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028A -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028A
KR20060035028A KR1020040084103A KR20040084103A KR20060035028A KR 20060035028 A KR20060035028 A KR 20060035028A KR 1020040084103 A KR1020040084103 A KR 1020040084103A KR 20040084103 A KR20040084103 A KR 20040084103A KR 20060035028 A KR20060035028 A KR 2006003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nit
voltage
green
smo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주)티티엘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티엘컴 filed Critical (주)티티엘컴
Priority to KR102004008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028A/ko
Publication of KR2006003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색 및 적색 보행신호와 보행신호에 대한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단일신호등과 상기 단일신호등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녹색 LED를 포함하는 녹색 표시부, 다수의 적색 LED를 포함하는 적색 표시부,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잔여시간 표시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단일신호등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 및 잔여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안정된 전원을 생성하는 제어전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일신호등, 전원공급장치, 녹색 LED, 적색 LED, 잔여시간, 잔여표시 LED, 정류부, 평활부, 직류-직류 변환부

Description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One signal lamp to display residual tim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it with power}
도 1은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신호등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구동신호를 도시한다.
도 3a,3b,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신호등의 신호표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신호등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교통 신호등(Taffic signal ligh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녹색 및 적색 보행신호와 보행신호에 대한 잔여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엘이디(LED)가 하나의 기판에 일체로 장착된 단일신호등과 상기 단일신호등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있는 보행 신호등은 녹색 보행등과 적색 정지 등으로 구성되어 신호제어기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녹색 및 적색 보행신호를 수신하여 먼저 녹색 보행등이 점등 후 수초동안 깜박거리는 점멸 작동을 하고 적색 정지등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그런데, 종래 수초동안 깜박거리는 점멸방식은 보행자에게 정확한 보행 잔여시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보행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신호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구동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종래 잔여시간 표시등(63)은 소정의 엘이디 그룹으로 형성된 다수의 역삼각등이다. 이러한 역삼각등은 기존에 설치된 적색 정지등(61)과 녹색 보행등(62)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녹색점멸(도2의 ④) 시 다수의 역삼각등을 하나씩 소등하는 방식으로 잔여 시간을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녹색 보행등과 적색 정지등 외에 별도의 잔여시간 표시등을 설치 운영할 경우 보행 신호등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전체적으로 보행신호등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잔여시간 표시등은 보행신호 전환 시 코일 특성에 의한 역기전력에 의해 2차측에 접속된 회로들이 오동작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출원 발명자는 기존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던 녹색 및 적색 보행신호등과 엘이디 잔여시간등을 하나로 일체화시킨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과 이러한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색 및 적색 보행신호등과 엘이디 잔여시간등을 하나로 일체화시킨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과 이러한 단일신호등에 적합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에서 녹색 보행등과 적색 정지등 중 어느 하나가 단락되더라도 다른 하나는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과 이러한 단일신호등에 적합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다수의 녹색 LED를 포함하는 녹색 표시부, 다수의 적색 LED를 포함하는 적색 표시부,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잔여시간 표시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단일신호등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 및 잔여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안정된 전원을 생성하는 제어전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 교류전원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다수의 녹색 LED와 다수의 적색 LED와 잔여시간 표시 LED 및 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안정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전원공급장치를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에 적용할 경우, 녹색 LED 또는 적색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교류전원라인 중 어느 하나가 단락되더라도 다른 엘이디 및 제어부의 구동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3b, 3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신호등의 신호표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신호등은 하나의 기판에 녹색 및 적색 신호와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다수의 녹색 및 적색 LED들이 일정한 형태를 이루게끔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녹색 LED들은 걷는 사람 모양이 형성되게끔 연결되고, 적색 LED들은 서 있는 사람 모양이 형성되게끔 연결되고, 잔여표시 LED들은 디지탈 7-세그먼트 모양이 형성되게끔 연결된다.
한편, 녹색 LED와 적색 LED들은 다수의 LED가 고장나더라도 보행자가 보행신호를 인식하는데 커다란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잔여표시 LED들은 디지탈 7-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LED가 고장나면 보행자가 잔여시간을 오해하거나 분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녹색 LED와 적색 LED들은 각각 3개의 LED가 1쌍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12V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된다. 또한, 잔여표시를 위한 디지탈 7-세그먼트 각각은 LED가 하나씩 연결되며 전원공급부로터 5V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된다. 이에 따라 단일신호등에 사용되는 소모전원을 절약하면서 동시에 보행신호와 잔여시간을 최대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신호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일신호등(100)은 전원공급부(20)와, 신호 표시부(40)와, 신호 검출부(60)와,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0)는 전체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 제어기(200)에서 신호 표시부(40)를 점멸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녹색 및 적색 전원을 입력받아 녹색 표시부(41)와 적색 표시부(42) 및 제어부(80)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안정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신호 표시부(40)는 다수의 녹색 LED를 포함하는 녹색 표시부(41)와, 다수의 적색 LED를 포함하는 적색 표시부(42)와, 다수의 LED를 포함하는 잔여시간 표시부(43)를 포함하며, 하나의 기판에 녹색 및 적색 신호와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다수의 녹색 및 적색 LED들이 일정한 모양을 이루게끔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녹색 표시부(41)의 녹색LED들은 걷는 사람 모양이 형성되게끔 연 결되고, 적색 표시부(42)의 적색 LED들은 서 있는 사람 모양이 형성되게끔 연결되고, 잔여시간 표시부(43)의 LED들은 디지탈 7-세그먼트 모양이 형성되게끔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녹색 LED들과 적색 LED들은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3개의 LED가 1쌍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20)로부터 12V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된다. 또한, 디지탈 7-세그먼트를 구성하는 LED들은 각각 하나씩 분리되어 연결되며 전원공급부(10)로터 5V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여시간 표시부(43)는 상기 제어부(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을 다운 카운트로 표시한다.
신호 검출부(60)는 신호 제어기(200)로부터 녹색 표시부(41)와 적색 표시부(42)를 구동하기 위한 보행신호를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30)는 포토 커플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자체에 롬이나 램과 업다운 카운터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검출부(60)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신호 표시부(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단일신호등(100)은 제어부(80)로부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신호 검출부(60)로부터 입력되는 녹색 또는 적색 보행신호를 각각 녹색 표시부(41) 또는 적색 표시부(42)로 출력하는 신호 전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환부(70)는 제어부(8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상태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간단한 스위칭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전환부(70)는 제어부(80)로부터 동작 불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 검출부(60)로부터 입력되는 녹색 또는 적색 보행신호를 녹색 표시부(41) 또는 적색 표시부(42)로 바이 패스한다. 한편, 신호 전환부(70)는 제어부(80)로부터 동작 가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 검출부(60)로부터 입력되는 녹색 또는 적색 보행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신호 표시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고장이 나거나 관리자가 제어부(8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 부품을 교체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일신호등은 녹색과 적색을 표시하는 기존의 신호등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20)는 과전류 차단부(21a, 21b)와, 정류부(22a, 22b)와, 평활부(23a, 23b)와, 직류-직류 변환부(24a, 24b)와, 제어전원 생성부(25)를 포함한다.
과전류 차단부(21a, 21b)는 상기 정류부(22a, 22b)로 입력되는 외부 교류전원의 과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한다. 과전류 차단부(21a, 21b)는 직렬로 접속된 휴즈와 라인필터와 서미스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정류부(22a, 22b)는 녹색 표시부(41)와 적색 표시부(42)를 점등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것으로서,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현된다.
평활부(23a, 23b)는 정류부(22a, 22b)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 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평활용 커패시터로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활부(23a, 23b)는 상기 평활용 커패시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자유전압 회로부(231a, 23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활용 커패시터로부터 나오는 출력전압은 DC 300V인데, 자유전압 회로부(231a, 231b)는 이러한 DC 300V를 DC 15V로 전압으로 전압강하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유전압 회로부(231a, 231b)는 스타트 저항과 PWM IC와 트랜지스터와 스위칭 트랜스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부(24a, 24b)는 평활부(23a, 23b)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녹색 표시부(41)와 적색 표시부(42)를 점등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어전원 생성부(25)는 상기 평활부(23a, 23b)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80) 및 잔여표시 표시부(43)를 점등시키기에 적합한 안정된 전원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 생성부(25)는 상기 평활부(23a, 23b)의 전원 출력단 각각에 접속되는 전류 유입 방지용 다이오드(251)와, 상기 평활부(23a)로부터 녹색 LED 점멸을 위한 전압 입력 시 방전하여 상기 제어부(40)와 잔여시간 표시부(43)에 계속적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슈퍼-콘덴서(SUPER-CONDENCER)를 포함하는 평활부(252)와, 상기 평활부(252)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80)와 잔여시간 표시부(43)를 점등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253)를 포함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여기서, 도 5 와 대응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도 6 의 실시예에서, 제어전원 생성부(25)는 스위칭부(254)와, 정류부(255)와, 평활부(256)와, 직류-직류 변환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54)는 녹색 표시부(41) 또는 적색 표시부(42)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정류부(255)는 상기 스위칭부(254)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것으로서,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현된다.
평활부(256)는 상기 정류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평활용 커패시터로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활부(256)는 상기 평활용 커패시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자유전압 회로부(25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활용 커패시터로부터 나오는 출력전압은 DC 300V인데, 상기 자유전압 회로부(256a)는 이러한 DC 300V를 DC 15V로 전압으로 전압강하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유전압 회로부(256a)는 스타트 저항과 PWM IC와 트랜지스터와 스위칭 트랜스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부(257)는 상기 평활부(256)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제어부(80)와 잔여시간 표시부(43)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 예컨대 5V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엘이디를 이용한 단일신호등은 녹색 보 행신호와 적색 보행 정지신호 및 보행 잔여시간을 모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서, 보행신호등 설치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고 또한 보행신호등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녹색 LED 또는 적색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교류전원라인 중 어느 하나가 단락되더라도 다른 엘이디 및 제어부의 구동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다수의 녹색 LED를 포함하는 녹색 표시부, 다수의 적색 LED를 포함하는 적색 표시부,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잔여시간 표시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단일신호등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
    상기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녹색 표시부 또는 적색 표시부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 및 잔여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안정된 전원을 생성하는 제어전원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 생성부가 :
    상기 평활부의 전원 출력단 각각에 접속되는 전류 유입 방지용 다이오드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녹색 표시부의 점멸을 위한 전압 입력 시 방전하여 상기 제어부와 잔여 시간 표시부에 계속적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슈퍼-콘덴서(SUPER-CONDENCER)를 포함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와 잔여 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 생성부가 :
    상기 녹색 표시부 또는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와 잔여 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부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자유전압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
    상기 정류부로 입력되는 외부 교류전원의 과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과전류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6. 다수의 녹색 LED를 포함하는 녹색 표시부, 다수의 적색 LED를 포함하는 적색 표시부,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잔여시간 표시부가 하나의 기판에 일체로 장착된 신호 표시부와;
    신호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녹색 및 적색 보행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신호 제어기로부터 상기 신호 표시부의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을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녹색 표시부, 적색 표시부, 잔여시간 표시부 및 제어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신호등이 :
    상기 제어부로부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녹색 또는 적색 보행신호를 각각 녹색 표시부 또는 적색 표시부로 출력하는 신호 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는 각각 소정 개수의 녹색 LED, 적색 LED가 전기적으로 1쌍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되며,
    상기 잔여시간 표시부는 다수의 LED가 디지탈 7-세그먼트를 형성하되, 각각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LED는 전기적으로 하나씩 분리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가 :
    상기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녹색 표시부와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녹색 표시부 또는 적색 표시부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 및 잔여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안정된 전원을 생 성하는 제어전원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 생성부가 :
    상기 평활부의 전원 출력단 각각에 접속되는 전류 유입 방지용 다이오드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녹색 표시부의 점멸을 위한 전압 입력 시 방전하여 상기 제어부와 잔여 시간 표시부에 계속적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슈퍼-콘덴서(SUPER-CONDENCER)를 포함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와 잔여 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원 생성부가 :
    상기 녹색 표시부 또는 적색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외부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각각 전파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평활화하여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와 잔여 시간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신호등이 :
    상기 평활부가 상기 정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자유전압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신호등이 :
    상기 정류부로 입력되는 외부 교류전원의 과전압을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과전압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신호등.
KR1020040084103A 2004-10-20 2004-10-20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KR20060035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103A KR20060035028A (ko) 2004-10-20 2004-10-20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103A KR20060035028A (ko) 2004-10-20 2004-10-20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028A true KR20060035028A (ko) 2006-04-26

Family

ID=3714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103A KR20060035028A (ko) 2004-10-20 2004-10-20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0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661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신호등용 오디오 출력 장치
KR102456952B1 (ko) * 2022-08-29 2022-10-20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바닥 신호 표시기 운영장치
KR102456951B1 (ko) * 2022-08-29 2022-10-20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숫자형 보행 잔여 시간 표시기 운영장치
KR20220150187A (ko) * 2021-05-03 2022-11-10 오수아 교통 신호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보조 신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594A (ja) * 1994-11-16 1996-06-07 Koito Ind Ltd 歩行者信号灯器用時間表示灯の表示方法
KR20030031686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금광 신호등 전원공급장치
KR20040084512A (ko) * 2003-03-28 2004-10-06 김용호 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led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594A (ja) * 1994-11-16 1996-06-07 Koito Ind Ltd 歩行者信号灯器用時間表示灯の表示方法
KR20030031686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금광 신호등 전원공급장치
KR20040084512A (ko) * 2003-03-28 2004-10-06 김용호 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led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661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신호등용 오디오 출력 장치
KR20220150187A (ko) * 2021-05-03 2022-11-10 오수아 교통 신호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보조 신호 장치
KR102456952B1 (ko) * 2022-08-29 2022-10-20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바닥 신호 표시기 운영장치
KR102456951B1 (ko) * 2022-08-29 2022-10-20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숫자형 보행 잔여 시간 표시기 운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RU2497318C2 (ru) Аэродромное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щение
US10757780B2 (en) Operating device having a test switch and status indicator
KR20060035028A (ko)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신호등 및 그에 사용되는전원공급장치
EP3609296B1 (en) Power supply device
US11057974B2 (en) Power supply device
JP6687421B2 (ja) 電源装置
KR100855871B1 (ko) 충전식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13218B1 (ko) 신호등 전원공급장치
KR200388864Y1 (ko) 잔여시간 표시기를 구비하는 신호등
JP201113570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243687Y1 (ko) 항공장애물 표시등용 전원공급 제어장치
KR200259972Y1 (ko) 신호등 전원공급장치
JP7014137B2 (ja) 電源装置
JP4061079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75615Y1 (ko) 엘리베이터 비상조명등 전원 장치
WO2007018414A1 (en) System for emergency pilot lamp
KR100629783B1 (ko) 잔여시간 표시기를 구비하는 신호등
JP5009357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EP3512070A1 (en) Power supply circuit
KR101869105B1 (ko) 전원 장치 제어 회로
JP6354174B2 (ja) 非常用照明装置
JP2004320825A (ja) 電源装置
KR20000007290U (ko) 모니터의 전압 크기 표시회로
KR19980043905U (ko) 스위칭 전원 회로의 돌입 전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