후방측에 하중을 가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주행 내지 가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되는 동작은 빙판 위를 부드럽게 미끄러져 나가는 스케이팅 동작과 유사하며, 지렁이가 머리측 근육을 이완시켜 머리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뒤따르는 근육을 수축시켜 끌어당김으로써 전진하는 원리와 유사한 인행(蚓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는 지속적으로 주행이 가능하게 되며, 일정시간 내에 상기 동작의 반복에 따라 가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도 8(a) 및 도 8(b)와 같은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하거나 병행이 가능하므로 주행코스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재미와 묘기의 연출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앞 보드(101)에 장착되는 휠조립체(141)의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보드측 휠조립체(131)의 양측에 각각 휠(141)이 결합되는 고정식 휠조립체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고정식 휠조립체 대신에 캐스터와 같은 방향성 휠조립체로 하거나 상기 휠조립체에 구비되는 휠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으로 하여 숙련도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시 탑승자의 양발에 가해지는 앞뒤 보드 상의 교번하중을 이용하면서 지면과의 접촉마찰을 통한 지지점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시 뒤로 밀리거나 하는 문제점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지지점이 발생되고, 왕복운동을 행하는 왕복부에 의하여 주행하는 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주행이 가능하므로 운동과 재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묘기 연출을 통한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중이동이나 몸통의 회전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의 사용으로 인하여 근력 강화는 물론 왕복 직선운동을 통한 유산소 운동도 병행되어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으로 인한 체력증진의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또한, 뒤 보드의 후방측을 가압만으로도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스토퍼와 같은 장치가 필요 없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왕복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평유지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주행조정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구동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앞 보드 102...뒷 보드
110...수직축 120...회전지지용 베어링
131...앞 보드측 휠 조립체 132...뒤 보드측 휠조립체
141, 142...휠 150...삽입홈
200...왕복부 210...외통
220...로드 221...끼움구
223...막음구 300...수평유지부
310...조인트 315...결합홈
320...결합편 330...탄력부재
400...주행조정부 410...베어링
430...베어링 홀더

Claims (5)

  1. 전후 이격되는 앞뒤 보드와, 상기 앞뒤 보드 하부측의 수직축과 결합되는 회전지지용 베어링과,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과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이 장착되는 휠조립체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앞보드가 결합되는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소정길이의 외통(210)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로드(220)로 구성된 왕복부(200)와;
    일측은 상기 로드 후방측 단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의 양측부와 힌지 결합되며, 내측으로 결합홈(315)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지지용 베어링에 돌출 형성된 결합편(320)을 수용하는 조인트(310)와, 상기 결합편의 상면과 결합홈의 사이에 개재되어 뒤 보드를 탄력지지하는 탄력부재(330)로 구성된 수평유지부(300); 및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132)의 양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50)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힌지 결합되는 베어링(410)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일측에 휠이 장착되는 베어링 홀더(430)로 구성된 주행조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뒤 보드 후방측에 작용하는 교번하중에 따라 상기 뒤 보드측 휠조립체에 장착된 휠이 주행 방향으로 토 인(toe-in) 또는 평행상태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상기 외통의 내경에 상당하는 직경의 끼움구(221)가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장착시 상기 외통의 타측 내주면과 상호 고정되는 막음구(223)가 구비되어 상기 로드와 면접촉 또는 구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와 외통의 일측, 그리고 상기 끼움구와 막음구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2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50)에 삽입되는 베어링 홀더는, 전면 내측으로 상기 삽입홈과 면접촉을 하면서 전면 외측으로 소정 각도(α)로 테이퍼지며, 후면이 상기 삽입홈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 보드의 상부면은 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고, 상기 뒤 보드의 상부면은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KR1020050075098A 2005-08-17 2005-08-17 스케이트 보드 KR20050088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98A KR20050088978A (ko) 2005-08-17 2005-08-17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98A KR20050088978A (ko) 2005-08-17 2005-08-17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978A true KR20050088978A (ko) 2005-09-07

Family

ID=372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098A KR20050088978A (ko) 2005-08-17 2005-08-17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89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27B1 (ko) *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100807013B1 (ko) * 2006-08-10 2008-03-03 강신기 전지형 자립추진 스케이트보드
KR100818128B1 (ko) * 2006-07-11 2008-03-31 김정재 레저용 롤러와 이를 이용한 레저용 롤러보드
KR100854094B1 (ko) * 2006-11-23 2008-08-25 주식회사 슬로비 에스보드용 토션 바
KR101591253B1 (ko) * 2015-10-30 2016-02-03 강인태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CN114670585A (zh) * 2022-04-26 2022-06-28 延边大学 一种轮组装置及滑板车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27B1 (ko) *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100818128B1 (ko) * 2006-07-11 2008-03-31 김정재 레저용 롤러와 이를 이용한 레저용 롤러보드
KR100807013B1 (ko) * 2006-08-10 2008-03-03 강신기 전지형 자립추진 스케이트보드
KR100854094B1 (ko) * 2006-11-23 2008-08-25 주식회사 슬로비 에스보드용 토션 바
KR101591253B1 (ko) * 2015-10-30 2016-02-03 강인태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WO2017073917A1 (ko) * 2015-10-30 2017-05-04 강인태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US9868048B2 (en) 2015-10-30 2018-01-16 In Tae Kang Skateboard capable of providing self-propulsive force
CN114670585A (zh) * 2022-04-26 2022-06-28 延边大学 一种轮组装置及滑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636A (en) Exerciser for surfing
KR20050088978A (ko) 스케이트 보드
US4434981A (en) Cross country skiing simulating exerciser
US6626802B1 (en) Stationary type of exercise apparatus that enables movement of the user's feet in a reciprocating motion
US7303511B2 (en) Exercise device
CN102574020B (zh) 用于振动驱动装置的展示壳
EP1951385A1 (en) Indoor exercise cycle with tilt function
KR101591253B1 (ko)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US5199727A (en) Steerable wheel assembly for a roller skate
US20040058784A1 (en) Stationary type of exercise apparatus that enables movement of the user's feet in a reciprocating motion
US20110169234A1 (en) Street board
CA2320033A1 (en) Table game
WO2007102645A1 (en) Skate board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384634Y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60019495A (ko) 스케이트보드
US4783091A (en) Apparatus for exercise and recreation
WO2007108380A1 (ja) 滑走遊技具及びブレード
KR20060082830A (ko) 스케이트보드
KR100776575B1 (ko) 전륜구동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KR101158422B1 (ko) 롤러 스케이팅 승용기구
KR100305635B1 (ko) 사이클 운동기구
KR20060094560A (ko) 스케이트 보드
CN2920315Y (zh) 身体锻炼器
KR100469159B1 (ko) 캐스터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