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475A - 마늘 파종기 - Google Patents

마늘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475A
KR20060029475A KR1020040078440A KR20040078440A KR20060029475A KR 20060029475 A KR20060029475 A KR 20060029475A KR 1020040078440 A KR1020040078440 A KR 1020040078440A KR 20040078440 A KR20040078440 A KR 20040078440A KR 20060029475 A KR20060029475 A KR 20060029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seeding
link
coupled
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494B1 (ko
Inventor
박형갑
Original Assignee
박형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갑 filed Critical 박형갑
Priority to KR102004007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4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3/00Machines or apparatus for consolidating soil around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파종기를 구성하는 부품 및 제조공정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부품간 연동을 부드럽게 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하도록 한 마늘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적재된 마늘 파종판을 하나씩 공급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동시에 슈트 단부에 장착한 다수의 경운부재와 복토부재에 의해 경운 및 복토 작업하는 마늘 파종기에 있어서, 상면에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양측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한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 양측의 가이드홈을 따라 푸시부재를 왕복이동시켜 마늘을 토출구 방향으로 밀어내는 파종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블록을 왕복 이동시켜 마늘 파종판을 이송시키는 파종판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품간의 연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마늘, 파종, 경운, 복토, 파종기

Description

마늘 파종기{Garlic plan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마늘 파종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마늘 파종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마늘 파종기의 파종판 이송수단과 파종수단을 나타낸 내부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마늘 파종기의 캠 기어와 종동축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늘 파종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늘 파종기 내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 및 제1가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8b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수단과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판 이송수단과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가압수단과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제2가압수단과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복토부재 및 다짐부재의 형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마늘 파종기에 사용되는 마늘 파종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마늘 파종기 110 - 메인프레임
120 - 바퀴 130 - 파종판 적재함
135 - 가이드레일 136 - 가이드스토퍼
140 - 파종판 수거함 150 - 보조프레임
155 - 손잡이 160 - 슈트
162 - 링크 165 - 경운부재
166 - 경운판 170 - 복토부재
172 - 연결프레임 175 - 이탈방지편
180 - 다짐부재 182 - 고정프레임
184 - 축홀고정구 185 - 축
186 - 핀홀 187 - 고정핀
200 - 베이스프레임 210 - 가이드홈
215 - 토출구 220 - 가이드레일
225 - 지지프레이트 230 - 스프라켓
232a,232b - 제1,2연결링크 235 - 방향전환링크
240 - 푸시부재 245 - 푸셔
250a - 구동기어 250b - 종동기어
255 - 이송링크 260 - 가이드고정부재
262 - 가이드로드 264 - 가이드블록
265 - 브래킷 270 - 이송프레임
271 - 래칫홈 272 - 판스프링
273 - 래칫레버 274 - 스토퍼
275 - 걸림홈 280 - 전방가압휠
281 - 고정축 282 - 회전축
283 - 링크 285 - 가압스프링
290 - 후방가압휠 291 - 고정링크
292 - 회전링크 295 - 가압스프링
300 - 마늘 파종판 310 - 탄성편
320 - 마늘투입구멍 330 - 걸림턱
340 - 이송구멍 350 - 지지봉
E - 엔진
본 발명은 마늘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파종기를 구성하는 부품 및 제조공정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부품간 연동을 부드럽게 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하도록 한 마늘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의 파종작업은 관리기나 경운기 등의 농기계를 이용하여 토양을 일정 간격으로 일군다음, 일궈진 토양에 통상 15㎝~18㎝의 등간격으로 마늘 종자를 일일이 파종하고 복토하게 된다.
이러한 마늘 파종 방법은 인력에 의존하여 마늘의 파종 작업이 진행되므로 파종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어 마늘의 생산단가 상승과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마늘의 재배 면적이 넓은 농가에서는 마늘 파종기를 사용하여 수작업에 의한 비생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늘 파종기는 과거 수작업으로 수행했던 마늘 파종작업에 비하여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마늘의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점차 많은 마늘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의 협정에 따라 농산물시장이 개방되는 환경에서 마늘과 같은 농산품의 가격 경쟁력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계화를 통한 생산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마늘 파종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경운기 등의 농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늘 파종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늘 파종기의 일예로 공지된 종래의 마늘 파종기(10)를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호퍼(11)의 전면 일부분에는 경운기연결대(12)가 설치되어 경운기(P)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호퍼(11)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스프라킷(13)이 체인(14)으로 연결되고, 체인(14)에는 다수개의 버킷(15)이 균등한 간 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마늘 파종기(10)는 호퍼(11)의 하측 전후방에 보습부재(16)와 복토부재(17)가 설치되어 마늘(G)이 파종되는 토양을 일구고, 또한 복토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늘 파종기(10)는 버킷(15)의 이송에 의해 마늘 (G)을 파종하는 방식이므로 마늘 파종기(10)가 토양의 굴곡에 의해 흔들릴 경우, 버킷(15)에 담아진 마늘(G)이 호퍼(11)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마늘(G)의 효율적인 파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마늘 파종기(10)는 경운과 복토기능의 보습부재(16)와 복토부재(17)가 마늘 파종기(1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므로 토양을 일구는 깊이 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토양의 성질에 따른 최적의 경운 및 복토작업이 어려우므로 마늘의 효율적인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마늘 파종기(10)는 보습부재(16)와 복토부재(17)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쉽게 분리되지 못하므로 일반 도로에서 주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별도의 운송차량을 이용하여 운송할 수 밖에 없으므로 마늘 파종기의 운반 및 사용에 있어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2004-24111호(명칭:마늘 파종기)를 도시한 것으로, 파종되는 마늘(G)의 생장을 위해 경운 및 복토수단이 구비되어 토양을 경운 및 복토하고, 파종판 공급수단이 마련되어 적재된 마늘 파종판(55)을 자중에 의해 연속적으로 하나씩 공급한다. 또한, 파종판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상기한 파종판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각각의 마늘 파종판(55)을 가이드 이송레일(60)을 따라 이송시키고, 그리고 파종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마늘 파종판(55)의 마늘(G)을 파종하게 된다.
이 중에서, 상기한 파종판 이송수단과 파종수단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파종판 이송수단은 레버(63)가 결합된 메인기어(62)가 구동모터(6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레버(63)의 작용에 의해 핀(64a)이 결합된 제1이송스프라킷(64)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스프라킷(6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아이들기어(65)는 제2이송스프라킷(66)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이송스프라킷 (6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3이송스프라킷(67)을 회전시킨다.
즉, 제1이송스프라킷(64)과 제2이송스프라킷(66) 및 제3이송스프라킷(67)의 이 부분이 마늘 파종판(55)의 이송구멍(56)에 걸려 회전함으로써, 마늘 파종판(55)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한 파종수단은 일면에 캠(71)을 갖는 캠기어(70)가 메인기어(62)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캠(70)의 회전에 의해 캠로울러(72)가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캠로울러(72)에 결합된 종동축(73)이 캠 운동에 의해 마늘 파종판(55)의 마늘(G)을 토출구(22) 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스프링(75)이 상기 종동축(73)을 상방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즉, 캠 운동에 의해 캠로울러(72)에 결합된 종동축(73)을 하방으로 이송하여 마늘(G)을 토출함으로써, 마늘(G)을 파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마늘 파종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종판 이송수단과 파종수단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됨으로써, 정작 마늘 파종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잡하게 구 성된 기어 및 스프라킷 등의 상호 연동작용이 원활하지 못해 트러블의 요인이 발생하여 마늘의 파종 및 마늘 파종판의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한 마늘 파종기의 파종판 이송수단 및 파종수단은 다수의 기어 및 스프라킷 등을 이용하여 복잡하게 구성함으로써, 제작에 소요되는 제조단가의 상승과 함께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농기계가 진입하기 어려운 협소한 작업지에는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농기계의 운전이 서툰 사람들은 정작 마늘 파종기의 사용이 어려운 폐단이 있었고, 파종작업시 파종결이 발생하여 인력의 소요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등 실사용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늘의 파종 및 마늘 파종판의 이송을 위한 파종수단 및 파종판 이송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마늘의 파종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마늘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종수단 및 파종판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부품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제조 단가를 낮춰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한 마늘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적재된 마늘 파종판을 하나씩 공급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동시에 슈트 단부에 장착한 다수의 경운부재와 복토부재에 의해 경운 및 복토 작업하는 마늘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 내부에 설치하되, 상면에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양측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푸시부재를 슬라이딩 왕복이동시켜 마늘 파종판의 마늘을 슈트 방향으로 밀어내는 파종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로드를 따라 가이드블록을 왕복 이동시켜 마늘 파종판을 이송시키는 역할의 파종판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방 저면부 양측에 바퀴(120)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 (110) 전방 상단에 엔진(E)을 구비하여, 상기 바퀴(120)가 엔진(E)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10) 전면 하단에는 장착봉(132)을 부착하여 파종판 적재함(130)을 장착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 양측에는 파종판 수거함(140)을 각각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파종판 적재함(130)과 파종판 수거함(140) 바닥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35)과 보조적치대(145)를 각각 고정시켜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35) 단부에는 최하단에 위치한 마늘 파종 판(300)의 이송에 따라 적재된 다른 마늘 파종판(300)들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스토퍼(136)를 돌출 형성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0) 후방 상단에는 단부에 손잡이(155)를 구비한 파이프 형태의 보조프레임(150)을 부착하고, 상기 보조프레임(150)에는 방향전환클러치 및 이동클러치와, 가속레버와, 변속레버 등을 설치하여 엔진(E)의 변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 내부에는 파종수단 및 파종판 이송수단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0)을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은 도 7에서와 같이 양측 일부를 절곡 형성하여 대략 'ㄷ'자의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양측에는 가이드홈(21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바닥면 중앙에는 중공된 토출구(2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상면에는 마늘 파종판(300)이 이송되는 가이드레일(220)을 양쪽에 부착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220) 사이에는 상기 마늘 파종판(3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5)을 고정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는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이 설치되는데, 먼저 파종수단은 스프라켓(230)과 제1,2연결링크(232a)(232b)와 방향전환링크(235)와 푸시부재(240)로 구성한다.
도 7과 도 8a,8b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프라켓(230)은 베이스프레임 (200) 전방 상단 양측에 축결합한 것으로, 일측의 스프라켓(230)에 체인(미도시)을 걸어 엔진(E)에 연결된 변속기와 연결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라켓(230) 일면에는 제1연결링크(232a)의 일단을 편심되게 결합하고, 상기 제1연결링크(232a)의 타단은 방향전환링크(235) 일단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링크(235)는 대략 'ㄱ'자 형태인 것으로, 중앙을 베이스프레임(200) 후방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방향전환링크(235)의 타단은 제2연결링크(232b)의 일단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링크(232b)의 타단은 중앙에 다수의 푸셔(245)가 형성된 푸시부재(240) 양측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푸시부재(240)의 양단은 베이스프레임 (200)에 형성한 가이드홈(210)에 각각 끼워 상,하로 왕복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푸셔(245)가 마늘 파종판(300)의 마늘(G)을 토출구(215)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푸시부재(240) 양단에는 베이스프레임(200) 내측에 접촉되게 베어링 (241)을 장착하여 푸시부재(240)의 상,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장착된 스프라켓(230)은 베이스프레임(200) 양측 사이에 축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2연결링크(232a)(232b)와 방향전환링크(235)는 베이스프레임(200)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계속해서, 파종판 이송수단은 구동 및 종동기어(250b)와 가이드고정부재 (260)와 이송링크(255)와 일방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7과 도 9a,9b를 통하여 설명하면, 먼저 구동기어(250a)는 엔진(E)의 변속기와 연결된 스프라켓(230) 일면에 결합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200) 양측에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기어(250a)는 베이스프레임(200)과의 사이에 볼베어링(미도시) 등을 장착하여 원활한 회전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50a) 일측에는 구동기어(250a)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250b)를 설 치하고, 상기 종동기어(250b)의 일면 즉, 베이스프레임(200) 내측에는 이송링크 (255)의 일단을 편심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양쪽 내측 하단에는 가이드고정부재(260)를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가이드고정부재(260) 전,후 사이에는 한쌍의 가이드로드(262)를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로드(262)에는 상기 가이드로드(262)를 따라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블록(264)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 (264) 상면에는 브래킷(265)을 고정시키고, 상기 브래킷(265) 상면에 상기한 이송링크(255)의 타단부를 힌지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250a)의 회전작용에 의해 가이드블록(264)을 전,후 이송시킨다.
더욱이, 상기 브래킷(265) 측면에는 상기한 가이드블록(264)과 함께 전,후 이송 가능하도록 일방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한, 일방고정수단은 이송프레임 (270)과 래칫레버(273)와 판스프링(272)으로 구성된다.
설명하면 먼저 이송프레임(270)은 3개의 프레임을 볼트 및 너트 결합한 것으로, 브래킷(265)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20)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프레임(270) 하단 내측에는 다수의 래칫홈(271)을 형성하고, 상기 래칫홈(271) 내부에는 래칫레버(273)를 핀결합하며, 상기 래칫레버(273)의 일면에는 스토퍼(274)를 형성하여 상기 래칫레버(273)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래칫레버(273)와 래칫홈(271)에는 걸림홈(27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75)에 판스프링(272)의 양단을 각각 끼워, 상기 래칫레버(273)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베이스프레임(200) 전방 위치와 가이드레일(220)의 후방 위치에는 마늘 파종판(300)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역할의 제1,2가압수단을 각각 구비하게 된다.
먼저 제1가압수단은 첨부도면 도 10과 같이, 베이스프레임(200) 전방 상단 양측 사이에 고정축(281) 및 회전축(282)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282) 중앙에 결합된 링크(283)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전방가압휠(28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가압휠(280)이 지속적으로 마늘 파종판(300)을 가압하도록 상기 링크(283)와 고정축(281) 사이에 가압스프링(285)을 결합한다.
제2가압수단은 첨부도면 도 11과 같이, 가이드레일(220) 일면에 고정링크(291)의 일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링크(291)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링크(292)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292) 일단에는 후방가압휠 (290)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크(292) 타단과 고정링크(291) 타단 사이에는 후방가압휠(290)이 지속적으로 마늘 파종판(300)을 가압하도록 가압스프링(295)을 결합한다.
즉, 상기한 제1,2가압수단을 통하여 전방으로부터 이송되는 마늘 파종판(300)의 과도한 이송을 억제함으로써,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중앙 저면에는 토출구(215)를 통해 떨어지는 마늘(G)이 가이드 되어 지면으로 떨어지도록 슈트(16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슈트(160)의 수는 4개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나, 이 외에도 6개 및 8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슈트(160)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메인프레임(110)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단부에는 토양을 경운시킬 수 있는 경운부재(165)를 각각 결합한다.
상기한, 경운부재(165)는 원형의 경운판(166) 2개를 대략 'V'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경운판(166)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의 슈트(160) 단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경운부재(165) 후방 하부에는 경운된 토양을 복토시킬 수 있도록 복토부재(17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복토부재(170)는 그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길게 형성한 봉 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경운부재(165) 후방 상부에는 이탈방지편(175)을 구비하여 토출되는 마늘(G)을 외부로 이탈시키지 않고 적합한 위치에 떨어뜨려 마늘의 결파없이 파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175)은 연결프레임(172)에 의해 복토부재(170)와 결합되어, 경운부재(165)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프레임(172)은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지면과 복토부재(17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운부재(165)의 흙파기 깊이에 따라 복토시키고자 하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복토부재(170) 후방에는 복토부재(170)에 의해 복토된 토양을 보다 평탄화시키는 역할과 함께 이동시 후방 바퀴의 역할을 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다짐부재(180)를 더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다짐부재(180)는 메인프레임(110) 후방 하단에 일체로 형성한 고정프레임(182)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프레임(182)에는 회전 가능한 축홀고정구(184)를 장착하고, 상기 축홀고정구(184)에는 축(185)을 삽입하며, 상기 축(185)의 단부는 상기 슈트(160) 중앙에 장착한 링크(162)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축홀고정구(184) 일면에는 다수의 핀홀(186)을 형성하여 고정핀(187)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축(185)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에 의해 링크(162)가 조절되면서 상기 경운부재(165) 및 복토부재(17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고정핀(187)에 의해 축(185) 및 경운부재(165)의 움직임을 단속하여 파종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에 사용되는 마늘 파종판(300)을 도시한 것으로, 하단에 탄성편(310)을 형성한 마늘투입구멍(320)을 일렬에 4개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6개의 마늘(G)을 한 번에 투입할 수 있도록 마늘투입구멍(320)을 6열로 형성할 수도 있고, 그 이상 다수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슈트(160)의 수 또한 마늘투입구멍(320)의 수에 맞게 형성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상기 마늘 파종판(300)은 양측에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330)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30) 각각의 일측면에는 등간격으로 이송구멍(340)을 형성하여 상기한 래칫레버(27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늘 파종판(300) 상면에는 다른 마늘 파종판(300)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35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350)이 휘거 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후면에 리브(35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마늘 파종판(300) 전,후에 형성된 지지봉(350) 일측에는 그 끝이 라운드진 다른 리브(351)를 형성하여 상부에 적재된 다른 마늘 파종판(300)과의 걸림없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를 이용하여 마늘(G)을 파종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먼저 마늘 파종기(100) 전방에 마늘 파종판(300)이 적재된 파종판 적재함(130)을 장착하고, 시동을 걸어 엔진(E)을 구동시킨다. 상기한 엔진(E)의 구동에 의해 바퀴(120)를 움직여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를 움직이는 동시에 베이스프레임(200)에 장착된 스프라켓(230)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230)이 회전되어 구동기어(250a) 및 상기 구동기어(250a)와 맞물린 종동기어(250b)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종동기어(250b)에 편심되게 결합된 이송링크(255)는 동심원을 그리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송링크(255)에 힌지 결합된 브래킷(265)을 전,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265)은 가이드로드(262) 상에서 슬라이드 이송되는 가이드블록(264)과 결합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전,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65)은 이송프레임(270)과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송프레임(270)을 전,후 왕복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이송프레임(270)의 최전방에 설치된 래칫레버(273)가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구멍(340)에 걸리게 됨으로써, 파종판 적 재함(130) 최하단에 구비된 마늘 파종판(300)을 끌어당길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래칫레버(273)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프레임 (270)이 전방, 즉 파종판 적재함(130) 측으로 이송하는 경우 상기 래칫레버(273)는 마늘 파종판(300)의 전면에 걸리게 되어 래칫홈(27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마늘 파종판(300)의 양쪽 저면에 슬라이딩 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마늘 파종판(300)의 걸림턱(330)은 가이드레일(220)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마늘 파종판(300)은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후에 상기 이송프레임(270)이 후방으로 이송하게 되면,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구멍(340) 위치에서 래칫홈(271) 내부의 판스프링(272)의 탄성 작용에 의해 래칫레버(273)를 하부로 밀어냄으로써, 이송구멍(340)에 래칫레버(273)가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레버(273)는 일면에 스토퍼(274)가 형성되어 있어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구멍(340)에 레칫레버가 끼워져 마늘 파종판(300)을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일정간격 슬라이딩 이송시키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마늘 파종판(300)을 마늘 파종기(100)의 후방으로 지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파종판 적재함(130) 최하단에 위치한 마늘 파종판(300)을 이송하게 되면, 상기한 마늘 파종판(300) 상부에 위치한 다른 마늘 파종판(300)은 그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래칫레버(273)의 작용에 의해 계속해서 다른 마늘 파종판(300)을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파종판 적재함(130)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35) 단부에는 가이드스토퍼 (136)가 형성되므로, 마늘 파종판을 소정의 경사로 기울이게 된다. 따라서, 최하단에 위치한 마늘 파종판(300)이 이송 되더라도 상기 마늘 파종판(300) 상부의 다른 마늘 파종판(300)이 가이드스토퍼(136)에 걸려 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됨으로써,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작업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늘(G)의 파종이 완료된 후, 마늘 파종기(100) 후방으로 이송되는 마늘 파종판(300)은 메인프레임(110) 양측에 고정된 파종판 수거함(140)에 차례대로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마늘 파종판(300)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한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마늘 파종판(300)을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는데, 첨부도면 도 10 및 도 11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래칫레버(273)에 의해 마늘 파종판(300)이 가이드레일(220)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마늘 파종판 (300)은 회전축(282)에 결합된 전방가압휠(280) 하단에 접촉되면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가압휠(280)에 결합된 링크(283)는 고정축(281)과 회전축 (282) 사이에 결합된 가압스프링(285)에 의해 하부로 지속적인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전방가압휠(280)이 마늘 파종판(300)을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가압휠(280) 하단에는 지지프레임(22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전방가압휠(280)의 가압에 따른 마늘 파종판(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마늘 파종판(300)이 래칫레버(273)에 의해 가이드레일(220) 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마늘 파종판(300)은 고정링크(2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후방가압휠(290) 하단에 접촉되면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가압휠(290)을 갖는 회전링크(292)는 고정링크(291)와의 사이에 결합된 가압스프링(295)에 의해 상기 후방가압휠(290)을 지속적으로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후방가압휠(290)이 마늘 파종판(300)을 상부에서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가압휠(280) 및 후방가압휠(290)에 의해 마늘 파종판(300)을 지속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래칫레버(273)의 이송 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마늘 파종판(300)의 밀림현상이나 마늘 파종판(300)의 과도한 이송 등을 방지하여 정확한 이송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마늘 파종판(300)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마늘 파종판(300)에 투입된 마늘(G)의 파종 작업을 실행하게 되는데, 첨부도면 도 8a 및 도 8b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엔진(E)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어 스프라켓(230)이 회전되고, 상기 스프라켓(230)에 편심 결합된 제1연결링크 (232a)는 동심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연결링크 (232a)의 단부는 왕복 이송운동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방향전환링크(235)는 상기 제1연결링크(232a)의 왕복 이송운동에 의해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제2연결링크(232b)와 연결된 단부를 왕복 이송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2연결링크(232b)는 푸시부재(240)를 왕복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부재(240)는 베이스프레임(200)에 형성한 가이드홈(210)에 끼워져 있 어 상,하로 왕복 이송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240)에 형성된 다수의 푸셔(245)는 상기 푸셔(245) 하단으로 이송되는 마늘 파종판(300)의 마늘(G)을 주기적으로 하부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마늘(G)을 슈트(160)를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토양에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마늘(G)이 토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마늘(G)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한 슈트(160)에 가이드 되어 빠른 속도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마늘(G)은 경운부재(165)에 의해 파여진 고랑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탈방지편(175)에 의해 경운부재(165) 하단에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경운부재(165)를 통해 패여진 고랑의 흙을 복토부재(170)에 의해 덮게 되고, 덮여진 흙을 회전되는 다짐부재(180)가 다시 평탄화 및 다짐작업 함으로써, 마늘(G)의 파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경운부재(165)는 핀홀(186)에 끼워진 고정핀(187)의 위치에 따라 경운되는 토양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축(185)을 들어올리게 되면 경운부재(165)는 축홀고정구(184)를 중심으로 하부로 내려지게 됨으로써, 경운시키고자 하는 깊이만큼 축(185)을 들어올려 경운부재(165)를 밑으로 내린다. 그리고, 핀홀(186)에 고정핀(187)을 끼워 축(185)의 하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축(185)을 밑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여 경운부재(165)를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경운부재(165)가 토양을 경운시켜 파종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마늘(G)의 파종 작업을 모두 완료한 후에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축(185)을 밑으로 내려 경운부재(165) 및 복토부재(170)를 위로 들어올리고 최하단에 형성된 핀홀(186)에 고정핀(187)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경운부재(165) 및 복토부재(170)를 지면에 걸리게 하지 않고 바퀴(120)와 다짐부재(180)를 이용해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마늘(G)의 파종과 경운 및 복토 작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마늘(G)의 파종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의 '마늘 파종기'와는 달리 마늘(G)의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의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생산공정을 간소화시키는 동시에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 및 생산비용을 줄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부품간의 연동 조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고장 및 트러블이 없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성능 및 인지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마늘 파종기(100)는 농기계에 연결하여 사용하던 기존의 마늘 파종기와는 달리 손잡이(155)와 변속레버 등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직접 운전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이 협소한 농경지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농기계의 운전이 미숙한 사람도 손쉽게 사용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마늘을 파종하기 위한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을 이루는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생산공정을 간소화시키는 동시에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 및 생산비용을 줄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파종수단과 파종판 이송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부품간의 연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특히, 결파 없는 파종 작업을 시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성능 및 인지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농기계에 연결하여 사용하던 기존의 마늘 파종기와는 달리 손잡이와 변속레버 등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직접 운전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이 협소한 농경지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농기계의 운전이 미숙한 사람도 손쉽게 사용 가능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적재된 마늘 파종판을 하나씩 공급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동시에 슈트 단부에 장착한 다수의 경운부재와 복토부재에 의해 경운 및 복토 작업하는 마늘 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마늘 파종기(100) 내부에 설치하되, 상면에 복수의 가이드레일(220)을 구비하고 양측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한 베이스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10)을 따라 푸시부재(240)를 슬라이딩 왕복이동시켜 마늘 파종판(300)의 마늘(G)을 슈트(160) 방향으로 밀어내는 파종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220) 일측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로드(262)를 따라 가이드블록(264)을 왕복 이동시켜 마늘 파종판(300)을 이송시키는 역할의 파종판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수단은 엔진(E)과 연동되어 베이스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스프라켓(230)과;
    상기 스프라켓(230) 일면에 편심되게 결합한 제1연결링크(232a)와;
    상기 제1연결링크(232a)에 결합하되, 중앙을 베이스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방향전환링크(235)와;
    상기 방향전환링크(235)에 결합된 제2연결링크(232b)와;
    상기 제2연결링크(232b) 사이에 구비하되, 중앙에 다수의 푸셔(245)를 형성한 푸시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판 이송수단은 베이스프레임(200) 양측에 구비하여 스프라켓(230)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250a)와;
    상기 구동기어(250a)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250b)와;
    가이드블록(264)이 끼워진 가이드로드(262)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하단 양측에 설치한 가이드고정부재(260)와;
    상기 종동기어(250b) 일면에 편심되게 결합하되 가이드블록(264)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블록(264)을 전,후 이송시키는 이송링크(255)와;
    상기 가이드블록(264)에 고정 설치한 일방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이송수단은 양측의 가이드레일(220) 상부에 위치시킨 이송프레임(270)과;
    상기 이송프레임(270) 하단 내부에 다수의 래칫홈(271)을 형성하고, 상기 래칫홈(271)에 핀결합한 래칫레버(273)와;
    상기 레칫레버를 복귀시키도록 래칫홈(271) 내부에 구비한 판스프링(2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0) 전방과 가이드레일(220) 후방 위치에는 마늘 파종판(300)을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제1,2가압수단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수단은 베이스프레임(200) 양측 사이에 결합한 고정축(281) 및 회전축(282)과;
    상기 회전축(282)에 결합된 링크(283)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전방가압휠(280)과;
    상기 전방가압휠(280)이 지속적으로 마늘 파종판(300)을 가압하도록 상기 링크(283)와 고정축(281) 사이에 결합한 가압스프링(2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수단은 가이드레일(220) 일면에 각각 고정시킨 고정링크(291)와;
    상기 고정링크(291)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단에 후방가압휠(290)을 갖는 회전링크(292)와;
    상기 후방가압휠(290)이 지속적으로 마늘 파종판(300)을 가압하도록 상기 회전링크(292)와 고정링크(291) 사이에 결합한 가압스프링(2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부재(165)와 복토부재(170) 사이에는 슈트(160)를 통해 떨어지는 마늘(G)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편(175)을 구비하고, 상기 복토부재(170) 후방에는 복토된 토양을 평탄화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다짐부재(18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기.
KR1020040078440A 2004-10-01 2004-10-01 마늘 파종기 KR10068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440A KR100684494B1 (ko) 2004-10-01 2004-10-01 마늘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440A KR100684494B1 (ko) 2004-10-01 2004-10-01 마늘 파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828U Division KR200371018Y1 (ko) 2004-10-12 2004-10-12 마늘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75A true KR20060029475A (ko) 2006-04-06
KR100684494B1 KR100684494B1 (ko) 2007-02-22

Family

ID=3713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440A KR100684494B1 (ko) 2004-10-01 2004-10-01 마늘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4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7823A (zh) * 2016-05-23 2016-09-07 东营百胜客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拖拉机拖挂式连续作业大蒜穴播机
JP2022010801A (ja) * 2020-06-29 2022-01-1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17099537A (zh) * 2023-10-24 2023-11-24 云南省农业科学院国际农业研究所 一种农业设备播种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7823A (zh) * 2016-05-23 2016-09-07 东营百胜客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拖拉机拖挂式连续作业大蒜穴播机
CN105917823B (zh) * 2016-05-23 2018-08-14 东营百胜客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拖拉机拖挂式连续作业大蒜穴播机
JP2022010801A (ja) * 2020-06-29 2022-01-1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17099537A (zh) * 2023-10-24 2023-11-24 云南省农业科学院国际农业研究所 一种农业设备播种装置
CN117099537B (zh) * 2023-10-24 2023-12-26 云南省农业科学院国际农业研究所 一种农业设备播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494B1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8809B2 (ja) 苗植付機
CN102550177A (zh) 播种机
CN112425320A (zh) 一种多功能集成式播种机
JP6091343B2 (ja) 水田作業機
CN100584186C (zh) 插种机
KR20070097248A (ko) 종자 결파율이 개선된 종자 파종기
CN201138934Y (zh) 土豆播种机
KR100684494B1 (ko) 마늘 파종기
KR101136405B1 (ko) 마늘 파종기
CN101340812A (zh) 播种犁
KR200371018Y1 (ko) 마늘 파종기
KR102403968B1 (ko)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CN210610287U (zh) 一种传动机构及播种装置
CN212278745U (zh) 一种豆类播种机
CN2183655Y (zh) 高效多功能播种机
CN201733590U (zh) 一种人工施肥、播种机
CN209449197U (zh) 一种用于作物田间实验的小麦穗行播种机
CN105165208A (zh) 一种抛秧装置及抛秧系统
CN214257125U (zh) 一种玉米播种装置
CN112020943B (zh) 一种凸轮式错株穴播机
CN220023551U (zh) 一种药材播种机
CN2549706Y (zh) 微型多功能点播套种机
CN202269160U (zh) 一种玉米联合播种机
KR20040024111A (ko) 마늘 파종기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