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112A -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112A
KR20060026112A KR1020060020331A KR20060020331A KR20060026112A KR 20060026112 A KR20060026112 A KR 20060026112A KR 1020060020331 A KR1020060020331 A KR 1020060020331A KR 20060020331 A KR20060020331 A KR 20060020331A KR 20060026112 A KR20060026112 A KR 2006002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ydrant
tunnel
fire hydrant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259B1 (ko
Inventor
김하일
김태선
Original Assignee
김태선
김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선, 김하일 filed Critical 김태선
Priority to KR102006002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2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65H75/4405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 B65H75/441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with a handle on the guide for manu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에 설치되는 소화전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터널 벽체내에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은 아치형의 터널을 시공하고 상기 터널 벽체내에 설치되는 소화전 함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면 테두리부가 대응되는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소화전 매설함과,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밀착되게 결합되는 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여닫을 수 있는 소화전 외부커버가 결합된 박스 형태의 소화전 외부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화전 매설함을 설치하는 단계와, 터널 벽체를 형성하는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 단계와, 소화전 외부함을 설치하는 단계와, 마무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에 따라 터널 벽체 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아치형의 터널 벽체 내에 소화전 함을 설치할 때 별도의 소화전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소화전 함을 설치하는 공정이 단축되어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터널 벽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마감부실에 따른 누수현상을 없애고 외관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소화전 함, 슬라이딩 폼.

Description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A hydtant box of Tunne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소화전 함을 설치한 터널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소화전 함을 설치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을 터널 내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
도 6(a)(b)(c)(d)(e)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개의 내부공간을 구획한 터널용 소화전 함을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소화전 함 110 : 소화전 매설함
114 : 매설함 전면 테두리부 120 : 소화전 외부함
121 : 외부함 후면 테두리부 130 : 소화전 외부커버
200 :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210 : 소화전 매설함 설치 220 :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
230 : 소화전 외부함 설치 240 : 마무리 작업
본 발명은 터널 내에 설치되는 소화전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터널 벽체내에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소화전 함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고속도로, 국도, 철도 그리고 도심지의 도로건설에서 산지를 관통해야하는 터널의 시공은 필수적인 공사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널은 기본적으로 암반에 터널을 뚫는 굴착공정과 숏크리트(Shotcret) 공정, 방수공정 그리고 터널 벽체를 이루는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을 거쳐 시공된다.
먼저 굴착기나 발파 등의 방법을 이용해 암반에 터널을 굴착하고, 숏크리트와 부직포 및 방수막 시트로 1차 지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30∼40cm 내외의 두 께로 라이닝 콘크리트(lining concret)를 타설하여 터널 벽체를 형성하는데,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는 아치형의 형상을 이루며 타설된다.
이때, 상기 타설되는 라이닝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지하고 아치형의 터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강재 거푸집으로 아치형의 외면을 가지는 슬라이딩 폼(sliding form)이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폼을 이용해 타설된 라이닝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어 그 형태가 형성된 후에는 상기 슬라이딩 폼을 이동하면서 나머지 터널 부분을 완성하고 마감공정에 따라 일련의 터널시공은 완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공된 터널내에는 화재시 소화를 목적으로 소화전을 다수개 설치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치되는 소화전 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터널(10)은 암반(11)에 숏크리트(12)로 1차 지보를 형성하고, 부직포와 방수막 시트(13)를 상기 1차 지보에 설치한 다음 라이닝 콘크리트(14)로 아치형의 터널 벽체를 형성한다.
이때, 터널 내의 화재 경보와 진화를 위해 다수개의 소화전 함(20)을 터널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소화전 함(20)은 화재를 알리거나 진화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기구들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소화전 함(20)을 터널 벽체 외부에 구성하기에는 요구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 소화전 함(20)은 일부가 터널 벽체 내에 매설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함(20)이 매설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라이닝 콘크리트(14)를 타설하여 터널 벽체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 확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14)를 타설하기 위한 강재 거푸집 즉, 아치형의 슬라이딩 폼은 곡률면을 가진 터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외면이 둥근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소화전 함(20)을 라이닝 콘크리트(14)가 타설되는 공간내에 위치한 상태로 콘크리트(14)를 타설할 수 없고 일반적으로 소화전 거푸집을 이용해 상기 소화전 함(2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일부 확보한 다음 슬라이딩 폼을 이용한 라이닝 콘크리트(14) 공정이 끝난 후 상기 소화전 거푸집을 제거하고 소화전 함(20)을 설치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소화전 함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소화전 함(도 1, 20)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화전 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소화전 거푸집을 설치(1)한다. 그리고,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으로 슬라이딩 폼을 설치(2)하고,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3)한 후, 슬라이딩 폼을 제거(4)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라 아치형의 터널 벽체에는 소화전 함(2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어서, 소화전 거푸집을 제거(5)하고 소화전 함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6)하는데, 상기 소화전 거푸집을 제거(5)하고 난 다음 형성되는 공간은 일반적으로 상기 소화전 함(도 1, 20)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화전 함을 위치·고정시킬 때 남는 여백 공간을 메우는 작업(7)이 요구된다. 이때, 상기 소화전 함의 후방에 형성되는 여백 공간을 벽돌이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메우는 작업은 매우 어려우며 상기 소화전 함의 높낮이와 수평을 조절하면서 작업하기는 더욱 어렵다.
이와 같이 소화전 함 고정 및 여백을 메우는 과정(7)이 끝난후 소화전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방수용 호스와 경보장치 등을 설치하는 마무리 작업(8)을 실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터널 벽체의 외부에서는 상기 소화전 함(도 1, 20)이 안정적으로 위치된 것 같지만 여백 공간에 의해 상기 터널 벽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누수현상이 발생하고 마감공정이 부실할 경우 외관미 또한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다수의 공정에 따라 작업이 까다로워져 작업능률의 저하와 함께 공사비용도 증가된다. 그리고 터널의 완공 후에 소화전 함이 설치된 벽면에 균열과 같은 하자의 발생 요인이 되며 미관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내에 소화전함을 설치함에 있어서 별도의 소화전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소화전함을 설치할 수 있는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과 이를 이용해 설치한 소화전 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은 소화전 매설함과 소화전 외부함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크게 소화전 매설함 설치 단계와,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 단계과, 소화전 외부함 설치 단계와, 마무리 작업 단계에 따라 소화전 함이 터널 벽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설치되는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을 이용해 아치형의 터널을 시공하고 상기 터널 벽체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소화전 함은,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면 테두리부가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터널 벽체가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터널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구성되는 소화전 매설함과,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밀착되게 결합되는 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여닫을 수 있는 소화전 외부커버가 결합된 박스 형태의 소화전 외부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전 외부함의 크기만큼 상기 터널 벽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소화전 외부함의 후면 테두리부는 소화전 함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되며, 또한 상기 전면 테두리부와 후면 테두리부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외부함은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고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게 결합되는 판형상의 소화전 외부커버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소화전 외부커버에 의해 소화전 매설함은 오목하게 들어간 소화전 함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전 함의 내부공간은 격판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소화전 외부커버에 형성된 발신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화재 탐지부를 구성하며, 하단부에는 방수구밸브와 관창, 방수용 호스 등의 방수용 기구가 내장된 소화전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함의 내부공간 일측부에 소화기를 수납할 수 있는 소화 기 수납실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전 외부커버의 일측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터널 내측으로 돌출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외측에 표시판이 형성된 소화전 표시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소화전 함을 터널 벽체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매설함 설치 단계에 따라,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면 테두리부가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소화전 매설함을 다수개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을 이용하여 터널 벽체가 형성되는 공간 내에 고정한다.
그리고,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 단계에 따라,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도록 슬라이딩 폼을 설치한 후 터널 벽체가 형성될 공간 내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슬라이딩 폼을 제거하여 상기 소화전 매설함이 매설된 터널 벽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소화전 외부함 설치 단계에 따라, 상기 터널 벽체에 매설된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후면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소화전 외부함을 상기 소화전 매설함에 결합하여 단일 소화전 함을 구성한다.
그리고, 마무리 작업 단계에 따라 상기 결합된 소화전 외부함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는 소화전 외부커버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자동화재 탐지부를 구성하는 전기배선과 소화전부를 구성하는 방수구 밸브, 방수용 호스 등 방수용 기구가 내장된 소화전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소화전 매설함 설치 단계는, 상기 매설함의 좌·우측과 하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너트를 수평수직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 간격 조절용 나사봉을 결합하여 상기 매설함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고,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의 끝단부와 만나는 1차 지보에는 지지패드를 설치하여 부직포 및 방수막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소화전 매설함을 설치할 때, 상기 매설함의 외벽에는 주름진 판 또는 사각관형상의 보강강판을 설치하며, 상기 매설함의 내부공간에는 외벽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버팀목을 설치하고, 상기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에는 스티로폼이나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매설함이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외부함 설치 단계는, 대응하는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소화전 외부함의 후면 테두리부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에 볼트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소화전 외부함은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고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게 결합되는 판형상의 소화전 외부커버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100)은 아치형의 터널 벽체 내에 매설되는 소화전 매설함(110)과 상기 매설함(110)과 결합되는 소화전 외부함(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은 단단한 경질의 플라스틱판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을 구성하는 상판(115)과 하판(118), 후판(117) 그리고 양측판(1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설함(110)의 상·하판(115, 118)과 양측판(116)이 형성하는 전면의 테두리부(114)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휘어진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는 터널 벽체를 시공할 때 설치되는 슬라이딩 폼의 곡면과 대응되어 터널 벽체를 시공 완료했을 때 터널 벽체의 아치형 곡률면의 일부분이 되고, 상기 매설함(110)은 상기 터널 벽체에 매설되어 일체화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는 터널 시공 공정에 따라 터널 벽체가 형성되었을 때 아치형 터널 벽체의 곡률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강재 거푸집인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은 터널 벽체 내부에 매설된 상기 매설함(110)과 일체로 결합되어 터널 벽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크게 외부함 상판(125)과 양측판(126) 그리고 하판(128)으로 이루어져 박스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전체 소화전 함(10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외부함(120)의 상·하판(125, 128)과 양측판(126)의 크기는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은 전체 소화전 함(100)을 하나의 박스형태로 보았을 때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를 기준으로 잘라져 구분된 박스의 일부분으로,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매설함(1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는 사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나사공(54a)이 형성된다.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은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후면 테두리부(121)를 형성하고 전면에 여닫을 수 있는 소화전 외부커버(130)가 결합된 박스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외부함(120)의 후면 테두리부(121)는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와 동일한 크기와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부(114)의 나사공(54a)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공(54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외부함(120)의 후면 테두리부(121)와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가 접면하면서 위치하고 상기 테두리부(114, 121)의 나사공(54a, 54b)을 관통하는 볼트(53)에 의해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과 소화전 외부함(120)은 일체로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와 소화전 외부함(120)의 후면 테두리부(121)는 내측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되어 단일 소화전 함(10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함(120)은 터널의 벽체를 형성하는 공정이 끝난 후에 상기 매설함(110)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함(120)과 매설함(11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소화전 함(100)은 상기 외부함(120)의 크기만큼 터널 벽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터널 내 화재시 용이하게 상기 소화전 함(100)을 찾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과 소화전 외부함(12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소화전 함(100)은 내부에 전기배선과 방수용 밸브, 방수용 호스 등 다양한 방수용 기구들이 위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상단부에는 터널의 화재사실을 외부커버(130)에 형성된 발신기(131)를 통해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전기배선이 설치된 자동화재 탐지부(112)가 형성되는 공간을 가지고, 하단부에는 방수구밸브와 관창, 방수용 호스 등 방수용 기구가 내장된 소화전부(113)가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화재 탐지부(112)와 소화전부(113)는 소정 크기의 격판(111)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격판(111)은 상기 매설함(110)의 제작시 일체로 제작되거나 필요에 따라 소화전 함(100)를 구성한 후 마무리 작업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은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와 동일 곡면을 가지는 소화전 외부커버(130)로 대체될 수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벽체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소화전 함(100)은 상기 터널 벽체에 매설되는 소화전 매설함(110)과,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소화전 외부커버(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화전 매설함(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면 테두리부(114)가 터널의 벽체를 형성하는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 중에 상기 슬라이딩 폼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터널 벽체가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일체화되도록 매설된다.
그리고, 소화전 외부커버(130)는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을 덮으며 상기 매설함(11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차단하는 것으로 단단한 경질의 판형상이며,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일측에는 힌지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커버(130)는 자동화재 탐지부(112)가 설치되는 공간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상단커버(130a)와, 소화전부(113)가 설치되는 공간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하단커버(1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동화재 탐지부(112)와 소화전부(113)를 구분하는 격판(111)은 상기 매설함(110)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형상의 외부커버(130)는 상기 매설함(110)과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매설함(130)의 전면 테두리부(114)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오목한 곡률의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도 3과 도 4에 도시한 소화전 함(100)은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의 테두리부(114)가 슬라이딩 폼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에 걸리지 않고 라이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터널 벽체 공간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소화전 함(1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소화전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더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매설함(110)의 좌·우측과 하측 다시 말하면, 후판(117)과 양측판(116)이 만나는 테두리와 후판(117)과 하판(118)이 만나는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소켓너트(51)가 수평수직상으로 상기 매설함(110)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소켓너트(51)에는 소정 크기의 나사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설함(110)을 설치할 때 위치를 조절하는 나사봉이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을 터널 내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이고, 도 6(a)(b)(c)(d)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터널 벽체를 형성하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하는 강재 거푸집인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전면 테두리부(114)를 형성한 소화전 매설함(110)을 상기 터널 벽체가 형성될 공간 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200)은 크게 소화전 매설함 설치(210)와,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220), 소화전 외부함 설치(230) 그리고, 마무리 작 업(24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소화전 매설함 설치(210)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은 다수개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과 보강강판(70) 그리고 다수개의 버팀목(60)을 이용하여 터널 벽체가 형성될 공간내에 위치·고정되고, 전면에는 완충부재(80)를 포함하여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을 보호한다.
먼저,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에는 좌·우측과 하측에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나사공(52)이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너트(51)가 수평수직상으로 상기 매설함(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소정 길이의 강재봉으로 부직포 및 방수막 시트(13)가 설치된 터널의 1차 지보벽과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 사이에 다수개 위치하여 상기 매설함(110)이 상기 1차 지보벽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도록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은 중간에 턴버클(53)을 포함한 2개의 나사봉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턴버클(53)을 돌림으로써 터널의 1차 지보측과 매설함 측의 간격을 조정하면서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을 밀어 상기 매설함(11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터널 벽체가 형성될 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소화전 함(100)은 보행자 도로와 포장 도로가 형성되는 터 널 내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바 하부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매설함(110)의 하부에도 다수개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은 상기 매설함(110)의 좌·우측과 하측에 형성된 소켓너트(51)의 나사공(52)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소화전 매설함(110)에 형성된 다수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에 의해 상기 매설함(110)은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을 통해 터널 벽체가 형성될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강판(70)과 버팀목(60)은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소화전 매설함(110)이 찌그러지거나 손상이 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보강강판(70)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소화전 매설함(110)의 외벽을 따라 상기 매설함을 감싸는 형식으로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강판(7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주름진 판형상 또는 사각의 관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강강판(70)은 상기 매설함(110)의 외벽을 보호하면서 상기 매설함(110)의 외측 두께를 두껍게 만들기 때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뿐만 아니라 터널 벽체를 형성할 때 라이닝 콘크리트와 함께 벽체구조물로서 포함되어 상기 터널 벽체 구조물의 철근 구조물과 함께 뼈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버팀목(60)은 소화전 매설함(110)의 내부공간에 외측 판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팀목(60)은 매설함(110)의 외벽이 타설되는 콘 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내부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터널 벽체를 형성한 후에는 제거되며 나무 또는 강재봉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보강강판(70)과 버팀목(60)과 같은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하중이 무거운 라이닝 콘크리트가 상기 매설함(110)의 상부에 쏟아지더라도 상기 매설함(110)의 외벽은 찌그러지거나 뜯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지 않고 방수용 기구들이 설치될 내부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터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강재 거푸집인 슬라이딩 폼(30)을 설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 폼(30)은 소화전 매설함(110)을 1차 지보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은 다수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있어 슬라이딩 폼(30)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는 상기 슬라이딩 폼(30)의 외면과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매설함(110)은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를 따라 완충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완충부재(80)는 상기 슬라이딩 폼(30)이 가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소정의 두께로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를 따라 형성되며 외압에 매설함을 보호할 수 있도록 스티로폼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80)는 상기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114)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가져 상기 테두리부(114)를 따라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매설함(114)의 전면과 동일하거나 크기가 큰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 폼(30) 과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114)가 맞닿을 때 압력에 의해 휘어져 매설함(110)의 전면을 덮으면서 전면 테두리부(114)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완충부재(80)는 슬라이딩 폼(30)에 의해 매설함(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타설되는 라이닝 콘크리트가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 또한 방지한다.
다시 도 6(b)를 참조하면, 간격 조절용 나사봉(50), 보강강판(70), 버팀목(60) 그리고 완충부재(80)에 의해 소화전 매설함(110)이 위치·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상기 매설함(110)은 1차 지보로서 숏크리트(12)를 타설하고 부직포 및 방수막시트(13)가 고정된 벽체 사이로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에 의해 높낮이와 수평이 조절되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1차지보의 부직포 및 방수막 시트(13)가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의 끝단부가 위치하는 1차 지보측에 지지패드(54)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지지패드(54)는 고무나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에 뚫리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1차 지보의 부직포 및 방수막 시트(13)가 찢기지 않게 한다.
터널용 소화전 함(100)을 설치하기 위해 우선 내부공간에는 다수의 버팀목(60)이 설치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보강강판(70)이 설치된 소화전 매설함(110)을 터널 벽체가 형성될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매설함(110)의 후방과 하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너트(51)에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을 끼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에는 완충부재(80)가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매설함(110)에 끼워진 다수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의 턴버클(53)을 조절하여 터널 내 1차 지보 및 바닥면과의 간격을 조절하고 터널 벽체가 형성된 후 소화전 함(100)이 형성될 위치에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되면, 터널 시공 공정에 따라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220)을 수행한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220)은 터널 벽체를 이루기 위해 슬라이딩 폼(30)을 설치하고, 부직포 및 방수막 시트(13)와 상기 슬라이딩 폼(30)이 형성하는 공간에 라이닝 콘크리트(14)를 타설하여 터널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폼(30)을 제거하여 터널 벽체 시공을 마무리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14)는 터널 벽체가 30∼40㎝ 이상이 되도록 타설되는데, 이때 소화전 매설함(110)의 외벽에 설치된 보강강판(70)과 내부공간에 설치된 버팀목(60)에 의해 상기 매설함(110)은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14)의 하중에도 찌그러지거나 손상을 입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에 형성된 완충부재(80)에 의해 전면 또한 보호되고, 상기 완충부재(80)에 의해 타설되는 라이닝 콘크리트는 매설함(110)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14)는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을 포함하여 터널 벽체를 형성하게 되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매설함(110)은 남는 여백의 공간이 없이 터널 벽체내에 형성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슬라이딩 폼(30)은 터널의 시공 순서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음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화전 외부함 설치(230) 작업으로 도 6(d)(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d)(e)는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220)이 끝난 후 소화전 매설함(110)이 매설된 상태로 형성된 터널 벽체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은 다수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에 의해 위치하고 라이닝 콘크리트 내에 매설된 상태이다.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220)에 따라 슬라이딩 폼(30)이 제거되고 터널 벽체가 형성되면 소화전 매설함(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버팀목(60)과 전면을 보호하는 완충부재(80)는 제거된다. 또한, 위치를 조절하는 다수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50)와 매설함(110)의 외측을 보호하는 보조강판(70)은 라이닝 콘크리트(14)와 함께 터널 벽체를 이루게된다.
이와 같이 소화전 매설함(11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터널 벽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소화전 외부함(120)이 상기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와 결합되면서 단일 소화전 함(100)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6(d)를 참조하면 소화전 외부함 설치 작업(230)은 대응되는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와 소화전 외부함(120)의 후면 테두리부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에 볼트를 결합하고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테두리부는 필요에 따라 용 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의 전면에는 여닫을 수 있는 판형상의 소화전 외부커버(130)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의 크기만큼 상기 소화전 함(100)은 터널 벽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외부함(120)은 도 6(e)를 참조하면,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고 상기 소화전 매설함(110)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 판형상의 소화전 외부커버(130)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d)(e)와 같이 형성된 소화전 함(100)은 마무리 작업(240)으로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의 격판(111)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자동화재 탐지부(112)를 구성하는 배선과 장치들을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소화전부(113)로 방수용호스 등의 방수용기구를 설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소화전 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함(100)은 내부공간 일측부에 소화기(116)를 수납할 수 있는 소화기 수납실(160)을 구성하고, 소화전 외부커버의 일측에는 터널 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소화전 표시등(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소화전 표시등(150)은 삼각 기둥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외측에는 표시판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개의 내부공간을 구획한 터널용 소화전 함 을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널용 소화전 함(100)은 소화전 표시등과 소화기 수납실 등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소화전 외부커버(13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 방법은, 아치형의 터널 벽체 내에 소화전 함을 설치할 때 별도의 소화전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소화전 함을 설치하는 공정이 단축되어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터널 벽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마감부실에 따른 누수현상을 없애고 외관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설치되는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을 이용해 아치형의 터널을 시공하고 상기 터널 벽체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소화전 함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면 테두리부가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터널 벽체가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터널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구성되는 소화전 매설함과;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밀착되게 결합되는 후면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여닫을 수 있는 소화전 외부커버가 결합된 박스 형태의 소화전 외부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소화전 외부함의 후면 테두리부는 소화전 함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테두리부와 후면 테두리부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외부함은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고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게 결합되는 판형상의 소화전 외부커버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함의 내부공간은 격판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소화전 외부커버에 형성된 발신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화재 탐지부를 구성하며, 하단부에는 방수구밸브와 관창, 방수용 호스 등의 방수용 기구가 내장된 소화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함의 내부공간 일측부에 소화기를 수납할 수 있는 소화기 수납실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외부커버의 일측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터널 내측으로 돌출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외측에 표시판이 형성된 소화전 표시등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
  8. 굴착된 터널에 숏크리트, 부직포 및 방수막 시트를 설치하여 1차 지보를 형성하고, 슬라이딩 폼과 라이닝 콘크리트를 이용한 아치형의 터널 벽체 일측에 소화전 함을 설치함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전면 테두리부가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딩 폼의 외측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소화전 매설함을 다수개의 간격 조절용 나사봉을 이용하여 터널 벽체가 형성되는 공간 내에 고정하는 소화전 매설함 설치 단계와;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마주하도록 슬라이딩 폼을 설치한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 벽체를 형성하는 라이닝 콘크리트 공정 단계와;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후면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소화전 외부함을 상기 소화전 매설함에 결합하여 단일 소화전 함을 구성하는 소화전 외부함 설치 단계와;
    상기 결합된 소화전 외부함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는 소화전 외부커버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에 방수용 기구를 구성하는 마무리 작업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매설함 설치 작업은, 상기 매설함의 좌·우측과 하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너트를 수평수직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 간격 조절용 나사봉을 결합하여 상기 매설함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매설함을 설치할 때,
    상기 간격 조절용 나사봉의 끝단부와 만나는 1차 지보에는 지지패드를 설치하여 부직포 및 방수막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매설함을 설치할 때,
    상기 매설함의 외벽에는 주름진 판 또는 사각관형상의 보강강판을 설치하며, 상기 매설함의 내부공간에는 외벽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버팀목을 설치하고, 상기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에는 스티로폼이나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매설함이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외부함 설치 작업은, 대응하는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소화전 외부함의 후면 테두리부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매설함과 외부함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13. 제 8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 외부함은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 테두리부와 동일한 곡률의 곡면을 가지고 상기 소화전 매설함의 전면에 여닫을 수 있게 결합되는 판형상의 소화전 외부커버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설치 방법.
KR1020060020331A 2006-03-03 2006-03-03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KR10063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331A KR100635259B1 (ko) 2006-03-03 2006-03-03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331A KR100635259B1 (ko) 2006-03-03 2006-03-03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12A true KR20060026112A (ko) 2006-03-22
KR100635259B1 KR100635259B1 (ko) 2006-10-18

Family

ID=3713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331A KR100635259B1 (ko) 2006-03-03 2006-03-03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485A (ja) * 2011-05-16 2012-12-10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JP2017205497A (ja) * 2016-05-11 2017-11-24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栓装置
JP2019068956A (ja) * 2017-10-06 2019-05-09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栓装置及び消火器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48B1 (ko) 2014-08-20 2016-01-29 (주)비디씨 터널 벽취부형 장비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485A (ja) * 2011-05-16 2012-12-10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JP2017205497A (ja) * 2016-05-11 2017-11-24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栓装置
JP2019068956A (ja) * 2017-10-06 2019-05-09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栓装置及び消火器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259B1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259B1 (ko) 터널용 소화전 함과 이를 이용한 터널 내 소화전 함 설치방법
KR20130105147A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CN106013954A (zh) 一种组合围挡的施工方法
CA3196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CN103590841A (zh) 一种暗挖地下洞室初期支护的支撑方法
KR101181230B1 (ko) 지하 구조물의 외방수 시공 방법
JP5356780B2 (ja) 構造物及び構造物の施工方法並びに設計方法
KR101242586B1 (ko) 배수로 개폐장치
CN219157761U (zh) 一种地下室底板高低跨连接结构
KR100701630B1 (ko) 투 아치 터널의 중간벽체
KR101385090B1 (ko) 흙막이 파일 구조체 및 흙막이 파일 구조체 형성방법
KR101772938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매입형 프리캐스트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공법
JP5574349B2 (ja) 基礎貫通さや管並びにこれを用いた基礎貫通配管構造とその施工方法
AU2012101957A4 (en) Piping
JP3194192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
JP3079248B2 (ja) トンネル工事用水詰パネル式防音壁
JP5384881B2 (ja) 基礎貫通さや管並びにこれを用いた基礎貫通配管構造及び排水管の取り外し方法
CN205688545U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
CN205636827U (zh) 带泄压装置和防震板的减震沟
KR200348730Y1 (ko) 강재 방수틀과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사각 수직구 터널
CN116378677B (zh) 一种全跨充填型溶洞段的隧道修建方法及隧道结构
KR101029261B1 (ko) 숏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JPH084033A (ja) 建物地下外周耐圧壁の構築方法
JPH08284194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修材および補修方法
JP2003231584A (ja) 地下タンク貯蔵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