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798A -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798A
KR20060031798A KR1020057021255A KR20057021255A KR20060031798A KR 20060031798 A KR20060031798 A KR 20060031798A KR 1020057021255 A KR1020057021255 A KR 1020057021255A KR 20057021255 A KR20057021255 A KR 20057021255A KR 20060031798 A KR20060031798 A KR 20060031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lip clutch
clutch
drive shaf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너스 헨리쿠스 마리아 슈넨
Original Assignee
엔.브이.홀딩 누트스베드리즈프 웨스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홀딩 누트스베드리즈프 웨스트랜드 filed Critical 엔.브이.홀딩 누트스베드리즈프 웨스트랜드
Publication of KR2006003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00Pelme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Greenhous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차양막(11, 12, 33, 34)을 감거나 풀기 위한 장치(1)는 전동 장치가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구동 샤프트를 갖는 단일의 구동 모터(3)를 포함한다. 각 전동 장치는 거의 수평의 튜브(9, 10)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튜브는 차양막(11, 12)의 감기와 풀기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동 장치(7, 8)는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슬립 커플링을 갖는다. 전동 장치(7, 8)의 차단된 상태에서, 튜브는 고정되지만 구동 샤프트(4)는 차단되지 않은 추가의 튜브의 작동을 위한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단 하나의 구동 모터(3)만이 필요하지만, 튜브(7, 8)는 관련 차양막(11, 12)을 약간 감거나 풀기 위해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DEVICE FOR ROLLING UP/ROLLING DOWN A SHADE}
본 발명은 2개의 차양막(11, 12, 33, 34)을 개개의 회전 가능한 튜브(9, 10, 32)에 대해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구동 모터(3)와, 이 구동 모터와 상기 각각의 튜브(9 10, 12)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전동 장치와, 상기 튜브 중 하나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마련되는 커플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국제 특허 출원 제PCT/NL02/0079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차양막에 확실하게 작용하는 권취(winding)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작 및 종료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이 장치는 고장 없이 장기간, 즉 수년간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된 장치는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다. 이 구동 모터와 튜브 사이에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구동 샤프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 샤프트로부터 상기 튜브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튜브에 연결되어 있는 전동 장치가 축선 방향으로는 변위 가능하지만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얻어진 개량품은 손상되기 쉽고 설치하기에 곤란한 고가의 튜브 모터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다. 대신에, 프레임에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간단한 모터를 사용한다. 기존의 것일 수 있는 전동 장치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차양의 경우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가 제공된다. 전술한 전동 장치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러한 수직 이동은 전동 장치에 연결된 튜브에서 차양의 롤링 업 또는 롤링 다운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샤프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보다 융통성 있는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장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상기 커플링이 클러치용 작동 수단에 의해 결합 해제 위치와 결합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전기 작동식 클러치와, 온도, 빛, 습도, 풍력 등과 같은 주위 환경의 파라미터와 관련한 신호 및/또는 상기 작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감기지 않은 길이 등과 같은 차양막의 조건과 관련한 신호용의 입력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제어 유닛(55)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차양막은 제어 유닛을 통해 원하는 모드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온실의 내부 조건과 외부 조건이 모두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차양막이 단일의 구동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임의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작동식 클러치를 마련하면, 상기 차양막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모터의 동작과 무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자체적인 전기 작동식 커플링이 각 차양막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국제 특허 출원 제PCT/NL02/007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 수단은 주위 환경 및/또는 차양막의 상태로부터 얻은 데이터에 상응하는 값에 따라 좌우되는, 튜브의 위치 및/또는 감기지 않은 튜브의 길이와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과부하가 걸린 경우에 효과적인 클러치, 즉 조정 가능한 클러치를 전동 장치에 설치함으로써, 구동 샤프트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전동 장치당 최대 토크(조정 가능한 최대의 롤링 업 힘)를 제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러한 제한은 조정 가능한 정지부(시작/종료)에 의해 실시될 수 있게 된다. 두 경우 모두 클러치는 작동 상태로 되고, 그 결과 롤러 튜브의 구동 샤프트에 대한 연결 해제는 모멘트가 제한된 상태로 일어난다. 조정 가능한 미끄럼 작용 클러치와 함께 모터와 튜브 사이의 제동 특성을 이용하면, 롤업 튜브는 롤업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서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풀리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제동 특성은, 예컨대 워엄 휠(worm wheel)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동 장치에서 비교적 간단한 트랜스미션을 충족시키도록, 구동 모터에 제동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놓이는 3개의 차양막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지 않거나 단지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반면에, 나머지 차양막을 사실상 완전히 폐쇄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따르면, 구동 샤프트를 주기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양막이 완전히 폐쇄되는 것이 주기적으로 보장되므로,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는 않은 임의의 차양막은 이제 완전히 폐쇄될 것이다. 물론, 이는 개방에도 적용된다.
차양막이 수납되어 있는 튜브에 전동 장치의 출력 샤프트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회전 모멘텀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체 또는 전동 장치의 가이드는 본래 불필요하다. 이러한 힘은 튜브에 의해 수신된다. 그 밖의 경우에서는, 전동 장치를 프레임 또는 온실 등을 따라 독립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하기 위한 전술한 장치는 또한 소위, 트윈 차양막(twin shade)의 경우에도, 즉 2개의 차양막이 서로의 위에 말려지게 되는 튜브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차양막 중 하나는 그 위에 위치하는 이동 불가능한 체결 장치에 전술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한편, 다른 차양막은 추가 달린 자유단을 구비하여 아래쪽으로 매달린 상태로 연장된다.
또, 상기 장치는 추가의 이동 불가능한 상부 체결 장치 및 차양막을 수납하고 풀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에서 이동할 수 있는 추가의 회전 가능한 튜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차양막과, 상기 구동 샤프트에서 상기 추가의 튜브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 샤프트 상에서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구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이 불가능한 추가의 전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전동 장치에는 추가의 클러치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장치를 하나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하고, 높이 및/또는 요구되는 토크가 다른 다수의 장치를 하나의 구동 장치에 의해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이들 장치는 온실의 수평 트러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클러치 및 이를 위해 끼워지는 정지부 등의 작동 수단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회전 중에, 각 전동 장치 및 나아가 각 차양막이 정확한 운동을 과부하 발생 없이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차양막이 감기게 되는 수많은 튜브가 단일의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구동 샤프트가 단일의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양막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수평으로 맞춰지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차양막이 감기게 되는 튜브는 평형추 또는 다른 기구(스프링)에 의해 팽팽하게 유지된다.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수평 차양막 뿐만 아니라, 수직 차양막 또는 소정 각도로 배치된 차양막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온도, 빛, 습도, 풍력, 시간 등과 같은 주위 환경 파라미터의 변수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이 값(들)을 기초로 하여 튜브의 위치 및/또는 감기지 않은 차양막의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와,
차양막을 롤링 또는 언롤링시키기 위해 튜브의 회전 구동 장치를 여기시키는 단계와,
원하는 튜브의 위치 및/또는 원하는 감기지 않은 차양막의 길이에 도달된 경우에 슬립 클러치의 미끄러짐 작동 수단을 여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추가의 튜브의 원하는 위치 및/또는 감기지 않은 추가의 차양막의 원하는 길이가 달성되었을 때에 추가의 슬립 클러치의 미끄러짐을 위한 다른 작동 수단을 여기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수의 차양막이 단일의 구동 기구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이점은 현저해진다. 그러한 차양막은 상이한 방식으로 작동되지만, 단일의 구동 기구가 필요하다. 작동은 예를 들면, 에너지 절감을 기초로 실현될 수 있다. 온실에서는 예를 들면 구동 튜브가 정면의 내측에서 그 하부에 존재한다. 그러한 경우에, 하부 차양막은 외측 방향으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감기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높게 위치한 차양막은 가능한 보다 많은 빛이 투과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감아 올려져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작동은 제어 유닛에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측정된 실외 온도, 낮 시간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국제 특허 출원 제PCT/NL02/00792호에 개시된 조립체가 마련된 온실 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 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양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동 장치를 도 7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동 장치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8은 전술한 전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는, 국제 특허 출원 제PCT/NL02/00792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체가 도면 부호 1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온실의 프레임은 도면 부호 2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를 위한 별개의 프레임을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온실의 경우에는 이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았었다. 프레임 구조(2)에는 모터(3)가 이동 불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보조 샤프트(4)가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6)가 직각 전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샤프트(6)는 각각 전동 장치(7, 8)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튜브(9, 10)는 각각 차양막(11, 12)을 이동시킬 목적으로 구동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작동 수단(25, 26)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정지부(13, 14)가 존 재한다. 전술한 차양막(11, 12)은 도 1에 수직부(28)의 우측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양막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의 좌측에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동 장치(7, 8)의 상세부가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샤프트(6)에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홈(15)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동 장치는 박스(17)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박스는 가이드(29; 도 3 참조)에 의해 그 자신의 구동 샤프트(6)와 프레임 구조(2)의 T자형 수직부(28)를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기어 슬리브(16) 위에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키형 돌출부(18)가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21)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슬리브(21)가 회전할 수 없지만, 구동 샤프트(6)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슬리브(21)에는 기어 슬리브(16)의 치형 시스템(24)에 대응하게 끼워맞춰져 있는 (조정가능한) 작용 클러치(23)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22)에 의해서, 하나의 치형 시스템(23)은 다른 치형 시스템(24)으로 구동되어, 슬리브(21)에 가해진 회전 운동이 기어 슬리브(16)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부하가 너무 크면, 치형 시스템(23, 24)은 서로 너무 빠르게 이동하여, 슬립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슬립의 모멘트는 스프링의 초기 장력을 조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슬립 또는 연결 해제는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클러치가 도면 부호 20으로 지시되어 있다.
풀리(27)의 립(40)에 작용하는 작동핀(25, 26)이 존재한다.
상방향 이동 또는 하방향 이동 중에, 단부 위치에서 작동핀(25, 26)은 각각 정지부(13, 14)와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정지부는 내측으로 이동하고, 풀리(27)가 회전하는 동안에, 립(40)은 대응하는 작동핀과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슬립이 발생된다. 구동 샤프트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이 있으면, 립(40)이 대응 작동 핀에 접촉하기 전에, 풀리(27)는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회전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박스(17)가 대응 정지부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대응 작동핀이 뒤로 다시 이동하며, 그 결과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모터(3)가 회전하면, 구동 샤프트(6)가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튜브(9, 10)가 회전하게 되어, 차양막(11, 12)은 정지부(13 또는 14)가 각각 도착할 때까지 감아 올려지거나 풀어 내려진다. 그 때, 구동 샤프트(6)와 튜브(9, 10) 사이의 구동 연결이 해제된다. 바꿔 말하면, 튜브(9, 10)의 단부 위치는 각각 정지부(13, 14)에 의해서 결정되고, 구동 샤프트(6)의 회전 종료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다수의 전동 장치를 구동 샤프트(6)에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전술한 클러치(20)가 작동하여, 차양막 또는 구동부에 어떠한 손상도 일으키지 않는다. (조정가능한) 마찰에 의해서, 클러치(20)는 튜브(6)가 정지부 전방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면 튜브(9, 10)가 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는 소위 트윈 차양막이 도시되어 있다. 이중 차양막이 감겨져 있는 중앙 튜브(32)가 존재한다. 상기 이중 차양막은 도면 부호 33 및 34에 의해 지시 되어 있다. 차양막(33)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차양막(11, 12)과 같이 프레임 구조(2)에 이동 불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차양막(34)에는 도면 부호 35로 지시되어 있는 추가 달린 단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단부는 자유스럽게 즉, 원한다면 가이드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한다. 튜브(32)는 튜브(9, 10)의 위치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부품과 대응하는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제공하였다. 현재, 모터(3)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구동 샤프트(6)를 구동하는 앵귤러 전동 장치(5)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전동 장치(7, 8)는 튜브(9, 10)의 하부 위치에서 관련 정지부(14)와 접해 있는 아암(9)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아암(40)은 핀(41) 둘레에서 피봇하여 레버(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레버(42)는 2 개의 레버부(43, 44)를 구비하는데, 이 레버부는 슬립 클러치(23)의 부품(46)에 마련되어 있는 캠(45)의 한 면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이 부품(46)은 베벨 기어(47, 48)와 벨트 전동 장치(49, 50)을 통해 샤프트 스터드(56)와 연결되어 있다. 슬립 클러치의 다른 부품(51)은 구동 샤프트(60)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암이 정지부(14)에 접촉하자마자, 즉 튜브(9, 10)의 하부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레버부(43, 44) 중 하나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장 근접한 캠(45)이 레버부에 대하여 위치된다. 구동 샤프트(6)와 슬립 클러치의 부품(51)이 계속해서 회전하여, 부품(51)이 다른 슬립 클러치의 부품(46)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튜브(9, 10)는 차양막이 더 감기거나 또는 풀리지 않도록 정지된다.
슬립 클러치의 그러한 슬립 효과는 단지 정지부(14)에 대하여 아암(40)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는 획득될 수 없다. 높이 방향에 있는 튜브(9, 10)의 다른 위치에서는 또한, 2개의 솔레노이드(52, 53)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2, 53)는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샤프트(54)를 작동시키며, 이 샤프트 자체가 아암(40)에 연결된다. 1개 또는 2개의 솔레노이드(52, 53)를 작동시킴으로써, 튜브(9, 10)가 임의의 원하는 높이에서 정지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2, 53)에 전기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튜브(9, 10)가 임의의 원하는 높이에서 정지될 수 있다. 다른 튜브(9, 1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거나 또는 정지될 수도 있다. 튜브(9, 10)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팽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샤프트 스터드(56)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5)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유닛(5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사용되는 온실의 외부 환경, 또는 외부 및 내부 환경 양자에 관한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온도, 습도, 풍향, 빛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유닛(55)에는 튜브(9, 10)의 위치, 전동 장치의 위치, 즉 전동 장치이 슬립 상태인지 비슬립 상태인지 등에 대한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미리 프로그래밍된 제어를 기초로 하여, 후속해서 모터(3)를 제어하고, 또한 신호를 솔레노이드(52, 53)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9, 10)가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의 원하는 높이로 조정될 수 있다. 튜브와 연동되어, 차양(11, 12)이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의 원하는 길이로 풀리거나 또는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일의 모터를 사용하여 차양막을 감거나 풀기 위해 여러 튜브들을 작동시키고, 높이 및/또는 공차에 있어서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구동 샤프트를 모터(3)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당한 절약을 얻을 수 있으며,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인하여 튜브 모터에 있어서 보다 긴 서비스 수명이 보장된다. 차양막이 수평으로 변위하는 전술한 실시예는 온실의 지붕 구조 사이의 홈통에 대한 서스펜션에 의해서 특히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만곡된 지붕 구조에서, 카다닉 클러치(cardanic clutch)를 통해 다수의 샤프트(6)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고, 그 사이에서 차양막을 변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내용을 읽어본 후에 즉시 떠오르고,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구동 샤프트 및/또는 차양막이 비수직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얻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의 여러 가지 대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안내 섹션(28)의 구성과 용도 또는 그외의 것에 관하여 여러 가지 가능성과 대안들을 고려할 수 있다.

Claims (19)

  1. 회전 가능한 개개의 튜브(9, 10, 32)에 대해 2개의 차양막(11, 12, 33, 34)을 롤업 및 롤다운하기 위한 장치(1)로서, 단일의 구동 모터(3)와, 이 구동 모터와 각각의 튜브(9, 10, 32)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전동 장치와, 상기 튜브들 중 하나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제공되는 커플링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작동 수단에 의해 분리 및 결합 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는 전기 작동식 클러치와, 상기 작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빛, 습도, 풍력 등과 같은 주위 환경의 파라미터에 관한 신호 및/또는 감기지 않은 길이 등과 같은 차양막의 상태에 관한 신호의 입력부를 갖도록 마련되는 제어 유닛(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주위 환경 및/또는 차양막 상태의 파라미터와 관련된 값에 따라 튜브의 위치 및/또는 감기지 않은 차양막의 길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20)는 슬립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슬립 클러치를 미끄러짐에 의해 분리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되는 것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클러치(20)는 양쪽 회전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인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클러치(20)는 2개 이상의 슬립 클러치 부품(46, 41)과, 구동 샤프트(6)와 협동하는 슬립 클러치 부품(51)과, 상기 튜브(9, 10)와 협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45)를 갖는 다른 슬립 클러치 부품(46)을 구비하며, 상기 정지부(45)는 슬립 클러치(20)가 미끄러지도록 작동 수단과 협동할 수 있는 것인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슬립 클러치(20)의 원주 방향에서 보아 정지부(45)의 양측면과 선택적으로 협동하게 될 수 있는 차단 수단(43, 44)을 구비하는 것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은 정지부(45)의 측면과 각각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상호 연결된 레버부(43, 44)를 갖는 이중 레버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20)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기계적 작동 수단(14, 4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작동 수단은 아암(40)과, 이 아암(40)을 작동 시키도록 프레임에 연결된 정지부(14)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52, 53)와, 스크류 샤프트를 갖춘 서보 모터 등을 구비하는 것인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52, 53)는 아암(40)과 맞물리는 것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아암(40)을 양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2개의 솔레노이드(52, 53)가 마련되는 것인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과 회전 가능한 튜브(9, 10, 32)에 대한 상부 고정 체결 장치를 갖춘 프레임 구조(2)로서, 상기 튜브는 이 프레임 구조에서 차양을 감고 늘어뜨리기 위해 상기 체결 장치에 대해 원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와, 상기 튜브를 이동시키는 안내 수단과, 상기 구동 모터와 튜브 사이에 존재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구동 샤프트(6)와, 상기 튜브에 연결되고 그 축선 방향으로 구동 샤프트 상에서는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는 회전 불가능하여 구동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튜브에 전달하는 전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3)는 상기 프레임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동 장치는 전기 작동식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인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불가능한 추가의 상부 체결 장치와 상기 프레임 구조에서 차양막을 수납 및 분배하기 위해 상기 체결 장치에 대해 원근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추가의 튜브(9, 10, 3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막과,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상기 추가의 튜브에 전달하기 위해 축선 방향으로는 구동 샤프트 상에서 변위 가능하고 프레임에 대해서는 회전 불가능하며 상기 튜브에 연결되는 추가의 전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의 전동 장치에는 추가의 커플링이 마련되는 것인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샤프트 스터드(56)를 갖고, 상기 튜브(9, 10)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지만 샤프트 스터드에는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작동 방법으로서,
    온도, 빛, 습도, 풍력, 시간 등과 같은 주위 환경 파라미터의 변수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이 값(들)을 기초로 하여 튜브의 위치 및/또는 감기지 않은 차양막의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와,
    차양막을 롤링 또는 언롤링시키기 위해 튜브의 회전 구동 장치를 여기시키는 단계와,
    원하는 튜브의 위치 및/또는 원하는 감기지 않은 차양막의 길이에 도달된 경우에 슬립 클러치의 미끄러짐 작동 수단을 여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4항에 따른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추가의 튜브의 원하는 위치 및/또는 풀린 추가의 차양막의 원하는 길이를 달성한 경우에, 추가의 슬립 클러치(20)가 미끄러지도록 추가의 작동 수단을 여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작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작동 수단의 여기 시간은 상이한 것인 작동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수단과 정지부(45) 간의 협동을 제거하도록 원하는 튜브의 위치 및/또는 원하는 감기지 않은 샤프트 길이를 얻은 후에 샤프트(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작동 방법.
KR1020057021255A 2003-05-08 2004-05-06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 KR20060031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3361 2003-05-08
NL1023361A NL1023361C2 (nl) 2003-05-08 2003-05-08 Inrichting voor het oprollen/afrollen van een doe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798A true KR20060031798A (ko) 2006-04-13

Family

ID=3343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255A KR20060031798A (ko) 2003-05-08 2004-05-06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243398A1 (ko)
EP (1) EP1619939A1 (ko)
JP (1) JP2006525016A (ko)
KR (1) KR20060031798A (ko)
CN (1) CN1812709A (ko)
CA (1) CA2525226A1 (ko)
MX (1) MXPA05011983A (ko)
NL (1) NL1023361C2 (ko)
NO (1) NO20055821L (ko)
RU (1) RU2005138115A (ko)
WO (1) WO2004098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26845C (en) * 2005-11-18 2013-11-05 Automatic Technology (Australia) Pty Ltd Device for monitoring motion of a movable closure
JP6274944B2 (ja) * 2014-03-28 2018-02-07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
CN104770246A (zh) * 2015-05-05 2015-07-15 万玉先 温室大棚卷帘机卷绳防伤人安全装置及使用其的卷帘装置
US9488253B1 (en) * 2015-10-07 2016-11-08 Midwest Industries, Inc. Retractable curtain
US10314283B2 (en) 2016-06-03 2019-06-11 Hog Slat, Inc. Curtain machine having sealed control enclosure
DE102018119624A1 (de) * 2017-10-11 2019-04-11 Lock Antriebstechnik Gmbh Überdachungsvorrichtung für Pflanzen
CN108575450B (zh) * 2018-04-28 2021-03-09 宫善龙 一种农业大棚自动调温保温设备
US11944227B1 (en) * 2023-01-12 2024-04-02 Aiden Green Curtain lower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59847A (ko) *
DE2946218C2 (de) * 1979-11-15 1984-03-15 Hans 7500 Karlsruhe Lang Schattiervorrichtung in Anlagen der Pflanzenzucht
IT1204062B (it) * 1986-05-16 1989-03-01 Omero Campioni Dispositivo per comandare l'avvolgimento e lo svolgimento di un film plastico,reti ombreggianti e similari,in specie per l'apertura e la chiusura delle pareti laterali di serre e tunnels e per altri impieghi
GB8612854D0 (en) * 1986-05-27 1986-07-02 Machin Designs Ltd Roller blind assembly
EP0665360A1 (en) * 1994-02-01 1995-08-02 Galebreaker Products Division Of Farmplan Group Limited Movable closure for openings in buildings and like enclosures
US6388404B1 (en) * 1996-01-03 2002-05-14 Decotex 2000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window treatment and/or lighting system
US5810065A (en) * 1997-04-02 1998-09-22 Flexso S.R.L. Roller curtain for windows of moving vehicles
NL1009836C2 (nl) * 1998-08-11 2000-02-17 Henricus Wilhelmus Van Kouwen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 en afrollen van doek voor een warenhuis, waarbij het draaimoment wordt beperkt.
US6155324A (en) * 1999-03-29 2000-12-05 The Cookso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oor
NL1019492C2 (nl) * 2001-12-05 2003-06-13 Holding Nutsbedrijf Westland N Inrichting voor het oprollen/afrollen van een doek.
US6612359B1 (en) * 2002-07-24 2003-09-02 Norbco, Inc. Slider curtai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ventilation of a livestock barn
US6860310B2 (en) * 2002-11-14 2005-03-01 Larry J. Kubly Roll-up curtai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23361C2 (nl) 2004-11-09
NO20055821L (no) 2006-02-07
RU2005138115A (ru) 2006-06-10
CA2525226A1 (en) 2004-11-18
US20060243398A1 (en) 2006-11-02
EP1619939A1 (en) 2006-02-01
CN1812709A (zh) 2006-08-02
MXPA05011983A (es) 2006-02-03
JP2006525016A (ja) 2006-11-09
WO2004098267A1 (en) 2004-11-18
NO20055821D0 (n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633B2 (en) Anti-reversible power spring apparatus and method
US6978822B2 (en) Device for rolling up/rolling down a shade
AU2011326816C1 (en) Modular anti-reversible power sp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51747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US11261659B2 (en) Cordless blind device
GB2262760A (en) Roll-up industrial door
KR20060031798A (ko) 차양막을 롤링 업 및 롤링 다운시키는 장치
KR101813882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US6935398B2 (en) Operating unit for a window covering
CA2831949C (en) Winding apparatus for covering openings in wall portions
KR100969129B1 (ko) 전동 블라인드 장치
EP3441553B1 (en) Power unit for a roller shutter, in particular roller shutter with slats
KR200349145Y1 (ko) 브라인드 장치
KR20130109374A (ko) 차양구동장치
AU8021887A (en) An 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slats in a blind
KR200375829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PL214043B1 (pl) Uklad do przechylania wielu listew w urzadzeniu zaslaniajacym, urzadzenie zaslaniajace z wieloma listwami oraz zastosowanie takiego urzadzenia
JPH03221691A (ja) 電動ブラインド
KR20050081334A (ko) 브라인드 장치 및 그 회전장치
JP2002238735A (ja) ローマンシェ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