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105B1 - 전원 장치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105B1
KR101869105B1 KR1020120042442A KR20120042442A KR101869105B1 KR 101869105 B1 KR101869105 B1 KR 101869105B1 KR 1020120042442 A KR1020120042442 A KR 1020120042442A KR 20120042442 A KR20120042442 A KR 20120042442A KR 101869105 B1 KR101869105 B1 KR 101869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input power
voltage drop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805A (ko
Inventor
남광우
김효수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4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10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6Measuring arrangements for current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e.g. using current dividers, shunts, or measuring a voltage drop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 입력 전원에 접속된 스위치부, 스위치부에 접속된 충전부, 스위치부와 충전부에 접속되어 스위치부 또는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제어 신호는 스위치부로 공급되며 제2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로 공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제어 회로{POWER SUPPLY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전원 장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순간 전압 강하 시에도 안정적인 장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원 장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력 품질의 신뢰성은 점점 더 높아져 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간 전압 저하 또는 순간 정전 등의 전력 품질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순간적인 전력 품질 사고는 전자 기기의 오동작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자 기기는 그러한 전력 품질 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 두고 있다. 예컨대, 주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직류 전압 신호로 정류한 후 인버터부를 통해 변압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전원으로서 별도의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정상 동작 시에는 주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 하여 동작하는 한편 충전부를 충전해 두고 있다가, 순간 전압 강하가 발생할 경우 주 전원을 대신해서 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서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런데, 순간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서 이용하는 경우,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압 신호에는 큰 리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리플의 발생은 전자 기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용량이 큰 충전부를 이용한다면 리플 발생의 영향을 줄일 수는 있으나 이는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순간 전압 강하 동안에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서 이용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점차적 전압 감소를 피할 수 없는데, 이는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온 동작 구간이 길어지게 하여 스위칭 소자의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충전부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리플을 줄일 수 있도록 전자 기기의 전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가 필요로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충전부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그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리플을 줄일 수 있도록 전자 기기의 전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 입력 전원에 접속된 스위치부, 스위치부에 접속된 충전부, 스위치부와 충전부에 접속되어 스위치부 또는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스위치부로 공급되며 제2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치부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며, 스위치부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인버터부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고, 스위치부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인버터부는 충전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제어 신호는,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스위치부를 제1 상태로 구동시키고,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스위치부를 제2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제어 신호는,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인버터부의 동작 주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버터부는 트랜스포머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를 SMPS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전원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이고, 전원 장치는 입력 전원과 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는 정류 회로부로부터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전원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이고, 전원 장치는 입력 전원과 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는 입력 전원과 정류 회로부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부는 정류 회로부를 위한 평활 콘덴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충전부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그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리플을 줄일 수 있도록 전자 기기의 전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 충전부의 사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간 전압 강하 발생시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점차적 전압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온 동작 구간이 길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소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버터부를 위한 제2 제어 신호의 주파수 가변 제어를 한 경우와,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순간적인 전압 강하의 발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의 주파수 가변 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 인버터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신호의 파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원 장치(100)는 정류 회로부(110), 전압 강하 검출부(120), 회로 제어부(130), 스위치부(140), 충전부(150) 및 인버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Vin)으로부터 교류 입력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는 입력된 교류 전압 신호를 직류 전압 신호로 정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는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류 회로부(110)는 또한 직류 정류된 전압 신호의 리플을 억제하기 위한 평활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120)는 정류 회로부(110)에 연결되어,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120)는 수신된 직류 전압 신호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즉 순간 전압 저하 또는 순간 정전 등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20)는 미리 정의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120)는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에 관한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전압 강하 검출부(120)가 정류 회로부(110) 후단에 연결되어 직류 전압 신호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20)는 상용 교류 전원(Vin)과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20)는 교류 입력 전압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과, 발광/수광 작용을 통해 순간 전압 강하 감지 시 그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30)가 전압 강하 검출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30)는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부(140) 및 인버터부(16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30)는 전압 강하 검출부(120)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에 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30)는 전압 강하 검출부(12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스위치부(140)로 공급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30)는 또한 전압 강하 검출부(12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인버터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160)의 SMPS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제어 신호는 전압 강하 검출부(12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위치부(140)가 정류 회로부(11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또한 회로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회로 제어부(130)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로 구동되었을 때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후단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오프 상태로 구동되었을 때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치부(140)는 기계식 스위치(릴레이 등) 또는 전자 소자(SCR, IGBT, FET 등)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 및 설명에서는, 스위치부(140)가 정류 회로부(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치부(140)는 정류 회로부(110)의 전단에서 상용 교류 전원(Vin)으로부터의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충전부(150)는 스위치부(140)의 후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150)는,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일 때,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다. 충전부(150)는 또한, 스위치부(140)가 오프 상태일 때, 충전된 전류 신호를 방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전원 장치(100)가 충전부(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장치(100)는 충전부(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정류 회로부(110)에 포함된 평활 콘덴서(도시되지 않음)가 충전부(150)의 동작을 대신할 수 있다.
인버터부(160)는 스위치부(140)와 충전부(150)의 양쪽에 연결되어 그 어느 하나로부터의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부(160)는 스위치부(140)와 충전부(150)의 접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부(160)는 또한 회로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회로 제어부(130)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버터부(160)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인버터부(160)의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는,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직류 전압 신호가 스위치부(140)를 경유하여 인가될 수 있다. 스위치부(140)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인버터부(160)의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는, 충전부(150)로부터 방전되는 직류 전압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인버터부(160)의 스위칭 소자는 회로 제어부(130)로부터 인버터부(160)의 SMPS 제어를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버터부(160)의 스위칭 소자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온/오프를 반복하여,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된 전압 신호가 소정의 전압으로 변압되어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유기되도록 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유기된 전압 신호는 후단의 부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30)는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0) 및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장치(100)의 전압 강하 검출부(120)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는, 전압 강하 검출부(12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장치(100)로의 입력 전원 전압 신호에 있어서의 순간 전압 강하, 예컨대 순간 전압 저하 또는 순간 정전 등의 발생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의 다양한 구성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에서 생성된 판정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치부(140)를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로부터의 판정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을 나타내는 경우, 스위치부(140)를 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로부터의 판정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스위치부(140)를 온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에서 생성된 판정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부(160)를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로부터의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에서 수신된 판정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라면,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주파수가 증가된 신호일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에서 수신된 판정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라면,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는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생성된, 즉 순간 전압 강하 판정부(210)로부터의 판정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 통상적인 SMPS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인버터부(160)의 제어를 위한 통상적인 SMPS 제어 신호의 생성에 관한 기술에 대해 잘 알 것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버터부(160)를 위한 제2 제어 신호의 주파수 가변 제어를 한 경우와,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순간적인 전압 강하의 발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의 주파수 가변 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 인버터부(16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신호의 파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3의 (a)는, 순간 정전이 발생한 경우, 상용 교류 전원(Vin)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 신호의 파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간 A는 순간 정전이 발생한 구간을 나타낸다. 도 3의 (b)는,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순간적인 전압 강하의 발생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의 주파수 가변 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 인버터부(16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신호의 파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파형에 의하면, 인버터부(16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신호에는 상당한 양의 리플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버터부(160)를 위한 제2 제어 신호의 주파수 가변 제어를 한 경우, 인버터부(16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신호의 파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파형에 비해, 인버터부(16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신호에 존재하는 리플이 크게 억제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110: 정류 회로부 120: 전압 강하 검출부
130: 회로 제어부 140: 스위치부
150: 충전부 160: 인버터부

Claims (8)

  1. 전원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
    전단이 상기 입력 전원에 접속된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의 후단에 접속된 충전부,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후단과 상기 충전부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후단 또는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치부로 공급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인버터부로 공급됨 -
    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며, 상기 스위치부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스위치부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전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1 상태로 구동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2 상태로 구동시키는, 전원 장치.
  4. 전원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
    상기 입력 전원에 접속된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 접속된 충전부,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충전부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부 또는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치부로 공급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인버터부로 공급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인버터부의 동작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전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트랜스포머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인버터부를 SMPS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전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이고,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는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전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이고,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스위치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는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정류 회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전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정류 회로부를 위한 평활 콘덴서인, 전원 장치.

KR1020120042442A 2012-04-24 2012-04-24 전원 장치 제어 회로 KR10186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442A KR101869105B1 (ko) 2012-04-24 2012-04-24 전원 장치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442A KR101869105B1 (ko) 2012-04-24 2012-04-24 전원 장치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805A KR20150127805A (ko) 2015-11-18
KR101869105B1 true KR101869105B1 (ko) 2018-06-19

Family

ID=5483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442A KR101869105B1 (ko) 2012-04-24 2012-04-24 전원 장치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1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993B1 (ko) * 2003-01-09 2005-08-04 김동앙 순간정전보상장치
KR20080043876A (ko) * 2005-09-07 2008-05-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노광 방법 및 패턴 노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993B1 (ko) * 2003-01-09 2005-08-04 김동앙 순간정전보상장치
KR20080043876A (ko) * 2005-09-07 2008-05-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노광 방법 및 패턴 노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805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630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537417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power source cut-off detection method
JP433351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899907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537404B2 (en) AC-DC power supply input voltage detection and monitoring
US2008029170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10560035B2 (en) Discharge device,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charge method with power supply cut-off detection and capacitor discharge
JP2008048485A (ja) 直流交流変換装置、および直流交流変換装置の過電流保護方法
CN107834855B (zh) 开关电源装置
US20140104894A1 (en)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JP2010178413A (ja) 電源装置、空気調和機
JP6673269B2 (ja) 電源装置及び遊技機
JP6025404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WO2006051843A1 (ja) 電源装置
JP6023414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6249167B2 (ja) Led点灯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2008236999A (ja) 電源装置
JP2015042030A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6842252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その保護方法、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US9099931B2 (en) Power supply device
KR101869105B1 (ko) 전원 장치 제어 회로
JP2009278780A (ja) 全波整流回路
KR20150070590A (ko) 동기 정류기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JP585403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091192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