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001A - 개인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001A
KR20060038001A KR1020040087118A KR20040087118A KR20060038001A KR 20060038001 A KR20060038001 A KR 20060038001A KR 1020040087118 A KR1020040087118 A KR 1020040087118A KR 20040087118 A KR20040087118 A KR 20040087118A KR 20060038001 A KR20060038001 A KR 2006003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beam
electrically connected
sound wave
termi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8001A/ko
Publication of KR2006003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오디오빔을 이용하여 일정한 영역에서만 출력된 음파를 들을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직진성을 가진 반송파와 음파를 믹스하는 오디오 빔 처리부 및 오디오 빔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파를 외부로 방사하는 스피커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직진성을 가진 믹스된 음파가 제한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만 들리므로 사용자 이외의 사람들에게 주는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오디오 빔 처리부, 스피커부, 음파 처리부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용 스피커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빔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단말기 본체 120,220:오디오 빔 처리부
130,230:스피커부 240:제어부
250:음파 처리부 260:버튼부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하여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통상적으로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 마이크, 스피커 및 배터리부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음향기기의 일종으로, 전기 및 전자적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벨 또는 멜로디를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스피커는 통상 오디오 또는 앰프에 연결되어 음량을 대폭 증폭시키게 되는 대형의 발성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이즈를 대폭 축소 되도록 하여 소형의 발성수단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축소시킨 스피커는 특히,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용 스피커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 하부가 각각 덮개(14,15)에 의해 덮인 프레임(10)의 내부에 양극 역할을 하는 철형 플레이트(12)와 자로(磁路)를 형성하며 자속의 통로가 되고 일종의 틀 역할을 하는 요형 요크(13)를 서로 요철 형태로 결합하되, 요크의 요면(13a)에 환형 영구자석(11)을 개재하여 플레이트의 철부(12a)가 환형 영구자석의 내주연에 끼워지게 결합한다.
그리고, 환형 영구자석(11)의 자력에 의해 청취음을 발생시키는 제1 음파 발생수단과 벨소리음을 발생시키는 제2 음파 발생수단이 설치된다.
제1 음파 발생수단으로 환형 영구자석(11)의 내주연에 제1 보이스 코일(20)을 플레이트의 철부(12a)에 감아 설치하되 제1 보이스 코일은 요크(13)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제2 음파 발생수단으로 환형 영구자석(11)의 외주연에 제2 보이스 코일(30)을 감아 설치하되, 제2 보이스 코일은 플레이트(12)외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보이스 코일(20)에 인가되는 전류는 통화 시 청취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이고, 제2 보이스 코일(30)에 인가되는 전류는 벨소리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이다.
그리고, 제1 보이스 코일(20)에는 양 끝단이 프레임(10)에 각각 고정된 제1 진동판(21)이 연결 설치되고, 제2 보이스 코일(31)에 는 양 끝단이 프레임(10)에 각각 고정된 제1 진동판(21)이 연결 설치되고, 제2 보이스 코일(31)에는 양 끝단이 프레임(10)에 고정된 제2 진동판(31)이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진동판(21)은 수신음 발생을 위한 진동원이고, 제2 진동판(31)은 벨소리음 발생을 위한 진동원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폰의 스피커는 환형 영구자석(11)에 의해 형성된 자계와 제1 및 제2 보이스코일(20,3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계의 직각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는 원리인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 전자력에 의해 제1 및 제2 보이스 코일(20,3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 진동판(21,31)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위의 공기 층에 진동을 가해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신호가 음성신호로 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공기 중 임의의 방향으로 음파를 방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닌 개인 휴대 단말기의 주변에 사람들까지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스피커의 출력음을 듣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많은 공공 장소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출력음 때문에 조용한 분위기를 해쳐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음파의 외부 출력 강도를 약하게 하더라도 가청거리만 줄어들 뿐 사용자가 아닌 주변인들에게 스피커의 출력음에 노출되는 것은 변함 없다.
특히, 최근에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음악 감상이나 게임 등과 같이 비교적 장시간 음파를 발생시키는 기능이나 서비스 등을 이용할 경우 주변인들이 겪는 소음 피해는 상대적으로 더욱 크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오디오빔을 이용하여 일정한 영역에서만 출력된 음파를 들을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음파 출력 및 오디오빔을 이용한 음파 출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오디오 빔 처리부 및 스피커부를 구비한다.
단말기 본체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몸체로서, 휴대 단말기의 개폐 형식에 따라 폴더 형, 플립 형, 스윙 형, 슬라이드 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오디오 빔 처리부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직진성을 가진 반송파와 음파를 믹스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 빔의 기술은 주변에서 흔히 존재하는 공기와 초음파와 같이 직진성은 뛰어나지만 인간의 가청 대역 범위 밖에 존재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공간의 일정한 영역에서만 출력된 음파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피커부는 오디오 빔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파를 외부로 방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단말기 본체에 장착하여 다양 한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빔 처리부는 디지털 필터, 제1 증폭기, 변조부 및 제2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출력하고자 하는 음파를 공기의 물리학적 성질에 맞추어 변환하고, 제1 증폭기는 디지털 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파를 증폭한다. 그리고, 변조부는 제1 증폭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음파 및 상기 반송파를 믹스한다. 그리고, 제2 증폭기는 변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믹스된 음파를 증폭한다.
종래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공기 중 임의의 방향으로 음파를 방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닌 개인 휴대 단말기의 주변에 사람들까지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스피커의 출력음을 듣게 된다. 따라서, 지하철, 버스, 학교, 병원 이나 교회와 같은 사람들이 많은 공공 장소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출력음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오디오 빔 출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준되는 방향으로만 음파를 전달하므로 극히 제한된 범위에 있는 사람들만 음파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소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제약 없이 개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공 장소에서도 자유롭게 멀티미디어 기능이나 오락성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오디오 빔 처리부, 제어부, 음파 처 리부 및 스피커부를 구비한다.
단말기 본체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몸체로서, 휴대 단말기의 개폐 형식에 따라 폴더 형, 플립 형, 스윙 형, 슬라이드 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오디오 빔 처리부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직진성을 가진 반송파와 음파를 믹스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오디오 빔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빔 처리부를 제어하며, 단말기 본체의 각종 처리를 제어한다. 음파 처리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파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음파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피커부는 오디오 빔 처리부 및 상기 음파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파를 외부로 방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오디오 빔 처리부 및 음파 처리부에 의해서 음파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오디오 빔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한적인 영역에서 음파를 들을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음악을 감상하고 싶을 때는 일반적인 음파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피커부를 통해 함께 들을 수도 있다. 따라서, 2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에 따르는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빔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10), 오디오 빔 처리부(120) 및 스피커부(13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는 메인 파트(112) 및 슬라이딩 파트(114)를 포함한다. 메인 파트(112)의 전면에는 키 입력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가 장착된다. 그리고, 메인 파트(112)의 후면에는 착탈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되므로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개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 파트(114)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LCD)(114a)가 상부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114a)의 상부에는 수신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 출력부가 제공된다. 메인 파트(112) 및 슬라이딩 파트(114)는 슬라이딩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어 슬라이딩 힌지를 축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폴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멀티미디어의 본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다양한 기능이 본체에 부가될 수 있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개폐 방식에 있어서 클립 방식, 폴더 방식, 스윙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오디오 빔 처리부(120)는 단말기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디지털 필터(122), 제1 증폭기(124), 변조부(126) 및 제2 증폭기(128)를 포함한다. 오디오 빔 기술이란 공기와 초음파와 같이 직진성은 뛰어나지만 인간의 가청 대역 범위 밖 에 존재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공간의 일정한 영역에서만 출력된 음파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디지털 필터(122)는 출력하고자 하는 음파를 공기의 물리학적 성질에 맞추어 필터링(filtering) 한다. 그리고, 필터링된 신호는 크기가 감쇄되므로 제1 증폭기(124)가 필터링된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킨다. 그리고, 변조부(126)는 증폭된 신호를 초음파와 믹스하여 진폭 변조(AM MODULATION)를 한다. 또한, 이렇게 변조된 신호는 제2 증폭기(128)에 전달되어 크기가 재차 증폭된 후 스피커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따라서, 직진성을 가진 음파를 갖게 되어 음파가 임의의 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제한된 범위에 있는 사람들만 음파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오디오 빔을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피커부(130)는 단말기 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오디오 빔 처리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믹스된 신호를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스피커부(130)는 단말기 본체(110)의 측부에 연결되고, 힌지에 의해 단말기 본체(110)에 고정된 원통형 스피커를 이용한다. 따라서, 원통형 스피커의 회전축과 힌지축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원통형 스피커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피커를 회전할 수 있으며, 오디오 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방향에서만 음파를 들을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스피커의 형태는 콘형, 콘덴서 스피커, 리본형 및 돔형등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피커부(130)는 메인 파트(112)의 일 측부에 힌지를 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스피커부(130)는 힌지를 축으로 메인 파트(112)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피커부(13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빔 기술을 이용하여 믹스된 음파가 회전 가능한 스피커부(130)와 함께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스피커부가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자동적으로 스피커부가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오디오 빔 처리부에 의해서 직진성을 가진 음파를 방사하여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음파를 들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공 장소에서도 자유롭게 멀티미디어 기능이나 오락성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스피커부가 회전 가능하므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면뿐만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오락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 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210), 오디오 빔 처리부(220), 스피커부(230), 제어부(240), 음파 처리부(250) 및 버튼부(260)를 구비한다.
스피커부(230)는 단말기 본체(210)의 양측에 연결되고, 오디오 빔 처리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믹스된 신호를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스피커부(230)는 단말기 본체(210)의 측부에 힌지에 의해 연결된 원통형 스피커인 제1 스피커(232) 및 제2 스피커(2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피커(232,234)는 원통형 스피커의 회전축과 힌지축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원통형 스피커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피커를 회전할 수 있으며, 오디오 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방향에서만 음파를 들을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피커(232,234)가 사용자의 양쪽에서 스테레오 방식을 이용하여 소리를 방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질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단말기 본체(2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오디오 빔 처리부(220) 및 음파 처리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240)는 버튼부(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260)에 의해 오디오 빔 처리부(220) 및 음파 처리부(250)의 제어를 담당한다.
음파 처리부(250)는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파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오디오 빔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믹스된 음파와는 구별되며, 종래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음파와 동일하게 임의의 방향 으로 방사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음파 처리부를 사용하여 주변의 사람들과 같이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버튼부(260)는 슬라이딩 파트(214)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제어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버튼부(260)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서 오디오 모드 또는 일반 모드의 사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빔 모드는 오디오 빔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 모드는 일반적인 음파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버튼부를 생략할 수 있다.
그 외의, 단말기 본체(210) 및 오디오 빔 처리부(220)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버튼부(260)에서 오디오 빔 기술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음파 신호를 음파 처리부(250) 또는 오디오 빔 처리부(220)에 전달한다. 따라서, 오디오 빔 모드일 경우, 제어부(240)에서 오디오 빔 처리부(220)으로 음파 신호를 전달하고, 일반 모드일 경우, 음파 처리부(250)에 음파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오디오 빔 처리부(220) 또는 음파 처리부(250)는 스피커부(230)와 연결되어 오디오 빔 처리부(220) 또는 음파 처리부(250)에서 출력되는 음파를 스피커부(230)를 통하여 방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오디오 빔 모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모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공공 장소와 같은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오디오 빔 모드를 사용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과 음악을 듣고 싶을 때는 일반적인 모드를 사용하여 같이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 외부에 장착된 버튼부를 이용하여 두 가지 모드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는 오디오 빔 처리부에 의해서 직진성을 가진 음파를 방사하여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음파를 들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유익하다.
또한, 사용자가 공공 장소에서도 자유롭게 멀티미디어 기능이나 오락성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능이나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오디오 빔 모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모드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버튼부를 이용하여 손 쉽게 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으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직진성을 가진 반송파와 음파를 믹스하는 오디오 빔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빔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파를 외부로 방사하는 스피커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빔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출력하고자 하는 음파를 공기의 물리학적 성질에 맞추어 변환하는 디지털 필터;
    상기 디지털 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파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증폭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음파 및 상기 반송파를 믹스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믹스된 음파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면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과 상기 스피커부의 회전축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양 측부에 연결된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6.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직진성을 가진 반송파와 음파를 믹스하는 오디오 빔 처리부;
    상기 오디오 빔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파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파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빔 처리부 및 상기 음파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파를 외부로 방사하는 스피커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빔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출력하고자 하는 음파를 공기의 물리학적 성질에 맞추어 변환하는 디지털 필터;
    상기 디지털 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파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증폭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음파 및 상기 반송파를 믹스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믹스된 음파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과 상기 스피커부의 회전축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오디오빔 처리부 또는 상기 음파 처리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KR1020040087118A 2004-10-29 2004-10-29 개인 휴대 단말기 KR20060038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118A KR20060038001A (ko) 2004-10-29 2004-10-29 개인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118A KR20060038001A (ko) 2004-10-29 2004-10-29 개인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001A true KR20060038001A (ko) 2006-05-03

Family

ID=3714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118A KR20060038001A (ko) 2004-10-29 2004-10-29 개인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80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925B1 (ko) * 2005-11-21 2007-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형 스피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4119835A1 (ko) * 2013-01-3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37965B1 (ko) * 2007-05-14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925B1 (ko) * 2005-11-21 2007-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형 스피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37965B1 (ko) * 2007-05-14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 및 방법
WO2014119835A1 (ko) * 2013-01-3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380262B2 (en) 2013-01-31 2016-06-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9526B2 (en) Hearing enhancement methods and systems
US8009849B2 (en) Aided ear bud
TWI508056B (zh) 攜帶型音訊設備
JP3262727B2 (ja) イヤホン
US2006012687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magnetic field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JP2007019898A (ja) 携帯電話機
JP2006501752A (ja) 移動端末の音響源を制御する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移動端末
JP2008135991A (ja) 携帯電話機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KR100591814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JP3431512B2 (ja) 音聴取装置
KR20060038001A (ko) 개인 휴대 단말기
JP2004032686A (ja) 携帯電話スピーカの実装システム及び着信鳴動方法
US8150072B2 (en) Vibration generator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speaker driver and counterweight
JPH10276250A (ja) 携帯端末装置
JP2002238098A (ja) 補聴器支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117097B2 (ja) 磁気誘導装置付き受信機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JP2002051108A (ja) 電話装置および着信音制御方法
JPH10290274A (ja) 補聴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4015681A (ja) 通信機器及び通信機器の着信報知方法
JP3226948U (ja) 聴力補助器用無線集音器、聴力補助器及び聴力補助システム
JP3896095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音声制御方法及び音声制御プログラム
JPH1023127A (ja) 携帯電話用機能強化装置
JPH09215083A (ja) 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マイク内蔵端末装置
WO20000531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mbient noise cancell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