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360A -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리던던트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리던던트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360A
KR20060038360A KR1020057020236A KR20057020236A KR20060038360A KR 20060038360 A KR20060038360 A KR 20060038360A KR 1020057020236 A KR1020057020236 A KR 1020057020236A KR 20057020236 A KR20057020236 A KR 20057020236A KR 20060038360 A KR20060038360 A KR 2006003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ts
processor
antenna
failure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082B1 (ko
Inventor
아이만 모스타파
마크 오스틴
Original Assignee
싱귤러 와이어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귤러 와이어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싱귤러 와이어리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3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7Detection of non-compliance or faulty performance, e.g. response devi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with predefined switching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전송 다이버시티 리던던시 제어기(210)는 필요한 투자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안테나 브랜치(220) 상의 고장을 검출 및 교정함으로써 다이버시티와 안테나 호핑을 동적으로 중재한다. 제어기는 안테나 브랜치를 따라 장치를 모니터링한다. 고장이 발생되면, 제어기는 디폴트 세팅에 기반하여 적당한 고장 교정 대책을 결정하고 구현하거나, 외부 프로세서(예를 들면, BTS 또는 BSC CPU)에 지시자를 중계한다. BTS 상의 트래픽이 높다면, 외부 프로세서는 TDR 제어기에게 다운된 브랜치에 의해 반송된 신호를 동작중인 브랜치에 의해 반송된 신호와 결합할 것을 명령하고, 결합된 신호는 동작중인 브랜치를 통해 전송된다. 반면, 외부 프로세서는 제어기로 하여금 다운된 안테나 브랜치에 의해 반송된 신호가 드롭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명령하고, 브랜치가 복원될 때 까지 드롭된 캐리어에 대한 콜의 할당을 중지할 것을 BSC에게 통지한다.
안테나, 리던던시, 다이버시티, 교정, 안테나 호핑, TDR, BTS

Description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리던던트 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FULLY REDUNDANT ANTENNA HOPPING WITH MULTI-CARRIER POWER AMPLIFIERS AND COMBINING SCHEMES WITHIN A BASE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호핑 및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갖는 리던던시를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경로 전파(multipath propagation)로 기인한 이동 라디오 채널(mobile radio channel)의 작은 스케일 페이딩(fading)을 제거하기 위해 2가지 접근법(approaches)이 개발되어 왔다. 수신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응형 안테나(adaptive antennas) 또는 다이버시티 스킴(diversity schemes)이 채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이버시티 스킴 중 하나는 "안테나 호핑"으로 언급된다. 안테나 호핑은 작은 스펙트럼의 어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고, 네트워크 용량에서 10-30%까지의 잠재적인 이득을 통상적으로 제공한다.
안테나 호핑에서, 정보의 연속적인 버스트(burst)는 단일 기지국 송수신 서브시스템(BST)에 위치된 안테나 어레이 내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전송된다. 다중-경로 전송은 신호 컴포턴트가 동시적으로 약해질 가능성을 상당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이득이 취득된다. 다이버시티 이득은 낮은 이동 조건, 즉 이동국이 서서히 이동할 때 최대로 된다. 도1은 안테나 호핑 스킴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전송 서브시스템(Base Transceiver subsystem:이하 BTS)의 엘리먼트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부가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 안테나 호핑 스킴은, 교대적인 시퀀스로 상이한 안테나에 상이한 주파수 대역(f1 내지 f6으로 도시됨)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스킴과 결합되기도 한다.
특정 셀에 대한 용량 요구(capacity demand)를 증가시키는 것은 대응하는 BTS 측에 더 많은 신호 전달 트랜시버(TRX)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셀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에 대한 전체 커버리지(coverage)를 유지하기 위해서, TRX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은 결합되고, 이어서 증폭되고,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RX 출력 신호들이 결합되지 않으면, 각각의 TRX를 안테나에 접속하는 과도한 수의 피더(feeder)가 필요하게 되어, 셀 타워의 구조적 능력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TRX 출력 신호들은 저 출력 결합기(power combiner)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어서, 고출력의 울트라 리니어 와이드밴드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MCPA)가 각각의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들 신호는 소정의 영역을 지나 수신될 수 있다.
안테나 호핑은 증폭기, 결합기 및 듀플렉서(DPX)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병렬 셋트를 본질적으로 필요로 한다. 소수의 라디오에 있어서, 특히 단일 MCPA는 수천 달러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 장비는 대단히 비쌀 수 있다.
또한, BTS 하드웨어의 리던던시의 부가적인 레벨은 시스템 안전성을 최대호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즉, "핫-스탠바이(hot-standby)"로 알려진 전용 백업 MCPA는 특정 안테나에 대한 동작중인 MCPA가 고장인 경우에 인계되는 백업으로서 배치되곤 한다. 핫 스탠바이 MCPA와, 각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세트와 연관된 하드웨어의 유지는 고가의 해결책이다.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은 안테나 호핑 또는 전송 다이버시티 없이 완전 리던던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이버시티가 없는 리던던시는 신호 페이딩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그러한 리던던시를 제공하는 이전의 시스템과 관련하여 값비싼 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다이버시티와 리던던시 양자를 모두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 결합 스킴을 이용하는 기지국 송수신 서브시스템(BTS)에서 고장 검출을 갖는 완전한 리던던트 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BTS 장비 내의 주된 투자대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안테나 호핑 및 완전 리던던시를 갖는 고장 검출 등의 다이버시티 스킴의 공존을 가능하게 한다. 간단하게,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된 각종 실시예로 요약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고장의 존재에 기반하여 다이버시티 또는 교정 스킴(remediation scheme)의 선택적인 구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는 전송 다이버시티 리던던시(Transmit Diversity Redundancy:TDR) 제어기를 포함한다. TDR 제어기는 기지국 트랜시버와 관련된 안테나 브랜치 상의 고장의 존재와, 고장시 BTS 상의 트래픽 요구에 기반하여 BTS를 다이버시티 모드 또는 교정 모드 중 하나로 유지한다.
BTS는 고장의 경우에 이용되는 부가적인 교정 모드 결합기(이하 "재결합기(recombiner)"로 언급됨) 뿐만 아니라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의 다이버시티 모드 결합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버시티 모드 결합기는 피터로 직접 접속되고, 캐리어 신호의 하나의 그룹을 피더에 따른 전송용의 결합 신호로 결합한다. 교정 모드 재결합기는 피더를 따른 주요 장치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이용된다. 교정 모드 재결합기의 목적은 이전에 결합된 신호를 재결합된 신호로 결합하고, 고장이 일어나지 않은 피더를 따라 재결합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TDR 제어기는 고장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장 검출기는 제1 피더 경로 또는 제2 피더 경로 중 하나를 따른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각각의 피더 경로 상의 주요 장치와 인터페이싱된다. 고장을 검출함에 따라, 고장 검출기는 고장 지시자(fault indicator)를 생성한다. 이 고장 지시자는 고장이 제1 피더 경로를 따라 발생했는지 또는 제2 피더 경로를 따라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2개의 피더 환경이라고 가정함).
또한, TDR 제어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고장 검출기로부터 고장 지시자를 수신하고, 적당한 고장 교정 대책(measures)에 관한 명령어를 결정하거나 수신하고, 고장 교정 대책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능동 또는 수동 고장 교정 대책은 고장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의사-결정 로직(decision-making logic)을 통해 선택적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구현된다. 관련 실시예에서, TDR 제어기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대한 현재의 트래픽 데이터에 기반하여 (능동 교정을 구현함으로써) 커버리지를 감소시키거나, (수동적 교정을 구현함으로써) 용량을 감소시키도록 명령받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TDR 제어기 또는 BTS의 중앙 처리 장치는 BTS에 의해 반송되는 트래픽을 간접적으로 모니터하고, 능동적 또는 수동적 교정을 수행해야할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능동적 또는 수동적 교정의 구현은 기지국 제어기(BSC)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정한 상황에서는 능동적 고장 교정이 수행된다. 낮은 요구(low demand) 기간에서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방법은 다른 안테나 브랜치가 수리되는 동안 무선 트래픽이 용량의 절반으로 액티브 안테나 브랜치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TDR 제어기는 BTS를 교정 모드로 스위치하지 않는다. 능동적 고장 교정을 구현하기 위해, 고장이 하나의 피더(하향 브랜치)를 따라 발생하면, 프로세서는 각각의 다이버시티 모드 결합기로부터 다른 피더를 접속해제하는 스위칭 절차를 수행하고, 다른 피더(액티브 브랜치)를 교정 모드 결합기로 접속한다. 제3 결합기는 제1 결합기와 제2 결합기의 출력을 수신하고, 이들 출력을 결합하여 제3 결합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3 결합 신호는 액티브 피더를 따라 전송된다. 따라서, 캐리어 신호의 제1 및 제2 그룹으로 나타나는 모든 주파수 캐리어는 BTS의 주파수 전달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커버리지를 희생한 액티브 브랜치를 통해 전송된다. 이어서, BTS는 안테나 호핑 및/또는 전송 다이버시티가 디스에이블된 BSC를 통보한다.
다른 특정 상황에서는 수동적인 교정이 수행된다. 피크 트래픽 기간 동안 고장이 발생되면, TDR 제어기는 다운된 안테나 브랜치로부터의 모든 신호 캐리어를 액티브 브랜치로 스위칭하고, 따라서 커버리지를 희생한다. 수동적 교정을 구현하기 위해, 트래픽 및 고장 데이터는 고장과 관련된 주파수가 고장인 동안 드롭된 채로 유지되어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되고, BSC는 모든 신규 콜(call)에 대해 주파수 리-패킹(re-packing)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능동적 교정의 일례는 비-주파수 RF 호핑 배열이다.
유리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어떤 수의 안테나를 갖는 BTS를 다루기 위해 스케일가능(scalable)하다.
이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또는 장점은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진다.
도1은 안테나 호핑 스킴(리던던시가 없음)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BTS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와 일치하는 예시적인 TDR 제어기를 이용하여, 고장 검출을 갖는 완전 리던던트 안테나 호핑 스킴을 구현한 BTS의 특정 엘리먼트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4는 다이버시티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TDR 제어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교정의 구현 후의 안테나 브랜치 손실(losing)의 영향(impact)를 도시한 도면.
도7은 교정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TDR 제어기의 스케일가능한(scalable)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8은 다이버시티 모드에서의 대안적인 TDR 제어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9는 교정 모드에서의 도8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10은 다이버시티 모드에서의 TDR 제어기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11은 교정 모드에서의 도10의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환경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100)이지만, 당업자에게 본 발명이 EDGE, TDMA, FDMA, CDMA, WCDMA, OFDM 및 동종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크워크를 포함한, 기타 무선 및 라디오 주파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GSM 네트워크(100)는 3개의 주요 서브시스템, 즉 스위칭 시스템(SS)(105), 기지국 시스템(BSS)(110), 및 동작 및 지원 시스템(OSS)(115)을 포함한다. SS(105)는 GSM 네트워크(100) 내에서, 그리고 GSM 네트워크(100)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20),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s)(125), 및 PSPDN(packet-switched public data network)(130) 등의 기타 음성/데이터 시스템 사이의 콜 프로세스(call processing) 뿐만 아니라 가입자-관련 기능(subcriber-related functions)을 수행한다. SS(105)는 다음의 기능 유닛, 즉 HLR(home location register)(135), VLR(visitor location register)(140), AUC(authentication center)(142), EIR(equipment identity register)(145), 및 MSC(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150)를 포함한다. SS(105)는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155), GIWU(GSM interworking unit)(160), MXE(message center)(165), 및 MSN(mobile service node)(170)도 포함한다.
MSC(150)는 GSM 네트워크(100)에서의 모든 라디오-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BSS(110)와 직접적으로 인터페이스한다. 각종 구성이 가능하지만, 도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BSS(110)는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BSC)(180)와 3개의 기지국 송수신 서브시스템(BTS)을 포함한다. BSC(180)는 MSC(150)와 BTS(185) 사이에 논리적인 상호접속을 제공하고 제어하는 기능적인 실체(entity)이다. BSC(180)는 물리적으로 BTS(185)에 위치될 수 있고, 아비스 인터페이스(Abis interface)와 같은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BTS(185)와 통신할 수 있다. GSM 네트워크(100)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은 동작 및 지원 시스템(OSS)(115)에 의해 수행된다. 3개의 BTS 각각은 BSS(110)에 의해 제공되는 섹터에 대응한다.
도3은 단순화된 예시적인 BTS(185)의 특정 엘리먼트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BTS(185)의 전송(Tx) 경로의 각종 엘리먼트는 도시하고, BTS(185)의 수신(Rx) 경로의 각종 엘리먼트(분배 증폭기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 BTS(185)는 단일 셀에서 이동국에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안테나와 복수의 라디오 트랜시버(TRX)(집합적으로 215로 도시됨) 등의 주요 라디오 장치로 이루어진다. 어떤 시간에서도, TRX의 하나의 그룹(TRX 그룹A(216))은 TRX 그룹B(217)를 통해 안테나를 액세스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 BTS(185)는 고장 또는 장치 사용불능(unavailability)에 의해 트리거되는 완전 리던던시를 갖는 안테나 호핑 스킴을 구현한다. 기능적인 컴포넌트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테나A(201)와 안테나B(20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안테나(200)는 BTS(185)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섹터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각각의 안테나(200)는 MCPA(205)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송한다. 각각의 MCPA(205)는 동일한 장치이지만,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안테나A(201)와 연관된 MCAP(205)는 MCPA(A)(206)으로, 안테나B(202)와 연관된 MCAP(205)는 MCPA(B)(207)로 언급한다.
MCPA(205)는 TDR 제어기(210)에 의해 결합되고 최적으로 라우트된 신호를 증폭한다. TDR 제어기(210)는 고장 검출 및 캐리어 신호의 재결합 및 재라우팅을 통한 고장 교정을 바람직하게 수행하는 장치 또는 장치의 그룹이다.
도4를 참조하면, TDR 제어기(210)는 프로세서(212), 고장 검출기(235),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250), 및 스위칭 메커니즘(25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2)는 BTS(185)의 중앙 처리 유닛(CPU)(257)에 일체화되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프로세서(212)의 한가지 기능은 고장 교정을 구현하거나 종료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스위칭 메커니즘(255)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212)는 교정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교정이 필요한가의 결정은 BSC(18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212)와 BSC(180)와 BTS CPU(257) 사이의 스위칭 명령어 및/또는 트래픽 데이터의 통신에 대한 논리적 접속을 도4에 도시한다.
프로세서(212)는 시스템 버스에 의해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메모리는 ROM 및 RAM과 같은 고속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OM은 깅동 및 그 외의 시간 동안 프로세서(212) 내의 엘리먼트 간의 정보 전송을 촉진하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하는 BIOS를 저장한다. RAM은 프로그램 모듈과 드라이버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RAM은 오퍼레이션 시스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프로그램 데이터, 및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UNIX는 적당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일례일 뿐이다.
프로세서(212)는 시스템 버스(또는 다른 것)을 통해 프로세서(212)의 기타 컴포넌트에 상호접속되는 복수의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은 드라이브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속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적당한 인터페이스(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2)는 드라이브와 그와 연관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통해 비-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는 자기 디스크의 사용을 허용하고,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 디스크의 사용을 허용한다. 자기 카세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카드, ZIP 카트리지, JAZZ 카트리지 등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타입의 매체도 예시적인 동작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2)는 시스템 버스로 접속되는 직렵 포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는 입력 및 출력 장치에 접속되고, 명령어와 정보가 프로세서(212)로/로부터 지나도록 한다.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기타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펜, 터치-동작식 장치, 마이크로펜,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안테나, 스캐너, 및 기타입력 장치 또한 명령어 및/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또한 이더넷 포트 또는 USB 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TDR 제어기(210)는 모니터, 프린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디오 어댑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된다. TDR 제어기(210)는 스피커 또는 프린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기타 주변 및/또는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신호의 조합
고장의 부재시에, TDR 제어기(210)는 안테나 및 주파수 호핑을 포함한 각종 다이버시티 스킴의 구현이 가능한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한다.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TDR 제어기(210)는 2개의 TRX(215) 그룹(도3에서는 TRX 그룹A(216)과 TRX 그룹B(217)로 도시됨))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2개의 결합 신호로 결합하고, 각각의 결합 신호는 안테나 브랜치를 통해 단일 피더(220) 상의 각각의 안테나(200)로 반송된다. 본 명세서에서, "안테나 브랜치"라는 용어는 피더(220)로 언급되고, 안테나를 포함한 피더(220)를 따른 모든 엘리먼트는 TDR 제어기(210)로부터 하향(downstream)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드"라는 용어는 리던던트 안테나 브랜치 및 연관 장치의 주요 용도에 관한 BTS 장치의 기능적인 상태로 언급된다.
도4를 참조하면, TDR 제어기(210)는 TRX 그룹A(216)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A(225)와, TRX 그룹B(216)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B(230)를 포함한다.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결합기A(225)로부터의 결합 신호는 MCPA(A)(206)으로 중계되고, 결합기B(230)로부터의 결합 신호는 MCPA(B)로 중계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는 동시 전송 안테나, 안테나 호핑 및/또는 주파수 호핑의 수단에 의해 주로 취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기타 스페이스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분극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및 방사 패턴 다이버시티 프로토콜(radiation pattern diversity protocol) 뿐만 아니라, 전송 경로 및 안테나(200)를 통해 전달된 결합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어떤 방법이라도 포함하는 공지의 또는 후일 개발된 다이버시티와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장 검출
TDR 제어기(210)는 MCPA(205), 피더(220), 듀플렉서(DPX)(237), TMA(Tower Mounted/Masthead Amplifier)(222) 및/또는 대응 안테나(200)을 포함하는, 안테나 브랜치를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핵심 장치"와 연관된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고장 검출기(235)를 포함하고, 고장의 예를 엘리먼트(236)로서 도시된다.
고장 검출기(235)는, 바람직하게, 안테나 브랜치와 연관된 핵심 장치로부터 프로세서(212)와 BSC(180)로 동작 상태 정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중계하기위한, 센서,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lper) 및/또는 기타 상호접속기 등의 중계 장치(relay device)로 이루어진 기능적 컴포넌트이다. 고장 검출기(235)는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웨어 검출 검출 회로의 어떤 조합이라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고장 검출기(235)는 어떠한 핵심 장치 내에서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고장 검출기(235) 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안테나(200)에 인접한 각각의 피더(220) 세그먼트 상의 방향성 결합기(245)를 통해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검출기(410)와 인터페이스된다. 안테나(200)가 고장나면, 검출기(235)는 비정상적으로 높게 반영된 신호를 검출하고, 고장을 표시한다. 따라서, 고장 검출기(235)는 고장 지시자로서 플래그(flag)를 프로세서(212)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고장 검출기(235)는 안테나 경로를 따라 검출된 신호와 TRX(215)로부터 나온 신호를 비교한다. 이 비교는 검출 신호 드롭이 실제로는 TRX 고장으로 기인한 경우 고장 검출기(235)가 안테나 경로 고장을 나타내는 것을 방지한다.
TMA(222)는 동작을 위해 BIAS-T(248)과 같은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이다. BIAS-T(248)는 BSS(110)의 DC 바이어스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피더(220)로의 DC 전류에 혼합 신호를 주사한다. TMA(222)는 전원 오류가 발생하면 TMA(222)의 증폭기 컴포넌트를 바이패스(bypass)하는 바이패스 릴레이에 공통적으로 일치된다. 그러나, 치명적 고장은 TMA(222)와 바이패스 릴레이를 디스에이블하고, 고장 검출기(235)는 BSS(110) 레벨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DC-바이어스 제어기(410) 및/또는 기타 알람 엘리먼트와의 인터페이싱에 의해 고장을 검출한다. 고장 검출기(235)는 이 고장 표시를 프로세서(212)로 중계한다.
어떤 MCPA(205)가 고장인 경우, 영향을 받은 MCPA(205)는 그 내부의 중앙 처리 유닛(CPU)으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통해 고장을 표시한다. 따라서, 자동 검출 또는 그 대신으로, 고장 검출기(235)는 고장 다른 고장 감지 장치로부터의 고장 지 시자를 수신하고, 이어서 고장 지시자를 프로세서(212) 또는 BSC(180)로 전송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CPA(205)와 TDR 제어기(210) 사이에서 발행하는 어떤 고장이라도 MCPA(205)로의 신호의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MCPA(205) 내의 CPU는 "신호 없음" 상태를 나타낸다. 고장 검출기(235)는 MCPA(205)의 "신호 없음" 상태를 검출하고, 고장 신호를 생성하고, 프로세서(212)로 고장 신호를 중계한다.
고장 교정
고장 교정 대책은, 1)다이버시티 모드로부터 교정 모드(능동적 교정)로 스위칭하는 것, 또는 2) 고장 안테나 브랜치와 연관한 캐리어가 드롭(수동적 교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어떤 고장 대책을 구현할 것인가의 결정은 BTS CPU(257) 또는 BSC(180) 중 하나에 의해 이루어진다. TDR 제어기(210)는 고장 지시자를 국부적으로 처리하고, 이 지시자를 BSC(180)로 중계하고, 트래픽 데이터 또는 기타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BSC(180)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적합한 고장 교정 대책을 구현한다. 고장 교정 대책을 구현한 후, TDR 제어기(210)는 취해진 고장 대책의 BSC(188)에 통지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2)는 고장 지시자 및 연관된 데이터를 다른 외부 프로세서(BSC(180) 또는 다른 데이터 소스로부터 트래픽 또는 다른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음)로 중계하고, 외부 프로세서(예를 들면, BTS의 CPU)로부터 고장 교정 명령어를 수신한다. 이 결정을 수행하는데 포함되는 로직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능동적 교정
능동적으로 고장(236)을 교정하기 위해, 안테나 브랜치 상의 고장(236)을 나타내는 고장 검출기(235)로부터의 고장 지시자를 수신함에 따라, TDR 제어기(210)는 다이버시티 모드로부터 교정 모드로 BTS(185)를 스위칭한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다이버시티 모드는 안테나A(201)로 공급되는 안테나 브랜치가 위치1로 스위치되고, 안테나B(202)로 공급되는 안테나 브랜치가 위치3으로 스위치 될 때 나타난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결합기A(225) 및 결합기B(230)는 동작되고, 재결합기C(250)는 어떤 안테나 브랜치로도 접속되지 않는다.
반면, 도5는 교정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TDR 제어기(21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이버시티 모드로부터 교정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TDR 제어기(210)는 결합기A(225)와 결합기B(230)의 출력의 출력을 재결합기C(250)를 통해 라우트한다. TDR 제어기(210)는 고장(236)이 발생하지 않은 안테나 브랜치("액티브" 안테나 브랜치)를 따라 재결합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재결합기C(250)의 출력을 동시적으로 스위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적 교정은 고장(236) 검출에 응답하여 TDR 제어기(210)가 그 프로세서(212)를 통해 액티브 안테나 브랜치를 위치2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 메커니즘(255)을 동작시킬 때 발생된다. 도5에서, 고장(236)은 안테나 브랜치의 핵심 엘리먼트 중 고장 검출기(235)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안테나B와 연관된 안테나 브랜치는 "다운된 브랜치"이다. 안테나A와 연관된 안테나 브랜치는 "액티브 브랜치"이다. 액티브 브랜치를 위치1로부터 위치2로 스위 칭하는 것은 액티브 안테나와 연관된 결합기를 회로와 단절시키고, 액티브 안테나 브랜치와 재결합기C(250) 사이의 회로를 차단한다.
도5에서, 안테나B(202)와 연관된 안테나 브랜치에 고장(256)이 발생되면, 다운된 브랜치로 된다. 고장 검출기(235)가 다운된 브랜치에서 고장(236)을 검출하면, 고장 검출기(235)는 고장 지시를 프로세서(212)로 중계한다. 고장 지시는 다운된 브랜치와 액티브 브랜치를 식별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12)는 액트브 안테나 브랜치를 위치1로부터 위치2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 메커니즘(255)을 동작시킨다. 반면,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액티브 안테나 브랜치만이 BTS(185)에 의해 제어된 트래픽의 위치를 수신하고, 교정 모드에서, 안테나A(201)는 재결합기C(250)의 출력을 수신하고, 캐리어 f1 내지 f6 상에서 반송되는 모든 유저 데이터의 재조합으로 이루어지고, BTS(180)에 의해 제공된 섹터에 의해 반송된 모든 트래픽을 나타내는, 재결합기C(250)의 출력을 수신한다. 다운된 브랜치는 위치3으로 스위칭되어 유지된다.
단일 안테나 브랜치를 이용하여 결합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안테나 브랜치 및 연관된 장치의 용량이 동일한 경우에도 BTS(185)의 커버리지의 지리학적 면적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는다. BTS(185)는 각각의 다운된 안테나 경로에 대해 출력 파워의 약 50%가 손실될 수 있지만, BTS(185)의 용량은 영향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파 조건에 의존하여, 캐리어 당 출력 파워를 50%(3db)씩 감소시키는 것은 셀 반경(r)을 10%씩(0.9r까지) 감소시키고, 셀 내의 커버리지 면적을 20%씩 감소시키는 것에 대응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각각의 BTS(185)는 셀 사이트를 포함하 는 3개의 섹터(셀들) 중 하나로 기능한다. 따라서, 섹터의 커버리지가 80%로 감소되더라도, 모든 셀 사이트 섹터의 전체 커버리지 면적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93.3%로 감소될 뿐이다.
커버리지의 감소는 액티브 브랜치에서 취득될 수 있는 최대 출력 파워의 감소 결과이고, 이는 고장(236)의 검출 및 교정 전에 비해 2배의 트래픽을 반송한다. 커버리지의 감소는 고장(236)으로 기인한 사용불능의 기간 동안 지속된다. 높은 트래픽 기간에서, 용량을 줄이는 것보다 커버리지를 줄이는 것이 진행중에 있는 비교적 다수의 콜을 드롭하는데 바람직하다.
수동적 교정
대안으로서, 안테나 브랜치 상의 고장(236)은, 고장이 발생하기에 앞서 다운된 브랜치에 의해 반송된 주파수 밴드를 드롭함으로써 처리될 수 있다. 명백하게, 하나의 브랜치에 의해 제어된 용량을 드롭하는 것은 BTS(185)의 주파수-반송 용량을 일반적으로는 절반만큼 실제 감소시킨다. 그러나, BTS(185)의 커버리지는 약간 감소될 뿐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래픽 레벨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 교정 중 어느 것을 구현할지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다. 낮은 트래픽 기간 동안, 커버리지보다 용량을 감소하는 것이 고장(236)시에 진행중에 있는 콜만이 드롭되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BTS(185)는 사용불능의 BSC(180)를 통지하고, BSC(180)는 안테나 호핑을 중지하고, 다운된 브랜치가 복구될 때까지 그 셀(또는 악영향을 받은 브랜치(affeceted branch)) 상의 다이버시티를 전송한다. 따라서, 낮은 트래픽 조건은 후속하는 콜의 전체 볼륨이 액티브 브랜치에 할당된 주파수 캐리어 상에서 성공적으로 반송될 수 있는 여분(odd)을 증가시킨다.
동적 의사-결정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액티브 브랜치를 이용하여 결합 주파수를 전송해서 커버리지를 감소시킬 것인지(능동적 교정), 또는 다운된 브랜치에 의해 반송되는 주파수 캐리어를 드롭해서 용량을 감소시킬 것인지(수동적 교정)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실시예는 트래픽 조건 또는 BTS(185)나 네트워크(100)에 관한 기타 파라미터 상의 결정에 기반하고, 이는 서비스 품질, 비용 또는 수익 고려, 악영향을 받지 않은 브랜치의 용량, 스케줄된 유지 및 시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고장 검출기(235)로부터 고장 지시자를 수신함에 따라, TDR 제어기(210)는 BSC(180)와 통신 세션을 개시한다. TDR 제어기는 BSC(180)로 고장 데이터를 보낸다. 고장 데이터는 단순히 안테나 브랜치가 디스에이블된 것을 나타낼 수 있고, 또는 다운드된 브랜치, 다운된 브랜치의 상세(예를 들면, 할당된 주파수), 고장의 종류 등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SC(180)는 현재의 트래픽 조건 또는 판단 로직(decision logic) 내에서 특정된 기타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커버리지를 감소시킬지 또는 용량을 감소시킬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2)는 BSC(180)와의 세션을 개시하지만 커버리지를 감소시킬지 또는 용량을 감소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트래픽 데이터 및 기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2)는 BTS 상의 트래픽을 분석하는 능력을 갖는다. 프로세서(212)는 BTS CPU(257)에 일체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트래픽 데이터 또는 기타 정보를 처리하고, 현재 트래픽 조건에 기반하여 커버리지를 감소시킬지 또는 용량을 감소시킬지를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BTS CPU(257)는 BSC(180)의 도움없이 결정을 내린다. 오히려 BTS CPU(257)는 그 시각에 BTS(185)에 의해 제공된 셀에 의해 점령되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BTS(185)는 T1 라인과 같은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해 BSC(180)과 통신한다. TDR 제어기(210)는 이 데이터 전송 링크와 인터페이싱함으로써 트래픽 데이터 또는 기타 정보에 기반하여 명령어를 바람직하게 수신한다. BTS CPU(257)는 현재 트래픽 조건에 기반하여 커버리지를 감소할지 또는 용량을 감소할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명령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트래픽 데이터는 BSC(180)에서 처리되고, 이는 트래픽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을 충족하거나 초과할 때 스위칭 및 결합을 트리거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트래픽 데이터는 각종 공지의 또는 아직 개발중인 무선 트래픽 메트릭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 및 기타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전송 성능 지시자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BSC(180)는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트래픽을 사전대책적(proactively)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TDR 제어기(210)는 BSC(180)와 통신을 반응적(reactively)으로 개시하거나 T1 링크를 모니터할 수 있고, 또는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으로서, 바람직하게 프로세서(212)는 교정을 요구한 어떤 고장의 해소됨(clearance)을 검출하기 위해 고장 조건을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단 고장이 해소되면, 프로세서(212)는 교정 대책을 반전(reverse)하고 안테나 구성 또는 주파수 할당 스킴을 공칭값으로 복귀한다. 고장 대책의 반전은 고장의 해소와 검출에 따라, 또는 프로세서(212) 또는 외부 카탈리스트(catalyst)에 의해 발행되는 "리셋" 명령어 등과 같은 외부 트리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고장의 주기 동안, 프로세서(212)는 트래픽 조건 또는 교정 대책의 선택과 연관된 기타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동적 교정을 위해 능동적 교정을 중단해야하는지를 또는 그에 반대되는 결정하는 로직을 채용한다.
스케일가능성( scalability )
전술한 실시예들은 2개의 안테나 경로를 갖는 BTS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완전히 스케일가능하고, 임의의 수의 안테나 경로를 갖는 BTS(185)에서의 다이버시티와 리던던시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7은 교정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TDR 제어기의 스케일가능한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n개의 안테나 경로가 단일 TDR 제어기(210)를 이용해서 제어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도시된 TDR 제어기(210)는, 결합기1(260), 결합기2(265), 결합기n-1(270), 결합기n(275)을 포함하는 n개의 결합기 포함한다.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이들 각각의 결합기는 피더1(280), 피더 2(285), 피더n-1(290), 피더n(295)에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이들 각각의 결합기는 결합 비율이 n:n-1인 재결합기(700)의 입력측에도 접속된다. 그러나, 능동적 교정이 피더n-1(290)과 연관된 안테나 경로 상에서의 고장(236)에 응답하여 구현되면, 피더1(280)는 결합기1(260)(위치1)의 출력으로부터 위치1'로 도시한 재결합기(700)의 인접한 출력으로 스위칭된다. 피더2(285)는 결합기2(265)(위치2)의 출력으로부터 위치2'로 도시한 결합기(300)의 인접한 출력으로 스위칭된다. 피더n-1(290)은 결합기2(265)는 스위칭되지 않는다(예를 들면, 그 결합기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된다). 피더n(285)은 결합기n(270)(위치n)의 출력으로부터 위치n-1'로 도시한 재결합기(700)의 인접한 출력으로 스위칭된다.
안테나 호핑 및/또는 전송 다이버시티는, 능동적 교정이 다이버시티 스킴으로부터 악영향을 받은 브랜치를 드롭함으로써 구현된 후 악영향을 받지 않은 브랜치 상에서 계속될 수 있다.
수동적 교정은 어떤 안테나 경로 280, 285, 290 또는 295 상의 고장(236)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능동적 교정은 다운된 피더 상에서 반송되는 주파수를 재패킹(repacking)하는 시간 스롯(time slot)을 필요로 한다. BSC(180)는 BTS(185)가 다운된 브랜치가 복원됨을 나타낼 때 까지 고장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은 주파수 캐리어에 순차적인 무선 콜을 재할당함으로써 주파수 재패킹을 수행한다.
적응성(flexibility)
본 발명의 개념 및 이론은 컴포넌트로서 어떤 구성과 엘리먼트를 갖는 TDR 제어기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8은 원-투-투(one-to-two) 스플리터(E,F)와 재결합기C로서 3db 하이브리드 결합기를 사용하는 TDR 제어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스플리트시에, 각각의 결합기 A와 B의 출력 파워는 절반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MCPA A와 MCPA B는 바람직하게 낮은-파워 입력 신호를 필요로 하는 고-이득 장치이다. TRX로부터 나온 신호는 비교적 높은 파워이고, 따라서 전송된 신호의 동작 또는 보전(integrity)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각각의 MCPA로의 안테나 경로를 따라 파워를 손실시킬 수 있다. 도8에 도시한 구현은 다이버시티 모드이고, 어떤 고장도 검출되지 않아 BTS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 스플리터(E,F)의 출력 포트는 배면 방사(back radiation)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되어야만 한다. 스플리터를 절연하는 각종의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9는 교정 모드에서의 도8의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당업자에게 재결합기C(85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력을 갖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유리하게, 동작하는 브랜치(920)로의 스위칭 후에 모든 캐리어 사이에서 결합 신호를 다시 캘리브레이션 할 필요가 없다.
예들 들면, 도10은 원-투-투 스플리터(E,F)와 2개의 재결합기 C, D를 이용하는 TDR 제어기의 실시예의 다이버시티-모드에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스위칭 메커니즘(1055)은 2극 스로우 스위치(double pole throw switch)를 포함한다. 이 실시례를 구현함에 있어서 중대한 고려사항은 케이블(1060,1065)이다. 케이블 길이는 단일 레벨과 지연를 밸런싱하기 위해 동일하고 비교적 짧아야만 한다.
도11은 교정 모드에서의 도10의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부가, 삭제 및 대용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이론, 특징, 양태 및 장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프로세스 또는 그 엘리먼트나 실시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장치로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TDR 제어기(2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협동하는 분리된 컴포넌트의 상호접속 시스템일 수 있다. 도시된 안테나 어레이의 배열은 도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선형(linear), 반원형(semicircular), 장방형(rectangular), 윙형(wing) 및 지그재그형(zigzag) 기하학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다이버시티 모드(diversity mode)와 교정 모드(remediation mode)로 동작하는 기지국 송수신 서브시스템(Base Transceiver subsystem:BTS)에 있어서,
    각각 출력을 갖는 복수의 트랜시버 - 각각의 트랜시버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브랜치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 신호를 출력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안테나 브랜치는 상기 BTS가 다이버시티 모드에 있는 동안 동작함 - ;
    상기 BTS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고장(fault)의 상태를 상기 프로세서에 보고(reporting)하기 위한 고장 검출기;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고장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BTS를 상기 교정 모드로 스위칭할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안테나 브랜치 중 하나를 재라우팅(reroute)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recombiner)
    를 포함하는 BT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는 상기 BTS가 교정 모드에 있을 때 동작하는
    BTS.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모드는 능동적 교정(active remediation) 및 수동적 교정(passive remedia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는 상기 능동적 교정 동안 동작하는
    BTS.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는 상기 능동적 교정 동안 동작하지 않는
    BTS.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의 입력없이 상기 고장의 상태를 처리하는
    BTS.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BTS의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 메커니즘
    을 더 포함하는 BTS.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장의 상태를 기지국 제어기(BSC)로 중계(relay)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반하여 상기 BTS를 스위칭하는
    BTS.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장의 해소(clearance)에 기반하여 상기 BTS를 상기 교정 모드로부터 상기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위칭하는
    BTS.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트래픽, 서비스 품질, BTS 트래픽, 섹터 트래픽, 장치 상태, 비용, 및 수입 영향(revenue impact)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능동적 교정 또는 수동적 교정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BTS.
  10. BTS 내에 이용하기 위한 TDR(transmit diversity redundancy) 제어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고장을 보고하도록 구성된 고장 검출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장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TDR 제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TS는 다이버시티 모드와 교정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고장의 검출에 따라 상기 BTS를 상기 교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TDR 제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BTS가 교정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를 활성화시키는
    TDR 제어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TS를 상기 교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명령함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트래픽, 서비스 품질, BTS 트래픽, 섹터 트래픽, 장치 상태, 비용, 및 수입 영향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기반하여 능동적 교정 또는 수동적 교정 중 하나를 구현하는
    TDR 제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능동적 교정을 구현하는
    TDR 제어기.
  15.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를 갖는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중인 BTS를 교정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BTS에서 고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BTS를 상기 교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기인하고,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BTS가 상기 교정 모드에 있는 동안 수행되고, 상기 BTS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드에 있는 동안 수행되지 않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TS는 수동적 교정 모드와 능동적 교정 모드에서 더 동작가능하고,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BTS를 상기 능동적 교정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환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BTS가 상기 능동적 교정 모드에 있는 동안 수 행되고, 상기 BTS가 상기 수동적 교정 모드에 있는 동안 수행되지 않는
    방법.
  18. 복수의 안테나 브랜치를 갖는 BTS에 있어서,
    복수의 결합기 - 각각의 결합기는 캐리어 신호의 그룹을 상기 안테나 브랜치의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전송하기 위한 결합 신호로 결합함 - ;
    상기 복수의 결합기로부터의 상기 결합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 신호로 재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기;
    상기 안테나 브랜치 상의 고장을 검출하고, 고장을 검출함에 따라 고장이 발생된 안테나 브랜치를 나타내는 고장 지시자(indicator)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각각의 안테나 브랜치와 연관된 고장 검출기; 및
    상기 고장 검출기로부터 상기 고장 지시자를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상기 고장이 발생된 안테나 브랜치를 제외한 모든 안테나 브랜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결합 신호를 상기 재결합기로 라우팅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BTS.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신호를 재라우팅하기에 앞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장 지시자를 외부 프로세서로 중계하는 단계; 및
    트래픽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판정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결합 신호를 재라우팅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를 상기 외부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TS.
  20. BTS에 연관된 복수의 안테나 브랜치 중 하나에 악영향을 주는 고장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악영향을 받은 안테나 브랜치 상의 고장을 검출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악영향을 받은 안테나 브랜치에 의해 반송된 신호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악영향을 받지 않은 안테나 브랜치에 의해 반송된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악영향을 받지 않은 안테나 브랜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결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20236A 2003-04-25 2004-04-26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리던던트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03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599703P 2003-04-25 2003-04-25
US60/465,997 2003-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360A true KR20060038360A (ko) 2006-05-03
KR100903082B1 KR100903082B1 (ko) 2009-06-18

Family

ID=3572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236A KR100903082B1 (ko) 2003-04-25 2004-04-26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리던던트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72417B2 (ko)
EP (2) EP1629612B1 (ko)
JP (1) JP4516568B2 (ko)
KR (1) KR100903082B1 (ko)
CN (1) CN1853363B (ko)
DE (1) DE602004026436D1 (ko)
WO (1) WO2004098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142B1 (ko) * 2004-01-16 2006-08-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공중선계 원격 측정 감시 장치 및그 방법
EP1723691B1 (en) * 2004-03-11 2014-1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device, base station and site for reducing the number of feeders in an antenna diversity diversity system.
US7616968B2 (en) * 2004-03-23 2009-11-10 Mine Radio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overcoming a degradation in transmission through a radiating transmission line communication system
CN101002404B (zh) 2004-06-15 2012-12-12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天线分集装置和方法
DE602005012637D1 (de) * 2005-06-17 2009-03-19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anordnung für verbessertes feeder-sharing in einem telekommunikationssystem
US8879477B2 (en) * 2006-03-29 2014-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coverage enhancement
US7962174B2 (en) 2006-07-12 2011-06-14 Andrew Llc Transceiver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base-stations
CN101114855B (zh) * 2006-07-28 201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针对塔顶放大器增益操作的响应方法
EP2092671A4 (en) * 2006-12-11 2013-01-16 Ericsson Telefon Ab L M CONTROL OF AN ANTENNA SYSTEM
US20080171569A1 (en) * 2007-01-17 2008-07-17 Pralle Chad A Redundant wireless base stations
US20080261535A1 (en) * 2007-04-23 2008-10-23 Tropos Networks, Inc. Detection of underperforming antennas of nodes of wireless networks
JP5081636B2 (ja) 2008-01-10 2012-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7957705B1 (en) 2008-03-18 2011-06-07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caused by a carrier
US20090253462A1 (en) * 2008-04-02 2009-10-08 Capece Christopher J Scaleable base station architecture
JP2010045729A (ja) * 2008-08-18 2010-02-25 Fujitsu Ltd Mimo通信における障害時の送信方法及びmimo通信を行う無線基地局装置
WO2010053412A2 (en) * 2008-11-04 2010-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abling improved quality for noise limited uplink signals
JP5573885B2 (ja) * 2012-04-27 2014-08-20 横河電機株式会社 自己診断回路
JP6205840B2 (ja) * 2012-12-07 2017-10-0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無線信号送信方法
KR102075744B1 (ko) 2014-01-09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12055B2 (en) * 2014-07-10 2018-03-06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reconfiguration algorithm for an antenna system
KR101771241B1 (ko) 2014-11-25 2017-08-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다중 대역 기지국 시스템에 사용되는 컴바이너 및 컴바이너 제어 방법
JP6467294B2 (ja) * 2015-06-05 2019-02-13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US11835645B2 (en) * 2016-06-14 2023-12-05 Mediatek Inc. Reconfigurable RF front end and antenna arrays for radar mode switching
WO2018005664A1 (en) * 2016-06-28 2018-01-04 Antkowiak Marek E Antenna
DE102018206339A1 (de) * 2018-04-25 2019-10-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eines Antennensystems zur Fremdmetallerkenn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511A (ja) * 1991-08-20 1993-02-26 Yuseisho Tsushin Sogo Kenkyusho アンテナホツピング無線伝送装置
EP0647981A3 (en) 1993-08-12 1995-06-28 Northern Telecom Ltd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FI98974C (fi) * 1993-09-24 1997-09-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sektoroidun tukiaseman toiminnan varmistamiseksi sekä tukiasema
JP3085844B2 (ja) * 1994-01-10 2000-09-11 富士通株式会社 集中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表示方式
US5742583A (en) * 1994-11-03 1998-04-21 Omnipoint Corporation Antenna diversity techniques
US5654901A (en) * 1995-01-30 1997-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Loading software into field test equipment
KR100274951B1 (ko) * 1996-05-16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셀룰라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통보방법 및 장치
US5930248A (en) * 1997-03-04 1999-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selectively using multicast with variable offset time
FR2765063B1 (fr) * 1997-06-23 1999-09-24 Alsthom Cge Alcatel Station de base a diversite d'antennes pour l'emission de canaux unidirectionnels, et procede correspondant d'emission d'un canal unidirectionnel par une station de base
FI105639B (fi) * 1997-06-25 2000-09-15 Nokia Mobile Phones Ltd Parannettu menetelmä solun vaihtamiseksi
US6047199A (en) * 1997-08-15 2000-04-0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obile radio signals
US6122505A (en) * 1997-12-23 2000-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mmunication system with base stations having test capabilities
SE511365C2 (sv) * 1998-01-23 1999-09-20 Ericsson Telefon Ab L M Antennomkopplingsdiversitet
JP2002026796A (ja) * 1998-04-07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13466B1 (ko) * 1998-05-19 2001-12-31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기지국시험자동화방법
JP2954190B1 (ja) * 1998-09-08 1999-09-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小型基地局装置
US6731619B1 (en) 2000-08-02 2004-05-04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one type of transmit diversity in a first time slot and a second type in an adjacent time slot
EP1217779A1 (en) 2000-12-22 2002-06-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lay control in a digital radio transmitter system
US7065352B2 (en) * 2002-09-13 2006-06-20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pectrum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7128B1 (en) 2016-05-11
JP4516568B2 (ja) 2010-08-04
DE602004026436D1 (de) 2010-05-20
US7272417B2 (en) 2007-09-18
KR100903082B1 (ko) 2009-06-18
EP2197128A2 (en) 2010-06-16
CN1853363B (zh) 2011-03-23
US20040214608A1 (en) 2004-10-28
CN1853363A (zh) 2006-10-25
JP2006524975A (ja) 2006-11-02
EP2197128A3 (en) 2012-04-18
WO2004098104A1 (en) 2004-11-11
EP1629612A1 (en) 2006-03-01
EP1629612B1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082B1 (ko) 멀티-캐리어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리던던트안테나 호핑을 구현하고, 기지국 내의 스킴을 결합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AU7194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ntenna beam of a base station of a radio system
US5570343A (en) Communications system
US6052605A (en) Continuous interference assessment and avoidance in a land mobile radio system
US6233222B1 (en) Telecommunications inter-exchange congestion control
EP07655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 to a coverage hole
EP36314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link redundancy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JPH0828936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9990029195A (ko)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를 위한 파일럿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하드 핸드오프 방법
JP5900513B2 (ja) 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の制御方法
JP2006524975A5 (ko)
US67416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turn loss of an antenna
CN111213327A (zh) 在异常情况下确保无线电服务质量的冗余无线通信系统和方法
US7353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m selection in a mobile handset
US20120108231A1 (en) Base station, detec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EP1254575B1 (en) Handling errors occurring in base-station of a cdma system
JP3699064B2 (ja) 無線基地局試験システムと無線基地局試験方法
KR20180092005A (ko) 소형셀 네트워크에서 아웃티지 셀을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329850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装置、基地局装置
JP2002141854A (ja) アンテナ切り替え方式
JP3042433B2 (ja) 回線切替システム
JP2003060549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基地局装置及び送信パターン切り替え方法
JP2003234685A (ja) 無線基地局装置の試験方法および試験システム並びに試験装置
KR20020018819A (ko) 고주파 수신 전단 유니트의 이중화 저잡음 증폭기
KR20040013699A (ko) 기지국 수신회로의 저잡음 증폭기 절체모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