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556A -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556A
KR20060017556A KR1020060012098A KR20060012098A KR20060017556A KR 20060017556 A KR20060017556 A KR 20060017556A KR 1020060012098 A KR1020060012098 A KR 1020060012098A KR 20060012098 A KR20060012098 A KR 20060012098A KR 20060017556 A KR20060017556 A KR 2006001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vehicle
reflective
prese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김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102006001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556A/ko
Publication of KR2006001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 필름을 이용하여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전후방의 자동차와 대향되는 표면의 면적을 넓혀서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며,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홈의 내측에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진동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몸체와, 전후방 자동차와 대향되는 상기 몸체의 표면 일부에 재귀반사 필름으로 코팅 또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접착되어 재귀반사 기능을 하는 반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홈의 내측에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테두리의 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REFLECTION BAND FOR REGISTRATION NUMBER PLATE}
도 1a 및 도 1b는 자동차 전면 및 후면의 번호판 장착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번호판과 번호판 케이스의 결합상태 및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2 : 홈
12a : 중공부 20 : 반사층
30 : 번호판 케이스 32 : 테두리
34 : 단부
본 발명은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귀반사 효과를 이용하여 후방 또는 마주보고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전방 자동차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은 자동차 번호판에 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오토바이 등 이륜차 장비, 지게차, 덤프, 포크레인 등 건설장비를 포함하여 모든 유동물체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이 적용된 반사밴드는 자동차, 이륜차, 건설장비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번호판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은 야간이나 갑자기 조명의 환경이 바뀌는 터널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빛의 재귀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전방차량 및 이륜차 기타 유동물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안전사고 및 충돌을 방지케 함으로서 사고 위험으로부터 예방하는 안전보호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자동차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법률의 규정에 의해 자동차의 생산회사에서 출고된 자동차를 사용자가 관할 관청에 신고하게 되면, 각각의 자동차마다 고유번호를 갖는 자동차 번호판을 부여받게 된다.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번호판(1)이 범퍼(2)에 볼트(3)로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번호판(1)은 해당 자동차에 고유한 번호가 부여된 표시판으로서, 통상 얇은 철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구부러지거나 찌그러질 정도로 견고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고 자동차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번호판 케이스(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번호판 케이스(미도시)에 자동차 번호판(1)을 결합한 상태로 자동차의 범퍼(2)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많다.
한편, 터널이나 야간, 우천 또는 안개 등으로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는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전방 자동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이유로 인해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고, 그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속도로 등과 같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전방 자동차의 움직임을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인식하는 것이 어려워 다중충돌 교통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상황에서도 전방 자동차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자 자동차 번호판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1995-0007115호에는 번호판 내부에 난반사판을 설치하여 반사광에 의해 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조명식 자동차 번호판이 게시되어 있고,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1993-0028395호에는 문자 돌출부에 형광 우레탄 도료를 도색한 자동차 번호판이 게시되어 있으며, 특허 출원번호 제10-1995- 0033994호에는 투명한 도광판에 고유번호를 기록하고 조명등을 설치한 자동차 번호판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인 기술들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자동차 번호판의 야간 식별의 정도를 필요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없고, 제조원가의 측면에서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모든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엄청난 예산이 소요되는 동시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반사밴드를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적용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 377592호에 제시된 바 있다.
첨부도면 도 2는 상기 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 압출 성형된 파이프(110)에 전사에 의해 외피층(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파이프(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130)이 형성되어 번호판 케이스(140)의 테두리(142)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어 원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웠다.
먼저, 상기 외피층(120)이 전사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우며, 전사 작업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작업이 복잡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10)가 전체적으로 반타원의 단면을 갖으며, 그 중앙부에 단순한 사각 형태의 홈(130)이 형성되기 때문에 테두리(142)의 단부(144)가 뭉툭한 형태를 갖는 경우에 밀착되는 면적이 작아서 자동차의 주행 중 진동으로 인해 이탈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미관을 해치거나 분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테두리(142)에 끼우기 위하여 홈(130)을 과도하게 벌리는 경우에는 찢어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탄성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압출성형 하되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전후방의 자동차와 대향되는 표면의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되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테두리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한 유리구슬(glass beads) 또는 마이크로 프리즘(micro prism)이 포함된 재귀반사 필름을 이용하여 전후방의 자동차와 대향되는 표면에 코팅 또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접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홈이 형성 된 몸체와, 전후방 자동차와 대향되는 상기 몸체의 표면 일부에 재귀반사 필름으로 코팅 또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접착되어 재귀반사 기능을 하는 반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에는 홈의 내측에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테두리의 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재귀반사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떤 물체의 표면에 빛을 비추었을 때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은 난반사(diffuse reflection), 거울반사(mirror reflection) 및 재귀반사(retro reflection) 등 3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난반사는 빛이 거친 표면을 비추었을 때 일어나는 반사로서, 빛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져서 광원으로 돌아오는 빛의 양이 매우 적어 물체를 식별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거울반사는 빛이 유리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곳을 비추었을 때 일어나는 반사로서, 물체의 표면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로 반대 방향으로 빛이 반사된다. 예를 들어, 물체의 표면에 30° 각도로 빛을 비추었다면 그 빛은 150° 각도로 반사하게 된다.
또한, 재귀반사는 광원으로부터 온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반사로서, 어떠한 각도로 재귀반사 소재에 빛을 비추어도 그 광원의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나 후레쉬 빛을 재귀반사 소재에 비추면 비춘 방향으로 되돌아가 광원에 있는 사람이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현재, 이러한 재귀반사 소재는 도로 표지나 안전조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번호판과 번호판 케이스의 결합상태 및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는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표면 일부에 재귀반사 필름으로 코팅 또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접착된 반사층(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탄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압출성형 방식으로 길게 만들어지는데,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전후방의 자동차와 대향되는 표면의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번호판 케이스(30)의 테두리(32)에 끼움 결합되는 홈(12)이 형성되며, 그 홈(12)의 내측에는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12a)를 형성시킴으로써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테두리(32)의 단부(34)가 안착되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반사밴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층(20)은 후방 또는 마주보고 주행하는 자동차와 대향되는 표면에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층(20)을 이루는 재귀반사 필름의 소재는 유리구슬(glass beads) 또는 마이크로 프리즘(micro prism)을 사용하여 입사하는 빛을 광원으로 되돌린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리구슬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반사층(20)은 반사휘도를 높이기 위하여 1평방인치당 13만개 이상의 미세한 유리구슬을 원단이나 필름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재귀반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구슬의 뒷면에 특수 코팅 처리로 반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프리즘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반사층(20)은 고분자 필름 위에 입방체 형태의 마이크로 프리즘을 만들어 프리즘에 비추어진 빛이 광원으로 다시 되돌아가도록 한다. 이때, 재귀반사 성능은 프리즘의 정밀도와 입방체의 각도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는 몸체(10)의 홈(12)을 번호판 케이스(30)의 테두리(32)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설치되 고, 접착에 의한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 본딩 작업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는 전면 및 후면의 번호판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두운 상황에서의 주행 중 후방 또는 마주보고 주행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광원으로 하여 빛이 입사되면 상기 반사층(20)에서 재귀반사를 하여 후방 또는 마주보고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 방향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결국, 후방 또는 마주보고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는 전방 자동차의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에서 반사된 빛을 선명하게 보게 됨으로써 전방 자동차의 움직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은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 장비와, 지게차, 덤프, 및 포크레인 등의 건설장비를 포함하여 모든 유동물체의 번호판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는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전후방의 자동차와 대향되는 표면의 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반사 휘도를 높여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전방 자동차의 움직임을 원거리에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재귀반사 기능에 의해 미관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홈을 형성하되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설치작업 시 테두리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과도하게 벌리는 경우에도 힘을 분산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귀반사 필름을 이용하여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작업과정이 간단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 자동차의 운전자가 전방 자동차의 움직임을 원거리에서도 인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운전을 하게 되고 추돌사고 등의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이 적용된 반사밴드는 자동차, 이륜차, 건설장비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번호판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은 야간이나 갑자기 조명의 환경이 바뀌는 터널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빛의 재귀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전방차량 및 이륜차 기타 유동물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안전사고 및 충돌을 방지케 함으로서 사고 위험으로부터 예방하는 안전보호구의 역할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번호판 케이스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몸체와, 전후방 자동차와 대향되는 상기 몸체의 표면 일부에 재귀반사 필름으로 코팅 또는 열압착 방식에 의해 접착되어 재귀반사 기능을 하는 반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홈의 내측에 면적이 확대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테두리의 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KR1020060012098A 2006-02-08 2006-02-08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KR20060017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98A KR20060017556A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098A KR20060017556A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527U Division KR200414652Y1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56A true KR20060017556A (ko) 2006-02-23

Family

ID=3712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098A KR20060017556A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755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641A (ja) * 1995-01-26 1996-10-08 Aisan Ind Co Ltd ナンバープレート用フレーム
KR100372842B1 (ko) * 2001-04-03 2003-02-25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단말 이동성을 위한 핸드오프 방법
KR200364335Y1 (ko) * 2004-06-18 2004-10-08 김기윤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KR200377592Y1 (ko) * 2004-12-14 2005-03-14 박광석 재귀반사 및 축광형 자동차번호판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641A (ja) * 1995-01-26 1996-10-08 Aisan Ind Co Ltd ナンバープレート用フレーム
KR100372842B1 (ko) * 2001-04-03 2003-02-25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단말 이동성을 위한 핸드오프 방법
KR200364335Y1 (ko) * 2004-06-18 2004-10-08 김기윤 금속판 마감용 마감부재 및 마감장치
KR200377592Y1 (ko) * 2004-12-14 2005-03-14 박광석 재귀반사 및 축광형 자동차번호판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3058B1 (en) Method of making profiled retroreflective marking material
KR200412731Y1 (ko)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KR200414652Y1 (ko)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US7905611B1 (en) Vehicle having underside reflector
KR20060017556A (ko)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KR20060006986A (ko)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JP4321377B2 (ja) 道路用視線誘導標識
JP4099318B2 (ja) 支柱貼付用反射体
KR20190056131A (ko) 신호등용 반사 패널
JP4235016B2 (ja) 再帰反射体
US3876284A (en) Light reflector for windshield wiper assembly
KR20020039587A (ko) 도로 중앙선 식별 블록
JPH0756460Y2 (ja) 駐車場の車両誘導案内部構造
JP2912586B2 (ja) 道路標識柱の反射標識装置
KR200359988Y1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KR102633984B1 (ko) 반사시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경계석
CN214219258U (zh) 一种带玻璃微珠反光层的混凝土侧石
EP0835352A1 (en) Retroreflective material
KR20020039588A (ko) 도로표시 및 지시 표지판
KR200385892Y1 (ko) 도로 시선 유도 표지용 반사체 구조
KR200273268Y1 (ko) 자동차용 장식몰딩
CN218492326U (zh) 一种道路街沿坎边角反光安全板
KR200377592Y1 (ko) 재귀반사 및 축광형 자동차번호판케이스
KR200363958Y1 (ko) 도로 표지병
CN2506492Y (zh) 具有转向指示灯的车用反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