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624A -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624A
KR20060030624A KR1020040079467A KR20040079467A KR20060030624A KR 20060030624 A KR20060030624 A KR 20060030624A KR 1020040079467 A KR1020040079467 A KR 1020040079467A KR 20040079467 A KR20040079467 A KR 20040079467A KR 20060030624 A KR20060030624 A KR 20060030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rack
pinion
lock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624A/ko
Publication of KR2006003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3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in axial direction, e.g. between rack bar and tie-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진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통해 차량의 직진 주행 조향감을 인지할 수 있는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되며, 차량의 조향 핸들과 연결되는 피니언(120)과;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에 수납되며, 상기 피니언(120)과 치합되어 선형 구동 가능하도록 기어부(131)가 구비되되, 이 기어부(131)의 후단으로 요홈(132)이 형성되는 래크(130)와; 상기 래크(130)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1탄성체(141)가 구비되며, 상기 요홈(132) 내에 삽입되도록 걸림부재(142)가 구비되는 제1요크부(140)와; 상기 걸림부재(142)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2탄성체(151)가 구비되는 제2요크부(150)로 구성되어, 차량이 직진 주행 상태에서의 조향감을 직접 손으로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조향 장치, 기어박스, 피니언, 래크, 요홈, 직진 주행성, 걸림부재.

Description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Gear box for a steer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향 장치 기어박스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향 장치 기어박스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20 : 피니언
130 : 래크 131 : 기어부
132 : 요홈 140 : 제1요크부
141 : 제1탄성체 142 : 걸림부재
150 : 제2요크부 151 : 제2탄성체
본 발명은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진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통해 차량의 직진 주행 조향감을 인지할 수 있는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 장치는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하여 피니언과 래크의 동작에 의해 링키지의 연계 동작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결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하우징(10) 내에는 피니언(20)과 래크(30)가 서로 치합되어 피니언(20)의 회전에 따라 래크(30)는 선형 구동된다.
피니언(20)은 조향축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며, 하우징(10) 내에 구비되는 베어링(21)에 의해 지지된다.
래크(30)는 타이로드와 연결되며, 피니언(20)과 치합되는 기어부(31)의 후단에는 래크(30)와 피니언(20)이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기 위한 요크(40)가 구비된다.
하우징(10) 내에 체결되는 록킹너트(50) 안쪽에는 스프링(41)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41)이 복원력에 의해 요크(40)는 래크(30)를 피니언(2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피니언(20)과 래크(30)가 치합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는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피니언(20)과 래크(30)가 항상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시에 스티어링 휠을 회전하기 위한 조작력의 크기를 거의 일정한다.
즉, 운전자는 차량의 진행 방향의 전방 시야를 판단하거나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 위치에 의해 육안 판단만에 의존해야 하므로, 정확한 직진 주행 시의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인지하지가 어렵다.
예를 들어,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가 후진을 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후방을 응시해야만 하므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다시 고개를 돌려 정면을 응시하거나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해야만 한다. 따라서,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정도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작업 때문에 차량 주변의 상황 판단이 놓쳐 주변 장애물과 접촉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에 있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 시에 차량이 직진 상태인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이 가변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통해 차량의 직진 주행 조향감을 직접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향 장치의 기어박 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는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차량의 조향 핸들과 연결되는 피니언과;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어 선형 구동 가능하도록 기어부가 구비되되, 이 기어부의 후단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1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요홈 내에 삽입되도록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제1요크부와;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2탄성체가 구비되는 제2요크부로써 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향 장치 기어박스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향 장치 기어박스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되며, 차량의 조향 핸들과 연결되는 피니언(120)과;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에 수납되며, 상기 피니언(120)과 치합되어 선형 구동 가능하도록 기어부(131)가 구비되되, 이 기어부(131)의 후단으로 요홈(132)이 형성되는 래크(130)와; 상기 래크 (130)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1탄성체(141)가 구비되며, 상기 요홈(132) 내에 삽입되도록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제1요크부(140)와; 상기 걸림부재(142)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2탄성체(151)가 구비되는 제2요크부(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10) 내에는 피니언(120)과 래크(130)가 서로 치합되어 피니언(120)의 회전에 따라 래크(130)가 선형 구동된다.
피니언(120)은 조향축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는 베어링(121)에 의해 지지된다.
래크(130)는 타이로드와 연결되며, 피니언(120)과 치합되는 기어부(131)의 후단에는 래크(130)와 피니언(120)이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1요크부(140)가 구비된다.
하우징(110) 내에 체결되는 록킹너트(160) 안쪽에는 스프링(141)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141)이 복원력에 의해 제1요크부(140)는 래크(130)를 피니언(12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피니언(120)과 래크(130)가 치합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기어부(131) 후단의 래크(130)에는 요홈(132)이 형성된다.
제1요크부(140)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이 걸림부재는 요홈(132) 내에 삽입되어, 래크(130)가 선형 운동 시에 걸림부재가 요홈(132) 내에 걸리면서 저항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걸림부재로는 구형의 스틸볼 또는 원통 형상의 스틸바와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요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요크부(140)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며, 이 홀 내에는 스틸볼(142)이 안착된다. 이 스틸볼(142)의 후단에는 제2스프링(15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요크부(150)가 스틸볼(142)을 래크(130) 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다른 일례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요크부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되되, 이 홀 내에는 원통 형상의 스틸바(143)가 안착될 수가 있다. 이 스틸바(143)의 후단에는 상기 스틸볼의 예의 동일하게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요크부에 의해 스틸바(143)가 래크(130) 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 조작하게 되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조향축이 과 연동하여 피니언(120)이 회전하게 되며, 이 피니언(120)과 치합된 래크(130)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구동된다.
한편, 래크(130)는 기어부(131)의 후단에 제1요크부(1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 조작 시에 일정한 조향력을 느끼게 되며, 특히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인 경우, 즉 래크(130)가 좌우 구동 중에 요홈(132)이 제2요크부(150)의 스틸볼(142) 또는 스틸바(143)에 삽입된 경우에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 더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므로, 스티어링 휠이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조향감 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 조작 시에 차량이 직진 주행 시에서 스티어링 휠 조향감을 직접 손으로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는 종래의 래크와 피니언 타입의 기어박스에 있어, 차량이 직진 주행 상태에서의 조향감을 직접 손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요크부를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차량의 조향 핸들과 연결되는 피니언과;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어 선형 구동 가능하도록 기어부가 구비되되, 이 기어부의 후단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1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요홈 내에 삽입되도록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제1요크부와;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2탄성체가 구비되는 제2요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구형의 스틸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원통 형상의 스틸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1020040079467A 2004-10-06 2004-10-06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KR20060030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467A KR20060030624A (ko) 2004-10-06 2004-10-06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467A KR20060030624A (ko) 2004-10-06 2004-10-06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624A true KR20060030624A (ko) 2006-04-11

Family

ID=3714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467A KR20060030624A (ko) 2004-10-06 2004-10-06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6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3858B1 (ja) 舵角規制装置
EP2330012B1 (en) Vehicular steering apparatus
US8636099B2 (en)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90260468A1 (en) Steering device and movement converting device used therefor
JPWO2010089945A1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7129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JP2006131221A (ja) 改良された運転者制御装置
EP188444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US10875567B2 (en) Steering device
JP2007313984A (ja) 車両の操舵機構
US10759464B2 (en) Steering device
KR101379566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20060030624A (ko) 조향 장치의 기어박스
JP2007203947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ウォーム減速機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190700A (ja) 操舵装置
JP6253176B2 (ja) 車両
JP2010058599A (ja)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WO2007119918A1 (en)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and a lozenge-shaped automobile having the same
JP202013195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359520B2 (ja) 舵取装置
KR10080705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베어링 조립구조
JP4900679B2 (ja) センターテイクオフ型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482150B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랙바 지지구조
JP201606479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2085712A (ja) 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