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395A -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 Google Patents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395A
KR20060032395A KR1020040081333A KR20040081333A KR20060032395A KR 20060032395 A KR20060032395 A KR 20060032395A KR 1020040081333 A KR1020040081333 A KR 1020040081333A KR 20040081333 A KR20040081333 A KR 20040081333A KR 20060032395 A KR20060032395 A KR 2006003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ater
coating
aqueous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국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주)분자와 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분자와 사람들 filed Critical (주)분자와 사람들
Priority to KR102004008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2395A/ko
Publication of KR2006003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 이를 코팅한 투명기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계도료는 수계아크릴 수지, 수계우레탄 수지, 수계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계,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로우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과 금속/유기산 착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0.01~20μm의 입경인 입자계, 유기변성실록산, 유기변성실록산 에멀젼,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항블럭킹/윤활보조제, 및 용매와 첨가제로 구성되어, 수계도료를 코팅한 투명기재의 필름 및 시트는 대단위 롤의 권취 또는 시트의 적재에도 우수한 항블럭킹 및 표면 윤활 특성을 지니므로, 장시 보관 및 습도에서도 물성의 변화가 적은 효과가 있다.
투명기재, 수계도료, 항블럭킹, 윤활성

Description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 이를 코팅한 투명기재{WATER BASE COATING SOLUTION WITH GOOD SURFACE SLIP AND ANTI-BLOCKING PROPERTY AND TRANSPARENT FILM COAT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 이를 코팅한 투명기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기재의 단면 또는 양면을 코팅하였을 경우 광투과율의 저하 및 흐림도의 증가가 매우 작으며 높은 인쇄 적성과 내수성/내후성 등의 도막 안정성이 우수하며 다른 필름/시트와 접촉시 표면 윤활성 및 항블록킹 특성이 우수한 수계도료 및 이를 코팅한 투명기재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오면서 다양한 투명 플라스틱 기재들이 이용되며 소재 기술 및 가공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금속, 목재, 유리 등의 재료를 대체하는 영역으로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투명 플라스틱 소재는 장기간 내용물 보관이 가능한 포장용구와 문구, 사무용품, 전기제품, 공구류, 완구류 등 다양한 품목에 걸쳐 적용 가능하여 시장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투명도가 요구되는 부문에 주로 사용되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로는 폴리 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 스틸렌 등의 수지가 있다. 특히,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는 탁월한 광학적, 기계적, 열적 특성을 지녀 포장재, 광고재 및 복잡한 열성형에 이르는 다양한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냉동제품 포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음식물 포장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인쇄적성 및 열성형이 우수하여 각종 광고물 및 포장재 등으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시에 유해 가스가 발생되지 않아서 환경친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투명 플라스틱 기재 중 많은 부문이 압출 공정을 통하여 주로 박막의 필름 또는 후막의 시트로 가공이 된다. 이들 제품의 단위 포장은 필름의 경우 수천 미터(m), 시트인 경우는 수백 수천 매에 이르는데, 이들 필름 또는 시트 가공품은 표면의 윤활성과 항블록킹 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수천 매씩 단위 포장되어진 시트의 운송 또는 보관 중에 열, 압력, 습기 등에 노출되었을 경우 시트면끼리 서로 달라붙어 떼어내기 어렵게 되거나 또는 떨어질 때 기재에 손상을 유발하며, 단면에 인쇄 등의 가공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면이 다른 면으로 들러 붙는 전이 현상을 일으켜 제품 불량을 유발하는 블록킹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블록킹 특성때문에 투명기재 표면은 항블록킹(anti-blocking) 특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시트 또는 필름이 인쇄 등의 후가공 및 제품의 사용시에 기재 주행에 따라 다른 물질과 마찰을 일으키는데, 기재 표면에 윤활성이 부족할 경우 기재 표 면의 손상을 유발하여 공정상/미관상 문제점을 야기시키므로 기재 표면은 윤활성(slipperiness)을 가져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의 제조공정에서 표면의 윤활성 및 항블록킹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일본특허공개 소63-312319호, 미국특허 제5,863,647호, 미국특허 제 5,370,930호, 한국특허 제10-232386호 등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압출공정 중 실리카, 유기실란 화합물의 부가물, 크레이, 탈크, 칼슘, 티탄, 알루미나 등의 일정 크기의 미세입자(fine particles)들을 압출 공정 중에 포함하여 표면에 요철을 구성하여 항블록킹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만족스러운 항블록킹 특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과량의 불투명 입자가 첨가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투명기재의 광투과율의 저하 및 흐림도를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미국특허 제5,302,469호, 미국특허 제4,839,123호, 일본특허 평6-91813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0-19272호에서는 시트/필름의 제조 후에 후공정처리를 통하여 기재의 항블록킹성과 윤활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302,469호에서는 수용성 아크릴을 코팅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4,839,123호에서는 가교형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며, 일본특허 평6-91813호에서는 박리조절제 및 실리카 입자를 코팅하며,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0-19272호에서는 실리카 입자 및 유기실리콘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과 같은 이형필름 제조방법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형 코팅은 항블록킹성 및 윤활성은 우수하나 인쇄적성이 매우 나쁜 단점 을 갖는다.
미국특허 제5,110,671호, 미국특허 제4,961,992호는 실리콘 오일을 이용한 윤활성 향상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실리콘 오일의 전이로 인하여 인쇄적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미국특허 제6,120,868호, 한국공개특허번호 제2001-89995호에서는 실리콘 오일의 방출을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소프탈릭산 등의 수지로 조절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 제10-264540호에서는 무연신 폴리에틸렌 텔레프산 수지 표면에 구리 등 금속이온이 흡착된 전분을 도포하여 항블록킹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 제10-421582호, 미국특허 제5,445,866호, 미국특허 제5,714,245호, 미국특허 제6,060,156호에서는 전사용 및 오버헤드프로젝트 등에 이용되는 필름 표면을 처리하여 항블록킹 특성 및 윤활성을 도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 제10-421582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와 블록방지제, 습기방지제로 전사지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5,445,866호에서는 반응성 에폭시실리콘, 아민, 수분산 다공성 입자, 무기계 또는 유기계 블록방지제로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6,060,156호에서는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등과 다공성 알루미나 또는 부분 탄화된 폴리실록산 입자로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들은 기재의 투과율이 낮고 흐림도가 크며 강한 압력 및 온도 특히 습도에 의하여 항블록킹 특성이 변화하는 단점을 갖는다.
미국특허 제6,545,082호에서는 수계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의 유기입자와 콜라겐 또는 제라틴 등 수용성 단백질로 구성되어진 코팅도료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투명기재, 특히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에 적용 가능한 투과도가 높고 낮은 흐림도를 지니며 높은 인쇄적성 및 내수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 이를 코팅한 투명기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압출라인에 인라인 적용이 가능한 수계도료 및 이를 코팅한 투명기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필름 또는 시트가 대단위 롤의 권취 또는 시트의 적재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항블록킹 및 표면 윤활 특성을 지니며 장기 보관과 습도에 의하여여도 물성 변화가 적은 수계도료가 코팅된 투명기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계도료는 수계아크릴 수지, 수계우레탄 수지, 수계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계,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로우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과 금속/유기산 착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0.01~20μm의 입경인 입자계, 및 용매와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변성실록산, 유기변성실록산 에멀젼,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항블럭킹/윤활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자계는 0.1~10μm의 입경인 구상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지계는 방향족 특성을 지니는 분자를 갖는 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계도료를 코팅한 투명기재에 있어서, 상기 수계도료는 수계아크릴 수지, 수계우레탄 수지, 수계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계,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로우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 중에서 선택된 유기계와 금속/유기산 착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0.01~20μm의 입경인 입자계, 및 용매와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변성실록산, 유기변성실록산 에멀젼,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항블럭킹/윤활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는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계도료의 코팅은 인라인 공정으로 두께 0.01~10μm 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수계도료는 항블럭킹 수지계, 입자계, 보조제 및 기타 용매 및 첨가제로 구성되어 우수한 윤활특성과 항블록킹 특성을 갖는다.
(1) 수지계
먼저, 본 발명에 요구되는 적합한 수지는 1) 건조도막의 투명도가 높으며, 2) 도막의 함수율 및 친수특성이 낮으며, 3)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높으며, 4) 기재간의 끈적거림이 낮으며, 5) 인쇄적성이 우수한 수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계는 수계아크릴 수지, 수계우레탄 수지를 혼합 또는 양쪽 수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공중합 수지를 사용하였다.
널리 알려진 수계 수지계로는 수용성알키드 수지,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이민 등의 수용성 수지계와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계분산액, 폴리우레탄 수계분산액, 폴리에스터 분산액, 스타일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의 에멀젼 수지계가 있다.
그런데, 수용성 수지계는 가교반응을 통하여 내수성, 내화학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경화조건이 100℃ 이상에서 수분 내지 수십분이므로 내열성이 취약한 기재에 적용이 불가능하며 설비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갖는다. 가교를 시키지 않는 수용성 수지계는 인쇄적성이 우수하나 내수성이 매우 취약하여 습도에 의한 항블럭킹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에멀젼 수지계는 고분자량의 수지를 분산 안정화시켜 건조도막의 내수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반면에, 폴리에스터 수지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내산성 등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낮은 특성을 나타내며, 라텍스 수지의 경우는 고무 수지의 특성으로 도막끼리의 끈적거림이 높고 친수 특성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과 폴리우레탄 에멀젼 수지는 단량체의 종류와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물성의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지는 항블럭킹 특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며 표면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하여 나쁜 특성을 갖는다.
또한, 폴리메틸메타아크릴 분산액의 경우 분자량과 유리전이 온도에 따라 기재 접착력 및 수지의 항블럭킹 특성이 변화한다. 즉, 높은 유리전이 온도에서는 수지 표면의 경도가 증가하며 기재끼리의 끈적거림이 낮은 반면에 기재와의 접착력이 나쁘며, 도막의 연신률이 낮은 단점을 갖는다. 반면에, 낮은 유리전이 온도에서는 기재 접착력 및 연신률은 좋으나 표면 끈적거림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기재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나, 도막 표면의 끈적거림이 있으며 친수성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말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지의 항블록킹 및 내수특성과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재 접착력 특성을 조합하여 1~2종의 수지를 혼합하거나 양쪽 특성을 나타내는 공중합 수지를 사용하였다. 즉, 유리전이온도가 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사이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지 1~2종 지방산과 방향족 폴리우레탄 에멀젼 수지 1종을 혼합하거나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수지 분자쇄내에 폴리우레탄 결합을 지니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폴리우레탄 공중합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의 배합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초적인 수지/입자의 함량을 0.1~3 마이크론 의 도막 두께에서 기재에 광투과율 감소 1이하, 흐림도 증가 3 이하에 적합하기 위하여 1종의 수계 분산된 가교 폴리에틸렌 입자(비중:0.94, 입경:3~5μm)를 각각의 수지와 혼합하여 광학적 특성, 표면의 끈적거림, 친수화 정도, 기재 부착력, 코팅면끼리 마찰시 도막 깨짐 등을 비교하였다(실시예1 내지 실시예10 및 표1 참조).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계 분산액의 경우, 수지 고형분 대비 입자양을 0.1~10%, 바람직하게는 1~5% 함량에서 광투과율 변화 0.5, 흐림도 증가 3이하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스타일렌 등 방향족 치환기로 변성된 아크릴 수지계(유리전이온도 50~100℃)는 높은 내수성 및 낮은 표면 끈적거림을 보였으나, 도막의 깨짐성이 크고 기재 부착력이 낮은 단점을 보였다.
반면에, 낮은 유리전이온도(0~20℃)를 지니는 지방족 아크릴 에멀젼은 비교적 우수한 기재 접착력 및 연신율 등을 지지나 표면 끈적거림이 높은 단점을 보였다.
지방족 단량체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기재 접착력 및 도막 깨짐 방지 특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나 표면 끈적거림이 매우 높았다.
지방족 폴리에스터 우레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변성 우레탄 수지는 비교적 표면의 끈적거림이 낮으면서 우수한 기재 접착력, 도막 깨짐 방지성 등의 특성을 보였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지의 항블럭킹 특성과 폴리우레탄 수지의 우수한 기재 접착력, 깨짐 방지 특성을 조합하고자,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아크릴 수지와 지방족 폴리에스터 변성 우레탄 수지의 비율을 바꾸어 도막특성을 평가하였다. 스타일렌 변성 아크릴 수지 함량이 전체 혼합수지양 대비 10~50%, 바람직하게는 10~20%에서 가장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아크릴 분사쇄에 우레탄기를 도입시키는 수계 우레탄 아크릴 에멀젼은 수지 내에 아크릴기와 우레탄기의 장점을 동시에 지녔다. 특히, 방향족 변성우레탄 아크릴에멀젼은 매우 우수한 기재접착력, 깨짐 방지 특성 및 낮은 끈적거림을 나타내었다.
(2) 입자계
다음으로는, 항블록킹 특성을 증가시키는 입자계로서, 구형 입자중 표면 친수화 처리가 되어 분산안정성이 있는 유기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 및 금속/유기산 착화합물 입자 중 1~2종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지계로도 기본적인 항블록킹 특성을 가지나, 수지계만으로는 만족스러운 항블록킹 특성을 갖기 어렵다. 항블록킹 특성은 기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도록 표면 요철을 부여하여, 기재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시키며 접촉면 사이에 인력을 최소화시킴으로서 극대화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료에 입자를 혼입하여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내용이 공지되어 있다. 입자의 크기, 종류, 형태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도료층의 높이와 입자의 크기 및 도료층 내 분포 형태가 중요하다.
예컨대,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거나 도료층 높이에 비하여 입자 크기가 작으 면 도료층 위로 입자의 분포가 어려워져 표면 요철을 부여하기 어렵다. 반면에, 큰 입자의 경우에는 표면 요철 부여는 잘되지만 광투과율 저하 및 흐림도를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입자는 재질별로 무기계, 유기계, 유/무기 복합계로 나눌 수 있다.
무기계로는 실리카, 크레이, 알루미나 칼슘, 티탄 등이 있으며, 수계분산 안정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경도, 내화학성, 열안정성 등의 장점을 지니나 도료에 비하여 비중이 크기 때문에 도료 안정성이 낮아 침강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경화 공정 중 미세 침강 현상이 발생하여 코팅층 표면보다는 내부에 입자가 고정되어 표면 요철 부여가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유기계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로우르에틸렌(PTFE), 폴리스타일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 가교 입자 등이 있으며, 비중이 낮은 입자는 표면 부상이 빨리 이루어져 표면 요철 부여가 용이하며 바인더 수지와의 결합력이 좋아 입자 탈착이 어려우며, 도막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수계 분산 안정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화학적인 또는 UV/플라즈마 처리 등을 통하여 입자 표면에 친수성기를 도입하여 분산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유/무기 복합계는 금속 및 금속산화물의 미세입자를 유기약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여 금속/유기 착화합물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유기계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수계 분산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적절한 유기계를 이용할 경우 윤활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입자는 그 제조방법에 따라 구형, 다공질형, 판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기재 표면에 일정한 형태의 요철을 부여하여 항블럭킹 특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는 구형의 입자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0.01~20μm, 바람직하게는 0.1~10μm 사이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코팅시에, 도료층 표면으로부터 0.1~10μm, 바람직하게는 1~5μm의 요철을 요철을 갖도록 구형 입자 중 표면 친수화 처리가 되어 분산 안정성이 있는 유기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 및 금속/유기산 착화물 입자 중에서 1~2 종 선택하였다.
이하, 입자계의 배합 특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혼합물 및 방향족 변성우레탄 아크릴 에멀젼에 대하여 입자의 함량, 크기, 종류를 변화시켜 광학적 특성, 항블록킹 특성, 기재 접착력, 도막의 깨짐성, 분산안정성 및 표면의 평활성 등을 평가하였다(실시예11 내지 실시예16 및 표2 참조).
입자의 입경이 1μm 이하에서는 광학적 특성이 좋으나 항블럭킹 특성이 낮으며, 20μm 이상에서는 항블럭킹 특성은 우수하나 광학적 특성 및 표면 평활성이 좋지 않았다.
가장 우수한 광학적 특성 및 항블럭킹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입자의 입경이 1~20μm, 바람직하게는 1~10μm의 입자를 수지 고형분 대비 0.1~10%, 바람직하게는 1~5%를 혼합하는 것이다. 입자의 입경이 1~20μm 사이 입자의 함량이 수지 고형분 대비 5% 이상일 경우에는 이상일 경우에는 광투과성 및 흐림성에 좋지 않았 다.
가교된 폴리에틸렌(입경:3~5μm, 비중:0.94), 폴리프로필렌(입경:~5μm, 비중:0.93),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입경:3~10μm, 비중:1.20), 폴리에틸렌/폴리테트라메틸에틸렌(입경:~10μm, 비중:1.04) 모두 양호한 광학적 특성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녔으나 불소계 입자는 표면의 평활성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유기입자는 수계 분산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입자 표면이 화학적 또는 UV/플라즈마 처리되어 있으나 도료를 장시간 방치하면 도료 상부로 입자가 부상하거나 응집되는 형상이 발생한다.
금속/유기산 착화합물은 1~10μm 칼슘, 칼륨 나트륨 등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 입자에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유기산을 처리하여 형성한 것으로 수계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높인다. 이러한 착화합물은 유기 입자에 비하여 수계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며 재분산성도 매우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지방족 유기산 및 그 유도체는 우수한 윤활제로 이용되므로 표면 항블록킹 특성 및 윤활특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사용된 유기계 또는 금속/유기산 입자 모두 우수한 기재 접착력 및 도막 깨짐 방지성을 나타내었다.
(3) 항블록킹 및 윤활보조제
수지계와 입자계의 혼입도료 표면의 항블록킹성과 윤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항블록킹 및 윤활보조제를 부가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분자량 유기실리콘, 고분자량 유기실리콘 및 지방 족탄화수소의 지방산 유도체를 항블록킹 및 윤활보조제로 사용하였다.
저분자량 보조제는 도료 공기 계면의 표면장력에 따라 도막 계면에 농도가 달라진다. 즉, 보조제의 종류에 따라 공기/코팅 계면으로 이동 정도가 상이하여 코팅 도막 내에 보조제 농도가 달라진다.
상용화된 유기 변성 실리콘(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일반적으로 실리콘 왁스) 류의 보조제는 코팅 도막 계면에 위치하여 윤활성(슬립성), 젖음성(웨팅성), 흐름성 등의 표면물성을 제어한다.
일반적인 유성계에서는 소량의 보조제로 표면 윤활성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수계도료에서는 바인더 수지에 포함된 유화제 및 에멀젼 상으로의 첨가제 이동 등으로 인하여 윤활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계도료에서 표면 윤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과량의 보조제를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기재와 코팅 도막간의 박리 현상 및 인쇄적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단점이 나타난다.
고분자량 에멀젼 유기실리콘은 수지 연화제 및 에멀젼으로 침투가 어려워 수계도료에서 비교적 우수한 윤활 및 항블록킹 특성을 갖는다.
지방족 탄화수소 및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금속산화물(일반적으로 지방산 왁스)는 인쇄적성 및 기재 접착력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며, 코팅 후에 도막 게면으로 전이되어 표면 윤활성을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블럭킹/윤활보조제 배합을 살펴본다.
보조제로는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왁스 에멀젼, 변형된 지반족 파라핀 왁스, 지방산에스테르계 왁스에멀젼을 수지 고형분 대비 0.1~5%, 바람직하게는 0.1~3%, 전체 도료량 대비로는 0.005~0.1%, 바람직하게는 0.01~0.1%를 투입하였다. 함량이 이보다 높을시에는 기재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낮을 시에는 표면 윤활 특성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실리콘계 보조제의 경우 소량의 첨가제로 항블록킹/윤활성 증대를 보이나 보조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급격한 기재 부착력 및 인쇄성 저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비실리콘계 보조제는 인쇄성 및 기재 부착성은 양호하나 항블럭킹 /윤활성 증대를 보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을 투입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왁스 에멀젼은 소량으로도 기존 실리콘에테르계 왁스에 비하여 수계도료에서 윤활특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4) 기타 표면 조절 첨가제/용매
일반적으로, 코팅용 도료에 이용되는 젖음성(웨팅성), 퍼짐성(레벨링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소포제, 항산화제, 분산안정제, 점도 조절제 등을 도료 및 공정 조건에 적합하게 첨가할 수 있다.
시트 및 필름의 인라인 코팅 공정에 적합하도록 용매의 휘발 속도 및 도막 안정화 및 평탄화를 고려하여 기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유기계 용매를 추가로 투입하여 코터에 따른 도막 두께 및 이에 의한 입자에 의한 표면 요철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료의 고형분을 조절해 준다.
도막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젖음성 부여제, 소포/탈포제, 항상화제, 분산 안정화제 등을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량은 전체 도료액 대비 0.01~0.1% 이내로 투입하였다.
인라인 코팅시 기재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도막 건조 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탄소수 1~6개의 저가의 알코올을 투입하였다. 알코올 투입은 건조시간을 짧게하고 면의 평활성을 높이며 소포작용을 하게 된다.
알코올의 함량이 높으면 수지 에멀젼의 파괴 및 수계 입자의 응집으로 인하여 도료의 안정성이 매우 낮아지며, 함량이 너무 낮으면 기재에 대한 젖음성 및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지닌다.
또한, 도료의 고형분은 도막의 두께, 표면의 요철 정도, 광학적 특성, 코팅강도, 접착력에 큰 영향을 주므로 코팅 방식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험실 수준의 메이어바 코팅(#3, #7), 양산화 수준의 롤코팅(순방향 180메쉬 그라비아롤) 및 80~120℃/10~60초 열풍 건조에 적합한 도료를 제작하기 위하여 탄소수 1~6, 바람직하게는 1~4의 지방족 알코올을 전체 도료 대비 1~20%, 바람직하게는 1~10% 범위에서 투입하였으며, 형성된 코팅 건조 도막은 0.1~5μm, 바람직하게는 0.1~3μm이 되도록 도료의 고형분 함량을 1~20%, 바람직하게는 1~10%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의 구성들을 배합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측정방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광학 특성은 일본 니폰덴쇼쿠사 COH-300A 분광기로 ASTM D1003 기준으로 광투과율 및 흐림도를 측정하였다.
항블록킹 특성은 인라인에서 가로 1,100mm, 세로 800mm, 두께 0.3mm의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표면에 도료를 코팅 건조하여 2,000매 기준으로 적재 한 후 ASTM D1893 기준에 근거로 평가하였다.
표면 윤활성 특성은 신동과학(주)의 heiden-1D를 이용하여 코팅면과 기재면 사이의 미끄러짐 각으로 윤활성을 평가하였다.
인쇄적성은 코팅도막 위에 인쇄잉크를 도포한 후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ASTM D3359에 의한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기재 부착력은 도막표면에 크로스컷을 한 후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ASTM D3359에 의한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친수화 정도는 도막표면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1방울의 증류수를 떨어뜨린 후 10분 경과 후에 물 퍼짐 정도를 평가하였다. 즉, 물방울에 퍼짐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면 끈적거림은 코팅된 기재끼리 맞대어 압착한 후에 밀어서 밀리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도막 깨짐도는 코팅된 도막끼리 맞대은 후에 압력을 강하게 20회 왕복하여 비벼서 코팅 도막의 박리/깨짐/입자의 이탈 정도를 육안 평가하였다.
분산안정성은 도료를 상온에 밀폐하여 72시간 이상 방치하여 도료의 변화를 육안 관찰하여 코팅시 도막 특성을 평가하였다.
표면 평활성은 육안 또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 표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10은 수계도료의 수지계를 변화시킨 투명기재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3℃ 음이온타입의 아크릴 에머젼 10g, 입자계로는 입경 3~5μm, 밀도 0.94인 고형분 20%인 폴리에틸렌(PE) 수계분산액 0.1g, 보조제로는 저분자량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을, 용매 및 첨가제로는 증류수 50g과 이소프로필알코올 6g를 상온에서 고속 교반한 후에 (주)새한사 0.3mm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에 메이어바#7으로 코팅하여 건조 오븐에서 80℃/40초 건조하여 코팅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광학적 특성, 부착력, 친수화 정도, 표면의 끈적거림, 도막의 깨짐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2) 수지계로는 고형분 42.5%, 유리전이온도 34℃인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3)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4)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65℃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5) 수지계로는 고형분 34%의 음이온형 지방산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6) 수지계로는 고형분 35%의 음이온형 지방산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변 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7) 수지계로는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산액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8)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 2g과 고형분 35%의 음이온형 지방산폴리카보네이트디올 변성 폴리우레탄 분산액 8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9)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 5g과 고형분 35%의 음이온형 지방산폴리카보네이트디올 변성 폴리우레틴 분산액 5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0)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 1g과 고형분 35%의 음이온형 지방산폴리카보네이트디올 변성 폴리우레틴 분산액 9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1) 수지계로는 분자량 약 300,000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2) 수지계로는 스타일렌-부타디엔-스타일렌 라텍스 에멀젼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 10과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측정결과를 표1에 요약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1 비교예2
광 투과도 90.0 89.9 90.0 90.4 89.5 90.4 90.1 89.9 90.1 90.6 89.8 88.9
흐림도 0.97 1.01 1.05 1.20 1.40 1.32 0.99 1.14 1.43 1.26 1.33 1.75
기재 부착력 5B 5B 5B 5B 5B 5B 5B 5B 5B 5B 5B 5B
친수화정도 ×
표면 끈적임 ×
도막의 깨짐성 × ×
◎ : 매우양호, ○ : 양호, △ : 보통, × : 나쁨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6은 수지도료의 입자계를 변화시킨 투명기재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1)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멀젼 1g,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산액 9g을, 입자계로는 입경 3~5μm, 밀도 0.94인 고형분 20% 폴리에틸렌 수계 분산액 0.5g을, 보조제로는 저분자량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을, 용매 및 첨가제로서 증류수 50g, 이소프로필 알코올 6g을 상온에서 고속 교반한 후에 (주)새한사 0.3mm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에 메이어바#7으로 코팅하여 건조 오분에 80℃/40초 건조하여 코팅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광학적 특성, 부착력, 친수화 정도, 표면의 끈적거림, 도막의 깨짐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2) 입자계로는 입경 1μm 이하, 밀도 0.97인 고형분 40%의 폴리에틸렌 수계 분산액을 0.1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3) 입자계로는 입경 10~20μm, 밀도 0.97인 고형분 20%의 폴리에틸렌 수계분산액 0.1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4) 입자계로는 입경 ~5μm, 밀도 0.93인 고형분 35%의 폴리프로필렌 0.1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5) 입자계로는 입경 ~10μm, 밀도 1.04인 고형분 50%의 폴리에틸렌/폴리테트라메틸에틸렌 0.1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6) 입자계로는 입경 3~5μm의 고형분 50%인 금속/유기산화합물 0.1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3) 입자계로는 입경 3~5μm인 친수화 처리된 다공성실리카 입자를 0.1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 및 비교예3을 표2로 요약하였다.
구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비교예3
광투과도 87.5 90.2 89.5 89.8 89.6 90.0 90.2
흐림도 4.53 0.12 4.82 1.52 1.43 1.35 0.81
기재접착력
분산안정성
표면평활성 ×
도막깨짐성
◎ : 매우양호, ○ : 양호, △ : 보통, × : 나쁨
실시예17)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 1g,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산액 9g을, 입자계로는 입경 3~5μm, 밀도 0.94인 고형분 20% 폴리에틸렌 수계 분산액 0.5g을, 보조제로는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 에멀젼 0.02g을, 용매 및 첨가제로서 증류수 50g, 이소프로필 알코올 6g을 상온에서 고속 교반한 후에 (주)새한사 0.3mm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에 메이어바#7으로 코팅하여 건조 오분에 80℃/40초 건조하여 코팅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광학적 특성, 부착력, 친수화 정도, 표면의 끈적거림, 도막의 깨짐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8) 보조제로는 지방산에스테르계 왁스에멀젼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수지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1과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 실시예 17은 코팅도막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표면 윤활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18은 광학적 특성 및 인쇄적성이 우수하나 표면 윤활성 증가가 낮았다.
이하,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3은 실제로 라인 테스트를 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19) 수지계로는 고형분 45%, 유리전이온도 98℃의 스타일렌 변성 음이온형 아크릴 에머젼 1kg과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 분산액 9kg를, 입자계로는 입경 3~5μm, 밀도 0.94인 고형분 20%인 폴리에틸렌 수계 분산액 0.1kg을, 보조제로는 저분자량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 0.03kg을, 용매 및 첨가제로서 증류수 50kg, 이소프로필 알코올 6kg과 웨팅 등 표면 조절첨가제 0.02kg을 밀폐된 용기에서 상온에서 고속 교반한 후 200메쉬필터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주)새한사 0.3mm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공압출 라인의 인라인 코팅라인에 180메쉬 순방향 그라비아 롤코팅 방식으로 코팅하여 80~120℃/10~60초 열풍순환 방식의 건조 오븐을 통과하여 코팅을 하였다. 코팅된 시트는 두께 0.3mm, 가로 1,100mm, 세로 800mm로 절단되어 2000매 기준으로 적재하였다.
코팅된 비정질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시트의 항불럭킹성, 광학특성, 윤활특성, 기재접착력, 인쇄적성, 도막의 깨짐성을 평가하였으며, 도료의 분산안정성도 평가하였다.
실시예20) 수지계로는 폴리에틸렌 수계 분산액 0.2k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9와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21) 수지계로는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산액 10k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입자계, 보조제, 용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9와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22) 수지계로는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산액 10kg을 사용하였으며, 입자계는 입경 3~5μm의 고형분 50%의 금속 /유기산 화합물 0.1k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 보조제, 옹매 및 첨가제는 실시예19와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23) 수지계로는 고형분 33%의 음이온형 방향족 폴리우레탄 아크릴 공중합체의 분산액 10kg을, 입자계는 입경 3~5μm의 고형분 50%의 그목/유기산 화합물 0.15kg을, 보조제로는 폴리에테르 변성실리콘 에멀젼 0.02kg을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게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항블럭킹성
광투과도 90.1 89.9 90.2 90.0 90.5
흐림도 1.44 1.65 1.34 1.47 1.63
윤활특성 ○(22°) ○(21°) ○(20°) ○(20°) ◎(17°)
기재접착력 5B 5B 5B 5B 5B
인쇄적성
도막깨짐성
◎ : 매우양호, ○ : 양호, △ : 보통, × : 나쁨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계도료를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시트에 인라인 공정으로 0.01~10μm 코팅한 결과 우수한 항블록킹 및 윤활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투과율은 85% 이상 흐림도는 3이하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지마찰계수는 0.4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투명 기재, 특히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에 적용 가능한 투과도가 높고 낮은 흐림도를 지니며, 높은 인쇄적성 및 재수성을 지니는 수계도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계도료를 코팅한 투명 기재, 특히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시트는 대단위 롤의 권취 또는 시트의 적재에도 우수한 항블럭킹 및 표면윤활 특성을 지니므로, 장시 보관 및 습도에서도 물성의 변화가 적은 투명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수계아크릴 수지, 수계우레탄 수지, 수계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계;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로우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아크릴(PMMA) 중에서 선택된 유기계와 금속/유기산 착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0.01~20μm의 입경인 입자계; 및
    용매와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계도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도료에는,
    유기변성실록산, 유기변성실록산 에멀젼,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항블럭킹/윤활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도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계는 0.1~10μm의 구상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도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계는 방향족 특성을 지니는 분자를 갖는 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도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계는 수지 고형분 대비 1~5%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도료.
  6. 수계도료를 코팅한 투명기재에 있어서,
    상기 수계도료는,
    수계아크릴 수지, 수계우레탄 수지, 수계우레탄/아크릴 공중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계;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로우르에틸렌(PTFE), 폴리메틸메타크릴(PMMA) 중에서 선택된 유기계와 금속/유기산 착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0.01~20μm의 입경인 입자계; 및
    용매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도료에는,
    유기변성실록산, 유기변성실록산 에멀젼,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항블럭킹/윤활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는 비정질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도료의 코팅은 인라인 공정으로 두께 0.01~10μm 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기재.
KR1020040081333A 2004-10-12 2004-10-12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KR20060032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333A KR20060032395A (ko) 2004-10-12 2004-10-12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333A KR20060032395A (ko) 2004-10-12 2004-10-12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395A true KR20060032395A (ko) 2006-04-17

Family

ID=3714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333A KR20060032395A (ko) 2004-10-12 2004-10-12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23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84B1 (ko) * 2006-06-30 2007-12-10 동부제강주식회사 금속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아연계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787737B1 (ko) * 2006-06-30 2007-12-24 동부제강주식회사 내식성 및 분체 도장성 등이 우수한 환경 친화형 합금화용융아연도금 강판 제조 방법 및 그 표면처리 조성물
KR101414238B1 (ko) * 2012-05-23 2014-07-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84B1 (ko) * 2006-06-30 2007-12-10 동부제강주식회사 금속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한 아연계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787737B1 (ko) * 2006-06-30 2007-12-24 동부제강주식회사 내식성 및 분체 도장성 등이 우수한 환경 친화형 합금화용융아연도금 강판 제조 방법 및 그 표면처리 조성물
KR101414238B1 (ko) * 2012-05-23 2014-07-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2122B (zh) 粘合片、触摸面板用上部电极及图像显示装置
EP0960900B1 (en) Thermoplastic laminate film
KR101113598B1 (ko) 항블록킹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I498391B (zh) 透明被覆膜形成用塗佈液及附有透明被覆膜之基材
EP3080211A1 (en) Water based printable coatings
JP2009107171A (ja) 光学用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41172A (ko) 이형 필름, 필름 적층체,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096881A (ko) 대전방지 중박리 실리콘 이형필름
JP2008023923A (ja)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6150976A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2006281498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S2543406T3 (es) Película termocontraíble
KR20060032395A (ko) 우수한 표면 윤활 및 항블럭킹 특성을 지니는 수계도료 및이를 코팅한 투명기재
KR101049527B1 (ko) 이형필름
Buddingh et al. Hard Epoxy Coating with Lasting Low Ice Adhesion Strength
KR101348955B1 (ko) 이형필름
JP7200475B2 (ja) 3次元構造形成用組成物及び3次元構造形成方法
WO2023093752A1 (en) Waterborne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KR101540427B1 (ko) 무광이형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8661B1 (ko) 대전방지용 수분산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37677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5443302A (zh) 聚酯离型膜及其制备方法
EP0916705A2 (en) Thermoplastic coating compositions
KR10122324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93792B1 (ko) 올리고머 차단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