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905A -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905A
KR20060022905A KR1020040071697A KR20040071697A KR20060022905A KR 20060022905 A KR20060022905 A KR 20060022905A KR 1020040071697 A KR1020040071697 A KR 1020040071697A KR 20040071697 A KR20040071697 A KR 20040071697A KR 20060022905 A KR20060022905 A KR 2006002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optical
data
address information
l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725B1 (ko
Inventor
김민석
안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25B1/ko
Priority to US11/208,581 priority patent/US20060067176A1/en
Priority to CNB200510095851XA priority patent/CN100367379C/zh
Priority to EP05255457A priority patent/EP1635339B1/en
Publication of KR2006002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4Dithered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r compensation of imperfections on the carrier, e.g. dust, scratches, dropou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기록장치가 개시된다. 본 광기록장치는, 광디스크 상의 소정 트랙에 광신호를 조사(照射)하여,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픽업부, 트랙 상에서 소정의 트래킹레벨을 따라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광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광픽업제어부, 반사광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로부터 트랙의 트랙주소정보를 추출하는 트랙주소검출부, 및, 트랙주소검출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트래킹레벨을 조정한 후 조정된 트래킹레벨을 따라서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랙주소정보의 검출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록 성능 자체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디스크, 트래킹레벨, LPP, 광픽업부

Description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 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for searching recording area by controlling tracking level, method thereof }
도 1은 광디스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광기록장치에서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광스팟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도 2의 광기록장치에서 사용되는 트랙주소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광픽업부 120, 220 : 신호처리부
130, 230 : 트랙주소검출부 140, 240 : 광픽업제어부
150, 250 : 제어부 160, 260 : 키신호입력부
270 : 트래킹에러검출부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소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스폿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정확하게 탐색하는 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보급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컴퓨터를 보다 능률적으로 활용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주변기기 및 구성부품 등에 대한 개발도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저장매체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저장매체가 개발되어 보급되어 있다. 종래에는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자기 저장매체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시디 롬(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의 광디스크 저장매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광디스크란 광학적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기록모드의 경우, 광디스크 상의 소정 트랙(track)에 광신호를 조사하여 피트(pits)를 만들어 1 또는 0의 형태로 데이터를 기록한다. 재생모드의 경우, 광디스크로 광신호를 조사하여 얻어지는 반사광 또는 투사광의 크기를 확인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도 1은 광디스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광디스크의 표면은 일정 깊이로 함몰된 그루브 트랙(Groove track), 및, 돌출된 랜드 트랙(Land track)으로 나누어진다. 그루브 트랙은 피트가 실제로 제작되는 영역이며, 랜드 트랙은 각 그루브 트랙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한 그루브 트랙간의 간섭(crosstalk)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같은 광원을 구비한 광픽업(optical pick-up unit)를 이용하여 그루브 트랙에 광신호를 조사(照射)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게 된다.
한편,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광디스크 상에서 피트가 형성될 위치를 탐색하여야 한다. 이 경우, 그루브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 자체에 포함된 로지컬 ID(logical Identification), 또는, 광디스크에 별도로 기록된 트랙주소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DVD-RW의 경우, 트랙주소정보는 랜드 트랙에 제작되는 LPP(Land Pre-Pit) 또는 광디스크 표면에 물결무늬 형태로 제작되는 워블(wobble)등을 이용하여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는, 광픽업부가 데이터가 기록된 그루브 트랙을 일정하게 따라가면서 광신호를 조사할 수 있도록 트래킹 기능이 지원된다. 트래킹 기능이란, 트랙 중심을 기준으로 광스폿(beam spot)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광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광스폿이 해당 트랙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광스폿은 그루브 트랙의 중심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랜드 트랙에 기록된 LPP 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광디스크 상에 지문(finger print), 스크래치(scratch), 블랙 도트(black dot), 디스크의 휘어짐이나 변형 등과 같은 결함이 생기게 되면 LPP 인식이 더 어려워지게 된다.
이 경우, 광디스크에 기존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에서 덮어쓰는 경우라면, 기록된 데이터에 포함된 로지컬 ID를 확인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할 수 있지만, 데이터를 처음 기록하는 경우나, 데이터를 한번만 기록할 수 있는 DVD-R의 경우에는 로지컬 ID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기록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신호의 트래킹 레벨을 조정하여 광스폿을 스윙시킴으로써 광디스크에 기록된 트랙주소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광기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트래킹 레벨 조정에 의해 광스폿이 해당 트랙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 광기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장치는, 광디스크 상의 소정 트랙에 광신호를 조사(照射)하여, 반사광을 검 출하는 광픽업부, 상기 트랙 상에서 소정의 트래킹레벨을 따라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상기 광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광픽업제어부, 상기 반사광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로부터 상기 트랙의 트랙주소정보를 추출하는 트랙주소검출부, 및, 상기 트랙주소검출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상기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트래킹레벨을 조정한 후 조정된 트래킹레벨을 따라서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상기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랙주소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크 상에서의 데이터 기록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데이터 기록위치에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여 소정의 기록용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광기록장치는, 상기 반사광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의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광신호의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트래킹에러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래킹에러검출부에서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 내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랙주소정보는 상기 광디스크 상의 랜드트랙에 제작된 LPP(Land Pre-Pit)에 의해 기록된 LPP ID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신호가 상기 LPP에 조사되도록 상기 트래킹레벨을 상기 LPP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광기록장치는,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그루브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중 상기 트랙의 주소를 지정하는 로지컬 ID가 포함되면, 상기 로지컬 ID 및 상기 LPP I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기록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방법은, 광디스크의 소정 트랙 상에서 소정의 트래킹 레벨을 따라 광신호를 조사하여,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트래킹레벨을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트래킹레벨을 따라서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여, 상기 트랙주소정보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트랙주소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위치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신호의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신호의 조사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광을 신호처리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트랙의 주소를 지정하는 로지컬 ID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로지컬 ID가 포함되었다면, 상기 로지컬 ID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랙주소정보는 상기 광디스크의 랜드트랙에 제작되는 LPP에 의 해 기록된 LPP ID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단계는, 상기 광신호가 상기 LPP(Land Pre-Pit)에 조사되도록, 상기 트래킹레벨을 상기 LPP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광기록장치는, 광픽업부(110), 신호처리부(120), 트랙주소검출부(130), 광픽업제어부(140), 제어부(150), 및, 키신호입력부(160)를 포함한다.
광픽업부(110)는 광디스크에 광신호를 조사(照射)하여 기록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광픽업부(110)는 소정 크기의 광신호를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광디스크의 표면에 접속시키는 대물렌즈(objectives), 포커싱(pocusing)을 위해 대물렌즈를 상하 구동하는 포커싱 액츄에이터(actuator), 트래킹(tracking)을 위해 대물렌즈를 좌우 구동하는 트래킹 액츄에이터 및 광디스크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를 구비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재생모드시 광픽업부(110)에서 검출된 반사광을 디지털 처리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며, 기록모드시 소정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광픽업부(110)에서 기록가능한 기록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광픽업제어부(140)는 광픽업부(1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광 픽업제어부(140)는 광픽업부(110)의 포커싱 엑츄에이터 또는 트래킹 엑츄에이터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포커싱 또는 트래킹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키신호입력부(16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기록명령 또는 데이터 재생명령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본체에 구비된 버튼키 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요청하면, 키신호입력부(160)가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50)로 통지한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기록명령이 입력되면, 신호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소정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기록용 데이터로 변환한 후, 광디스크 상에서 기록용 데이터를 기록할 위치를 탐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먼저, 다음 기록 위치(Next Writable Address : 이하, NWA)를 논리적으로 계산하여 도출한다.
이 경우, 데이터를 여러번 반복하여 기록할 수 있는 DVD-R/W같은 경우라면, 제어부(150)는 광디스크 상의 기록 정보 영역을 재생하여 NWA가 가리키는 영역이 기존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인지, 데이터 미기록영역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기록 정보 영역이란 트랙번호, 섹터 번호 등의 위치정보가 기록된 영역으로, DVD-R/RW의 경우 RMA(Recording Management Area), DVD-RAM의 경우에는 DTZ(Drive Test Zone)이 이에 해당한다.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이라면, 기존 데이터에 로지컬 I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신호처리부(120)를 제어하여 해당영역에서 재생되는 데이터 중 로지컬 ID를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기록 영역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 미기록 영역이거나,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라도 상술한 결함(defect)에 의해 로지컬 ID가 검출되지 못하는 상태라면, 광디스크 상에 별도로 기 록된 트랙주소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 기록 영역을 탐색하도록 한다.
이 경우, 검출되는 트랙주소정보는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기록 트랙의 미세한 위치변동(Wobble)을 통해 트랙주소정보를 기록하는 CD-RW의 경우에는 워블(Wobble)신호가 트랙주소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랜드 트랙에 제작된 LPP(Land Pre-Pit)를 이용하여 트랙주소정보를 기록하는 DVD-RW의 경우에는 LPP ID를 확인하여 데이터 기록 영역을 탐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DVD-RW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광기록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WA가 도출되면, 제어부(250)는 자체 펌웨어(firmware) 등에 기록된 광디스크의 물리적인 정보를 참조하여 NWA가 가리키는 영역의 근방으로 광픽업부(110)를 이동시킨 후, 광픽업부(110)를 제어하여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한다. 이 경우, 광신호는 그루브 트랙에 제작된 피트 뿐 아니라, 랜드 트랙에 제작된 LPP에도 조사된다. LPP에 광신호가 조사되면 반사광의 광량변화가 생기므로, 트랙주소검출부(230)가 이를 감지하여 LPP ID를 검출하게 된다. LPP ID를 검출하는 구체적 방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결함 등에 의해 LPP가 훼손되거나, 광디스크 자체가 휘어진 경우 등이 발생하면, 광신호가 LPP에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LPP ID도 확인할 수 없게 되므로, 적절한 기록 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트랙주소검출부(230)에서 소정 시간 이상 LPP ID가 검출되지 않으면, 주변 랜드트랙까지 광신호가 조사될 수 있도록 광신호의 트래킹 레벨을 조정한다. 이 경우, 그 조정폭은 그루브 트랙의 넓이에 비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 할 수 있다. 일반적인 DVD-RW의 경우 그루브 트랙은 약 0.74㎛이므로, 그 조정폭을 대략 트랙넓이의 20% 정도로 결정하면, 조정폭은 0.148㎛정도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광기록장치에서 트래킹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광신호의 광스폿(beam spot)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광스폿이 트랙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그루브 트랙의 중심(center)으로 맞추어진 트래킹 레벨을 사용한다. 광픽업부(110)는 트래킹 레벨을 따라서 광신호를 조사하며, 광픽업제어부(140)는 광픽업부(110)의 트래킹 엑츄에이터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광스폿이 트래킹 레벨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LPP ID가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트래킹 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즉, 주변의 랜드 트랙에 제작된 LPP 방향으로 트래킹 레벨을 소정 거리 이동시켜, LPP가 광스폿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LPP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트랙의 형태를 물결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그에 따른 워블 신호를 검출하여 트랙주소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트래킹 레벨을 조정하면, 워블 신호가 더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광기록장치에서 사용되는 트랙주소검출부(130)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트랙주소검출부(130)는 제1 내지 제4앰프(131a 내지 131d), 제1가산기(132), 제2가산기(133), 감산기(134), 및 LPP 검출부(135)를 포함한다. 광픽업부(110) 내부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광검출소자(111a 내지 111d)로부터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가 각각 검출되면, 제1 내지 제4앰프 (131a 내지 131d)는 검출된 전기적 신호를 각각 소정 크기의 신호로 증폭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앰프(131a, 131b)에서 각각 증폭된 신호는 제1가산기(132)에 의해 가산되고, 제3 및 제4앰프(131c, 131d)에서 각각 증폭된 신호는 제2가산기(133)에 의해 가산된다. 각 가산기(132, 133)에서 출력된 결과값이 감산기(134)에 입력되면, 감산기(134)는 감산연산을 수행한다. 감산기(134)에서 출력된 결과값은 LPP검출부(135)에 입력되고, LPP검출부(135)는 입력된 결과값과 소정 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0 또는 1의 신호를 출력하여 LPP ID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광기록장치는 광픽업부(210), 신호처리부(220), 트랙주소검출부(230), 광픽업제어부(240), 제어부(250), 키신호입력부(260), 및, 트래킹에러검출부(27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트래킹 에러검출부(27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트래킹에러검출부(270)는 광스폿이 해당 트랙을 벗어나는 트래킹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트래킹 레벨을 트랙 중심에서 일정 폭으로 스윙(swing)시키게 되면, 광스폿이 해당 트랙을 벗어날 수 있는 위험이 커지게 된다. 트래킹에러검출부(270)는 반사광의 광량변화를 확인하여 트래킹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50)로 통지한다.
제어부(250)는 트래킹에러가 발생하면, 광픽업제어부(240)를 제어하여 광스폿이 다시 원 트랙으로 복귀하도록 광픽업부(210)를 이동시킨 후, 다시 트랙주소검출부(230)를 제어하여 LPP ID, 워블 신호 등과 같은 트랙주소를 검출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광기록장치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S610), 데이터를 기록할 주소를 논리적으로 도출한다(S620). 이 경우, 광기록장치의 각 트랙의 리드인(lead in)영역을 탐색함으로써 다음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픽업부(110, 210)를 탐색된 주소의 근방으로 이동(jump)시킨다.
다음으로, 광기록장치는 도출된 주소의 근방 영역에 광신호를 조사하여, 로지컬 ID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이 경우, 광기록장치는 광디스크의 기록정보영역(예로써, DVD-RW의 경우에는 RMA)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해당 주소 영역이 기존에 데이터가 기록된 적이 있는 영역인지를 조사할 수 있다. 기록된 적이 있다면, 그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재생된 데이터 중 로지컬 ID를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기록 위치를 확정한 후, 그 주소에 데이터를 기록한다(S670).
하지만, 데이터가 기록된 적이 없거나, 물리적인 결함으로 로지컬 ID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라면, LPP ID나 워블신호와 같은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40).
트랙주소정보가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광기록장치는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광신호의 광스폿을 일정폭으로 스윙(swing)시킨다(S650). 이에 따라, LPP, 또는 워블에 광신호가 조사될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 기록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래킹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광신호가 해당 트랙을 벗어난 다른 트랙에 조사되는 트래킹 에러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트래킹 에러의 발생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6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트래킹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광픽업부(110, 210)의 위치를 원 트랙 위치로 점프시켜 다시 트랙주소정보를 탐색하도록 한다(S620).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LPP ID가 검출될 때까지 트래킹 레벨을 소정 간격으로 조정하게 된다(S640, S650). 따라서,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내에서 트랙주소정보의 검출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로지컬 ID의 검출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수행되는 트랙주소정보 검출과정에서 광신호의 트래킹레벨을 소정 간격으로 스윙시켜 트랙주소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데이터의 중복기록(overwrite)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품질이 낮아서 트랙주소정보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더라도, 트래킹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트랙주소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기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광디스크 상의 소정 트랙에 광신호를 조사(照射)하여,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픽업부;
    상기 트랙 상에서 소정의 트래킹레벨을 따라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상기 광픽업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광픽업제어부;
    상기 반사광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로부터 상기 트랙의 트랙주소정보를 추출하는 트랙주소검출부; 및
    상기 트랙주소검출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상기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트래킹레벨을 조정한 후 조정된 트래킹레벨을 따라서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도록 상기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랙주소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크 상에서의 데이터 기록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데이터 기록위치에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여 소정의 기록용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 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의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광신호의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트래킹에러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래킹에러검출부에서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광픽업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주소정보는 상기 광디스크 상의 랜드트랙에 제작된 LPP에 의해 기록된 LPP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신호가 상기 LPP(Land Pre-Pit)에 조사되도록, 상기 트래킹레벨을 상기 LPP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그루브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중 상기 트랙의 주소를 지정하는 로지컬 ID가 포함되면, 상기 로지컬 ID 및 상기 LPP I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기록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장치.
  7. (a) 광디스크의 소정 트랙 상에서 소정의 트래킹 레벨을 따라 광신호를 조사하여,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트랙주소정보가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트래킹레벨을 변경하는 단계;
    (d) 변경된 트래킹레벨을 따라서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여, 상기 트랙주소정보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트랙주소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트랙주소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위치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을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스폿이 상기 트랙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신호의 조사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을 신호처리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트랙의 주소를 지정하는 로지컬 ID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로지컬 ID가 포함되었다면, 상기 로지컬 ID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주소정보는 상기 광디스크의 랜드트랙에 제작되는 LPP(Land Pre-Pit)에 의해 기록된 LPP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광신호가 상기 LPP에 조사되도록, 상기 트래킹레벨을 상기 LPP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KR1020040071697A 2004-09-08 2004-09-08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059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97A KR100594725B1 (ko) 2004-09-08 2004-09-08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US11/208,581 US20060067176A1 (en) 2004-09-08 2005-08-23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recording locations by controlling tracking level
CNB200510095851XA CN100367379C (zh) 2004-09-08 2005-09-02 用于搜索数据记录位置的光学记录设备和方法
EP05255457A EP1635339B1 (en) 2004-09-08 2005-09-07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recording locations by controlling tracking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97A KR100594725B1 (ko) 2004-09-08 2004-09-08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05A true KR20060022905A (ko) 2006-03-13
KR100594725B1 KR100594725B1 (ko) 2006-06-30

Family

ID=3609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697A KR100594725B1 (ko) 2004-09-08 2004-09-08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67176A1 (ko)
EP (1) EP1635339B1 (ko)
KR (1) KR100594725B1 (ko)
CN (1) CN100367379C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6125B2 (en) * 1987-02-06 1991-01-31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igital signal
JP3252027B2 (ja) * 1993-07-30 2002-01-28 株式会社リコー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3017382B2 (ja) * 1993-11-11 2000-03-06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H0917029A (ja) * 1995-06-26 1997-01-17 Pioneer Electron Corp 光ディスクとその読取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製造方法
KR100331512B1 (ko) * 1995-08-22 2002-10-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디스크장치,기록파워및소거파워의설정방법
JP3465771B2 (ja) * 1996-10-29 2003-11-1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9980075509A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디브이디알 시스템의 기록 제어 방법
JP3762029B2 (ja) 1997-03-31 2006-03-29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3887480B2 (ja) * 1998-03-20 2007-02-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リピット検出装置
JP4372867B2 (ja) * 1998-10-23 2009-11-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1056936A (ja) * 1999-08-19 2001-02-27 Pioneer Electronic Corp 異常状態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2001297445A (ja) * 2000-04-10 2001-10-2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装置と光ディスクのトラックずれ判断方法
JP2002008246A (ja) * 2000-06-20 2002-01-11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チルト検出方法
JP4063031B2 (ja) * 2002-05-30 2008-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情報記録装置
JP2004079078A (ja) * 2002-08-19 2004-03-11 Nec Corp 光記録媒体及びその情報記録方法、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725B1 (ko) 2006-06-30
EP1635339A2 (en) 2006-03-15
CN1767018A (zh) 2006-05-03
EP1635339A3 (en) 2006-09-27
EP1635339B1 (en) 2008-06-11
US20060067176A1 (en) 2006-03-30
CN100367379C (zh)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041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KR20070087659A (ko) 최적화 보정 시스템
US77606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optical disc type
US20050190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to/from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594725B1 (ko) 트래킹레벨을 조정하여 데이터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광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0622946B1 (ko) 광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및 미기록 영역의판별에 기초한 디펙 보정 방법 및 장치
US6560170B2 (en) Track search control apparatus, track search control method,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dium
JPH0845080A (ja) 光ディスク及びクロストーク検出装置
JP2005044421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2000030353A (ja) 光記録媒体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501576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pit signal
US7447132B2 (en)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medium is copy protected
JP2006228364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738785B1 (ko) 광디스크 유형 판별 방법
JP4212460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KR100532400B1 (ko) 광학기록매체의 스크래치로 인한 에러처리방법
KR100682147B1 (ko) 광기록재생기의 기록 방법
JP3968036B2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US20060092810A1 (en) Optical disk device and data recording device therefor
US20060007825A1 (en) Optical disk writing apparatus
JP4043505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185650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100579622B1 (ko)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방법
JP2006252771A (ja) 多層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5346818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