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148A - 저속 소거가능 및 고속 기록가능한 상변화 매체와, 그매체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저속 소거가능 및 고속 기록가능한 상변화 매체와, 그매체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148A
KR20060032148A KR1020057024722A KR20057024722A KR20060032148A KR 20060032148 A KR20060032148 A KR 20060032148A KR 1020057024722 A KR1020057024722 A KR 1020057024722A KR 20057024722 A KR20057024722 A KR 20057024722A KR 20060032148 A KR20060032148 A KR 2006003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crystalline
data
mod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베르트 마르텐스
덴 에텔라르 로날드 반
러드 블루터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3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4Recording involving phase-change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5Erasing
    • G11B7/00557Erasing involving phase-change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82Meand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8Post-production operations, e.g. initialising phase-change recording layers, checking for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Lubricant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상변화 매체, 상변화 매체를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은, 고속으로 기록하고 저속으로 소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 제안된 저속 소거 옵션은, 그 매체(또는 매체의 일부)를 미사용 상태로 놓도록 전체 매체(또는 매체의 일부)에 적용될 수 있는 포맷팅 옵션으로서 보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데이터를 직접 오버라이트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그 데이터를 먼저 저속으로 소거한 후 새로운 데이터를 고속으로 상기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는,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의존하는 선형속도에서 회전되고, 기록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와 같거나 그 보다 낮다. 응용: DVD+R 고속.
상변화 매체, 구동장치, 결정질, 비정질, 선형속도

Description

저속 소거가능 및 고속 기록가능한 상변화 매체와, 그 매체의 구동장치{A PHASE CHANGE MEDIUM ERASABLE AT LOW SPEED AND RECORDABLE AT HIGH SPEED AND A DRIVING DEVICE FOR SUCH A MEDIUM}
본 발명은 상변화 광학 저장매체, 상변화 광학 저장매체 구동장치 및 상변화 광학 저장매체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변화 광학 저장매체는, 초기에 비정질 상태이고, 제조공정 중에 결정질 상태로 놓여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다. 데이터는, 상변화 매체를 결정질 상태로부터 비정질상태로 변화하는 온도까지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주변 결정질 영역과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비정질 마크를 생성하여서 상변화 매체에 기록된다.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비정질 상태로의 변화는, 고속으로 이루어져, 그 매체는 고저장 밀도와 고기록 속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매우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 DVD+R 표준과 호환하는 상변화 매체는, 16x까지 속도를 증가하여 기록될 수 있고, 이때, x는, 기준속도라고 불리는 매체를 판독하는 속도이다(DVD+R은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R은 기록가능함을 나타냄)에 대한 약자).
EP 특허 0286406 B1에서 언급된 것처럼, 상변화 매체는, 비정질 마크의 재결정화가 적절한 가열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재기록가능하다. 그러나, 또 EP 특허 0286406 B1에서 언급된 것처럼,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질 상태로 돌아가는 변화는, 종래의 상변화 매체와 비교하여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EP 특허 0286406 B1은 기록층이 새로운 재료로 이루어진 상변화 매체를 제안한다. 이러한 새로운 재료로, 기록 및 소거 모두를 고속으로 할 수 있다.
EP 특허 0286406에 기재된 형태의 고속 재기록가능형 상변화 매체는, 고속 소거능력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기록능력을 필요로 하지만 그것에 대해 정말로 재기록 가능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이는, 청구항 1 내지 6 중 하나에 기재된 장치와, 청구항 7에 기재된 매체와, 청구항 8에 기재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비정질상태와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최대 결정질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상변화 매체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 상기 재료를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비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상변화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와, 상기 재료를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 돌아가게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조작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 상기 매체를 주사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수단과,
-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수단과,
-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의존하는 선형속도에서 상기 매체를 회전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기록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와 같거나 이 속도보다 낮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비정질 상태로 상기 재료를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상변화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와, 상기 재료를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 돌아가게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가능한 조작모드 중에서, 사용자 선택을 판독하는 단계와,
- 상기 매체를 주사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와,
-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의존하는 선형속도에서 상기 매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록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속도와 같거나 이 속도보다 낮다.
본 발명에 따른 상변화 한번 기록 다수 판독 매체는,
a) 상기 매체가 적절한 선형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적절한 전력의 레이저로 가열될 때, 비정질상태와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최대 결정질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층과,
b) 워블이,
- 상기 재료를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비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기록전력과 기록 선형속도라고 하는 전력과 선형속도의 값과,
- 상기 재료를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소거전력과 소거 선형속도라고 하는 전력과 선형속도의 값을 포함하되,
- 상기 기록속도가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속도가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 이하인, 매체관련 정보를 갖는, 워블 트랙을 구비한다.
본 특허 출원의 발명자들이 아는 것은, 종래의 상변화 기술은, 고속 기록능력을 필요로 하지만 그것에 대해 정말로 재기록가능 능력을 필요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성공적 으로 시험된 스케치로부터의 비디오 콘텐트의 복사가 있다.
또한, 발명자가 아는 것은, 한번 기록 다수 판독(WORM) 매체의 단점은,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나 기록 조작이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매체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상변화 매체, 상변화 매체를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은, 고속으로 기록하고 저속으로 소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 제안된 저속 소거 옵션은, 그 매체(또는 매체의 일부)를 미사용 상태로 놓도록 전체 매체(또는 매체의 일부)에 적용될 수 있는 포맷팅 옵션으로서 보여져야 한다. 상기 제안한 상변화 매체, 구동장치 구동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직접 오버라이트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 데이터를 먼저 저속으로 소거한 후 새로운 데이터를 고속으로 상기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안된 매체는, 정말로 재기록가능하지 않다.
상기 제안된 본 발명은, 사람들에게 대부분의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게 잘 적응시켜진 고속 기록능력을 갖는 상대적으로 값싼 매체를 제공하고, 사람들에게 필요한 경우 그 매체를 포맷팅하는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최종 사용자에 대해 아주 흥미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안된 발명은, DVD+R 고속 애플리케이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이들 내용과 다른 국면들을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예의 개략도,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 도 3은 기록가능형 매체를 구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블록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매체(1)를 나타내고, 도 1a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의 작은 일부를 나타내고, 도 1b는 매체(1)의 일부(2)를 확대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매체(1)는, 각각 나선형 선(3)의 360도 회전을 이루는 트랙들을 갖는 디스크이다. 각 트랙은, 그루브(4)와 랜드(5)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상기 매체(1)는 투명기판(7)에 적층되고 보호 코팅(8)에 의해 덮여진 기록층(6)을 갖는다. 데이터는 그루브(4)에 기록된다. 트랙들은, 기판(7)을 통해 매체(1)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주사된다. 그 트랙들은, 평균 중심선으로부터 연속적인 정현파 편차를 갖는다. 이러한 정현파 편차를 워블이라고 한다. 일부의 표준에서, 워블은 정보를 반송하도록 변조된다. 이를테면, DVD+R에서, 상기 워블은 위상변조된다.
상기 매체는, 상기 기록층(6)이 비정질 상태와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변화 매체이다. 데이터는, 그 매체를 결정질 상태로부터 비정질 상태로 변화시키는 온도까지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주변 결정질 영역과 다른 반사율을 갖는 비정질 마크를 생성하여서 기록된다. 이와는 반대로, 데이터는, 그 매체를 비정질 상태를 결정질 상태로 변화 시키는 온도까지 국부적으로 가열시켜서 소거된다.
기록층(6)의 재료는, 상기 비정질상태로 상기 결정질 상태로 변화를 할 수 없는 최대 결정질 속도를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매체(1)를 구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의 예를 나타낸다. 이 장치(10)는, 특히 광학부(20), 버스(22), 마이크로프로세서 어셈블리(24), 사용자 인터페이스(26), 소스 인코더/디코더(28), 채널 디코더(30), 채널 인코더(32), 서보 블록(34), 모터 제어부(35) 및 워블 처리블록(36)을 구비한다. 상기 소스 인코더/디코더(28)는, (예에 의하면, 호스트 시스템(37)이 PC, 오디오 재생기, 비디오 재생기,...일 수 있음) 호스트 시스템(37)에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어셈블리924), 사용자 인터페이스(26), 소스 인코더/디코더(28), 채널 디코더(30), 채널 인코더(32), 서보 블록(34), 모터 제어부(350 및 워블 처리블록(36)은, 버스(22)에 접속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 호스트 시스템(37)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기록층의 재료를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비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매체(1)에 기록하는 기록모드와,
- 매체(1)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층의 재료를 비정질 상태로부터 결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소거하는 소거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판독모드는, 매체(1)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호스트 시스템(37)에 전달하는데 사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부(20)는, 특히 포커싱 대물렌즈(42)를 포함하는 광학계에 의해 매체(1)의 트랙 상에 보내지는 레이저 빔(41)을 발생하는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방사원(38)을 구비한다. 이 방사원(38)은, 방사원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된다. 그 방사원 제어부(40)는, 버스(22)에 접속되어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레이저 빔(41)의 전력을 제어한다.
대표적으로, 방사원 제어부(40)는 방사원(38)을 구동하여서, 상기 생성된 레이저 빔(41)은,
- 상기 선택된 모드가 판독모드인 경우의 저전력과,
- 상기 선택된 모드가 소거모드인 경우의 중간 전력과,
- 상기 선택된 모드가 기록모드인 경우의 고전력을 갖는다.
예시에서는, 판독전력을 0.7mW±0.1mW로 하고, 기록전력을 16x의 기록 선형속도에 대해 35mW 사이(이 기록전력은 기록 선형속도에 의존함)로 하며, 그리고 소거전력을 5mW∼10mW로 한다.
레이저 빔(41)은, 매체(1) 사이에 작은 스폿(43)을 생성한다. 트랙을 주사하기 위한 상기 스폿(43)에 대해, 상기 매체는 모터(45)에 의해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모터(45)는 모터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된다. 그 모터 제어부(35)는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모터의 선형속도를 변형한다. 일반적으로, 판독모드에서 사용된 선형속도는 기준속도라고 하고 x로 나타낸다. DVD+R표준의 예시에서, 그 판독속도는 x=3.49ms-1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 기록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사용된 선형속도는 하이(high)이고(그 속도는 16x까지일 수 있다);
- 소거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사용된 선형속도는 로우(low)이고; 그 속도는 기록층(6)을 위해 사용된 재료에 의존하는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낮은 것으로, 대표적으로 1x∼2.4x에 포함된다.
레이저 빔(41)은 매체(1)에서 반사된다. 투영된 빔과 반사된 빔을 빔 스플리터(46)(예를 들면, 부분 투과 미러)로 구별하여 분리할 수 있다. 그 반사된 방사빔(47)은 광 검출기(50)에 전달된다. 광 검출기(50)의 방사선 감지 표면은 복수의 상한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광전류를 발생한다. 도 2에서, 4-상한 광 검출기(50)는, 참조번호 QA,QB,QC,QD를 각각 갖는다. 이들은 4개의 광전류 A, B, C 및 D를 발생한다.
상기 4개의 광전류 A, B, C 및 D는,
- 서보 블록(34)에 입력된 약간의 차이신호와,
- 워블 처리 블록(36)에 입력된 워블신호와,
- 채널 디코더(30)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전처리 블록(60)에 보내진다.
상기 서보 블록(34)은, 광학부(20)를 제어할 수 있다(광학부(20)를 위치결정하고, 레이저 빔(41)을 포커싱하고, 나선형 선(3)을 트랙킹할 수 있다).
워블 처리블록(36)은, 워블신호를 처리하여 그 워블신호에 의해 실린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채널 디코더(30)는, 소스 인코딩된 데이터를 광학부(20)에서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인코딩된 데이터는, 디코딩되기 위해서 소스 인코더/디코더(28)로 보내진다. 결국, 그 디코딩된 데이터는, 호스트 시스템(37)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시스템(37)은, 매체(1)에 기록되도록 구성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는, 소스 인코더/디코더(28)에 의해 인코딩된다. 그 후, 소스 인코딩된 데이터는, 채널 인코더(32)에 의해 처리된다. 채널 인코딩된 데이터는, 방사원 제어부(40)에 인가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상기 워블신호는 정보(보통 물리적 포맷 정보)를 갖도록 변조된다. DVD+R 표준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어드레스 인 프리그루브(또는 ADIP(Address-in-Pregroove)라고 부른다. 특히, 그 ADIP는 판독 및 기록전력과 판독 및 기록 선형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현재, 표준에서 정의된 ADIP와 비교하여 추가의 정보를 전송하는 능력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거전력과 소거 선형속도는, ADIP의 일부로서 전송된다. 이것은, ADIP 정보가 제조단계 동안 매체 그 자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정보는, 나중의 단계에서 디스크에 기록될 필요는 없고 제거도 변경도 될 수 없다.
이와는 달리, 소거전력과 소거 선형속도는, (매체의 기록가능 영역에 있는) 매체의 정보 구역에 기록될 수 있거나, 장치(10)에 저장될 수 있다.
매체의 부분적인 기록과 그 다음의 데이터의 부분적으로 기록된 매체에의 부 가를 할 수 있도록, 멀티 세션의 개념을 여러 가지 표준에서 도입하였다. 이를테면, DVD+R 표준과 호환하는 매체는, 단일 세션 또는 복수의 세션을 포함하여도 된다. 콘텐트 테이블이라고 하는 테이블은, 정보 구역의 처음에 저장되고 디스크에의 기록에 대한 필요한 정보(특히, 세션의 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매체에서 소거될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테면, 소거된 영역은 하나의 세션, 복수의 세션 또는, 전체 정보 구역이어도 된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세션(들)을 선택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어셈블리(24)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콘텐트 테이블에서 상기 선택된 세션(들)의 위치를 복원하여 그 서보블록(34)을 구동시킨다. 이 때문에, 레이저 빔(41)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세션(들)의 위치만을 주사하도록 제어된다. 하나 이상의 세션들을 소거한 후, 콘텐트 테이블을 갱신하여 상기 소거된 세션(들)에 대한 레퍼런스를 제거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것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옵션이거나, 다른 소거 옵션이 사용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매체가 소거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어셈블리(24)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콘텐트 테이블에서 기록된 매체의 영역들의 위치를 체크한다. 이러한 정보는, 기록되지 않은 매체의 부분들을 소거처리동안 건너뛰는데 사용된다(이에 따라서, 서보블록(34)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지시를 받는다). 본 실시예는, 전체 소거처리를 위해 필요한 시간의 양이 감소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저속으로 소거를 행하므로 보다 긴 처리이다; 즉, 대표적으로 1시간 내지 2시간 걸린다).
도 3의 블록도는, 매체(1)를 구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 박스 100에서는, 매체(1)를 장치(10)에 도입하고,
- 그 후, 박스 101에서는, 필요한 정보, 특히 매체(1)에서 사용되는 소거전력 및 소거 선형속도를 포함한 ADIP 정보를 매체(1)로부터 복원하고,
- 박스 102에서는, 기록 모드 W, 소거모드 E 및 옵션으로 판독모드 R을 포함한 복수의 조작모드 중에서 하나의 조작모드를 사용자가 재빠르게 선택하고,
- 그리고, 박스 103에서는,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주사되는 위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콘텐트 테이블을 조사하고,
- 박스 104에서는,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전력 P와 선형속도 S를 설정하고,
- 박스 105에서는, 적절한 전력의 레이저 빔으로 적절한 위치에서 매체를 주사하고 또한, 적절한 선형속도로 매체를 회전시켜 매체를 판독 또는 기록 또는 소거하며,
- 박스 106에서는, 적용가능한 경우, 콘텐트 테이블을 갱신한다.
상술한 상변화 저장매체,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경 또는 개선하여도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공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본 발명은 DVD+R 표준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워블은 위치정보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변조된 신호이지 트랙킹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제한적이지 않다. 그 워블신호는, 종래의 "1스폿 푸시풀" 또는 "3스폿 푸시풀" 방법에 대한 대안 으로서 트랙킹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워블신호의 종류(순수한 주기적 또는 변조된 신호)에 상관없이 적용가능하고, 그 워블신호가 사용되는(트랙킹 및/또는 정보 반송을 위해 사용되는) 방식에 상관없이 적용가능하다. 그 워블이 변조되지 않은 경우, 사용되는 전력 및 선형속도에 관한 정보는, 매체의 정보구역에 위치되어야 한다.
도 2의 실시예는, 4 상한 광검출기를 사용한다. 이것은 제한적이지 않다. 이를테면, 주사되는 트랙들의 방향에 평행하게 분할선이 움직이게 하는 2개의 세그먼트 광 검출기는, 4 상한 광 검출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의 사용은,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서 열거된 것들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8)

  1. 비정질상태와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최대 결정질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층(6)을 갖는 상변화 매체(1)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재료를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비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상변화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와, 상기 재료를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 돌아가게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조작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조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6)와,
    상기 매체를 주사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수단(40)과,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의존하는 선형속도에서 상기 매체를 회전시키는 수단(72)을 구비하되, 상기 기록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와 같거나 이 속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더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모드에서 사용되는 전력과 선형속도의 값을 상기 매체에서 판독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매체에서 소거될 데이터의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거모드에서의 상기 데이터 영역만을 주사하는 수단(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저장된 기록된 영역의 리스트에서 상기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의 영역의 상기 매체 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의 영역이 소거된 후 상기 기록된 영역의 리스트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영역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한 매체의 영역(들)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레이저 빔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거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의 영역(들)만을 주사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7. a) 상변화 매체가 적절한 선형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적절한 전력의 레이저로 가열될 때, 비정질상태와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최대 결정질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층과,
    b) 워블이,
    - 상기 재료를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비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기록전력과 기록 선형속도라고 하는 전력과 선형속도의 값과,
    - 상기 재료를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 국부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소거전력과 소거 선형속도라고 하는 전력과 선형속도의 값을 포함하되,
    - 상기 기록 선형속도가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 선형속도 가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 이하인, 매체관련 정보를 갖는, 워블 트랙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매체.
  8. 비정질상태와 결정질 상태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최대 결정질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상변화 매체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비정질 상태로 상기 재료를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상변화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와, 상기 재료를 상기 비정질 상태로부터 상기 결정질 상태로 돌아가게 국부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가능한 조작모드 중에서, 사용자 선택을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매체를 주사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의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조작모드에 의존하는 선형속도에서 상기 매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록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보다 매우 높고, 상기 소거모드에서 인가된 선형속도는 상기 최대 결정질 속도속도와 같거나 이 속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방법.
KR1020057024722A 2003-06-26 2004-06-22 저속 소거가능 및 고속 기록가능한 상변화 매체와, 그매체의 구동장치 KR20060032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300039 2003-06-26
EP03300039.9 2003-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48A true KR20060032148A (ko) 2006-04-14

Family

ID=3352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722A KR20060032148A (ko) 2003-06-26 2004-06-22 저속 소거가능 및 고속 기록가능한 상변화 매체와, 그매체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81986A1 (ko)
EP (1) EP1642269B1 (ko)
JP (1) JP2007516539A (ko)
KR (1) KR20060032148A (ko)
CN (1) CN1813290A (ko)
AT (1) ATE398327T1 (ko)
DE (1) DE602004014378D1 (ko)
WO (1) WO2004114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4112A1 (en) * 2005-12-23 2007-08-01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recording o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7894153B2 (en) * 2008-02-08 2011-02-22 Lenovo (Singapore) Pte. Ltd. Secure data disposal for disk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053A (en) * 1984-11-09 1988-01-05 Hitachi, Ltd. Optical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and erasing information
NL8801910A (nl) * 1987-11-24 1989-06-16 Pioneer Electronic Corp Werkwijze voor het registreren en weergeven van informatie met betrekking tot een optische schijf van de soort met variabele-fase.
US5063097A (en) * 1988-12-16 1991-11-05 Toray Industries,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JP3323782B2 (ja) * 1997-09-09 2002-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
US6996052B1 (en) * 1998-09-09 2006-02-0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thod
US6377526B1 (en) * 1999-04-01 2002-04-23 Plasmon Ide, Inc. Erasable WORM optical disk and method of writing thereto multiple times
EP1117094B1 (en) * 2000-01-17 2012-11-21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Recording method for phase-change recording medium
US20020126602A1 (en) * 2001-01-11 2002-09-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on a multilayer record carrier using feed forward power control
JP2002245635A (ja) * 2001-02-21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データ消去装置及び光ディスクデータ消去方法
KR100411336B1 (ko) * 2001-03-29 2003-12-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되쓰기형 광기록매체용 상변화형 광기록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14288A1 (en) 2004-12-29
DE602004014378D1 (de) 2008-07-24
JP2007516539A (ja) 2007-06-21
EP1642269B1 (en) 2008-06-11
ATE398327T1 (de) 2008-07-15
US20060181986A1 (en) 2006-08-17
EP1642269A1 (en) 2006-04-05
CN1813290A (zh)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463E1 (en) Multi-lay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718831B1 (en) Recording method for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20126602A1 (en) Recording on a multilayer record carrier using feed forward power control
US601850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land/groove track on optical recording medium
US20050068865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KR100234961B1 (ko) 광기록재생장치
KR100429751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
KR20060032148A (ko) 저속 소거가능 및 고속 기록가능한 상변화 매체와, 그매체의 구동장치
KR100546253B1 (ko) 광정보기록방법및장치
US7561507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1052373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H05166187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346339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記録方法
JP3968036B2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3085594B2 (ja) 情報記録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56668B2 (ja) 書換え形光ディスクのサイドイレーズ防止方法
JP4389920B2 (ja) 光ディスク描画装置
JP2000195055A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345782B2 (ja) 光ディスク描画方法
JPH064867A (ja) 光学情報記録方法と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S59140638A (ja) 情報記録方法
JPH0648537B2 (ja) 繰返し記録可能な情報記録媒体円盤の記録再生装置
JP2004133980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記録制御方法
JPH0130362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0105967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および光ディスクのソフトフォーマッ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