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814A - 자동차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814A
KR20060020814A KR1020040069498A KR20040069498A KR20060020814A KR 20060020814 A KR20060020814 A KR 20060020814A KR 1020040069498 A KR1020040069498 A KR 1020040069498A KR 20040069498 A KR20040069498 A KR 20040069498A KR 20060020814 A KR20060020814 A KR 2006002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air passage
heater cor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영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0814A/ko
Publication of KR2006002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풍통로와 온풍통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공조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1/2 냉방모드시 냉기와 온기와의 혼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증발기(18) 및 히터코어(19)와;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에 설치되어 상하향 회전하면서 상기 냉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템프도어(21)와;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풍통로(H)에 설치되고 자유단이 링크기구(24)에 의해 상기 제1 템프도어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템프도어의 상하향 회전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템프도어(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는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공조장치, 템프도어, 회전형, 슬라이드형, 1/2 냉방모드, 소형화, 설치공간, 공기혼합성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1/2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1/2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예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1/2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최대 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최대 난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1/2 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공조케이스
18 ... 증발기
19 ... 히터코어(Heater Core)
21 ... 제1 템프도어(Temp Door)
21a, 22a ... 고리형 연결부
21b ... 회전축
22 ... 제2 템프도어
24 ... 링크기구
C ... 냉풍통로
H ... 온풍통로
M ... 공기혼합구간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는 템프도어를 2개로 분할형성하여 링크기구에 의해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공조장치의 상하높이를 최소화시켜 자동차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음이 없이 최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1/2 냉방모드시 냉기와 온기와의 혼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 차량 외부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벤트(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50)의 내부에 블로어유닛(Blower Unit, 미도시)에 의해 입구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증발기(52) 및 히터코어(Heater Core, 53)와, 상기 히터코어(53)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와 상기 히터코어(53) 전방의 온풍통로(H) 사이에 설치된 템프도어(Temp Door, 54)를 구비한다.
상기 템프도어(54)는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 사이에서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54a)에 케이블(Cable)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의 구동수단(미도시)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에 따라 회전각도를 조절하면서 냉온기량의 비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50)의 출구측에는, 상기 템프도어(54)의 개도정도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를 자동차 전면유리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유리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55),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56) 및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57)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벤트들(55, 56, 57)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온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디 프로스트 도어(58), 페이스 도어(59), 및 플로어 도어(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공조장치에 있어서, 냉기와 온기를 1:1 비율로 혼합하는 냉난방혼합모드, 즉 1/2 냉방모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템프도어(54)를 증발기(52)의 후방 중간부를 향하도록 중립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를 통과하면서, 공기혼합구간(M)에서 혼합된 후, 페이스 벤트(56)와 플로어 벤트(57)를 통하여 차실내로 일정한 온도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냉온기의 양을 조절하는 템프도어(54)는,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플레이트 도어(Plate Door)로서, 설치구조가 간단하지만, 상기 냉풍통로(C) 또는 온풍통로(H)를 개폐할 때 회전반경에 따른 넓은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러한 공간내에서 템프도어(54)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소음증대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공조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조케이스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기 템프도어(54)는, 1/2 냉방모드시, 증발기(52) 쪽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중립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히터코어(53)의 상단이 후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템프도어(54)를 사이에 두고 냉풍통로 및 온풍통로쪽으로 유동하는 공기흐름에 대한 통기저항이 증대되어 냉온기가 고르게 분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냉풍통로(C) 및 온풍통로(H)를 통과하는 냉온기류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게 되어 공기혼합구간(M)에서 냉기와 온기를 적정비율로 혼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이 냉기와 온기가 적정비율로 혼합되지 않은 경우, 냉풍통로(C)의 상류측에 형성된 페이스 벤트(56)측으로는 냉기가 많이 토출되는 반면, 온풍통로(H)측에 근접한 플로어 벤트(57)측으로는 온기가 많이 토출되게 됨으로써, 차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간의 공기온도차가 크게 벌어지게 되어,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등, 차실내에 효율적인 공조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일본특허공개 평10-250345호에는, 공조장치의 전후방향의 크기를 줄임과 함께 도어의 작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는 템프도어를 2개의 도어로 분할하여 상하 병렬로 설치한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공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5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구(1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52)와 히터코어(153)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코어(153)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측에 제1 믹스도어(Mix Door, 154)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코어(153) 전방의 온풍통로(H)측에 제2 믹스도어(1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믹스도어(154)와 제2 믹스도어(155)는, 상기 통로(C)(H)의 거의 중앙에 회전축(154a)(155a)을 갖고, 이 회전축(154a)(155a)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되는 버터플라이(Butterfly)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기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최대 냉방모드의 경우는, 상기 제1 믹스도어(154)만을 회전시켜 상기 히터코어(153)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을 개방하고, 최대 난방모드의 경우는, 상기 제2 믹스도어(155)만을 회전시켜 상기 히터코어(155) 전방의 온풍통로(H)를 개방함으로써, 차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또한, 1/2 냉방모드의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믹스도어(154)와 제2 믹스도어(155)를 함께 회전시켜서 상기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를 개방함으로써, 그 개방된 통로, 즉, 상기 제1 믹스도어(154)의 상측통로, 제2 믹스도어(155)의 하측통로, 및 제1 및 제2 믹스도어(154)(155)의 사이의 중간통로로 유출되는 공기를 공기혼합구간(M)에서 혼합한 상태에서 각 벤트들(155)(156)(157)을 통하여 적정온도로 토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제1 믹스도어(154)와 제2 믹스도어(155)가 공조케이스(150)내에 상하 병렬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조장치의 전후방향의 크기를 줄일 수는 있으나, 상하방향으로의 크기는 오히려 증대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차량의 상하방향의 높이가 제한되는 공간에 설치할 경우, 상하방향으로의 높은 점유공간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공간활용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1/2 냉방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152)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 믹스도어(154)와 제2 믹스도어(155)를 사이에 두고 여러 방향으로 분배된 상태로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냉온기류간의 격차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공기혼합구간(M)에서 충분한 비율로 혼합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디프로스 벤트나 페이스 벤트를 통하여 냉기가 많이 토출되고 플로어 벤트를 통하여 온기가 많이 토출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2000-43535호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250) 내의 공기유입구(25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252)와 히터코어(253) 사이에 상하로 설치되어 원호의 곡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각각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되고 그 배면에 피니언 기어(Pinion Gear, 254a)(255a)와 맞물리는 래크를 구비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도어(254)(255)를 채택한 자동차용 공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슬라이드 도어(254)(255)가 공조케이스(250)내에 상하로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공조장치의 높이를 줄일 수 없어 공조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1/2 냉방모드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도어(254)(255)가 피니언 기어(254a)(255a)와 래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립위치로 이동하여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가 모두 개방되지만, 상기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상기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를 통과하는 냉온기류간의 격차가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혼합구간에서 충분한 비율로 혼합되지 못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차실내의 상측과 하측과 각각 연통되는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편차가 커서 차실내에 효율적인 공조성능을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조장치의 상하높이를 최소화시켜 자동차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음이 없이 최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1/2 냉방모드시 냉기와 온기와의 혼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공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단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출구단에 각각 형성된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플로어 벤트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
상기 각 벤트들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들(15, 16, 17);
상기 공조케이스내에 설치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풍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템프도어;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풍통로에 설치되고 자유단이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제1 템프도어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템프도어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템프도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템프도어의 자유단과 상기 제2 템프도어의 자유단에는, 상기 링크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형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는,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최대 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최대 난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1/2 냉방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를 갖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2),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벤트(12, 13, 14) 들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온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도어(15), 페이스 도어(16), 플로어 도어(17)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11)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증발기(18) 및 히터코어(19)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18)와 히터코어(19)는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18)와 히터코어(19)를 수평상태로 설치하게 되면,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와 같이 직립상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조장치의 상하 높이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상하높이가 제한된 공 간에서 공조장치의 설치시 그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게 된다. 더욱이, 상기 증발기(18)와 히터코어(19)의 수평설치에 의해, 증발기(18)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차실내 등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드레인홀(Drain Hole, 20)로 용이하게 낙수되므로 배출성의 향상과 함께 아이싱(Icing)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18)와 히터코어(19) 사이에는, 블로어 유니트(미도시)에 의해 공기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8)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냉풍통로(C)와, 상기 히터코어(19)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온풍통로(H)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그 개도에 따라 상기 각 벤트(12, 13, 14)를 거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는, 증발기(18)를 기준으로 그 상부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템프도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2 냉방모드시, 상기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의 일부를 함께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18)와 히터코어(19)를 통과한 냉온기류간의 격차를 없앰으로써 공기혼합구간에서 충분한 비율로 혼합되도록, 상기 냉풍통로(C) 및 온풍통로(H)의 개도를 각각 조절하는 제1 템프도어(21)와 제2 템프도어(22)의 2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템프도어(21)는, 상기 히터코어(19)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의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축(21b)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면서 상기 냉풍통로(C)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회전형 플레이트(Plate)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템프도 어(22)는, 상기 히터코어(19) 전방의 온풍통로(H)의 위치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링크기구(Link Mexhanism)에 의해 대략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배플(Bafle, 23)의 면과 동일면을 갖는 수평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자유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풍통로(C)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템프도어(21)와 상기 제2 템프도어(22)의 각 자유단에는, 고리형 연결부(21a)(2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1a)(22a)에는 양단부가 절곡된 구조를 갖는 강성 스틸(Steel)재의 링크기구(24, 예컨대,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템프도어(21)(22)는 링크기구(24)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서로 연동된다.
즉, 상기 제1 템프도어(21)는, 그 회전축(21b)에 연결되는 통상의 구동수단(케이블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축(21b)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때, 상기 링크기구(24)에 의해 상기 제1 템프도어(21)와 연결된 상기 제2 템프도어(22)는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18)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의 위치에 구동도어로서 작용하는 제1 템프도어(21)와 종동도어로서 작용하는 제2 템프도어(22)를 링크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1/2 냉방모드시, 공기의 혼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가 구동될 수 있는 최소한의 구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공조케이스의 상하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상하높이가 제한된 설치공간, 예컨대, 실내공간이 넓은 차량(고급승용차, 또는 밴이나 RV로 통칭되는 4륜 구동차량)과 같이 뒷좌석에 대한 냉·난방 성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통상 뒷바퀴 커버 위의 차체 측벽의 제한된 공간에 공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음이 없이 최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모드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의 크래쉬 패드(Crash Pad)상에 설치된 공조컨트롤러의 송풍모드 전환스위치를 조작하여 최대 냉방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템프도어(21)가 회전축(21b)을 중심으로 상향회전되면서, 상기 히터코어(19)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를 개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템프도어(22)는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연결부(21a)에 연결된 링크기구(24)에 의해 히터코어(19) 전방의 온풍통로(H)를 폐쇄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온풍통로(H)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블로워 유니트에 의해 공기유입구(11)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8)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통로(C)를 거쳐 공조케이스(10)의 출구측에 형성된 페이스 벤트(13)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최대 난방모드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템프도어 (21)가 회전축(21b)을 중심으로 상기 냉풍통로(C)를 폐쇄하는 위치로 하향회전되면서,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연결부(21a)에 연결된 링크기구(24)에 의해 제2 템프도어(22)를 상기 온풍통로(H)를 개방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블로워 유니트에 의해 공기유입구(11)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8)를 통과한 후 히터코어(19)를 거치면서 가열되고 나서, 개방된 온풍통로(H)를 거쳐 플로어 벤트(14)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한편, 1/2냉방모드의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템프도어(21)는 회전축(21b)을 중심으로 상기 냉풍통로(C)의 일부를 개방하는 중립위치로 회전되고, 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템프도어(22)는 상기 온풍통로(H)의 일부를 폐쇄하는 중립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냉풍통로(C)의 개방된 통로와 상기 온풍통로(H)의 개방된 통로의 거리간의 차이가 거의 없이 서로 통하게 됨으로써, 상기 냉풍통로(C) 및 온풍통로(H)를 통과하는 냉온기류간의 격차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8)를 통과한 냉기 일부는 상기 냉풍통로(C)측의 개방된 통로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온풍통로(H)측의 개방된 통로로 통기저항을 일으킴이 없이 거의 1:1 비율로 고르게 분배되는 상태로 유동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18)를 통과한 냉기 일부는 상기 온풍통로(H)에 근접하여 수평위치로 배치된 히터코어(19)를 바로 통과하게 되므로, 증발기(18)를 통과한 냉기와 히터코어(19)를 통과한 온기가 공기혼합구간(M)에서 적정비율로 충분히 혼합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10)의 출구측에 형성된 페이스 벤트(13)와 플로어 벤트(14)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각 벤트(13, 1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편차를 현저하게 감소시 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 쪽의 온풍통로의 위치에 축중심으로 상하향 회전하는 제1 템프도어와 상기 제1 템프도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템프도어를 구비하여, 1/2 냉방모드시, 상기 냉풍통로와 온풍통로의 개방되는 부분간의 격차를 없앰으로써,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냉풍통로와 온풍통로의 개방된 통로쪽으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냉풍통로와 온풍통로를 통과한 냉온기를 공기혼합구간에서 충분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각 부위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편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차실내에 대한 공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템프도어를 회전형 플레이트 구조로 하고,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템프도어를 슬라이드 구조로 하며,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수평위치로 배치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상하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상하높이가 제한된 설치공간에 공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음이 없이 최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입구단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출구단에 각각 형성된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12), 페이스 벤트(Face Vent, 13) 및 플로어 벤트(Floor Vent, 14)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0);
    상기 각 벤트들(12, 13, 14)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들(15, 16, 17);
    상기 공조케이스(10)내에 설치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18) 및 히터코어(Heater Core, 19);
    상기 히터코어(19)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에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C)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템프도어(Temp Door, 21);
    상기 히터코어(19) 전방의 온풍통로(H)에 설치되고 자유단이 링크기구(24)에 의해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템프도어(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템프도어(21)의 자유단과 상기 제2 템프도어(22)의 자유단에는, 상기 링크기구(24)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형의 연결부(21a, 2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8)와 상기 히터코어(19)는,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0040069498A 2004-09-01 2004-09-01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60020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498A KR20060020814A (ko) 2004-09-01 2004-09-01 자동차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498A KR20060020814A (ko) 2004-09-01 2004-09-01 자동차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814A true KR20060020814A (ko) 2006-03-07

Family

ID=3712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498A KR20060020814A (ko) 2004-09-01 2004-09-01 자동차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08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KR101156302B1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CN110678338B (zh) 车用空调
US20080245501A1 (en) Consol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0164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94974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0326721A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79112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21225B1 (ko) 차량용 후석공조장치의 공조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JP3575119B2 (ja)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KR20060020814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09335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39314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00755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US11524549B2 (en) Off set tri-zone sliding temperature door strategy
JP3812250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3068243A1 (ja) 車両用エアコン装置
KR20030084403A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기 조화 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16743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281289B1 (ko) 이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117133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278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