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669A -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669A
KR20060017669A KR1020060012780A KR20060012780A KR20060017669A KR 20060017669 A KR20060017669 A KR 20060017669A KR 1020060012780 A KR1020060012780 A KR 1020060012780A KR 20060012780 A KR20060012780 A KR 20060012780A KR 20060017669 A KR20060017669 A KR 20060017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rower
freight
information
trs terminal
t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조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희 filed Critical 조정희
Priority to KR102006001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669A/ko
Publication of KR20060017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화물운송을 원하는 화주로부터 화물운송에 필요한 정보를 접수 받은 주선사가 배차용TRS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차주회원의 TRS단말기로 동시에 호출(=일제 통화방식 혹은 선택통화 방식)하여 화물운송정보의 운송조건에 운송하기를 희망하는 차주에게 화물운송을 주선 한다. 차주는 자신의 TRS단말기를 통하여 주선사에 운송의사를 표출하고 주선사는 배차용 TRS단말기에서 검색된 차주ID와 배차서버로부터 차주DB에 등록된 차주정보를 비교하여 차주가 확인되면 비로서 주선사는 차주에게 화물운송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TRS단말기로 알림과 동시에 배차지시를 하게 된다. 또한 주선사는 배차서버에 배차된 정보를 입력과 함께 배차서버는 서버에 저장된 배차정보와 화물운송위수탁거래가 성립되었음을 차주의 TRS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운송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TRS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출하면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차주회원 들에게 동시에 광범위하게 화물운송정보를 전파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차주,주선사,주파수공용통신,TRS단말기,차주ID,주선사ID,배차시스템,화물운송,화물운송주선

Description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The intermediary method for goods transfort using T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TRS를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을 설명키 위한 전체구성도
도 2는 차주그룹을 소그룹으로 분할 구축과 그룹별 고정채널을 부여하는 예시도
도 3는 차주그룹을 톤수별 소그룹으로 분할 구축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z주선사 (200); y주선사 (300) ; TRS 주선사배차용단말기 (211,212;311,312)
소그룹A (주파수 #101 CHANNEL사용그룹) ; 소그룹B (주파수#125 CHANNEL사용그룹) ; 소그룹C (주파수 #105 CHANNEL사용그룹) ; 기타 소그룹D
TRS차주단말기(111)
z주선사화주(222);y주선사화주(333)
배차SERVER (900); 차주DB (901); 주선사DB (902); 배차DB (903) ;
본 발명은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 TRS단말기를 이용하여 화물운송을 주선하는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화물운송체계는 화물운송을 의뢰하고자 하는 화주가 직접 화물운송회사나 개인화물운송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의뢰하고 운송료를 지불하던가, 화주가 화물운송주선업자에게 화물운송을 위탁하고, 주선업자는 화물을 운송업자에게 운송을 의뢰하면서 그에 대한 거래가 성립되면 차주로부터 주선수수료를 받고 운송업자는 화주에게 운송료를 받는 원시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의 현실은 화물운송회사에서 화주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보유한 운송차량의 수가 현저하게 부족할 뿐 아니라 주선사 역시 자체 보유한 차주정보가 부족하여 화주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지역에 기본적으로 운송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물운송체계하에서는 시장성이 있는 지역에만 국한하여 운송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운송에는 과다한 운송료를 요구하거나 심지어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화물운송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흔히 같은 업종의 주선회사에 재의뢰하므로써 소위 화물운송의 다단계 현상이 발생하고 추가로 발생하는 주선수수료의 부담을 화주 및 차주에게 전가시킴으로써 화주에게는 운송료의 상승, 차주에게는 운송료의 삭감을 강압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또한 차주는 쉴새 없이 화물정보를 구하 기 위해 여기저기 주선사를 기웃거려야 하고 빈차로 장거리를 옮겨다녀야 함으로써 실제 일하는데 투자하는 시간 보다 화물의 정보를 구하기 위해 이동하고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충분한 휴식을 요하는 위험직업군에 속해 있는 차주들은 실제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항상 주위에 사고위험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물자동차의 운행 중 불의의 사고는 대부분 안전부주의 보다도 졸음, 피곤을 이기기 위한 음주 등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이 또한 인재인 것 이다. 화물차량의 사고는 대부분 대형사고이고 이는 단지 화물차주와 그 가족 들 만의 경제적,정신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타인과 사회 더 나아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손실은 가히 천문학적인 수치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현재 발생하는 화물운송의 문제점을 비효율적으로 분포,관리되고 있는 차주로 보고 간단한 정보통신기기의 성능 및 효과(TRS망,TRS단말기)를 화물운송주선에 이용하여 차주와 주선사 들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저기 개별적 혹은 주선사로 흩어져있는 차주들을 하나의 주파수공용통신망으로 결집 및 통합하여 화물운송하기를 원하는 차주그룹을 형성하고, 주선사들 또한 같은 통신망으로 결집시켜 화물운송정보를 제공하는 주선사 그룹으로 형성한다. 화물운송에 적합한 특성을 살려 통신망을 소그룹단위로 분할(통합)하고 두 주체들이 TRS단말기를 통신수단으로 주선사가 보다 많은 화물운송정보 를 보다 많은 화물차주에게 보다 신속히 전파시킴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3과 같이 다수의 차주와 주선사를 주파수공용통신(TRS; Trunked Radio System)의 한 통신망에 적게는 1개에서 필요에 따라 차주들을 여러 개의 독립된 소그룹으로 나누고 소그룹 단위별로 소속된 그룹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개개의 TRS단말기에 고정주파수채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주파수공용통신망(TRS)의 특성과 TRS단말기 특성을 십분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물운송을 주선함에 있어 TRS를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화물운송정보를 제공하는 주선사와화물운송을 담당하는 차주들 두 주체간에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TRS단말기에 일정한 규칙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선사상담원이 가장 쉽고 편리하게 차주를 호출할 수 있도록 차량들이 복잡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소그룹(예를 들어 화물차량이나 화물운송에 가장 적합하다고 보는 도3과 같이 톤수별 소그룹화)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차주회원의 수가 많지 않을 경우는 소그룹으로 나누는 것 보다 단일 통합형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차주그룹을 구축하는 것 만큼 중요한 것이 개별차주에게 화물운송정보를 제공하는 주선사 그룹을 개별차주들이 쉽게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주선사상담원의 TRS단말기마다 식별ID를 규칙적으로 부여하는 것도 중요하다. 식별ID는 일종의 주민등록번호와 사람과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차주=차량=차주TRS단말기ID/주선사=주선사TRS단말기ID는 일체형으로 쓰기 때문에 일종의 규칙성을 갖고 부여하 는 것이 통제,관리상 용이하다. 차주는 일반적으로 차량번호와 동일한 것이 좋으며 기억하기 편하도록 4자리수를 식별ID로 부여한다. 주선사가 사용하는 배차용TRS단말기의 식별ID는 전화번호의 전국지역을 나타내는 3자리 숫자를 이용하여 부여하면 쉽게 식별하는데 문제점이 없을 것이다. 두 주체가 주선업무에 TRS를 사용함에 있어 단순함과 편리성에 적합하고 이상적인 모델을 설정하여 소그룹으로 구성하는데 일정한 규칙을 적용함에 운영의 묘가 있다 하겠다. 단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차주들을 TRS를 이용한 화물운송정보사용자 회원으로 가입시키고 소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
차주를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주파수공용통신망을 통하여 주선사(200;300)로부터 배차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차주TRS단말기(111) 마다 특정 식별ID를 다르게 각각 부여한다. 도2에서와 같이 주파수공용통신망은 다수의 차주가입자들을 필요에 따라 1개에서 여러 개의 소그룹으로 나누고 소그룹별로 고정주파수채널(#1,#2,#3, .,#224,#225)을 지정한다. 도3과 같이 차주를 화물운송의 특성에 맞게 소그룹(연고지역별 혹은 톤수별 등 운영상의 가장 적합한 그룹)으로 분할하여 소그룹별로 부여된 고정채널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개개의 차주TRS단말기(111)에 고유채널을 부여한다.
주선사들을 TRS를 이용한 화물운송정보사용자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단계
주선사(200;300)들 또한 각 차주와 주파수공용통신망을 통하여 교신토록 하기 위해 , 배차용TRS단말기(211,212;311,312) 마다 주선사(200;300) 특정ID를 다르게 각각 부여한다. 각 주선사(200;300)는 화물의 특성 및 운송정보에 따라 소요될 차량이 속해 있는 소그룹채널(#101,#125,#105 )을 선택하고 주선사상담원(201,202;301,302)이 배차용TRS단말기(211,212;311,312)를 이용하여 해당 소그룹의 차주들에게 기초적인 화물운송정보를 차주(=운전자)들의 TRS단말기(111)로 동시에 무선호출 한다.
예를 들어 도3과 같이 차주그룹을 톤수별로 5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운영할 경우 배차업무를 담당하는 주선사상담원은 화주의 화물운송정보에 따라 화물운송에 적합한 차주들로 구성된 차주 소그룹채널(#101,#125,#105, )로 배차용TRS단말기의 채널을 변경하여 화물운송을 원하는 차주를 무선호출한다.
만약 화주(222 ; 333)가 부산으로 운송할 화물이 1톤이 있어 주선사(200 ; 300)에 의뢰하면,
-. 주선사상담원(201,202;301,302)은 1톤 이하 소그룹망(#101 CHANNEL)으로 배차용 TRS단말기 (211,212;311,312)의 채널을 맞추고 무선호출하면 소그룹A 속에 있는 1톤 차량들 중 화주의 운송조건(상차지,하차지,화물,운송료)에 운송을 희망하 는 차주가 자신의 개인TRS 단말기(111)로 응신한다.
이 두 단계는 본 발명의 기초이자 핵심이다. 차주 및 주선사 회원이 수가 적은 초기 단계에서는 단순한 모델인 차주 소그룹을 분할치 아니하고 1개의 채널만으로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회원수가 증가하게 되면 소그룹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므로 초기에 확장모델을 설정하고 적절한 시기에 이상적인 모델로 전환, 구축한다.
배차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
배차시스템(900)은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업무에서 반드시 필요한 단계로서 화물운송정보를 주파수공용통신망과 TRS단말기를 통해 차주와 주선사(200;300)간에 화물운송에 대한 기초정보를 주고 받는 수단으로 사용 한다면 배차시스템은 화주(222;333)와 주선사(200;300), 주선사(200;300)와 차주간에 발생하는 모든 주선업무를 기록하고 저장하여 필요한 DATA를 주선사(200;300), 차주, 화주(222;333)에게 각각 공급한다. 배차시스템의 주역할은
-. 주선사에 있어서는 배차를 할 경우 차주DB(901)에 저장된 차주 및 차량 등에 대한 차주회원 기본사항과 배차DB(903)에 저장된 과거 배차실적 및 주선수수료 납부 관계, 과거 화주에 대한 차주의 친절서비스 수준 등 과거에 배차가 이루 어지면서 발생했던 차주의 배차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공 한다. 배차 당시 배차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차된 내역과 화물운송위수탁계약의 체결을 차주의 TRS단말기로 전송한 것에 대한 정보이용수수료를 부과한다.
-. 개별차주에게는 주선사가 배차된 결과를 배차시스템에 입력하는 순간 화물운송위수탁계약이 성립되었음과 화물운송에 필요한 화주정보(화주이름,담당자,연락처,주소,상차시간,운송료,주선수수료 등)등의 배차결과를 차주의 TRS단말기에 SMS로 전송해준다. 또 웹상에서 운송실적, 차주가 주선사에 미납부한 주선수수료 관계, 차주 자신이 화주에게 제공했던 서비스에 대한 타인들의 평가사항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 각 화주에게는 화주가 필요로 할 경우 차주의 현 위치나 화물의 이동상황을 파악하는데 웹상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화물운송주선 형태에서 주선사와 차주들 두 주체가 화물운송주선업무를 주파수공용통신망 속에서 TRS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양쪽 주체들을 화물운송에 적합하도록 소그룹으로 편성하여 비효율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는 간단한 발상의 전환이다. 하지만 회원으로 가입한 차주그룹에 속한 차주들에게는 언제, 어디서 든지 장소, 시간 등의 제약없이 맞춤식화물주선정보(차주의 조건에 맞는 화물, 상.하차지역, 운송료 등)를 제공받음으로써 고유가시대에 빈차로의 운행률을 줄이고 , 화물운송정보를 얻기 위한 장시간 대기를 줄여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이용률을 현저히 높혀 수익성도 같이 증대시킬 수 있다. 화물운송을 주선하는 주선사 회원들은 좀 더 많고 다양한 차량들을 확보하여 화주의 신뢰를 확보하면서 치열한 생존경쟁시대에 타주선업체와의 경쟁에 비교우위를 점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수익성이 향상되므로 보다 안정된 사업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더불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점차 운송관련 공동브랜드로 시장을 형성하므로 개개의 화주를 상대로 한 마케팅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마케팅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화주들은 화물운송비용을 줄이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받을 기회를 얻게 되어 화물운송에 대한 신뢰 및 안전성을 찾을 수 있다. 미시적으로는 세 주체의 비용절감과 안정된 수익창출의 단순한 경제적 효과 외에도 국가적으로는 화물차량의 필요 없는 운행률 감소 등으로 교통난 해소, 교통사고 및 매연감소 등의 안 보이는 국가적 손실 및 사회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주파수공용통신망 사업자로부터 부여 받은 하나의 독립된 통신망;
    화물운송을 원하는 화주로부터 (유,무선 통신기 및 인터넷에 의해 )화물운송 에 필요한 정보를 접수 받은 주선사(콜센타)의 상담원이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주파수공용통신( TRS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차주(=운전자)들의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차주들에게 기초적인 물류운송정보를 제공한다 함에 있어서;
  2. 제 1항에 있어서 , 화물운송을 하기를 원하는 차주(화물운송자)를 모집하여 회원으로 가입시킴과 동시에 주선사(콜센타)와 화물운송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TRS단말기를 각 차주(차량)에 1대씩 구비하도록 하고 개별 특정ID를 규칙성 있게 부여하며 차주와 주선사의 편의에 입각한 형태로 차주그룹을 분할(통합)하여 그룹별 고유 통신망채널을 부여하는 단계.
  3. 제 1항에 있어서 , 주파수공용통신망에서 TRS단말기를 통하여 차주그룹에 화물운송정보를 제공하는 주선사를 회원으로 가입시킴과 동시에 화물운송정보를 차주에게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차용TRS단말기를 각 주선사에 구비토록 하고 단말기별 개별 특정ID를 규칙성을 갖고 부여하는 단계.
KR1020060012780A 2006-02-10 2006-02-10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KR20060017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80A KR20060017669A (ko) 2006-02-10 2006-02-10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80A KR20060017669A (ko) 2006-02-10 2006-02-10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669A true KR20060017669A (ko) 2006-02-24

Family

ID=3712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780A KR20060017669A (ko) 2006-02-10 2006-02-10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76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660A (ko)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와이엘피 Erp 연동 물류 배송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210104329A (ko)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와이엘피 Erp 연동 통합 물류배송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660A (ko)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와이엘피 Erp 연동 물류 배송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210104329A (ko)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와이엘피 Erp 연동 통합 물류배송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6521B2 (ja) 分散型車両派遣のための分散型車両派遣ビジネス方法
CN101383089B (zh) 一种车辆匹配调度系统和方法
CN105761482B (zh) 基于公平性的出租车实时预约方法及系统
CN108985679A (zh) 物流平台管理方法及系统
CN101110109A (zh) 一种泊车管理信息服务系统
CN105551235A (zh) 基于互联网的城际拼车出行的调度系统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052247B1 (ko) 물류 배송을 위한 배차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09118133A (zh) 一种货运管理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102100249B1 (ko) 화물배차 처리 장치
CN106327177A (zh) 一种账号资源共享方法及系统
US20210118082A1 (en) Shared vehicle managing system
CN114372714A (zh) 车辆自动调配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05279953A (zh) 一种指定站点车辆匹配搭载的互联网方法和系统
KR20060017669A (ko)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화물운송주선 및 그 방법
KR20160120900A (ko)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CN112085347A (zh) 一种集装箱货车车队数字化调拨管理系统及方法
KR20130013079A (ko)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 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
KR20140073138A (ko) 거주자 우선주차 관리방법
KR20130109824A (ko) 배차시스템 및 배차방법
JP3529357B2 (ja) 最適車両配車方法および最適車両配車システム
KR20180029990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TWI607396B (zh) 派車方法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N204883801U (zh) 一种实现货车司机和租赁调度方双向选择的网络同城货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