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656A - 이동통신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656A
KR20060028656A KR1020067001592A KR20067001592A KR20060028656A KR 20060028656 A KR20060028656 A KR 20060028656A KR 1020067001592 A KR1020067001592 A KR 1020067001592A KR 20067001592 A KR20067001592 A KR 20067001592A KR 20060028656 A KR20060028656 A KR 2006002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isplay
axis
camer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663B1 (ko
Inventor
유타카 오에
노부유키 에노모토
후지 아사다
시게타카 카나이
토모코 모리
마나부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접힘과 제2부분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에 대한 표시부의 회전에 의해 나타나는 4종류의 기구적인 상태를 취한다.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이 4종류의 기구적인 상태 각각에 대해서 카메라 모드나 비카메라 모드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할당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변경한다.
이동통신, 단말장치, 휴대전화, 핸드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장치{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접을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기능이나 성능의 향상은 꽤 놀랍고, 이동통신 단말장치로서의 필수기능인 통화기능이나 E-메일의 송수신기능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것이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에는, 숫자키패드 등이 배열된 조작부를 갖는 제1부분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갖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로서는,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숫자키패드 등이 배열되는 통신용 조작면과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면을 평행으로 유지하면서, 이 양면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중합시키거나 전개(展開)하거나 하는 리볼버(revolver)형(이하, 「종래예1」이라 함)이 있다. 이 리볼버형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에서는 제1부분에 있어서의 통신용 조작면의 반대측에 카메라용 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동작모드로 설정되면 표시 부의 표시면이 파인더(finder)로서 기능하고, 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해 촬영된 상이 표시면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중합된 상태에서도 통상의 착신이나 조그 다이얼(jog dial) 등으로 발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펑션키(function key) 등의 일부를 제2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로서, 통신용 조작면과 표시면의 양면에 평행한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을 회전하는 클램쉘(clamshell)형의 것(이하, 「종래예2」이라 함)도 있다. 이 클램쉘형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에 있어서도, 제1부분에 있어서의 통신용 조작면의 반대측 또는 제2부분에 있어서의 메인 디스플레이의 배치면의 반대측에 카메라용 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이 접힌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 동작모드로 설정되면 제2부분에 있어서의 메인 디스플레이의 배치면의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 서브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파인더로서 기능하고, 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해 촬영된 상이 서브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긴 방향을 횡방향으로 해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클램쉘형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는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을 전개한 상태라도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파인더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종래예1 및 종래예2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에서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중합된 상태에서 한 쪽의 면측에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가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 쪽의 면측에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이 중합된 상태로, 예를 들면 책상 위에 안정한 상태로 놓으면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책상의 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카메라용 광학계의 렌즈나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유리 등으로 보호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보호 유리 등에 오물이 부착되거나 상처가 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보호 유리 등의 오염이나 상처는 촬상 또는 표시된 화상의 관찰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종래예1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에서는 표시 화면이 항상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인 통신 관련 정보나 이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의해 설정되는 배경화면 모양 등의 비밀성을 클램쉘형의 휴대전화에 비해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중합된 경우, 통상의 착신이나 조그 다이얼 등으로부터 발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펑션키의 일부를 제2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숫자키패드 등을 조작하기 위해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중합되지 않은 상태로 했을 경우, 조작키가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쌍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종래예2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에서는 제1부분에 대하여 제2부분을 접은 상태에서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기능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 서브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파인더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서브 디스플레이는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표시 영역의 크기나 표시 정세도(精細度) 및 동화상에 대한 응답성에 있어서 뒤진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로서 기능할 경우 촬상 화상을 결정하기 위한 파인더 표시 성능이 충분하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제1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1부분은 카메라용 광학계와, 상기 제1축에 평행하며 접혔을 때 제2부분과 대향하는 조작면을 갖는 조작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베이스부와, 표시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면에 평행한 제2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된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축에 걸친 적어도 양 외측 2개소에서 상기 제1부분과 결합되어 있다.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제1부분에 대한 제2부분의 제1축 주변의 회전과, 제2부분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에 대한 표시부의 제2축 주변의 회전이라는 2종류의 회전에 관한 각각 2종류의 상태를 조합시킴으로써 기구적으로 4종류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혀져 있지 않으며 표시부가 회전하고 있지 않고 있는(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접었을 때에 표시면이 통신용 조작면에 대향하는 방향임) 제 1 상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혀져 있으며 표시부가 회전하지 않고 있는 제 2 상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혀져 있지 않으며 표시부가 회전하고 있는(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접었을 때에 표시면의 반대측의 면이 통신용 조작면에 대향하는 방향임) 제 3 상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혀져 있으며 표시부가 회전하고 있는 제 4 상태의 4종류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4가지 상태 각각에 대해서 상태의 천이를 고려하면서 동작모드로서 카메라모드나 「대기중」 또는 「통화중」 등의 상태를 포함하는 비카메라모드를 원칙적으로는 자동적으로 배정하고, 필요에 따라 동작모드를 적당히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에 의한 동작모드의 설정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는, 표시부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면과의 반대측면 또는 베이스부에 서브 표시 디바이스를 배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책상 위에 놓을 경우에 이 면을 책상면과의 접촉면으로 하면 수광이나 표시를 위한 부품 또는 그것들의 보호부재에 책상면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오염이나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클램쉘형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통신용 조작키의 모두가 제1부분에 있어서의 통신용 조작면에 배치될 수 있고 조작시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외면측이 되지 않는 상기의 제 2 상태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인 통신 관련 정보나 이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의해 설정되는 배경화면 모양 등의 비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축에 따른 적어도 양 외측 2개소에서 상기 제1부분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부분은 제1부분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제1축 방향의 폭을 충분히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부분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제2부분에 보다 많은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제2축이 제1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제1부분이 통신용 조작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카메라용 광학계를 수납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분에 있어서의 제2부분과의 접속부 등을 이용한 통신용 조작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에 보다 큰 카메라용 광학계를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고성능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축이 통신용 조작면에 평행 또는 수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용 광축을 통신용 조작면에 수직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제2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베이스부에 대한 표시부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를 구비할 수 있고, 그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제1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접었을 때에 표시면이 통신용 조작면에 대향하지 않는 방향인 표시부 회전상태가 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의 표시를 보면서 행하는 통신용 조작부의 키를 조작해서 행하는 통신용 조작에 적합하지 않지만 표시 디바이스가 외면측이 되고 있어 파인더로서 유효하게 기능할 수 있는 제 3 상태 또는 제 4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가 표시부를 파인더로서 채용하는 카메라모드를 동작모드로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또한,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제1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접힘상태를 검출하는 접힘상태 검출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제 3 상태 또는 제 4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을 때, 접힘상태 검출기가 제 3 상태 또는 제 4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 3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을 때에는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면과 카메라 광축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어 자기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 4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을 때에는,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면과 카메라 촬상부의 시야방향이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 상대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전개상태가 된 것을 표시부 회전상태 및 접힘상태 검출기가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하여 가이던스(guidance)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힘상태가 된 것을 표시부 회전상태 및 접힘상태 검출기가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횡방향으로 하여 상기 가이던스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할지 횡방향으로 할 지를 변경하고 가이던스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던스 표시」는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이용자의 조작을 돕기 위한 표시이며 통화 착신 표시나 E-메일 수신 표시 등의 이벤트 안내 표시도 포함된다. 카메라모드로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가이던스 표시를 횡방향으로 하여 이용할지는, 원칙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형상에 의해 설정되지만, 최종적으로 이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어부는 가이던스 표시의 종횡을 변경할 수 있고,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제어부는 상기 표시 디바이스에 가이던스를 투과 표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 표시부의 표시면의 전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인더 표시 화상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가이던스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메일 수신이 있었을 경우에는 메일 수신이 있었던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이용자의 지령에 의해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라도 메일 수신이 있었던 때는 그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이용자의 판단에 의해 그 수신한 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수신한 메일에 대하여 용이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라도 착신을 검출했을 경우,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므로 착신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이용자가 즉시 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개상태이거나 표시면이 통신용 조작면에 대향하는 방향인 표시부 비회전상태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경우에 제어부는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제 1 상태일 때에 전원이 공급되면 카메라모드가 아닌 비카메라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비카메라모드」는 카메라모드 이외의 모드를 의미하고, 「대기중」 또는 「통화중」의 상태 뿐만아니라 메일이나 게임 애플리케이션(game application)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도 포함된다.
또한, 표시부 회전상태이며 전개상태에서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켜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드이기 때문에 표시 디바이스 화면의 좌우 반전을 행하고, 거울과 같이 우측에 있는 것은 우측, 좌측에 있는 것은 좌측에 투영하는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촬영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표시부 비회전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접힘상태 검출기가 접힘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한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 및 접힘상태 검출기에 의해 제 2 상태가 되었다고 검출되었을 때 비카메라모드가 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접힘상태의 비카메라모드로부터 제1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전개함으로써 접힘상태 검출기가 전개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한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 및 접힘상태 검출기에 의해 제 2 상태로부터 제 1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접힘상태의 비카메라모드로부터 표시부를 통신용으로 채용하는 전개상태의 비카메라모드로 동작모드가 스위칭된다.
또한,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접혔을 때의 조작면에 대향하는 면의 이면측에, 접혔을 때의 조작을 행하는 접힘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힌 상태이어도 조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전개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 회전상태 및 접힘상태일 경우에는 이용자의 접힘 조작부를 통한 지령에 따라 음성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는 접힌 상태인채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표시부의 표시면측에 표시면 조작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표시부 회전상태 및 접힘상태일 경우에, 접힘 조작부 및 표시면 조작부의 적어도 한 방향을 통한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게임 기능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이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표시부의 표시면측에도 이용자가 조작가능한 표시면 조작부를 구비하고, 이용자는 표시면 조작부 및 접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 회전상태 및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로부터 표시부가 제2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표시부 비회전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한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 및 접힘상태 검출기에 의해 제 3 상태로부터 제 1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자기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로부터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면과 카메라 촬상부의 시야방향이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 상대방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모드가 스위칭된다.
또한, 표시부 비회전상태 및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가 되었을 경우에는, 제1축에 수직한 방향을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하여 가이던스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 비회전상태 및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1축의 수직방향을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할지 횡방향으로 할지를 변경하고 가이던스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모드로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가이던스 표시를 횡방향으로 하여 이용할지는, 원칙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형상에 의해 설정되지만 최종적으로 이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어부는 가이던스 표시의 종횡을 변경할 수 있고,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 비회전상태 및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착신하고, 착신에 의한 통신 처리 때문에 동작모드가 비카메라모드가 되고, 이 통신 처리가 종료했을 경우에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 착신을 검출해 이용자가 응답했을 경우이어도 통신이 종료했을 경우에는 카메라모드로 되돌아오므로 이용자는 계속해서 카메라모드에서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돌출부에 카메라용 광학계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2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2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2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3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3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3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4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4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휴대전화의 제 4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제 4 상태의 상호간의 천이를 기능 전환과 함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가이던스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가이던스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카메라모드인 통신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상태의 통신모드에서의 착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카메라모드인 통신모드에서의 E-메일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E-메일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7a는 제1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 위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b는 제1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 위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a는 제1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 위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b는 제1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 위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1부분에 있어서의 돌출부 위치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제2축이 제1축에 수직인 경우, 제 1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제2축이 제1축에 수직인 경우, 제 1 변형예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는 제2축이 제1축에 수직인 경우, 제 2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b는 제2축이 제1축에 수직인 경우, 제 2 변형예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1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1 변형예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2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b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2 변형예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3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b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3 변형예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4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b는 제2축이 제1축에 평행인 경우, 제 4 변형예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는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축이 통신용 조작면에 수직인 경우,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b는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축이 통신용 조작면에 수직인 경우, 변형예의 제 4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2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2 상태에서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9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2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3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3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0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3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4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4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 4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카메라모드내의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모드내의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제 4 상태 상호간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의 통화 착신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상태에서의 통화 착신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상태에서의 통화 착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모드시의 메일 수신에 대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모드시의 메일 수신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A~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도 3에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휴대전화(1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a~도 1c는 후술하는 기구적인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a에는 휴대전화(10)의 외관의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1b에는 휴대전화(10)의 외관의 우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1c 에는 휴대전화(10)의 외관의 이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휴대전화(10)의 기능블록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도 3에 종합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10)는 제1부분(11)과 이 제1부분(11)에 대하여 제1축으로서의 축(AX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2부분(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부분(12)은 제1부분(11)의 축(AX1)에 따른 양 외측 2개소에서 제1부분(1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부분(12)은 제1부분(11)측에 배치된 베이스부(15)와, 이 베이스부(15)에 대하여 제2축으로서의 축(AX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표시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제1부분(11)의 도 1a에 도시된 통신용 조작면측에는 (a) 숫자키패드, 펑션키 등의 조작키가 배열된 통신용 조작부(21)와, (b) 통화시에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22)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용 조작부(21)에는 통화 또는 E-메일의 발신시에 발신처리 개시를 지령하고, 통화 착신시에는 통화 처리 개시를 지령하기 위한 발신키와, 통신 처리중에 짧게 눌러 통화종료를 지령하고 길게 눌러 전원의 온/오프를 지령하기 위한 통화종료/전원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통화 착신으로부터 통화 시작까지의 사이에 통화종료/전원키가 짧게 눌러지면 부재기록 목록이 남게 되어 있다.
또한, 제1부분(11)의 통신용 조작면을 정면으로 했을 때의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우측면에는 (c)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조작이 유효가 되는 카메라용 종방향키(23), 카메라용 결정키(25) 및 셔터(shutter)(26)로 이루어진 카메라용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부분(11)의 이 통신용 조작면을 정면으로 했을 때의 상측면에는 (d)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조작이 유효가 되는 카메라용 횡방향다이얼(2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부분(11)의 이 통신용 조작면의 이면측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후술하는 메인 디스플레이(28)가 외면으로 되지 않은 후술하는 기구적인 제 1 상태(도 4a~도 4c 참조)에서 보조적인 표시를 행하는 서브 디스플레이(31)와, (f) 착신음이나 안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안내용 스피커(32)와, (g) 카메라용 광학계의 시야내의 상을 촬상하는 촬상부(33)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부(33)는 후술하는 기구적인 제 2 상태에 있는 휴대전화(10)의 사시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12)과 결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1부분(11)의 돌출부에 수납되어 있다.
제1부분(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소에 더하여 그 내부에 (h) 중앙처리 장치(CPU),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등을 갖고, 휴대전화(10)의 전체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제어부(40), (i)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내장형 안테나(41)와, (j) 안테나(41)를 통해 통신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42)와, (k)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부분(11)은 그 내부에 (1) 휴대전화(10)의 접힘상태를 검출하는 접힘상태 검출기(45)을 더 갖고 있다. 여기서, 접힘상태 검출기(45)는 휴대전화(10)가 거의 완전히 접혀 있을 때에 접힘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고, 완전히 접히지 않고 있을 때에는 전개상태인 것으로 검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부분(12)의 표시부(16)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 의 지령에 따라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 결과 등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28)와, 통화시에 통화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통화용 스피커(29)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마찬가지로 제2부분(12)인 베이스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베이스부(15)에 대한 표시부(16)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도 1a~도 1c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5)와 표시부(16)의 위치관계, 즉, 휴대전화(10)를 접었을 경우에 통신용 조작면과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이 대향하는 위치관계에 있는 표시부 비회전상태에 있는 것을 제어부(40)에 통지한다. 또한,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표시부 비회전상태로부터 축(AX2) 주변에 표시부(16)가 180도 회전한 상태인 표시부 회전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표시부 회전상태인 것을 제어부(40)에 통지한다.
또한, 표시부 비회전상태로부터 표시부 회전상태가 될때 까지의 사이에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표시부 비회전상태에 있으면 제어부(40)에 통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 회전상태로부터 표시부 비회전상태가 될때 까지의 사이에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표시부 회전상태에 있으면 제어부(40)에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휴대전화(10)에서는 (i) 도 1a~도 1c에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전화(10)가 전개상태이며, 표시부 비회전상태인 기구적인 제 1 상태, (ii) 도 4a~도 4c에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전화 (10)가 접힘상태이며, 표시부 비회전상태인 기구적인 제 2 상태, (iii) 도 5a~도 5c에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전화(10)가 전개상태이며, 표시부 회전상태인 기구적인 제 3 상태, (iv) 도 6a~도 6c에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전화(10)가 접힘상태이며, 표시부 회전상태인 기구적인 제 4 상태라는 4가지 상태를 기구적으로 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구적인 제 2 상태에서는 도 4a~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 및 통신용 조작부(21)가 내측에 숨겨져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어부(40)는 기구적인 제 2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하면 휴대전화(10)의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인 통신모드로 하고 있다. 이 통신모드에서는 상술한 카메라용 조작부의 각 키는 키록(keylock)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부분(12)에 있어서 광학적인 기능을 갖는 부품이 일절 배치되지 않은 면이 외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도 4a 참조), 이 면을 접촉면으로 하여 책상이나 대의 위에 휴대전화(10)를 두었다고 한들, 휴대전화(10)의 광학적인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면, 촬상부(33)의 카메라용 광학계 또는 이것들의 보호용 투명부재에 상처를 내거나, 오물이 부착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구적인 제 3 상태에서는 도 5a~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 및 통신용 조작부(21)는 겉으로 드러나 있지만,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보면서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할 수 없다. 한편, 기구적인 제 3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이용자가 보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용자측 방향으로 촬상부(33)의 시야방 향이 향하고 있어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파인더로서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어부(40)는 기구적인 제 3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하면 휴대전화(10)의 동작모드를 메인 디스플레이(28)의 가이던스의 표시가 축(AX2)방향을 종방향으로 하는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이 가이던스 표시의 방향은 이용자가 카메라용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축(AX2)방향을 횡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는 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한 촬영 결과를 좌우 반전하여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는 통화종료/전원키를 제외한 통신용 조작부(21)의 키는 키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구적인 제 4 상태에서는, 도 6a~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은 겉으로 드러나 있지만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이용자가 보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용자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촬상부(33)의 시야방향이 향하고 있는 상태의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어부(40)는 기구적인 제 4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하면 휴대전화(10)의 동작모드를 메인 디스플레이(28)의 가이던스 표시가 축(AX2)방향을 횡방향으로 하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이 가이던스 표시의 방향은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용자가 카메라용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축(AX2)방향을 종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는 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한 촬영 결과를 좌우 반전하지 않고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기구적인 제 1 상태에서는 도 1a~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 및 통신용 조작부(21)의 통신용 조작면은 함께 겉으로 드러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보면서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기구적인 제 1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이용자가 보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용자측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촬상부(33)의 시야방향이 향하고 있어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파인더로 하여 통상의 촬상(이용자의 시야방향을 촬영 방향으로 하는 촬상)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제어부(40)는 기구적인 제 1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하면 발신 및 착신 동작이 가능한 통신모드,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을 파인더로 한 카메라모드 중 어느 동작모드라도 동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1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는, 가이던스 표시의 방향은 축(AX2)방향을 종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가이던스 표시의 방향은 제 3 상태 및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용자가 카메라용 조작을 조작함으로써 축(AX2)방향을 종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는 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한 촬영 결과를 좌우 반전하지 않고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구적인 제 1 상태에서, 통신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제1a상태」로, 카메라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제1b상태」로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각 상태 상호간의 상태천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하는 것은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이 가능한 기구적인 제 1 상태 또는 제 3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기구적인 제 1 상태에서 전원이 온으로 된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비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1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통신모드로 설정한다. 즉, 제1a상태가 된다. 한편, 기구적인 제 3 상태에서 전원을 온으로 했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3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설정한다.
제1a상태로부터 휴대전화(10)가 접혔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접힘상태 및 표시부 비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2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통신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기구적인 제 1 상태로부터 휴대전화(10)가 전개되었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비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1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통신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제1a상태로부터 표시부(16)가 베이스부(15)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3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기구적인 제 3 상태로부터 제1부분 (11)에 대하여 제2부분(12)이 접혔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접힘상태 및 표시부 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4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설정한다.
기구적인 제 4 상태로부터 휴대전화(10)가 전개되었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3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 착신 처리시에, 기구적인 제 3 상태로부터 표시부(16)가 베이스부(15)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비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1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전개시 통신모드로 설정한다. 즉, 제1a상태가 된다.
한편, 통화 착신 처리시 이외에, 기구적인 제 3 상태로부터 표시부(16)가 베이스부(15)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전개상태 및 표시부 비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1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설정한다. 즉, 제1b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b상태로부터 휴대전화(10)가 접혔을 경우에는 접힘상태 검출기(45) 및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는 접힘상태 및 표시부 비회전상태의 기구적인 제 2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를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통신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제1a상태와 제1b상태의 사이에서는 기구적인 상태가 변화되지 않지만,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상호간의 상태천이가 가능하다. 즉, 제1a상태에 있어서,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모드 동작의 지령이 있으면 이 지령을 받은 제어부(40)는 카메라모드를 동작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제1a상태로부터 제1b상태로 상태가 천이된다.
한편, 제1b상태에 있어서,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에 의해, 통신모드 동작의 지령이 되면 이 지령을 받은 제어부(40)는 동작모드를 통신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제1b상태로부터 제1a상태로 상태가 천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상과 같이 상호간 천이되는 상태 중에서 발신 동작은 제1a상태에서만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a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되는 통신용 화면을 보면서 이용자에 의해 행하여지는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에 따라 통화 발신이나 E-메일의 송신을 실행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통신용 표시를 보면서 행하는 송신용 E-메일의 작성, 수신한 E-메일의 표시나 브라우저 기능의 실행 등도 제1a상태에서만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촬상 동작은 제1b상태, 제 3 상태 또는 제 4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제1b상태에 있어서는, 줌 등의 카메라 기능 설정이나 변경은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제 3 상태 또는 제 4 상태에 있어서는, 카메라 기능의 설정이나 변경은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되는 가이던스를 보면서 행하여지는 카메라용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10)의 기구적인 상태가 변화되어, 변화 후의 상태가 카메라모드일 경우에, 제어부(40)는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표시를 축(AX2)방향의 횡방향으로 할지 종방향으로 할지를 판단하고,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여기서, 이용자는 카메라용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이 가이던스 표시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기구적인 제 3 상태로부터 제 4 상태로 변화되었을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상태로부터 제 4 상태로의 변화를 인식한 제어부(4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8)에 축(AX2)방향을 횡방향으로 하는 가이던스 표시를 행한다. 이용자는 카메라용 조작부를 조작하고, 축(AX2)방향을 종방향으로 하는 가이던스 표시의 지령을 행함으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AX2)방향을 종방향으로 하는 가이던스 표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되는 카메라 기능의 설정이나 변경의 가이던스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의 전역을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파인더 화상상에 투과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 기능의 설정이나 변경후, 셔터(26)의 조작에 의해 촬상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 결과는 상술한 기억부(43)에 기억된다.
그런데, 통화 착신의 통지 처리나 E-메일의 수신 처리는 상기의 모든 상태에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것들의 수신 처리는 주로 제어부(40)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 처리중에서, 먼저, 통화 착신의 통지 처리로 시작되는 통화 착신 관련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제1a상태 또는 제 2 상태의 통신모드 동작중에 통화 착신이 있었을 때의 처리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스텝(S11)에 있어서, 현재의 상태가 제1a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S14)으로 이행된다.
한편, 현재 상태가 제 2 상태이며, 스텝(S11)의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12)로 이행된다. 이 스텝(S12)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 이외에 의해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안내용 스피커(32)에 의해 호출음를 발생시키거나 서브 디스플레이(31)에 통화 착신 표시를 하거나 한다. 또한, 안내용 스피커(32)에 의한 호출음의 발생에 대신하여 휴대전화(10)를 진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스텝(S13)에 있어서, 제 2 상태로부터 제1부분(11)에 대하여 제2부분(12)이 전개되어서 제1a상태로 천이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동안 스텝(S13)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S13)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는 스텝(S14)로 이행된다.
스텝(S14)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를 포함하는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에 더하여 안내용 스피커(32)에 의한 호출음의 발생 등에 의해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스텝(S15)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발신키가 눌러져 통화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동안 스텝(S15)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S15)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는 스텝(S16)으로 이행된다.
스텝(S16)에서는 통화 처리가 행하여져 이용자와 상대방의 통화가 행하여진다. 이 스텝(S16)에서는 통화 처리와 병행하여 이용자에 의해 통화종료키가 눌러져 통화종료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동안 스텝(S16)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S16)에 있어서 통화종료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통화 처리는 중지된다. 그리고, 착신전과 마찬가지의 제1a상태의 통신모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1b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통화 착신이 있었을 때의 처리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스텝(S2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를 포함하는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에 더하여 안내용 스피커(32)에 의한 호출음의 발생 등에 의해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스텝(S22)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발신키가 눌러져 통화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23)으로 이행된다. 스텝(S23)에서는, 이용자에 의해 통화종료/전원키가 짧게 눌러져 간이부재기록 처리의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22)로 이행된다. 그리고, 스텝(S22) 또는 스텝(S23)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될 때 까지 스텝(S22) 및 스텝(S23)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22)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는 스텝(S25)로 이행된다. 스텝(S25)에서는 통화 처리가 행하여져 이용자와 상대방의 통화가 행하여진다. 이 스 텝(S25)에서는 통화 처리와 병행하여 이용자에 의해 통화종료키가 눌러져 통화종료 지령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인 동안 스텝(S25)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25)에 있어서 통화종료 지령이 있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통화 처리는 중지된다. 그리고, 착신전과 마찬가지의 제1b상태의 카메라모드의 처리가 재개된다.
한편, 스텝(S23)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는 스텝(S24)으로 이행된다. 이 스텝(S24)에서는 자동응답전화녹음과 녹음 종료후의 부재기록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예컨대, 부재기록이 있음을 나타내는 픽토그램(pictogram)의 표시]라는 부재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종료되면, 착신전과 마찬가지의 제1b상태의 카메라모드의 처리가 재개된다.
이어서, 상기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 동작중에 통화 착신이 있었을 때의 처리를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스텝(S3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를 포함하는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에 더하여 안내용 스피커(32)에 의한 호출음의 발생 등에 의해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스텝(S32)에 있어서, 상기의 통화 착신 표시에 더하여 메인 디스플레이(28)에 착신 처리를 위한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이 가이던스 표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편 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회전 해야 할 것에 대해서도 표시한다. 또한, 간이부재기록 처리를 행하기 위 해서는 통화종료/전원키를 짧게 눌러야 할 것 등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이 가이던스 표시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의 전역을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파인더 화상상으로 투과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스텝(S33)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표시부(16)가 베이스부(15)에 대하여 180도 회전되어서 제1a상태가 되었는지, 즉 이용자가 통화할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34)으로 이행된다. 스텝(S34)에서는 이용자에 의해 통화종료/전원키가 짧게 눌러져 간이부재기록 처리의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33)로 이행된다. 그리고, 스텝(S33) 또는 스텝(S34)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될 때 까지 스텝(S33) 및 스텝(S34)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33)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는 스텝(S36)으로 이행된다. 스텝(S36)은 제1a상태의 착신 처리로서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b의 스텝(S71)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통화종료/전원키가 짧게 눌러져 간이부재기록 처리의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72)로 이행된다.
스텝(S72)에서는 이용자가 발신키를 누르는 것 등에 의해 통화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스텝(S71)로 리턴되고, 스텝(S71) 및 스텝(S72)의 판정이 반복된다. 스텝(S72)의 판정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스텝(S73)로 이행되고 통화 처리가 행하여져, 이용자와 상대방의 통화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스텝(S25)과 마찬가지로 스텝(S74)에 있어서 통화종료 지령이 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의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통화 처리가 속행되어 스텝(S73) 및 스텝(S74)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74)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통화 처리는 중지되어 제1a상태의 착신 처리인 스텝(S36)은 종료된다. 한편, 스텝(S71)에 있어서의 판정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상술한 스텝(S24)와 마찬가지의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종료되면 제1a상태의 착신 처리인 스텝(S36)은 종료된다.
그리고, 스텝(S36)의 제1a상태의 착신 처리가 종료되면 도 11a로 리턴되고, 제1a상태의 통신모드가 된다.
한편, 스텝(S34)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가 스텝(S35)로 이행된다. 이 스텝(S35)에서는 상술한 스텝(S24)와 마찬가지의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종료되면, 착신전과 마찬가지의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의 처리가 재개된다.
이어서, 상기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 동작중에 통화 착신이 되었을 때의 처리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스텝(S4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를 포함하는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표시에 더하여 안내용 스피커(32)에 의한 호출음의 발생 등에 의해 통화 착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스텝(S42)에 있어서, 상기의 통화 착신 표시에 더하여 메인 디스플레이(28)에 착신 처리를 위한 제1단계의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이 제1단계의 가이 던스 표시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편 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에 응답하기 위해서 휴대전화(10)를 전개해야 할 것에 대해서도 표시한다. 또한, 이 가이던스 표시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의 전역을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파인더 화상상에 투과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스텝(S43)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휴대전화(10)가 전개되어서 제 3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동안 스텝(S43)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S43)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가 스텝(S44)로 이행된다.
이어서, 스텝(S44)에 있어서, 상기의 통화 착신 표시에 더하여 메인 디스플레이(28)에 착신 처리를 위한 제2단계의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이 제2단계의 가이던스 표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스텝(S3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편 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회전해야 할 것에 대해서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S45)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표시부(16)를 베이스부(15)에 대하여 180도 회전시켜서 제1a상태가 되었는지, 즉 이용자가 통화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46)로 이행된다. 스텝(S46)에서는, 이용자에 의해 통화종료/전원키가 짧게 눌러져 간이부재기록 처리의 지령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45)로 이행된다. 그리고, 스텝(S45) 또는 스텝(S46)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될 때 까지 스텝(S45) 및 스텝(S46)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45)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가 스텝(S36)로 이행된다. 제1a상태의 착신 처리인 스텝(S3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b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통화 처리 또는 간이부재기록 처리의 선택이 행하여져, 통화 처리 및 간이부재기록 처리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 그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S36)이 종료되고, 도 13의 제1a상태에서의 통신모드가 된다.
한편, 스텝(S46)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는 스텝(S47)으로 이행된다. 이 스텝(S47)에서는 상술한 스텝(S24)이나 스텝(S35)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간이부재기록 처리가 종료되면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로 이행된다.
이어서, 상기 각 상태에 있어서의 E-메일 수신 처리로 시작되는 E-메일 착신 관련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a상태 또는 제 2 상태의 통신모드 동작중에 E-메일 수신이 있었을 때의 처리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S51)에 있어서, 현재의 상태가 제1a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54)으로 이행된다.
한편, 현재의 상태가 제 2 상태이며 스텝(S51)의 판정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S52)로 이행된다. 이 스텝(S52)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31)로의 E-메일 수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스텝(S53)에 있어서, 제 2 상태로부터 제1부분(11)에 대하여 제2부분(12)이 전개되어서 제1a상태로 천이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 인 동안 스텝(S53)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S53)에 있어서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가 스텝(S54)으로 이행된다.
스텝(S54)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E-메일 수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E-메일 수신 표시가 된 제1a상태에 있어서, 이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28)를 보면서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표시가 가능해 진다.
상기 제1b상태, 제 3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 동작중에 E-메일 수신이 있었을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스텝(S6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E-메일 수신 표시가 일시적으로 행하여져 이용자에게 E-메일을 수신한 것에 대하여 주의가 환기된다. 또한, 이 E-메일 수신 표시는 메인 디스플레이(28)의 표시면의 전역을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파인더 화상상에 투과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일시적인 E-메일 수신 표시가 종료되면 스텝(S62)에 있어서, 각 상태에 따른 처리가 재개된다. 이 스텝(S62)에서는 각 상태의 처리와 병행하여 제1a상태로 천이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이 부정인 동안 스텝(S62)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S62)에 있어서 제1a상태로 천이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긍정적인 판정이 될 때 까지 스텝(S62)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S62)의 처리의 반복 중에 다른 동작모드의 상태(제1a상태를 제외함)로 변화되었을 때에는 스텝(S62)에서는 변화 후의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동작모드의 상태가 제1a상태로 되고 스텝(S62)에 있어서 제1a상태로 천이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긍정적인 판정이 되면 처리가 스텝(S64)으로 이행된다. 이 스텝(S64)에서는 상술한 스텝(S5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E-메일 수신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 메인 디스플레이(28)로의 E-메일 수신 표시가 된 제1a상태에 있어서, 이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28)를 보면서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표시나 메일 서버로부터의 수신 메일의 취득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이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28)를 보면서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함에 따라 수신 메일의 표시나 메일 서버로부터의 수신 메일의 취득이 행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1부분(11)에 대한 제2부분(12)의 축(AX1) 주변의 회전, 및 제2부분(12)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5)에 대한 표시부(16)의 제2축 주변의 회전이라는 2종류의 회전에 관한 각각 2종류의 상태의 조합으로서, 4종류의 기구적인 상태를 나타냄과 아울러 이 4종류의 기구적인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4가지 상태 각각에 대해서 상태의 천이를 고려하면서 동작모드로서 통신모드나 카메라모드를 원칙적으로는 자동적으로 할당하고, 필요에 따라 동작모드를 적당히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에 의한 동작모드의 설정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상태에 있어서는, 표시부(16)의 표시면의 반대측의 면 또는 이 면과 동일측의 베이스부(15)의 면에는 광학적 부품을 배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책상 위에 놓여진 경우에, 이 면을 책상면과의 접촉면으로 하면, 수광이나 표 시를 위한 부품 또는 그것들의 보호부재에 책상면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오물의 부착이나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용 조작키의 모두가 제1부분(11)에 있어서의 통신용 조작부(21)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볼버형과 같이 제1부분(11) 및 제2부분(12)의 양쪽부분에 걸쳐 조작키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통상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용 조작시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분(11)과 제2부분(12)은 소위 클램쉘형으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28)가 외면측으로 되어 있지 않은 상기의 제 2 상태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인 통신 관련 정보나 이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의해 설정되는 배경화면 모양 등의 비밀성을 통상의 종래의 휴대전화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작모드가 카메라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도 통화 착신이나 E-메일 수신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이 이벤트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므로 이 이벤트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이용자가 즉시 취할 수 있다.
또한, 동작모드가 카메라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표시부의 메인 디스플레이(28)에 있어서의 표시면의 전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인더 표시 화상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각종 가이던스를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부분(12)은 제1부분(11)의 제1축(AX1)에 따른 적어도 양 외측 2개소에서 제1부분(11)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부분(12)은 제1부분(11)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제1축(AX1)방향의 폭을 충분히 취할 수 있고, 제2부분(12)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분(11)의 돌출부에 카메라 광학계를 수납함으로써 보다 고성능의 카메라 기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상태(또는 제 4 상태)에서의 통화 착신 관련 처리에 있어서, 도 11a(또는 도 13)의 스텝(S33)[또는 스텝(S45)]에 있어서 제1a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되면, 발신키 등이 눌러져 통화 지령이 된 후에 스텝(S36)의 통화 처리로 이행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대하여, 제1a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된 후, 즉시 통화 처리에 이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1b상태(또는 제 3 상태 혹은 제 4 상태)에서의 통화 착신 관련 처리에 있어서, 도 10(또는 도 11a 및 도 13)의 스텝(S23)[또는 스텝(S34) 및 스텝(S46)]에서 통화종료/전원키가 눌러졌을 때에 부재기록 처리의 지령이 되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대하여, 통신용 조작부(21) 중 어느 하나의 조작키가 눌러졌을 때에도 부재기록 처리의 지령이 되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상태에서의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는 제 3 상태로 형상을 변환한 후에 간이부재기록 처리(S47)를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기구적인 제 4 상태의 형상인 채로 카메라용 조작부 등의 소정 키가 조작됨으로써 간이부재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분(11)에 있어서의 제2부분(12)과 의 접속 부분에 돌출부가 있는 것으로 했지만, 휴대전화(10)를 접었을 때에 겹치지 않는 부분에서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11)에 있어서의 제2부분(12)의 베이스부(15)측에 있는 것으로 해도 좋고,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11)에 있어서의 제2부분(12)의 표시부(16)측에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1부분(11)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촬상부(33)를 수납하는 것으로 했지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에 있어서의 단부에 카메라용 광학계를 수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15)와 표시부(16)의 접점이 축(AX2)상에서 하나였지만,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5)의 형상을 표시부(16)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하거나,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6)의 전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하여 축(AX2)상의 2점에서 베이스부(15)와 표시부(16)가 접하는 바와 같은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축(AX2)이 축(AX1)에 수직했지만 축(AX2)를 축(AX1)과 평행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15)와 표시부(16)의 접점을 하나로 한 구조에서는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5)를 L자형으로 하거나,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5)를 표시부(16)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5)와 표시부(16)의 접점을 두개로 한 구조에서는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5)의 형상을 표시부(16)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하거나 도 25a 및 도 25b에 도 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6)의 전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축이 통신용 조작면에 평행한 것으로 했지만,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조작면에 수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2부분(12)이 제1부분(11)의 제1축(AX1)에 따른 양 외측 2개소에서 제1부분(11)과 결합되어 있지만 양 외측 2개소 이외에 결합 개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에 적용했지만 휴대전화 이외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7a~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a~도 28에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휴대전화(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7a~도 27c는 기구적인 제 1 상태에서의 외관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7a에는 휴대전화(100)의 외관의 정면도, 도 27b에는 휴대전화(100)의 외관의 우측면도, 도 27c에는 휴대전화(100)의 외관의 이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8에는 휴대전화(100)의 기능블록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100)는 제1부 분(111)과 이 제1부분(111)에 대하여 축(AX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2부분(1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의 축(AX1)에 따른 양 외측 2개소에서 제1부분(11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측에 배치된 베이스부(115)와, 이 베이스부(115)에 대하여 축(AX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표시부(116)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구적인 제 1 상태, 도 29a~도 29c에 도시된 제 2 상태, 도 30a~도 30c에 도시된 제 3 상태 및 도 31a~도 31c에 도시된 제 4 상태의 상태천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부분(111)은 도 27a~도 27c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신용 조작부(21), 마이크로폰(22), 카메라용 종방향키(23), 카메라용 횡방향다이얼(24), 카메라용 결정키(25), 셔터(26), 서브 디스플레이(31), 안내용 스피커(32), 촬상부(33), 안테나(41), 송수신부(42), 기억부(43), 및 접힘상태 검출기(4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부분(111)은 (a) 제 4 상태에서의 통화에 사용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03)(도 29a 참조), 및 (b) 제 1 실시형태의 제어부(40)와 제어 알고리즘을 달리하는 제어부(140)(도 28 참조)를 더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가이던스 표시의 방향제어, 및 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한 촬영 결과의 표시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40)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116)는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기능이고, 메인 디스플레이(28)와 통화용 스피커(29)를 구비하고, 또한, 게임 기능 사용시 등에 사용하는 버튼A와 버튼B의 2개로 구성되는 표시면 조작부(101)를 더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15)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46)를 구비한다. 그리고, 베이스부(15)가 접혔을 때에 제1부분(111)과 대향하는 면의 이면측에는 주로 접어진 상태에서의 조작에 사용되고, 상하 좌우의 4방향과 중앙을 합친 5개소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십자형키인 접힘 조작부(102)가 배치되어 있다.
휴대전화(100)는 전화 기능 및 카메라 기능 이외에 메일 기능, 음악이나 비디오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에 접속해서 정보를 취득하는 브라우저 기능, 및 게임 기능의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카메라모드에는 전화 기능, 메일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브라우저 기능 및 게임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기능으로 동작할지는 이용자의 지령에 의해 스위칭된다. 또한, 카메라 기능에 있어서는,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착신시에 자동응답전화기능을 실행하는 부재기록 기능, 및 메일 수신시에 수신 메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메일 내용 확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음성 착신시 또는 메일 수신시의 가이던스 표시에 따라 이용자가 조작함으로써 각 기능을 스위칭한다.
이어서,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천이에 대해서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기구적인 제 1 상태(도 27a~도 27c 참조)에서는 기구적인 제 2 상태 로부터 제 1 상태로 이행한 경우, 및 제 1 상태에서 전원이 온으로 된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또한, 기구적인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로부터 제 1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제 1 상태에서의 비카메라모드와 카메라모드는 통신용 조작부(21)의 조작에 의해 서로 이행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상태의 비카메라모드에서는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기능, 메일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브라우저 기능 및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이용자가 통신용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상술한 기구적인 제 2 상태(도 29a~도 29c 참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비카메라모드이지만 메인 디스플레이(28)가 내측에 접혀져 볼 수 없기 때문에 통화 이외의 기능은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부분(112)에 있어서 광학적인 기능을 갖는 부품이 일절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 외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도 29a 참조), 이 면을 접촉면으로 하여 책상 위에 놓아도 휴대전화(100)의 광학적인 기능을 갖는 부재를 상처 내거나 오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기구적인 제 3 상태(도 30a~도 30c 참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 같이 예외적으로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또는 통신 중인채 제 3 상태로 이행했을 경우에는 비카메라모드인채 제 3 상태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제 4 상태 또는 제 1 상태로 이행될때 까지는 조작불 가로 된다.
또한, 상술한 기구적인 제 4 상태(도 31a~도 31c 참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제 3 상태로부터 제 4 상태로 변형시켰을 때의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8) 뿐만아니라, 표시면 조작부(101), 및 접힘 조작부(102)가 표면에 드러나 있으므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를 조작해서 비카메라모드로 이행하고,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 기능, 메일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브라우저 기능, 및 게임 기능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4 상태의 전화 기능에서는, 이용자가 착신시에는 발신원의 전화번호를 메인 디스플레이(28)에 의해 확인하고,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의 중앙을 누름으로써 응답한다. 통화는 통화용 스피커(29) 및 마이크로폰(103)을 이용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발신시에는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의 상하를 누름으로써 발신이력 및 착신이력을 참조할 수 있고,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의 중앙을 누름으로써 전화번호부의 참조가 가능해 지고 있다. 이용자는, 이 참조된 전화번호로부터 선택함으로써 발신을 행한다. 또한, 신규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싶을 경우에는 제 1 상태로 변형하고, 통신용 조작부(21)의 숫자키패드를 사용해서 입력한다.
제 4 상태의 메일 기능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 및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를 사용한다. 이용자는 이 십자형키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100)의 기억부(43)에 보존된 수신 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수신 메일의 내용을 메인 디스플레이(28)를 통해 확인한다. 새로운 내용의 메일을 작성할 경우에는 휴대전화(100)의 형상을 제 1 상태로 변형하고 통신용 조작부(21)의 숫자키패드를 사용해서 작성할 필요가 있지만 작성완료된 메일을 송신하기만 하는 등의 숫자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행할 수 있는 조작은 제 4 상태인채로 행할 수 있다.
제 4 상태의 멀티미디어 기능에서는 휴대전화(100)의 기억부(43)에 보존된 음악파일이나 비디오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이며, 메인 디스플레이(28), 및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를 사용한다. 이용자는 이 십자형키를 조작함으로써 휴대전화(100)의 기억부(43)에 보존된 음악파일이나 비디오파일을 선택하고 재생을 지령한다. 또한, 음악파일이나 비디오파일의 명칭을 변경하는 등의 숫자키패드를 필요로 하는 조작의 경우에는 제 1 상태로 변형하고 통신용 조작부(21)의 숫자키패드로 조작 할 필요가 있다.
제 4 상태의 브라우저 기능에서는 메일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과 마찬가지로 메인 디스플레이(28), 및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를 사용한다. 브라우저 기동후, 이 십자형키의 상하 좌우의 적절한 부분을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링크처를 나타내는 문자열에 커서를 맞추고, 이 십자형키의 중앙을 누름으로써 해당 링크로 점프한다. 또한, 문자열의 입력 등 숫자키패드에 의한 입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 1 상태로 변형하여 통신용 조작부(21)의 숫자키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할 필요가 있다.
제 4 상태의 게임 기능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28),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 및 표시면 조작부(101)의 A버튼과 B버튼을 사용한다. 휴대전화(100)의 기억부(43)에 보존된 게임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십자형키, 및 A버튼과 B버튼의 기능이 게임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할당된다. 이용자는 게임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원하는 동작을 시키기 위해 할당된 기능의 키 또는 버튼의 조작을 행한다.
여기서, 휴대전화(100)에서는 제 4 상태에서 비카메라모드가 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제 4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중, 또는 통신중에 통신용 조작부(21)의 숫자키패드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중, 또는, 통신중의 경우에는 제 4 상태로부터 제 3 상태를 경과하여 제 1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중 또는 통신중인채, 제 3 상태로 이행했을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중 또는 통신중의 상태가 유지되어 제 3 상태에서의 조작은 불가로 하고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상태에서 음악등을 재생한 후, 제 4 상태와 같이 접어진 작은 상태에서 시청하고 싶을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중,또는 통신중의 경우에 제 1 상태로부터 제 3 상태를 경과하여 제 4 상태로 이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어서, 휴대전화(100)가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대해서 도 34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 착신이 있으면 스텝(S10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통화 착신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가이던스의 표시는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전송, 거부, 보류 및 부재기록이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는 취 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로 리턴되어, 스텝(S102)에 있어서, 이용자가 통화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스텝(S103)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이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스텝(S104)에 있어서 착신 응답, 통화 및 절단까지를 실행하는 통화 처리를 행한다. 통화가 종료되고 절단되면 제어부(140)는 스텝(S105)에 있어서 카메라모드로 이행하여 원래의 상태로 리턴된다.
한편, 스텝(S102)에 있어서 전송, 거부 및 부재기록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106)에 있어서 각각 전송, 거부 및 부재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에는 비카메라모드로의 이행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스텝(S102)에 있어서 보류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스텝(S107)에 있어서 보류 처리를 행한다. 이용자가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스텝(S108)에 있어서 통화 지령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스텝(S103)~스텝(S105)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스텝(S108)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에는 스텝(S109)으로 이행되고, 발호측에서 절단되었을 경우, 즉 휴대전화(10)에 전화를 걸어온 발측에서 통신망을 통해 휴대전화(10)에 보류된 호의 절단을 통지했을 경우, 및 착호측에서 절단되었을 경우, 즉 휴대전화(10)로 보류된 호를 절단했을 경우 중 어느 경우인지가 판정된다. 스텝(S109)에서의 판정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인 제 1 상태,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로 이행된다. 한편, 부정적인 경우에는 스텝(S108) 및 스텝(S109)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어서,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대해서 도 36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제 3 상태의 카메라모드에서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스텝(S20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에 통화 착신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가이던스의 표시에서는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거부, 보류 및 부재기록의 선택이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는 것, 및 통화의 경우에는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표시된다.
이어서, 스텝(S202)에 있어서, 이용자가 전송, 거부, 및 부재기록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스텝(S205)에 있어서, 각각 전송, 거부 및 부재기록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스텝(S202)에 있어서, 지령이 없을 경우, 제어부(140)는 스텝(S203)에 있어서 휴대전화(100)의 형상을 확인한다. 이용자가 휴대전화(100)를 변형하여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가 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140)는 도 34의 스텝(S100)인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의 착신」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변형하지 않고 제 3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스텝(S202) 및 스텝(S203)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S202)에 있어서, 보류 선택을 했을 경우, 제어부(140)는 메인 디스플레이(28)로부터 가이던스 표시를 소거하고, 스텝(S202) 및 스텝(S203)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용자가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 때에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제어부(140)는 스텝(S203)으로부터 도 34의 스텝(S100)인 「제 1 상태 또는 제 4 상태의 카메라모드의 착신」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메일의 수신이 있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 37을 따라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스텝(S301)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28) 에 메일 수신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가이던스의 표시에서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표시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에 관한 선택이 접힘 조작부(102)의 십자형키의 중앙을 누름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는 취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스텝(S302)에 있어서 수신 메일의 표시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에 관한 선택을 행한다. 이 선택이 긍정적인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스텝(S303)에 있어서 수신 메일 표시 처리를 행한다. 부정적인 경우, 수신 메일의 표시 처리는 행하지 않고 메일 수신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도 메일 수신이 있으면 그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이용자는 휴대전화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그 수신한 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수신한 메일에 대하여 간이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도 통화 착신이 있으면 이용자는 휴대전화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절단이나 부재기록 등의 조치를 행하고, 제 1 상태 및 제 4 상태 중 어느 형상이어도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보다 간이한 조작으로 통화 착신에 대하여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의 제1축(AX1)에 따른 적어도 양 외측 2개소에서 제1부분(111)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과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제1축(AX1) 방향의 폭을 충분히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부 분(112)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제2부분(112)에 보다 많은 기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시되는 통화 착신 가이던스 및 메일 수신 가이던스는 메인 디스플레이(28)에 단지 표시되는 것으로 했지만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투과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시면 조작부가 게임 기능에만 사용되고 있었지만 다른 기능에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힘 조작부 및 표시면 조작부는 각각 십자형키 및 버튼으로 하고 있었지만 다른 형상이나 다른 기능을 가지는 입력장치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상태 및 제 3 상태에서 통화할 수 없는 것으로 했지만, 제 2 상태 및 제 3 상태에서도 통화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와 동등한 변형예를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의 실장시에 유용하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때의 이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적합하다.

Claims (21)

  1.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제1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 기능 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로서:
    상기 제1부분은,
    카메라용 광학계, 및
    상기 제1축에 평행하며 접혔을 때 제2부분과 대향하는 조작면을 갖는 조작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 베이스부, 및
    표시 디바이스를 갖고,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면에 평행한 제2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된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제1축에 걸친 적어도 양 외측 2개소에서 상기 제1부분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은 제1축에 대하여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통신용 조작면의 수직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카메라용 광학계를 수납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축은 상기 통신용 조작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광학계의 광축은 상기 통신용 조작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표시부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 및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상기 제1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접혔을 때 상기 표시면이 상기 통신용 조작면에 대향하지 않는 방향인 표시부 회전상태로 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접힘상태를 검출하는 접힘상태 검출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이며 상기 접힘상태 검출기가 전개상태로 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하여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고,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이며 상기 접힘상태 검출기가 접힘상태인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횡방향으로 하여 상기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할지 횡방향으로 할지를 변경하고, 상기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모드로 동작중 상기 표시 디바이스에 가이던스를 투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모드로 동작중 메일 수신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메일 수신이 있었음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이용자의 지령에 의해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모드로 동작중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착신이 있었음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개상태 및 상기 표시면이 상기 통신용 조작면에 대향하는 방향인 표시부 비회전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이며 상기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상기 표시부 비회전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접힘상태 검출기가 상기 접힘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상태의 비카메라모드로부터 상기 제1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전개함으로써 상기 접힘상태 검출기가 상기 전개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를 비카메라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있어서 접혔을 때에 조작면에 대향하는 면의 이면측에 접혔을 때의 조작을 행하는 접힘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 및 상기 접힘상태일 경우에, 이용자의 상기 접힘 조작부를 통한 지령에 따라 음성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측에 표시면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 및 접힘상태일 경우에, 상기 접힘 조작부 및 상기 표시면 조작부의 적어도 한 쪽을 통한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게임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이며 상기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로부터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표시부 회전상태 검출기가 상기 표시부 비회전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비회전상태이며 상기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하여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고,
    상기 표시부 비회전상태이며 상기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상기 제1축에 수직인 방향을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으로 할지 횡방향으로 할지를 변경하고, 상기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비회전상태이며 상기 전개상태의 카메라모드로 동작중에 착신하고, 상기 착신에 의한 통신 처리 때문에 동작모드가 비카메라모드로 되고, 상기 통신 처리가 종료했을 경우에 동작모드를 카메라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KR1020067001592A 2003-07-31 2004-06-15 이동통신 단말장치 KR100736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4561 2003-07-31
JPJP-P-2003-00284561 2003-07-31
JP2003302891 2003-08-27
JPJP-P-2003-00302891 2003-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656A true KR20060028656A (ko) 2006-03-30
KR100736663B1 KR100736663B1 (ko) 2007-07-06

Family

ID=3411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592A KR100736663B1 (ko) 2003-07-31 2004-06-15 이동통신 단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650933A4 (ko)
JP (1) JP3868468B2 (ko)
KR (1) KR100736663B1 (ko)
WO (1) WO2005013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2587B2 (en) 2005-06-03 2013-09-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age mode-based antenna selection
EP2372983B1 (en) 2005-08-04 2017-08-30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lugging on cradle for charging
US20090011798A1 (en) * 2006-03-10 2009-01-08 Hiroshi Yamada Mobile phone
JP4332676B2 (ja) 2006-07-04 2009-09-1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33002B2 (ja) 2007-06-19 2010-03-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2171189A (ja) *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2002171319A (ja) * 2000-12-01 2002-06-14 Tookado:Kk 折畳式携帯電話機
KR100438433B1 (ko) 2001-06-26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JP2002094629A (ja) * 2001-06-26 2002-03-29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US7106357B2 (en) * 2001-08-27 2006-09-12 Olympus Optical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feature
JP2003163824A (ja) * 2001-11-28 2003-06-06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2003309634A (ja) * 2002-04-17 2003-10-31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286430A (ja) * 2004-03-26 2005-10-13 Sharp Corp 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0933A1 (en) 2006-04-26
KR100736663B1 (ko) 2007-07-06
JPWO2005013586A1 (ja) 2006-09-28
JP3868468B2 (ja) 2007-01-17
WO2005013586A1 (ja) 2005-02-10
EP1650933A4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9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04484B1 (ko) 정보통신단말장치
US7295240B2 (en) Electronic apparatus
JP4442385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85965B1 (ko)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폴더형의 휴대용 정보 처리 장치
JP2002305565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WO2009084583A1 (ja) 携帯通信端末
JP2003162355A (ja)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JP2005191834A (ja) 端末装置
JP2004312389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526296B1 (ko) 무선통신단말
KR100736663B1 (ko) 이동통신 단말장치
JP2002300237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6080878A (ja) 電子機器、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05191832A (ja) 携帯電話
JP2002300550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7201825A (ja) 携帯電話
JP2006066975A (ja) 携帯通信端末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JP2001045349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267024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2006066974A (ja) 携帯通信端末
JP2003101614A (ja) 通信端末装置、自動回線接続方法、情報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98892A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4231804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